KR101072935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935B1
KR101072935B1 KR1020070058369A KR20070058369A KR101072935B1 KR 101072935 B1 KR101072935 B1 KR 101072935B1 KR 1020070058369 A KR1020070058369 A KR 1020070058369A KR 20070058369 A KR20070058369 A KR 20070058369A KR 101072935 B1 KR101072935 B1 KR 101072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electron
discharge
layer
row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708A (ko
Inventor
도시히로 요시오카
다카요시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1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0Layers for protecting or enhancing the electron emission, e.g. MgO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PDP는 방전 공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전면 유리 기판 및 배면 유리 기판과, 상기 전면 유리 기판과 배면 유리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차하는 부분의 방전 공간에 각각 방전 셀을 형성하는 복수의 행전극쌍 및 열전극을 포함하고, 결정 격자 안의 일부 음이온이 전자에 의해 치환된 전자화 화합물이 방전 셀과 면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방전 셀에 노출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이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이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이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이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이 제3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이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이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면방전 방식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 함)에는 전면 유리 기판의 배면의 행전극쌍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상에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되는 박막 산화마그네슘층과 기상산화법에 의해 생성된 산화마그네슘 단결정체를 포함한 결정 산화마그네슘층이 적층된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PDP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2006-59780호 공보에 기재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종래의 PDP는 유전체층의 보호층을 구성하는 결정 산화마그네슘층이 기상산화법에 의해 생성된 산화마그네슘 단결정체를 포함함으로써, PDP에 있어서의 방전 확률이나 방전 지연 등의 방전 특성을 개선하여 양호한 방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PDP는 유전체층의 보호층이 알칼리토류산화물인 MgO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보호층의 전자 방출층으로서의 기능이 작고, 특히, 방전 공간 내에 크세논 분압이 높은 방전 가스가 봉입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방전 전압의 저감 효과나 발광 효율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를 갖고 있다.
최근, PDP의 고정세화가 진행되어 표시 라인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전력의 저감 및 발광 효율 증가 등의 방전 특성의 향상이 한층 더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PDP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DP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전 공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과,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차하는 부분의 방전 공간에 각각 단위 발광 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행전극쌍 및 열전극을 포함하고, 결정 격자 안의 일부 음이온이 전자에 의해 치환된 전자화 화합물이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의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각 단위 발광 영역에 노출되어 있는 PDP를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DP는 단위 발광 영역 내에 있어서 행전극쌍 및 열전극에 의해 발생되는 리셋 방전과 어드레스 방전, 서스테인 방전에 의해 매트릭스 표시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지만, 이러한 각 방전의 발생시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의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는 부분에 배치된 전자화 화합물로부터 전자가 단위 발광 영역 내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PDP의 각 방전의 방전 전압이 저하되고, 방전 지연이 개선되고, 발광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방전 공간 내에 10체적 퍼센트 이상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충분한 방전 전압의 저감 효과나 발광 효율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PDP에 있어서, 전자화 화합물을 단위 발광 영역이 면하는 부분에 배치하는 형태로서는, 행전극쌍을 피복하는 유전체층의 단위 발광 영역에 대향하는 면을 피복하는 보호층이나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는 형광체층 내에 혼합 하는 형태나, 유전체층을 피복하는 보호층을 다층 구조로 하여 이 다층 구조의 보호층 안의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고 있는 층을 전자화 화합물에 의해 형성하여 전자 방출층으로 하는 형태가 있으며, 전자화 화합물을 보호층과 형광체층의 양쪽에 배치하는 형태 등이 더 있다.
전자화 화합물을 단위 발광 영역이 면하는 부분에 배치하는 형태로서는 행전극쌍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행전극쌍의 방전을 발생시키는 부분에 대향하는 띠 형상 부분에 배치하거나, 각 단위 발광 영역마다 독립되어 있고, 행전극쌍의 방전을 발생시키는 부분에 대향하는 섬 형상 부분에 배치하는 형태 등을 더 들 수 있고, 전자화 화합물을 PDP에 있어서 방전이 발생하는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방전 전압의 저하나 발광 효율의 향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보호층이나 다층 구조의 보호층의 다른 층을 산화마그네슘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자화 화합물에 의한 전자 방출 기능에 부가하여 산화마그네슘에 의한 전자 방출 기능을 갖출 수 있다.
전자화 화합물로서는 12CaO·7Al2O3로 표시되는 조성을 갖는 화합물 등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PDP에는 결정 표면 근처의 결정 격자 안의 일부 음이온이 전자로 치환되어 있는 전자화 화합물, 또는 결정 안의 전자 포접(包接) 케이지(inclusion cage)의 밀도가 낮고 가시광 투과율이 비교적 높은 전자화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 전체의 음이온이 전자로 교환되어 있는 경우나 전자 포접 케이지의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전자화 화합물이 불투명하게 되어 전면 기판 측에 배치되는 경우 투과율 저하에 따른 패널의 휘도 저하를 초래하고, 또한 형광체층 내에 혼합되는 경우 형광체층의 발광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나, 결정 표면 근처의 결정 격자 안의 일부 음이온이 전자로 치환되어 있는 전자화 화합물이나 전자 포접 케이지의 밀도가 낮은 전자화 화합물이 이용됨으로써, 휘도 저하나 발광율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단위 발광 영역 내로의 전자 방출에 의해 PDP의 방전 전압의 저하와 발광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PDP에 있어서,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의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는 부분에 전자화 화합물과 함께, 전자선에 의해 여기됨으로써 파장 영역 200~300 ㎚ 내에 피크를 갖는 캐소드 루미네선스 발광을 행하는 특성을 갖는 산화마그네슘 결정체를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전자화 화합물에 의한 방전 전압의 저하 및 방전 지연의 개선, 발광 효율의 향상 효과와 함께, 산화마그네슘 결정체에 의한 방전 지연 등의 PDP의 방전 특성의 개선 효과를 한층 더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 산화마그네슘 결정체로서는 2000 Å 이상의 입자 지름을 갖고 있는 것이나 기상산화법에 의해 생성된 것 등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면방전 교류형 PDP의 실시 형태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은 이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PDP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 도 1 및 2에 도시된 PDP는 표시면인 전면 유리 기판(1)의 배면에 행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행전극쌍(X, Y)이 열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병설되어 있다.
이 행전극쌍(X, Y)을 구성하는 행전극(X), 행전극(Y)은 각각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흑색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버스 전극(Xa, Ya)과, 이 버스 전극(Xa, Ya)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기단부가 버스 전극(Xa, Ya)에 접속된 복수의 투명 전극(Xb, Y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쌍을 이루고 있는 투명 전극(Xb)과 투명 전극(Yb)이 방전 갭(g)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어 있다.
이 전면 유리 기판(1) 배면의 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한 행전극쌍(X, Y)의 서로 표리 관계가 된 버스 전극(Xa)과 버스 전극(Ya) 사이에는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흑색 또는 암색의 광흡수층(2)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 유리 기판(1)의 배면에는 유전체층(3)이 더 형성되고, 이 유전체층(3)에 의해 행전극쌍(X, Y) 및 광흡수층(2)이 피복되어 있다.
이 유전체층(3)의 배면에는 보호층(4)이 형성되고, 이 보호층(4)에 의해 유전체층(3)의 배면이 피복되어 있다.
이 보호층(4)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전면 유리 기판(1)과 방전 공간(S)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배치된 배면 유리 기판(5)의 표시측 면상에는 열전극(D)이 각 행전극쌍(X, Y)의 서로 쌍을 이룬 투명 전극(Xb, Yb)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행전극쌍(X, Y)과 직교하는 방향(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행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등간격으로 병설되어 있다.
이 배면 유리 기판(5)의 표시측 면상에는 열전극(D)을 피복하는 열전극 보호층(유전체층)(6)이 더 형성되고, 이 열전극 보호층(6) 상에 격벽(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격벽(7)은 인접한 행전극쌍(X, Y)의 표리 관계에 위치하는 행전극(X)과 행전극(Y)의 버스 전극(Xa, Ya) 및 그 사이에 위치하는 광흡수층(2)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각각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로벽(7A)과, 인접한 열전극(D) 사이의 중간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벽(7B)에 의해 대략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대략 격자 형상의 격벽(7)에 의해 전면 유리 기판(1)과 배면 유리 기판(5) 사이의 방전 공간(S)이 각 행전극쌍(X, Y)에 있어서 서로 쌍을 이루고 있는 투명 전극(Xb)과 투명 전극(Yb)에 대향하는 부분마다 구획되어 각각 방전 셀(C)이 형성되어 있다.
각 방전 셀(C)에 면하는 격벽(7)의 가로벽(7A) 및 세로벽(7B)의 측면과 열전극 보호층(6)의 표면에는 이들 5개의 면을 전부 덮도록 형광체층(8)이 형성되어 있고, 이 형광체층(8)의 색은 각 방전 셀(C)마다 적, 녹, 청의 3원색으로 색분류되어 있으며, 이 적, 녹, 청이 행 방향으로 차례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방전 공간(S) 내에는 10체적 퍼센트 이상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상기 보호층(4)은 박막 또는 후막의 MgO층 내에 결정 격자 안의 일부 음이온이 전자에 의해 치환된 조성을 갖는 전자화 화합물(electride), 예컨대 12CaO·7Al2O3 등의 결정 구조 안에 전자 포접 케이지를 갖는 분체의 전자화 화합물(e)이 혼합된 구성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 전자화 화합물(e)은 적어도 그 일부가 MgO층의 표면에 위치되어 방전 공간(S)[방전 셀(C)]에 노출된 상태로 MgO층에 혼합되어 있다.
상기 PDP는 행전극쌍(X, Y)의 행전극(X)과 행전극(Y) 사이 또는 행전극(Y)과 열전극(D) 사이에서 일제히 리셋 방전이 행해져 모든 방전 셀(C)의 초기화가 행해진 후, 행전극(Y)과 열전극(D)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어드레스 방전이 행해져 방전 셀(C)에 면하는 부분의 유전체층(3)에 벽전하가 형성된 발광 셀과 벽전하가 소거된 비발광 셀이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패널면에 분포되고, 이 후, 발광 셀에 있어서 행전극(X, Y)의 서로 쌍을 이루고 있는 투명 전극(Xb), 투명 전극(Yb) 사이에서 방전 갭(g)을 사이에 두고 서스테인 방전이 행해져 이 서스테인 방전에 의해 방전 셀(C) 내의 방전 가스 안의 크세논이 여기되어 진공 자외선이 발생되며, 이 진공 자외선에 의해 적, 녹, 청으로 색분류된 형광체층(8)이 각각 발광함으로써, 매트릭스 표시에 의한 화상을 형성한다.
이 방전 셀(C) 내에 있어서 각 방전의 발생시 보호층(4)이 전자 방출층으로서 기능하여 보호층(4) 표면의 방전 셀(C)에 면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화 화합물(e)로부터 전자가 방전 셀(C) 내로 방출된다.
이 보호층(4)의 전자화 화합물(e)로부터의 전자 방출에 의해 방전 가스 중에 10체적 퍼센트 이상의 크세논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 방전의 방전 개시 전압을 포함한 PDP의 방전 전압이 저하되고, 행전극(X) 또는 행전극(Y) 중 음극이 되는 쪽의 음극 강하부의 전계가 작아져서 자외선 여기 효율이 높아지고, 이것에 의해 PDP의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PDP에 있어서, 보호층(4)의 MgO층에 혼합되는 전자화 화합물(e)은 그 결정 표면 근처 부분에만 음이온이 전자에 의해 치환된 전자 포접 케이지를 갖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두께가 있는 전자화 화합물(e)의 결정 전체에 전자 포접 케이지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화 화합물(e)의 결정이 금속적인 상태가 되고 불투명하게 되어 광투과율이 저하하므로, 형광체층(8)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시광이 보호층(4)을 통과하기 어렵게 되어 패널의 휘도 저하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 표면 근처 부분에만 전자 포접 케이지가 존재하는 전자화 화합물(e)이 MgO층에 혼합됨으로써, 패널의 휘도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전자화 화합물(e)에 의한 PDP의 방전 전압의 저하와 발광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패널의 휘도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전자화 화합물(e)에 의한 PDP의 방전 전압의 저하와 발광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결정에 있어서의 전자 포접 케이지의 밀도가 낮은 전자화 화합물(e)을 MgO층에 혼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PDP에 있어서, 전자화 화합물(e)은 보호층(4)의 전면에 걸쳐 MgO층에 혼합되는 경우 이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4)의 방전 갭(g)과 이 방전 갭(g)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투명 전극(Xb)과 투명 전극(Yb)의 선단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 부분(p1)에 있어서만, 전자화 화합물(e)을 MgO층에 혼합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gO층의 방전 갭(g)과 이 방전 갭(g)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투명 전극(Xb)과 투명 전극(Yb)의 선단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각 방전 셀(C)마다 독립된 사각형의 섬 형상 부분(p2)에 있어서만, 전자화 화합물(e)을 MgO층에 혼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PDP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4)의 MgO층에 전자화 화합물(e)에 부가하여, 전자선에 의해 여기되어 파장 영역 200~300 ㎚ 내에 피크를 갖는 캐소드 루미네선스 발광을 일으키는 특성을 갖는 예컨대 기상법 산화마그네슘 결정체 등의 산화마그네슘 결정체(m)를 혼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산화마그네슘 결정체(m)는 2000 Å 이상의 입자 지름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산화마그네슘 결정체의 혼합에 의해 전자화 화합물(e)에 의한 방전 전압의 저하와 발광 효율의 향상 효과에 부가하여, 산화마그네슘 결정체(m)에 의한 방전 확률이나 방전 지연 등의 방전 특성의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면방전 교류형 PDP의 실시 형태의 제2 실시예를 도시 하고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PDP에 있어서는 전자화 화합물이 보호층을 형성하는 MgO층 내에 혼합되어 있던 것에 반하여, 이 제2 실시예의 PDP에 있어서는 보호층이 MgO층과 전자화 화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 방출층에 의한 2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6에 있어서, 유전체층(3)의 배면 상에 박막의 MgO층(14A)이 형성되고, 추가로 이 MgO층(14A) 상에 결정 격자 안의 일부 음이온이 전자에 의해 치환된 조성을 갖는 전자화 화합물(electride), 예컨대 12CaO·7Al2O3 등의 전자화 화합물(e)에 의해 전자 방출층(14B)이 적층하여 형성되며, 이 MgO층(14A)과 전자 방출층(14B)의 2층에 의해 보호층(24)이 구성되어 있고, 전자 방출층(14B)이 방전 셀(C) 측에 위치함으로써 전자화 화합물(e)이 방전 셀(C)에 노출되어 있다.
이 PDP의 다른 부분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서,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도 6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리고, 전자화 화합물(e)의 조성 및 그 특성에 대해서도 제1 실시예의 경우 와 마찬가지로서, 전자 방출층(14B)이 방전 셀(C) 측에 위치하여 전자화 화합물(e)이 방전 셀(C) 내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이 전자화 화합물(e)로부터의 전자 방출에 의해 각 방전의 방전 개시 전압을 포함한 PDP의 방전 전압이 저하하고, 행전극(X) 또는 행전극(Y)의 음극이 되는 쪽의 음극 강하부의 전계가 작아지고, 이것에 의해 자외선 여기 효율이 높아져서 PDP의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이 실시예의 PDP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호층(14)의 광투과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결정 표면 근처 부분에만 전자 포접 케이지를 갖는 전자화 화합물(e)이나 결정에 있어서의 전자 포접 케이지의 밀도가 낮은 전자화 화합물(e)에 의해 전자 방출층(14B)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DP에 있어서, 전자화 화합물(e)에 의한 전자 방출층(14B)은 MgO층(14A) 상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 이외에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을 행한 도 3 및 도 4의 패턴과 마찬가지로, MgO층(14A) 상의 방전 갭(g)과 이 방전 갭(g)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투명 전극(Xb)과 투명 전극(Yb)의 선단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 부분만, 또는, 방전 갭(g)과 이 방전 갭(g)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투명 전극(Xb)과 투명 전극(Yb)의 선단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각 방전 셀(C)마다 독립된 사각형의 섬 형상 부분에만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PDP에 있어서, 전자화 화합물(e)에 의한 방전 전압의 저하와 발광 효율의 향상 효과에 부가하여 방전 확률이나 방전 지연 등의 방전 특성의 개선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전자 방출층(14B)에, 전자선에 의해 여기되어 파장 영역 200~300 ㎚ 내에 피크를 갖는 캐소드 루미네선스 발광을 일으키는 특성을 갖는 예컨대 기상법 산화마그네슘 결정체 등의 산화마그네슘 결정체(m)를 혼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면방전 교류형 PDP의 실시 형태의 제3 실시예를 도시 하고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PDP에 있어서는 전자화 화합물이 전면 유리 기판 측에 배치되어 있던 것에 반하여, 이 제3 실시예의 PDP에 있어서는 형광체층 내에 혼합되어 배면 유리 기판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7에 있어서, 방전 셀(C) 내에 있어서 열전극 보호층(6) 상에 형성된 형광체층(8) 내에, 결정 격자 안의 일부 음이온이 전자에 의해 치환된 조성을 갖는 전자화 화합물(electride), 예컨대 12CaO·7Al2O3 등의 전자화 화합물(e)이 적어도 그 일부가 형광체층(8)의 표면에 위치되어 방전 공간(S)[방전 셀(C)]에 노출된 상태로 혼합되어 있다.
이 PDP의 다른 부분의 구성은 보호층(4)이 MgO에 의해서만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서,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도 7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리고, 전자화 화합물(e)의 조성 및 그 특성에 대해서도 제1 실시예의 경우 와 마찬가지로서, 전자화 화합물(e)이 방전 셀(C) 내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이 전자화 화합물(e)로부터 전자가 방출되어 PDP의 방전 개시 전압을 포함한 방전 전압이 저하된다.
이 실시예의 PDP에 있어서, 전자화 화합물(e)이 불투명하게 되어 형광체층(18)의 발광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정 표면 근처 부분에만 전자 포접 케이지를 갖는 전자화 화합물(e)이나 결정에 있어서의 전자 포접 케이지의 밀 도가 낮은 전자화 화합물(e)을 형광체층(18)에 혼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DP에 있어서, 전자화 화합물(e)에 의한 방전 전압의 저하와 발광 효율의 향상 효과에 부가하여 방전 확률이나 방전 지연 등의 방전 특성의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체층(8)에, 전자선에 의해 여기되어 파장 영역 200~300 ㎚ 내에 피크를 갖는 캐소드 루미네선스 발광을 일으키는 특성을 갖는 예컨대 기상법 산화마그네슘 결정체 등의 산화마그네슘 결정체(m)를 혼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형광체층(8)에만 전자화 화합물(e)이 혼합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조합하여 전면 유리 기판(1) 측과 배면 유리 기판(5)의 양쪽에 전자화 화합물(e)이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9는 제1 실시예와 조합하여 전자화 화합물(e)이 형광체층(8)과 보호층(4)의 양쪽에 혼합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제2 실시예와 조합하여 전자화 화합물(e)이 형광체층(8)에 혼합되어 있고, 보호층(14)이 MgO층(14A)과 전자화 화합물(e)에 의해 형성된 전자 방출층(14B)의 2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전자화 화합물(e)과 산화마그네슘 결정체(m)가 형광체층(8)과 보호층(4)의 양쪽에 혼합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이들 예에 따르면, 전자화 화합물(e)에 의한 방전 전압의 저하와 발광 효율의 향상 효과, 나아가서는, 산화마그네슘 결정체(m)에 의한 방전 확률이나 방전 지연 등의 방전 특성의 개선 효과를 한층 더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자화 화합물이 보호층 내 또는 보호층 상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보호층을 생략하고 행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상에 직접 배치되도록 PDP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전자화 화합물의 분체를 유전체층 상에 부착시키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화 화합물을 증착법이나 스퍼터법 등에 의해 박막형으로 형성하여 배치하거나, 또는 스크린 인쇄법이나 오프셋 인쇄법 등에 의해 후막형으로 형성하여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자화 화합물이 보호층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전자화 화합물의 분체를 보호층 상에 부착시키는 것 이외에, 증착법이나 스퍼터법 등에 의해 박막형으로 형성하여 배치하거나, 또는 스크린 인쇄법이나 오프셋 인쇄법 등에 의해 후막형으로 형성하여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자화 화합물은 전극에 대향하는 부분 이외의 영역도 포함하도록 패턴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전극에 대향하는 부분 이외의 영역에만 패턴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전자화 화합물의 패턴은 띠 형상이나 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형상이나 타원형 형상, 사행 형상 등의 적절하게 필요로 하는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의 PDP는 방전 공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과,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차하는 부분의 방전 공간에 각각 단위 발광 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행전극쌍 및 열전극을 포함하고, 결정 격자 안의 일부 음이온이 전자에 의해 치환된 전자화 화합물이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의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각 단위 발광 영역에 노출되어 있는 실시 형태의 PDP를 그 상위 개념의 실시 형태로 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DP는 단위 발광 영역 내에 있어서 행전극쌍 및 열전극에 의해 발생되는 리셋 방전과 어드레스 방전, 서스테인 방전에 의해 매트릭스 표시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지만, 이 각 방전의 발생시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의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는 부분에 배치된 전자화 화합물로부터 전자가 단위 발광 영역 내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PDP의 각 방전의 방전 전압이 저하되고, 발광 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방전 공간 내에 10체적 퍼센트 이상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충분한 방전 전압의 저감 효과나 발광 효율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9)

  1. 방전 공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과,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차하는 부분의 방전 공간에 각각 단위 발광 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행전극쌍 및 열전극을 포함하고,
    결정 격자 안의 일부 음이온이 전자에 의해 치환된 전자화 화합물이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의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각 단위 발광 영역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기판 측에 상기 행전극쌍과, 상기 행전극쌍을 피복하는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의 단위 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면을 피복하는 보호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 내에 상기 전자화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산화마그네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 화합물은 상기 보호층의 부분적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 화합물은 상기 보호층의 행전극쌍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행전극쌍의 방전을 발생시키는 부분에 대응하는 띠 형상 부분에 혼합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 화합물은 상기 보호층의 각 단위 발광 영역마다 독립되어 있고, 상기 행전극쌍의 방전을 발생시키는 부분에 대응하는 섬 형상 부분에 혼합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기판 측에 상기 행전극쌍과, 상기 행전극쌍을 피복하는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의 단위 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면을 피복하는 보호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유전체층 상에 형성된 산화마그네슘층과, 상기 산화마그네슘층 상에 적층되어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는 전자 방출층을 가지며,
    상기 전자 방출층은 상기 전자화 화합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방출층은 상기 보호층 상의 부분적인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방출층은 상기 행전극쌍의 방전을 발생시키는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행전극쌍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 화합물은 상기 행전극쌍의 방전을 발생시키는 부분에 대응하고, 각 단위 발광 영역마다 독립된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기판 측에 상기 열전극과,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는 형광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형광체층 내에 전자화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기판 측에 상기 행전극쌍과, 상기 행전극쌍을 피복하는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의 단위 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면을 피복하는 보호층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 기판 측에 상기 열전극과,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는 형광체층이 형성되며,
    상기 형광체층과 보호층에 상기 전자화 화합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 화합물은 12CaO·7Al2O3로 표시되는 조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 화합물은 결정 표면 근처의 결정 격자 안의 일부 음이온이 전자로 치환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 화합물은 결정 안에 밀도가 낮은 전자 포접 케이지를 갖고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의 단위 발광 영역에 면하는 부분에 상기 전자화 화합물과, 전자선에 의해 여기됨으로써 파장 영역 200~300 ㎚ 내에 피크를 갖는 캐소드 루미네선스 발광을 행하는 특성을 갖는 산화마그네슘 결정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마그네슘 결정체는 2000 Å 이상 4000 Å 이하의 입자 지름을 갖고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마그네슘 결정체는 기상산화법에 의해 생성된 산화마그네슘 단결정체인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공간 내에 10체적 퍼센트 이상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 있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70058369A 2006-08-07 2007-06-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072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14500 2006-08-07
JP2006214500A JP4781196B2 (ja) 2006-08-07 2006-08-07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708A KR20080013708A (ko) 2008-02-13
KR101072935B1 true KR101072935B1 (ko) 2011-10-17

Family

ID=3872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369A KR101072935B1 (ko) 2006-08-07 2007-06-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84548B2 (ko)
EP (1) EP1887605A3 (ko)
JP (1) JP4781196B2 (ko)
KR (1) KR101072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0727A (ja) * 2008-03-03 2009-09-17 Panas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9218023A (ja) * 2008-03-10 2009-09-24 Panas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8197503B2 (en) 2008-08-15 2012-06-12 Abbott Diabetes Care Inc. Side loading lancing device
JP2010211960A (ja) * 2009-03-06 2010-09-24 Asahi Glass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10122730A1 (ja) * 2009-04-21 2010-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65777A (ja) * 2009-09-15 2011-03-31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5363381B2 (ja) * 2010-03-09 2013-12-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120027490A (ko) * 2010-03-12 2012-03-21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9470634B1 (en) * 2013-12-10 2016-10-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Electride mediated 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
ES2897523B2 (es) 2021-08-10 2022-07-18 Advanced Thermal Devices S L Cátodo basado en el material C12A7:e ''electride'' para la emisión termiónica de electrones y procedimiento para el empleo del mism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0786A2 (en) 2004-03-19 2005-09-28 Pioneer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3106B2 (en) * 2000-06-01 2005-03-29 Pioneer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that inhibits false discharge
JP5081386B2 (ja) * 2002-11-22 2012-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US7507289B2 (en) * 2003-06-26 2009-03-24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Electroconductive 12CaO—7Al2O3 and compound of same type,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JP3842276B2 (ja) 2004-02-26 2006-11-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11931B2 (ja) * 2004-04-30 2008-07-02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電気伝導性複合酸化物結晶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683547B2 (ja) * 2004-09-16 2011-05-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541834B2 (ja) * 2004-10-28 2010-09-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5016804B2 (ja) * 2005-09-14 2012-09-05 株式会社アルバック 蛍光体及びその作製方法、並びに発光素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0786A2 (en) 2004-03-19 2005-09-28 Pioneer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81196B2 (ja) 2011-09-28
US20080030137A1 (en) 2008-02-07
JP2008041438A (ja) 2008-02-21
US7884548B2 (en) 2011-02-08
KR20080013708A (ko) 2008-02-13
EP1887605A2 (en) 2008-02-13
EP1887605A3 (en)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9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1241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54184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87597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65082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365492B2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802760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89423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274143B2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714148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78830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70228973A1 (en) Plasma display panel (PDP)
US7486023B2 (en) Single layer discharge electrode configuration for a plasma display panel
KR1006965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25313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893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333487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7000533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4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595591B2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704873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1106577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70120490A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80238313A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70228979A1 (en)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