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752B1 -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752B1
KR101071752B1 KR1020090067239A KR20090067239A KR101071752B1 KR 101071752 B1 KR101071752 B1 KR 101071752B1 KR 1020090067239 A KR1020090067239 A KR 1020090067239A KR 20090067239 A KR20090067239 A KR 20090067239A KR 101071752 B1 KR101071752 B1 KR 101071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tain
sensor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830A (ko
Inventor
정현호
김인관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셈투유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경원조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셈투유,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경원조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셈투유
Priority to KR102009006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7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foun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의 환경에 따라 분수 형태 및 조명을 제어하여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수대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사람의 신체 일부와 접하면 체온 및 맥박을 체크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기상정보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사람의 유무 및 거리를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사람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유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SMS를 전송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체온 및 맥박 정보와 상기 촬영장치의 얼굴 형상 및 상기 통신수단의 SMS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받고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정보들을 근거로 상기 분수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특정한 사람의 얼굴이 찌그러진 상태인지, 웃는 상태인지를 분석하여 상기 분수대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형태 및 음악, 색을 임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수대, 감지센서, 터치스크린, CDMA, SMS

Description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A smart fountain and Controlling Apparatus for being Applied in Parks}
본 발명은 분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수대의 주위 환경에 따라 분수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수대는 노즐을 갖는 각각의 분수 유니트가 파이프 라인에 연결되고, 파이프 라인은 저수조에 연결되며, 분수모듈에는 각각 펌프가 구비되어 펌프가 구동하면 저수조의 물이 파이프라인을 통해 각각의 분수모듈로 유입된 후 노즐을 통해 상향 분사되는 것으로, 각 분수 유니트의 형상, 노즐의 종류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아름다운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주변의 분위기를 아름답게 장식하여 왔다.
이러한 일반적인 분수 시스템은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따라 각 분수 유니트의 노즐을 통해 물이 나오거나 나오지 않는 것과 같이 단순한 동작만을 수행하게 되므로 조금만 지나면 대부분의 감상자가 식상해 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다양한 분수연출을 표현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노즐과 배관장 치를 설치하여 놓고 이를 작동/제어하는데 필요한 전기동력/제어장치를 설치하여 감상자가 쉽게 식상해 하지 않을 다양한 분수연출을 표현해낼 수 있는 분수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수장치 역시 이미 입력되어 있는 정형화된 패턴에 의해 작동하는 것인바, 입력된 패턴의 분수연출이 여러 번 반복되다 보면 다시 감상자가 식상해 하는 문제점이 역시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이미 입력되어 있는 정형화된 패턴에 의해 작동하는 이러한 분수장치는 연출되는 장면이 단순한 형태여서 미적 감흥을 주기에는 부족할 뿐만 아니라, 감상자를 단순히 바라보며 감상해야만 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방치할 뿐이어서 감상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호응을 유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름다운 분수연출을 위해서는 종래의 분수장치에서 분출되는 분수용수의 압력과 양을 더욱더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기술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분수대의 주위 환경에 따라 분수 형태 및 조명을 제어하도록 한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수대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사람의 신체 일부와 접하면 체온 및 맥박을 체크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기상정보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사람의 유무 및 거리를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사람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유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SMS를 전송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체온 및 맥박 정보와 상기 촬영장치의 얼굴 형상 및 상기 통신수단의 SMS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받고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정보들을 근거로 상기 분수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특정한 사람의 얼굴이 찌그러진 상태인지, 웃는 상태인지를 분석하여 상기 분수대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형태 및 음악, 색을 임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분수대 주위의 특정한 사람의 얼굴 또는 행동을 촬영 및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분사되는 물의 각도, 높이를 제어함과 아울러 음악, 조명 등을 제어하여 사람의 감성에 따라 분수대를 제어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일방적으로 보여주는 형식에서 벗어나 사람들과 능동적으로 정보를 주고받아 물놀이를 더욱 아름답고 재미있게 장식할 수 있다.
셋째, 주위의 자연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수대를 온오프하면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임과 함께 교통 사고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분수 주위에 다수의 감지센서들을 배치하여 사람의 유무, 소리 인식, 바람의 방향 등을 인지하여 그 정보에 맞게 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 1 온도센서를 구성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수대(110)와, 상기 분수대(110) 주위에 설치되어 연출하고자 하는 이미지나 글씨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120)과, 상기 분수대(110) 주위에 설치되어 기상정보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130)와, 상기 분수대(110) 주위에 설치되어 사람의 유무 및 거리를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140)와, 상기 분수대(110)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분수대(110)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수질 및 분수대(11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질을 검출하는 제 3 감지센서(150)와, 상기 분수대(110) 주위에 설치되어 소리를 검출하는 제 4 감지센서(160)와, 상기 분수대(110) 주위에 설치되어 특정한 사람의 얼굴이나 행동을 촬영하는 촬영장치(170)와, 상기 분수대(110) 주위에 설치되어 유무선 통신을 통해 SMS를 전송하는 통신수단(180)과, 상기 터치스크린(120)의 체온 정보와 상기 촬영장치(170)의 얼굴 정보 및 상기 통신수단(180)의 SMS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받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지센서(130,140,150,160)에서 검출된 정보들을 근거로 상기 분수대(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 장치(1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120)은 상기 분수대(110) 주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사람의 신체 일부와 접하면 체온 및 맥박을 체크한다.
상기 제 1 감지센서(1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 내리는 것을 검출하는 레인 센서(131)와, 외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32), 바람의 방향을 검출하는 풍향 센서(133) 및 바람의 세기를 검출하는 풍속 센서(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수대(110)는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111)와,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밸브(112)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색을 표현하는 LED(113) 및 영상을 표현하는 레이저(114)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분수대(110)는 분수대(110) 자체를 온/오프하는 스위치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수대(110)는 기포발생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구성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기포를 넣어 다양한 효과와 분수의 분사 형태나 음악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감지센서(130)의 레인 센서(131)는 비가 오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로 송부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상기 레인 센서(131)의 정보에 따라 상기 분수대(110)를 자동으로 오프한다.
또한, 제 1 감지센서(130)는 풍향센서(133) 및 풍속센서(134)를 통해 바람의 방향 및 세기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바람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상기 분수대(110)의 사용을 자동 제어하여 강한 바람에 의한 분수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수대(110)의 불필요한 사용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전력의 낭비와 인력의 소모를 없애 줄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센서(140)는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데, 특히 사람이 많은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로 송부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상기 제 2 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사람이 많은 방향에서 최적의 분수 영상이 표현될 수 있도록 상기 분수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 2 감지센서(140)는 사람의 감지에 의해 사람이 일정거리만큼 분수대(110)에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중앙처리 장치(190)로 송부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상기 분수대(110)를 제어하여 분수 동작을 시작하고, 반대로 사람이 멀어져 가면 분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 2 감지센서(140)는 인접한 사람과 분수대(110)간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감지센서(150)는 물의 수질인 탁도, 씨오디, 대장균을 포함한 각종 세균을 감지하여 수질의 정도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를 통해 분수대(110)의 LED(113)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물의 색깔을 제어한다.
상기 제 3 감지센서(150)는 물의 수질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중앙처리 장치(190)로 송부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상기 제 3 감지센서(150)로부터 검출된 수질 정보를 분석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오염이 있다고 판단되면 관리자에게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하여 분수대(110)의 물을 교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3 감지센서(150)를 통해 검출된 수질 정보를 외부의 안내표지판(도시되지 않음)에 표시하여 어린 아이들이 물놀이를 할 경우에 부모들이 이를 참고하도록 한다. 즉,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분수대의 수질을 검사했던 것을 실시간으로 검사하여 분수대 운영을 조정함과 함께 안내표지판 설치 등 검사결과를 이용객에게 제공해 물놀이를 자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 4 감지센서(160)는 사람의 목소리 또는 박수 소리를 인식한 후, 그 결과를 중앙처리 장치(190)로 송부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상기 제 4 감지센서(160)에서 감지된 목소리 또는 박수 소리에 따라 분수의 분사 형태나 음악을 표현하도록 상기 분수대(110)의 스피커(111)와 밸브(112)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4 감지센서(160)는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로부터 분수대(110)의 밸브(112)를 제어하여 형상을 표현하고, 표현된 형상을 스피커(111)를 통해 주위 사람에게 문제를 내고 주위 사람들이 답을 하는 경우 그 답의 음성을 인식하여 정답인 경우와 오답인 경우에 따라 분수대(11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 4 감지센서(160)는 상기 분수대(11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 장치(190)와 양방향 인터페이스를 통한 다양한 교육적인 놀이, 퀴즈 등을 구현하면서 분수대(1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분수대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장치(170)를 통해 특정한 사람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로 송부하면,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촬영된 사람의 얼굴이 찌그러진 상태인지 웃는 상태인지를 분석하여 상기 분수대(110)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형태 및 조명을 임의로 제어한다.
여기서, 특정한 사람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핸드폰이나 카드 또는 코인 등의 결제 수단을 통해 소정의 금액을 결제한 사람을 말한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170)를 통해 특정한 사람의 행동을 촬영하여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로 송부하면,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촬영된 사람의 행동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통해 분수대(110)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형태를 제어한다.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상기 촬영장치(170)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입력하 는 영상입력부와, 상기 영상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로부터 얼굴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요소로부터 얼굴인식 및 표정인식을 위한 특징을 추출하여 얼굴인식/표정인식하는 인식프로그램구동부와,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해석하여 상기 인식프로그램구동부에게 전달하고, 상기 인식프로그램구동부가 얼굴인식/표정인식하는 각 처리과정에서의 영상과 각 처리과정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프로그램구동부는, 상기 영상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잡음을 제거하고 컬러변환 및 부가연산하여 상기 입력영상을 얼굴추출에 용이한 영상으로 전처리하는 영상전처리기능부와, 상기 전처리된 영상을 정합비교 및 블롭해석하여 얼굴을 추출하는 얼굴추출기능부와, 상기 추출된 얼굴을 정합비교하고 투영기반추출 및 기하학적예측하여 얼굴요소를 추출하는 얼굴요소추출기능부와, 상기 얼굴요소추출기능부에서 얻어진 얼굴요소의 기하학적특징과 변환특징과 통계적특징을 추출하여 얼굴인식/표정인식을 위한 특징들을 추출하는 얼굴특징추출기능부와, 상기 얼굴특징추출기능부에서 얻어진 얼굴특징을 이용하여 얼굴인식을 하거나 표정을 인식하는 고수준인지기능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영상전처리기능부는 영상필터링기능부와 컬러변환기능부와 좌표변환기능부와 부가연산기능부를 구비하고, 상기 얼굴추출기능부는 정합비교기능부와 블록해석기능부와 얼굴검증기능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얼굴요소추출기능부는 정합비교기능부와 투영기반추출기능부와 기하학적예측기능부를 구비하고, 상기 얼굴특징추출기능부는 기하학적특징추출기능부와 변환특징추출기능부와 통계적특징추출기능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수준인지기능부는 각 개인 고유 얼굴의 얼굴특징과 현재 입력된 얼굴특징을 비교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얼굴특징을 퍼지논리, 신경망, 퍼지신경망 중 하나에 적용하여 표정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가 명령어 입력을 위한 메뉴선택창과, 상기 영상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출력창과, 상기 인식프로그램구동부가 얼굴인식/표정인식하는 각 처리과정에서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버깅영상창과, 상기 각 처리과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창과, 임시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는 임시메모리표시창과, 상기 각 처리과정에서 필요한 인수를 입력하기 위한 인수제어창과, 현재 마우스커서가 위치한 지점의 픽셀값과 밝기값을 표시하는 픽셀정보창을 포함한 화면을 모니터에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촬영장치(170)를 통해 특정한 사람의 감성에 따라 중앙처리 장치(190)는 상기 분수대(110)에서 밸브(112)를 조절하여 분사되는 물의 형태를 임의로 제어하거나 스피커(111)를 통해 송출되는 음악과 빛을 발생하는 LED(113) 및 레이저(114)를 제어하면서 특정한 사람이 감성에 따라 분수대(1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170)는 CCD 또는 CMOS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고, 줌(zoom)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CCD 또는 CMOS 카메라를 통해 특정한 사람을 촬영하여 열화상을 통해 특별한 사람의 체온을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수단(180)은 외부로부터 특정한 사람이 핸드폰 등을 통해 접속하여 특정노래를 신청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소정의 금액을 결제하면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상기 분수대(110)를 제어하여 특정 노래와 함께 분수를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아름답게 장식된 분수대에서 특정한 사람이 특별한 이벤트를 하기 위해 사전에 혹은 즉시 상기 통신수단(180)에 핸드폰을 통해 접속하여 신청곡을 접수한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핸드폰, 카드 또는 코인 등을 통해 소정의 금액을 결제하게 되면, 특별한 사람이 원하는 시간에 맞춰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분수대(110)의 스피커(111), 밸브(112), LED(113), 레이저(114)를 제어하여 선택된 음악을 출력함과 함께 분사된 물에 다양한 색상과 형상을 연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180)을 통해 사용자가 핸드폰 등을 통해 접속하여 특정 형상 예를 들면 하트모양 등을 신청하고, 소정의 금액을 결제하면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상기 분수대(180)를 제어하여 분수대(110)에서 분사되는 분수의 형태를 도 5와 같이 하트 모양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는 분수대(110) 주위에 사람의 유무, 물의 온도나 수질, 소리, 바람의 방향을 감지하는 제 1 내지 제 4 감지센서(130,140,150,160)와 함께 분수대(110)를 사람들의 요구에 맞춰 제어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120)을 통해 이미지나 글씨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통신수단(180)을 통해 입력 정보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중앙처리 장치(190)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180)는 이러한 정보들을 처리하여 분수를 어떻게 연출할지 판단한 후, 연출에 맞게 분수대(110)의 스피커(111), 밸브(112), LED(113), 레이저(114) 등을 제어하여 아름답고 재미있게 분수를 연출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는 다수의 감지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분수대를 제어하여 아름답고 재미있게 연출함과 함께 다양한 교육적인 놀이, 퀴즈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20)은 사용자가 터치 화면에 자유롭게 이미지나 글씨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 특히 분수연출을 감상하는 감상자가 일반적인 키보드 입력 방식보다는 보다 쉽고, 자유롭게 연출하고자 하는 이미지나 글씨를 입력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보다 다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분수로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120)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분수대(110)의 주변에 설치되어 직접 입력하고자 하는 감상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분수대(110)의 주위에 설치된 통신수단(180)을 사용하여 SMS(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 특히 분수연출을 감상하는 감상자가 연출하고자 하는 SMS를 입력하기 위해서 반드시 상기 분수대(110) 옆에 있어야 할 필요 없이 상기 분수대(110)와 떨어진 원거리에서도 휴대폰 등의 통신기기를 사용하여 연출하고자 하는 SMS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 경우 분수연출을 감상하기 좋은 위치에서 입력과 감상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수단(180)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수단 또는 CDMA와 같은 통신수단을 이용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를 교량의 분수대에 설치한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교량의 양측으로 물이 분사되고 이때 상기 분사노즐과 함께 교량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조명등을 통해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고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이 교량의 오른쪽에 왼쪽으로 불때 이를 제 1 감지센서(130)의 풍향센서(133) 및 풍속센서(134)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중앙처리 장치(190)로 송부하면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교량의 오른쪽에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오프하여 교량의 왼쪽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이 교량의 오른쪽에 왼쪽으로 불때 이를 제 1 감지센서(130)의 풍향센서(133) 및 풍속센서(134)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중앙처리 장치(190)로 송부하면 상기 중앙처리 장치(190)는 교량의 왼쪽에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오프하여 교량의 오른쪽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도 4b 및 도 4c에서와 같이, 바람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량의 일측만을 온오프하면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교량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교량의 미끄러짐 또는 운전자의 시야 방해로 인한 교통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교량 일측의 분사노즐만 동작할 때 분사노즐이 동작되지 않은 타측의 조명등도 오프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가 있다. 즉, 조명등은 분사노즐이 동작할 때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고 있지만 물이 분사되지 않을 때는 그 기능을 하지 않기 때문에 오프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통한 전력 소모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 1 온도센서를 구성하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분수대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를 교량의 분수대에 설치한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를 통해 하트 모양의 분수를 표현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분수대 120 : 터치스크린
130 : 제 1 감지센서 140 : 제 2 감지센서
150 : 제 3 감지센서 160 : 제 4 감지센서
170 : 촬영장치 180 : 통신수단
190 : 중앙처리 장치

Claims (10)

  1. 다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수대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사람의 신체 일부와 접하면 체온 및 맥박을 체크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기상정보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사람의 유무 및 거리를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사람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분수대 주위에 설치되어 유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SMS를 전송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체온 및 맥박 정보와 상기 촬영장치의 얼굴 형상 및 상기 통신수단의 SMS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받고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정보들을 근거로 상기 분수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특정한 사람의 얼굴이 찌그러진 상태인지, 웃는 상태인지를 분석하여 상기 분수대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형태 및 음악, 색을 임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센서는 비 내리는 것을 검출하는 레인 센서와, 외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바람의 방향을 검출하는 풍향 센서 및 바람의 세기를 검출하는 풍속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센서는 사람이 많은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 장치로 송부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는 상기 제 2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사람이 많은 방향에서 최적의 분수 영상이 표현되도록 상기 분수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통신수단을 통해 접속하여 특정노래를 신청하고 소정의 금액을 결제하면 상기 중앙처리 장치는 상기 분수대를 제어하여 특정 노래와 함께 분수 형상을 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센서는 인접한 사람과 분수대간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센서는 사람의 감지에 의해 사람이 일정거리만큼 분수대에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중앙처리 장치로 송부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는 상기 분수대를 제어하여 분수 동작을 시작하고, 반대로 사람이 멀어져 가면 분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CCD 또는 CMOS카메라로 구성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고, 줌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CD 또는 CMOS 카메라를 통해 특정한 사람을 촬영하여 열화상을 통해 특별한 사람의 체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핸드폰, 카드 또는 코인을 통해 소정의 금액을 지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대는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밸브와,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색을 표현하는 LED 및 영상을 표현하는 레이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KR1020090067239A 2009-07-23 2009-07-23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KR101071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39A KR101071752B1 (ko) 2009-07-23 2009-07-23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39A KR101071752B1 (ko) 2009-07-23 2009-07-23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830A KR20110009830A (ko) 2011-01-31
KR101071752B1 true KR101071752B1 (ko) 2011-10-11

Family

ID=4361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239A KR101071752B1 (ko) 2009-07-23 2009-07-23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568A1 (ko) * 2014-11-19 2016-05-26 디피아이㈜ 사람 감지에 의해 동작하는 물놀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81519A (ko) * 2016-01-04 2017-07-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107B1 (ko) * 2011-03-23 2013-12-0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적 표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한 지능형 분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081596B1 (ko) * 2011-05-04 2011-11-08 김우진 음악분수 시스템 및 연출 방법
KR101296891B1 (ko) * 2011-09-28 2013-08-1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도시 조형물 관리 서버 및 시스템
AU2013213384A1 (en) * 2012-01-05 2014-07-24 Kenneth William Breau Powered apparatus for fluid applications
CN105689186A (zh) * 2013-03-26 2016-06-22 陈明志 灯具
CN103769339A (zh) * 2014-02-24 2014-05-07 北京传翼四方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自然人机交互技术的喷泉控制方法及系统
SG10201608155TA (en) * 2016-09-29 2018-04-27 Creative Tech Lt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behavior of one or more lighting elements and a method therefor
KR102163260B1 (ko) * 2019-06-27 2020-10-08 이재석 분수대를 이용한 공동주택 대기질 개선 시스템
CN111284262A (zh) * 2020-03-10 2020-06-16 广州市花木公司 一种喷雾景观系统
KR102311111B1 (ko) * 2020-12-15 2021-10-07 최연하 스마트 워터 연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529B1 (ko) 2005-12-06 2008-01-21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7933B1 (ko) 2008-09-05 2009-05-18 정운근 멀티프로그램 분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529B1 (ko) 2005-12-06 2008-01-21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7933B1 (ko) 2008-09-05 2009-05-18 정운근 멀티프로그램 분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568A1 (ko) * 2014-11-19 2016-05-26 디피아이㈜ 사람 감지에 의해 동작하는 물놀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81519A (ko) * 2016-01-04 2017-07-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18244B1 (ko) * 2016-01-04 2023-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830A (ko) 201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752B1 (ko)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CN108390859B (zh) 一种对讲分机智能机器人装置
CN106599853B (zh) 远程教学过程中进行形体姿态纠正的方法及其设备
KR101348142B1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CN102298786B (zh) 一种虚拟绘画实现的装置及其方法
CN101251784A (zh) 激光笔指示与光点轨迹识别方法
CN106406504B (zh) 人机交互界面的氛围渲染系统与方法
KR20080008528A (ko) 고객 접대 기능을 가지는 서빙 로봇
ITRM20060136A1 (it) Sistema multimediale interattivo
WO2009151797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how or ride elements in response to visual object recognition and tracking
CN107293236A (zh) 自适应不同用户的智能显示装置
KR101071754B1 (ko) 능동형 분수 제어 시스템
CN108924612A (zh) 一种艺术智能电视装置
CN111573445A (zh) 一种电梯无接触式人机交互系统
CN212581260U (zh) 一种电梯无接触式人机交互系统
KR100897933B1 (ko) 멀티프로그램 분수장치
WO2019140697A1 (zh) 一种对讲分机智能机器人装置
CN100589135C (zh) 自动门铃及其实现方法
CN109977811A (zh) 基于嘴部关键位置特征检测实现免语音唤醒的系统及方法
CN102914286A (zh) 基于手持设备对使用者坐姿进行自动检测方法
CN106095421A (zh) 一种虚拟现实设备的控制方法及系统
CN105096669A (zh) 利用虚拟技术训练幼儿日常交流能力的方法
CN112668422A (zh) 一种展会观众行为分析系统
CN105511649B (zh) 一种多点定位系统及多点定位方法
CN113766130B (zh) 视频拍摄方法、电子设备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