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519A -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519A
KR20170081519A KR1020160000648A KR20160000648A KR20170081519A KR 20170081519 A KR20170081519 A KR 20170081519A KR 1020160000648 A KR1020160000648 A KR 1020160000648A KR 20160000648 A KR20160000648 A KR 20160000648A KR 20170081519 A KR20170081519 A KR 20170081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user
control signal
illumination control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244B1 (ko
Inventor
이대하
김재홍
박천수
장민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2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G06K9/00228
    • G06K9/00315
    • H05B37/024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징점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조명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ING LIGHTING USING FACIAL EXPRESS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추출한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을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명 장치는 발광하는 빛을 만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을 비추기 위하여 스위치를 On/Off 하거나 또는 조도의 강약을 조절할 뿐, 사용자의 감성이나 기분을 고려하여 알맞은 조명 환경을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최근, Full Color LED 등과 같이 색상의 조절이 가능한 조명이 보급되기 시작하고,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디지털 조명장치 기술이 등장하면서, 조명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조명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거나, 사용자의 감정을 반영하여 조명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으며, 사용자와 기계 장치간 상호작용에 관한 기술도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되도록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과 이와 관련된 새로운 서비스 기술 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4-0025093호, 2014년 03월 04일 공개(명칭: 디지털 조명장치를 위한 감성조명 색상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얼굴 표정에 따라 조명 장치를 다양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감정 상태나 주변 분위기가 표현된 사용자의 얼굴 표정 변화를 검출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 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얼굴의 표정에 변화가 있을 경우 조명의 명암 또는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명 장치와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징점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조명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추출된 상기 특징점과 기준점 간의 변위를 계산하거나, 추출된 상기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표정을 인식하고, 계산된 상기 변위 또는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표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들의 얼굴이 검출된 경우, 각각의 상기 사용자별로 상기 변위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변위를 하나의 변위로 통합한 통합 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사용자별로 계산된 상기 변위에 대응되는 복수의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 제어 신호는, 조명의 동작유형, 명암, 색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조명을 기 설정된 색상으로 점등시키거나, 상기 조명을 소등시키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하는 영상 처리부,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 그리고 상기 특징점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조명으로 전송하는 조명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명 제어 신호 생성부는, 추출된 상기 특징점과 기준점 간의 변위를 계산하거나, 추출된 상기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표정을 인식하고, 계산된 상기 변위 또는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표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들의 얼굴이 검출된 경우, 상기 조명 제어 신호 생성부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별로 상기 변위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변위를 하나의 변위로 통합한 통합 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사용자별로 계산된 상기 변위에 대응되는 복수의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 제어 신호는, 조명의 동작유형, 명암, 색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조명을 기 설정된 색상으로 점등시키거나, 상기 조명을 소등시키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 표정에 따라 조명 장치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감정 상태나 주변 분위기가 표현된 사용자의 얼굴 표정 변화를 검출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얼굴의 표정에 변화가 있을 경우 조명의 명암 또는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명 장치와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및 조명 장치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및 조명 장치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S3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S330 단계에서 통합모드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S330 단계에서 개별모드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100), 조명 제어 장치(200) 및 조명 장치(300)를 포함한다.
먼저, 카메라(100)는 조명 장치(300)가 빛을 비추기 위한 공간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조명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영상은 사진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카메라(100)는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조명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에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카메라(100)는 촬영한 영상에 사용자가 포함된 경우에만 조명 제어 장치(200)로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1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카메라(100)는 팬 틸트 방식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영상을 촬영하거나 각각의 사용자별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제어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하며, 검출된 사용자의 얼굴에서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특징점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명 제어 신호를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300)로 전송한다.
조명 제어 장치(200)는 추출된 특징점과 기준점 간의 변위를 계산하거나, 추출된 특징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표정을 인식한다. 그리고 변위 또는 인식된 사용자의 표정에 대응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조명 제어 신호는 조명 장치(300)의 동작 유형, 명암, 색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신호이다.
마지막으로 조명 장치(300)는 조명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조명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동작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조명 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300)는 명암 또는 색상을 변경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어 장치(200)는 영상 처리부(210), 특징점 추출부(220) 및 조명 제어 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먼저, 영상 처리부(210)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210)는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특징점 추출부(220)는 검출된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을 추출한다. 여기서 각 얼굴 요소는 눈썹(Eyebrow), 눈(Eye), 코(Nose) 및 입(Mouth)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명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특징점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명 제어 신호를 조명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조명 제어 신호는 조명 장치(300)의 동작 유형, 명암, 색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조명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추출된 특징점과 기준점 간의 변위를 계산하고, 계산된 변위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추출된 특징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표정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표정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210)가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조명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통합 모드(Integrating mode) 또는 개별 모드(Individual mode) 중에서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도록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모드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검출된 변위를 하나로 통합한 통합 변위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개별 모드는 각각의 사용자 별로 계산된 변위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먼저, 조명 제어 장치(200)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한다(S310).
조명 제어 장치(200)는 카메라(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거나, 조명 제어 장치(200) 내에 구비된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조명 제어 장치(200)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거나, 실시간으로 카메라(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촬영 또는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및 조명 장치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및 조명 장치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와 조명 장치(300)는 입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00)는 조명 장치(30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100)가 설치되어 모든 방향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300)는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조명 변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조명 장치(300)가 설치된 영역 별로 광원 센서(35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카메라(100)와 조명 장치(300)는 평면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카메라(100)는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설명이 편의상,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이 카메라(100)와 조명 제어 장치(200) 및 조명 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조명 제어 장치(200)가 카메라(100)의 역할을 수행하는 촬영부를 구비하고, 조명 장치(300)의 역할을 수행하는 조명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촬영된 영상에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포함된 경우, 조명 제어 장치(200)는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한다. 그리고 조명 제어 장치(200)는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가 한 명인지, 복수 명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조명 제어 장치(200)는 촬영된 영상에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조명 장치(300)를 소등시키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조명 장치(300)의 현재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명 제어 장치(200)는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을 추출한다(S320).
조명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20)을 추출하고, 특징점(20)과 기준점(10) 간의 거리인 변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된 변위를 이용하여 얼굴 요소별 특징점과 기준점 사이의 거리에 대한 함수 관계를 연산하여 관계함수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S3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어 장치(200)는 영상으로부터 특징점(20)을 추출하고, 특징점(20)과 기준점(10) 사이의 거리인 변위(30)을 계산한다. 이때, 조명 제어 장치(200)는 각 얼굴 요소별로 특징점(20)을 추출하고, 변위(30)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제어 장치(200)는 각 얼굴 요소별로 관계함수를 생성한다. 여기서, 관계함수는 얼굴 요소별 특징 점들과 기준점들 사이의 거리에 대한 함수를 의미한다. 얼굴 요소가 눈썹, 눈, 코, 입인 경우, 조명 제어 장치(200)는 눈썹, 눈, 코, 입에 대응되는 관계함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 장치(200)는 추출된 사용자의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2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명 제어 장치(200)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명 제어 신호를 조명 장치(300)로 전송한다.
조명 제어 장치(200)는 S320 단계에서 생성된 함수 관계에 대응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S320 단계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표정에 대응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표정에 대응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조명 제어 장치(200)가 사용자의 표정이 웃는 표정인 것으로 인식하면, 조명 제어 장치(200)는 복수의 조명 장치(300)를 깜박이도록 설정하고, 복수의 조명 장치(300)가 빨강, 노랑, 파랑 색을 발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제어 장치(200)는 S310 단계에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합 모드(Integrating mode) 또는 개별 모드(Individual mode) 중에서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도록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S330 단계에서 통합모드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영상에 제1 사용자(400a), 제2 사용자(400b) 및 제3 사용자(400c)가 포함된 경우, 조명 제어 장치(200)는 통합모드로 작동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조명 제어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400a, 400b, 400c)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이용하여 각각의 변위를 연산하고, 연산된 변위를 하나의 변위로 통합한다. 그리고 조명 제어 장치(200)는 통합된 변위를 이용하여 얼굴 각 요소별 관계 함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관계 함수에 대응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S330 단계에서 개별모드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조명 제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400a), 제2 사용자(400b) 및 제3 사용자(400c)별 변위를 연산하고, 연산된 변위를 이용하여 얼굴 요소별 관계함수를 생성한다. 영상에 세 명이 사용자가 포함된 경우, 개별모드에서는 세 사람의 관계함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제어 장치(200)는 생성된 각각의 관계 함수에 대응되도록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조명 제어 장치(200)는 복수의 조명 장치(300)가 동시에 조명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조명 장치(300)가 순차적으로 조명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기준점
20 : 특징점
30 : 변위
100 : 카메라
200 : 조명 제어 장치
210 : 영상 처리부
220 : 특징점 추출부
230 : 조명 제어 신호 생성부
300 : 조명 장치
350 : 광원센서
400a, 400b, 400c : 사용자

Claims (1)

  1.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조명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각 얼굴 요소별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징점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조명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KR1020160000648A 2016-01-04 2016-01-04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18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648A KR102518244B1 (ko) 2016-01-04 2016-01-04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648A KR102518244B1 (ko) 2016-01-04 2016-01-04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519A true KR20170081519A (ko) 2017-07-12
KR102518244B1 KR102518244B1 (ko) 2023-04-06

Family

ID=5935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648A KR102518244B1 (ko) 2016-01-04 2016-01-04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2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929A (ko) * 2017-09-29 2019-04-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스크탑 컴퓨터와 안드로이드 단말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7315745A (zh) * 2023-09-19 2023-12-29 中影年年(北京)文化传媒有限公司 基于机器学习的面部表情捕捉方法及系统
WO2024076200A1 (ko) * 2022-10-07 2024-04-11 이철우 반응형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005A (ko) * 1996-09-04 1998-07-06 마이클알. 브롬버그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터미널
KR101071752B1 (ko) * 2009-07-23 2011-10-11 (주)셈투유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KR20120095193A (ko) * 2011-02-18 2012-08-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얼굴 인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얼굴 인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40025093A (ko) 2012-08-21 2014-03-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조명장치를 위한 감성조명 색상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379373B1 (ko) * 2013-09-05 2014-04-22 (주)유앤아이미디어 안면 인식 센서를 이용한 제품 광고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005A (ko) * 1996-09-04 1998-07-06 마이클알. 브롬버그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터미널
KR101071752B1 (ko) * 2009-07-23 2011-10-11 (주)셈투유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KR20120095193A (ko) * 2011-02-18 2012-08-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얼굴 인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얼굴 인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40025093A (ko) 2012-08-21 2014-03-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조명장치를 위한 감성조명 색상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379373B1 (ko) * 2013-09-05 2014-04-22 (주)유앤아이미디어 안면 인식 센서를 이용한 제품 광고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929A (ko) * 2017-09-29 2019-04-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스크탑 컴퓨터와 안드로이드 단말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4076200A1 (ko) * 2022-10-07 2024-04-11 이철우 반응형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7315745A (zh) * 2023-09-19 2023-12-29 中影年年(北京)文化传媒有限公司 基于机器学习的面部表情捕捉方法及系统
CN117315745B (zh) * 2023-09-19 2024-05-28 中影年年(北京)科技有限公司 基于机器学习的面部表情捕捉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244B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89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jector calibration
US20200082160A1 (en) Face recognition modul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JP3779308B2 (ja) カメラ校正システム及び三次元計測システム
US10216075B2 (en) Digital light projector having invisible light channel
US88850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subjects using a virtual green screen
KR102277309B1 (ko) 깊이 정보 추출 장치 및 방법
US9013627B2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capturing method with light assistance
EP3161725B1 (en) Color identification using infrared imaging
KR102307353B1 (ko)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43374B1 (ko) 감성 조명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79355B1 (ko)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CN102472950B (zh) 摄像装置以及搭载了该摄像装置的便携式电话机
US201802762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5850112B (zh) 摄像控制装置
CN101383907B (zh) 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KR20170081519A (ko)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8781268B (zh) 图像处理装置和方法
CN104408395A (zh) 一种手势识别方法和系统
CN106716305A (zh) 照明的控制
EP2466896A2 (en) Integrated camera-projection device
CN110235442B (zh) 投射型影像显示装置
KR100877807B1 (ko) 조명에 의한 노이즈를 최소화한 홍채인식장치 및 방법
JP2011009805A (ja) 光無線通信端末装置、光無線通信システム、光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00580A (ko) 조명기를 구비한 스테레오 매칭 시스템에서의 코스트 볼륨 연산장치 및 그 방법
CN108770146B (zh) 多场景变化智控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