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355B1 -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355B1
KR101979355B1 KR1020180143538A KR20180143538A KR101979355B1 KR 101979355 B1 KR101979355 B1 KR 101979355B1 KR 1020180143538 A KR1020180143538 A KR 1020180143538A KR 20180143538 A KR20180143538 A KR 20180143538A KR 101979355 B1 KR101979355 B1 KR 101979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irror
unit
curator
c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티스
Priority to KR1020180143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K9/002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의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소비 경험 정보를 고도화하고 피부 톤, 피부 타입, 얼굴특징, 체형 등의 퍼스널 정보(PI, Personal Information)를 정확하게 추출, 분석하여 응용 시스템에 제공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정보수집, 정보 분석, 정보 처리하는 방법론의 프로그램과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부(200); 제어장치부(200)를 제공하는 영상 스위치부(210)에서 입력되어 지는 디스플레이부(300); 사용자의 스크린을 제어하고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널과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부(400); 및 상기 제어장치부(200), 디스플레이부(300) 및 사용자 입력부(400)에 필요한 용량의 전원을 공급하고 관리하는 전원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Curator Mirror for Beauty Curation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개인의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소비 경험 정보를 고도화하고, 개인의 피부 톤, 피부 타입, 얼굴특징, 체형 등의 퍼스널 정보(PI, Personal Information)를 정확하게 추출, 분석하여 응용 시스템에 제공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거울은 인류가 오래 전부터 사용해 온 매우 친근한 물건으로서, 자기 모습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즉, 사람들은 하루에도 몇번씩 거울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비춰보게 되는데 이는 실시간 확인만 가능할 뿐 그 모습을 저장해 둘 수가 없다. 최근에는 카메라 기능의 발달로 셀프 사진 촬영을 하여 자신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뿐 아니라 기록해 두어 차후에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자신의 모습을 기록해 두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매번 휴대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셀프 사진을 촬영하기란 번거로운 일이다. 이에 따라 거울에 카메라 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거울에 자신의 모습을 비춰볼 때 사진을 촬영하는 방식에 대한 제안도 있었으나, 촬영된 사진을 활용하는 방식은 아직 미흡하며, 카메라가 설치된 거울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하프 미러(half mirror)는 빛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도록 만들어진 거울이다. 그리고,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스플레이는 빛을 반사하는 소자를 이용하여 고선명 화상을 실현하는 첨단 기법이 적용된 것으로, 반사형 소자 수십만 개를 하나의 칩에 집적한 장치를 이용해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함으로써 고휘도, 고해상도의 영상을 표현하는 미러 디스플레이이다.
전세계 뷰티·패션 시장의 규모는 연간 약 6조 USD에 이르며 연평균 4%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되는 산업이다. 소비자는 본인들만의 차별화된 기준과 소비 경험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는 맞춤형 소비를 중요시한다.
시장과 소비자의 만족을 위해서는 개인마다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전문화된 뷰티 큐레이션이 요구된다. 기업은 많은 고용이 필요하고 소비자는 1:1 대면과 개인정보의 노출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미러 뷰티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8600호(색온도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조명),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3712호(피부진단용 거울 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79417호(스마트 거울장치 및 그 제어방법) 등이 있다.
색온도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조명(특허등록 10-1778600호) 특허는 외부의 약속 장소의 상황에 맞게 메이크업 조명의 색온도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조명 조절 기술로, 수집 단말기는 외부의 약속 장소에 해당되는 환경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된 환경 정보를 조명부로 송신하고, 조명부는 입력된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조명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을 조절하는, 색온도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조명에 관한 것으로, 조명부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2개의 조명을 배치하고 지문인식으로 사용자 인증이 된 경우에만 메이크업 조명장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피부진단용 거울장치(등록특허 10-1783712호)는 피부 진단용 거울 장치로서, 거울을 보는 일반적인 행동 중에 피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거울 장치 기술로, 피사체(사용자의 얼굴)에 특정한 조도의 조명광을 제공하는 광발생부; 전면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수신하는 촬상부; 특정한 투과율을 가지는 거울; 및 촬상부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분석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좌, 우, 상단 3개의 광원으로 동일한 조도의 조명광을 제공,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피부 진단을 한다. 이때, 피사체 이미지 내 각 픽셀의 색상을 CIE LAB 색상 좌표계에 따라 산출하고 각 픽셀의 각 축 상의 값을 통해 멜라닌 지수 또는 홍반지수를 산출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스마트 거울장치 및 그 제어방법(특허등록번호 10-1679417호) 특허는 특수 거울의 후방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거울 전면에 표시하고,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는 스마트 거울 장치와 이를 이용한 촬영 및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기술로, 외곽프레임, 특수거울, 특수거울의 전방으로 화면을 투사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카메라모듈에 의해 획득된 화상정보가 디스플레이모듈에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투사된 자료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와,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정보 표출 및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촬영과, 사용자 정보, 날씨, 교통, 뉴스, 주식, 환율 등 일상적인 정보 표출, 카메라부를 이용한 방범모드, 안내판 기능, 일부가 투과되는 특수 거울, 특수 거울 후방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화면을 투사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특수 거울의 상부 및 하부에 각도가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를 설치하여 정확한 영상을 촬영,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편리하게 얻고, 특정 사용자를 인식하여 개별 사용자에 대응되는 특정 정보를 제공(사용자 정보, 날씨, 교통, 뉴스, 주식, 환율 등 일상적인 정보 표출) 및 방범 모드 선택 시 특정 움직임이 감지되면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술 등이 더 포함된다.
그러나 색온도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조명(등록특허 10-1778600호)은 사용자가 임의 취득 한 지역(장소)의 조명, 날씨 등의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고, 장소와 유사 한 조명 환경을 분석하고 조명을 제어하여 메이크업을 도와주는 미러기술로서 사용자(피사체)의 개인 정보(Personal Information)를 취득하는 구성과 방법이 없다. 또한, 개인의 뷰티 큐레이션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실제 조도 센서에 의한 조명 제어가 아닌 조명 수집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조명 조절 및 왼쪽, 오른쪽 2개의 일률적인 조명만 배치되어 위, 아래 쪽에 발생하는 음영에 대한 보정이 어려움이 있는 기술이다.
그리고 피부진단용 거울장치(등록특허 10-1783712호)는 스마트 미러 사용 환경 조도와 상관없는 동일한 조명광으로 사용자의 실제 피부 상태를 추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수직축 또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으로 동일한 조도의 조명광을 제공함으로써 조명이 없는 방향에 음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조도 센서가 없이 3 방향의 동일한 조도를 갖는 조명광은 피사체 얼굴에 상대적인 음영을 발생시켜 정확한 얼굴 피부의 데이터 추출에 어려움이 있는 기술이다.
한편 스마트 거울장치 및 그 제어방법(등록특허 10-1679417호)는 조명부가 없는 구조로 광량이 약한 장소에서는 사용에 제약이 있었다.
종래에는 스마트 미러가 설치되는 장소를 비추는 일반적인 조명(형광등, LED등)으로 사용하거나, 별도의 외부 조명을 사용 또는 스마트 미러 내 LED를 설치하여 주위의 광량에 상관없이 조명을 사용, 일률적이지 않은 조명 환경에서 사용하여 얼굴 상태 값 추출에 어려움이 있었다(도 1 참조).
또한, 얼굴인식 기술을 이용한 부위 별 촬영과 사용자 개인 인증 방식을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 편의, 행동 관리 (사진 촬영 안내, 다음 프로세스 안내 등)를 위한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하지 않고 있으며, 스마트 미러와 사용자 간의 정확한 의사 전달을 위한 지향성 스피커 기술이 미적용되고, 정확한 얼굴 상태 정보 추출을 위한 얼굴 자동인식 후 얼굴 부위 별 확대 촬영하는 카메라가 미 적용되고 있었다.
한편 스마트 미러에서 촬영되는 개인의 얼굴정보 및 기타 신상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보호 관리가 미 적용되고, 스마트 미러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의 비 모듈화로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정확한 피부 톤, 피부 타입, 얼굴특징, 체형 등의 퍼스널 정보(PI, Personal Information)정확하게 추출하는 영상과 음성인식, 조명제어가 되는 스마트 미러와 그 제어기술이 없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8600호(색온도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조명)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3712호(피부진단용 거울 장치)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79417호(스마트 거울장치 및 그 제어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의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소비 경험 정보를 고도화하고 피부 톤, 피부 타입, 얼굴특징, 체형 등의 퍼스널 정보(PI, Personal Information)를 정확하게 추출, 분석하여 응용 시스템에 제공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수집, 정보 분석, 정보 처리하는 방법론의 프로그램과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부(200); 제어장치부(200)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영상 스위치부(210)에서 입력되어 지는 디스플레이부(300); 사용자의 스크린을 제어하고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널과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부(400); 및 상기 제어장치부(200), 디스플레이부(300) 및 사용자 입력부(400)에 필요한 용량의 전원을 공급하고 관리하는 전원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장치부(200)는, 고해상도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위한 영상 스위치로 디스플레이부(300)에 영상을 출력, 표출하는 역할을 하는 영상 스위치부(210)와, 이미지 분석, 음성인식, 조명 제어 등의 필요 한 연산 및 명령 제어를 하는 CPU(201)와, 프로그램관리 사용자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02)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정보처리장치와 TCP/IP통신 및 데이터 정보처리장치의 저장 및 호출, 개인정보(PI)를 저장하며 CPU(201)와 메모리(202)와 연결하여 영상을 제어하여 촬영 영상의 저장 및 기존 영상의 호출이 가능하며, 외부 영상을 호출하여 광고기능을 하는 통신부(240)와,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의 입력 처리 신호인 사용자 입력부(400), 카메라(440), 마이크(460), QR코드리더(410), 근접센서(320), 조도센서(310), 외부 입력부(USB, 211)를 포함하는 입력부(220)와,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420), LED조명(440)을 포함하는 출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카메라(440)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 피부 톤 등의 정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에 적합한 뷰티 큐레이션을 제안하고자 사용자의 얼굴을 부분적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확대 촬영하고, 사용자의 얼굴 전체를 촬영 후 이미지 분석을 통해 각 부분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카메라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복수의 확대정지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복수의 정지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출되어 뷰티 큐레이션의 진단 및 제안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는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얼굴 또는 QR코드 인증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를 인식하는 근접센서(320)가 작동되면서 발생하며, 큐레이터 미러(100)가 인증모드로 전환되어 지향성 스피커(420)에서 음성인식을 알리며 얼굴인증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PI)를 인증할 수 있으며, 기존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큐레이터 미러(100)의 사용자 입력부(400) 또는 APP을 통하여 신규 등록이 가능하고, 얼굴인증을 거부하는 사용자는 개인 모바일폰(450)에 저장된 QR코드로 개인인증을 진행할 수 있으며,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모바일폰(450)에 APP을 설치하고 개인정보 이용 동의 후 QR코드를 수령하여 개인인증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어장치부(200)에 포함된 조명 제어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근접센서(320)가 작동되고, 조도센서(310)가 작동되면, 조도센서(310)에 의해 광량을 측정하여, 조도값 수신, 조도값 보정, 조도값 입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부(200)가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 맞는 최적의 조도값을 찾아 밝기를 측정하며 LED조명(440)에 빛을 보정하여 동일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평상시에는 대기 모드(방범 모드 또는 광고 모드)로 브랜드 및 신제품 홍보용으로 사용되다가, 사용자가 큐레이터 미러(100)로 다가오면 근접센서(320)가 사용자를 인식하여 미러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마이크(46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음성신호는 제어장치부(200) 내의 음성인식 모듈에 입력되어 사용자 발화 의도를 인지하고, 상기 스피커(420)는, 마이크(460)에서 추출된 음성정보가 상기 제어장치부(200)내의 음성인식 모듈을 통해 변환되며, 변환된 음성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 시 소음공해 절감, 정보전달의 명확화 및 개인정보(PI) 보호를 위하여 지향성 스피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는, 레일 방식의 슬라이딩부(112)과 힌지 여닫이문(113) 방식의 복합 구조물 외형 케이스(110)를 포함하며, 상기 외형 케이스(110)는 상기 제어장치부(200), 디스플레이부(300) 및 전원부(500)의 교환을 레일방식으로 체결, 표준 커넥터(111)를 사용하여 손쉬운 업그레이드 및 A/S 서비스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슬롯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와 제어장치부(200)를 분리하여 점검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큐레이터 미러(100)는 평상시에는 방범 모드 또는 광고 모드로 미리 저장된 브랜드 및 신제품 홍보용으로 사용되다가, 사용자가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로 다가와 근접센서(320)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되면(S100), 큐레이션을 위한 미러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S110); 상기 미러 모드 전환 시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의 카메라(430)가 기본적으로 작동되며, 사용자 방향으로 설치된 스피커(420)가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대화 시스템으로 작동하는 단계(S120); 사용자가 영상 촬영을 거부한다면 미러 모드에서 다시 평상 시 대기모드로 전환되고, 광고를 표출(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30); 상기 사용자가 큐레이션을 받을 것을 응답하면, 얼굴을 인증하는 단계(S140); 상기 큐레이션 응답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을 허락하면 상기 카메라(430)가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단계(S150); 상기 사용자의 전체 얼굴과 부위별로 상기 카메라(430)의 촬영이 이루어지고, 촬영을 마치면 디스플레이부(300)에서 부위별/얼굴 전체의 영상이 표출되고(S180)이 되고, 사용자의 얼굴 상태와 퍼스널 컬러를 찾아주는 진단과 제안이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와 외부서버&DB(600)를 통해 이루어지는 뷰티 큐레이션이 진행되는 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큐레이션을 받을 것을 응답하면, 얼굴을 인증하는 단계(S140)와, 상기 큐레이션 응답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을 허락하면 상기 카메라(430)가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단계(S150)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근접센서(320)가 작동되면서(S200),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가 인증모드로 전환(인증모드 ON)되어(S210), 상기 스피커(420)에서 사용자에게 음성인식을 알리기 위한 음성을 시작하는 단계(S220)와, 기존에 얼굴이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30), 인증이 확인되면(S240), 카메라(430)를 통해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단계(S280)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얼굴 인증이 안되는 경우 QR 코드(S250)를 선택하며, 이때 기존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의 사용자 입력부(400) 또는 APP을 통하여 신규 등록이 가능하며, QR코드를 수령하여 서비스를 시작하여(S260),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모바일폰(450)에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사용자 등록을 위한 APP을 설치하고 개인정보 이용 동의 후 QR코드를 수령하여 개인인증을 진행하는 단계(S27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카메라(430)가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단계(S150)는, 큐레이터 미러 4면의 조도센서(310)가 활성화되고(S310), 4면의 조도센서(310)가 측정한 조도값을 추출하는 단계(S320)와,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의 제어장치부(200)가 미리 설정된 최적의 조도값으로 보정을 하되(S330), 조도값 입력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장치부(200)가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 맞는 최적의 조도값으로 LED조명(440)에서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뷰티 전용의 응용 산업이 발전되도록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행동 패턴을 관리하고 조도 센서와 LED 발광 량을 조절하여 카메라와 영상분석을 통하여 피사체의 본래의 색에 근접한 전면 및 부위 별 복수의 사진을 제공할 수 있는 큐레이션 전용 큐레이터 미러를 제공한다.
둘째, 개인의 피부상태, 색감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하여 얼굴 부분 확대 영상 표출 얼굴의 각 부분(이마, 눈, 볼, 코, 입술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를 활용하여 부분 확대 촬영 시 정확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어 세밀한 색의 추천 및 선택 가능하고, 카메라로 얼굴 부위 자동 인식에 의한 부분 확대 촬영으로 피부진단, 메이크업을 위한 정확한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다.
셋째, 대화형 음성인식 및 지향성 스피커로 사용자 행동 패턴 관리 및 편의성 증대가 가능하다. 즉 스마트 미러를 사용하는 동안 처음부터 끝까지 대화형 음성인식으로 안내하여 뷰티 큐레이션을 하기 위한 최적의 데이터 (얼굴의 위치, 각도, 기타 데이터 추출에 필요한 피사체의 행위)를 추출하며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에 적합한 진단, 색 등의 전문화된 메이크업 스타일 제안하고, 조언하는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하며, 지향성 스피커로 주변에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큐레이션을 받는 행위에 집중할 수 있다.
넷째, 광량을 자동 조절하여 본래의 색에 근접한 얼굴을 보여주는 스마트 미러를 제공한다. 광량 자동 조절 시 사용자는 조명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정확한 얼굴 데이터를 추출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뷰티 제품을 추천할 수 있고, 스마트 미러에는 추천받은 제품의 본연의 색감에 근접한 색이 표현됨으로써 정확한 제품 선택 가능하다. 또한 4방향(왼쪽, 오른쪽, 위, 아래)의 조도를 측정하여 조명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화장을 할 때 일정한 광량으로 4면의 조명을 균일하게 보정하여 피부 톤, 선호 색, 제품의 색조 등을 정확하게 표현하여, 이를 이용한 서비스(어울리는 색조, 화장을 했을 때 색의 적합성, 색의 추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섯째, 사용자 얼굴 또는 QR 코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APP을 통해 사전에 등록한 얼굴 또는 QR 코드로 개인 인증을 함으로써 타인에 의한 정보 오용을 방지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얼굴 또는 QR코드를 이용하여 본인의 취향, 선호 색, 구매 이력 등의 개인 특화된 정보 취득 가능하다.
여섯째, 대기 상태에서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한 방범 효과가 있다. 즉 가정 또는 보안이 필요 하는 장소에서 사용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에도 큐레이터 미러는 마이크, 근접센서(Ultrasonic Sensor) 로 장소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외부인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조명제어로 위협할 수 있다. 또한 화장을 할 때 일정한 광량으로 4면의 조명을 균일하게 보정하여 피부 톤, 선호 색, 제품의 색조 등을 정확하게 표현하여, 이를 이용한 서비스(어울리는 색조, 화장을 했을 때 색의 적합성, 색의 추천)를 이용할 수 있다.
일곱째, 근접 센서에 의한 미 사용시 휴면 상태유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여덟째,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한 슬롯 방식의 모듈화된 장비로 구성하여 장애 발생 시 신속한 장애 조치가 가능하고, 장비 간 연결선의 최소화로 장애 요인을 제거하였다.
도 1은 종래에 일률적이지 않은 조명 환경에서 사용하여 얼굴 상태 값 추출에 어려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큐레이터 미러의 주 처리장치인 제어장치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큐레이터 미러 주 처리장치인 제어장치부의 연결장치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실사도(디스플레이 실사)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를 이용하여 촬영 및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인증 및 QR코드 인증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 4면의 조명을 제어하는 광량조절에 따른 제어 흐름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 4면의 조명을 제어하는 광량을 조절하며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의 슬롯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와 제어장치부를 분리하여 점검이 용이한 외형 케이스인 슬라이딩 방식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큐레이터 미러의 주 처리장치인 제어장치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큐레이터 미러 주 처리장치인 제어장치부의 연결장치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부(200), 디스플레이부(300), 사용자 입력부(400) 및 전원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 큐레이터 미러(100)는 외부서버&DB(60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외부서버&DB(600)로부터 날씨 및 뉴스 제공받고, 이를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외부 정보로는 일반적인 광고 및 다양한 정보제공(뉴스 등) 기능도 한다.
여기서, 제어장치부(2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201), 메모리(202), 영상 스위치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및 통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각종 다양한 정보(콘텐츠:광고 등)를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부(400)는 터치 방식의 패널로서, 매장에서 직접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전원부(500)는 큐레이터 미러(100)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 큐레이터 미러(100) 주 처리장치인 제어장치부(200)는 정보수집, 정보 분석, 정보 처리하는 방법론의 프로그램과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스위치부(210)는 고해상도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위한 스위치로 디스플레이부(300)에 영상을 출력, 표출한다.
CPU(201)는 이미지 분석, 음성인식, 조명 제어 등에 필요한 연산 및 명령 제어를 수행한다.
메모리(202)는 프로그램관리와 사용자 정보 등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다.
입력부(220)는 큐레이터 미러(100)의 입력 처리 신호인 사용자 입력부(400), 카메라(440), 마이크(460), QR코드리더(410), 근접센서(320), 조도센서(310), 외부 입력부(USB, 211)의 입력신호를 받는다.
참고로 카메라(440)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 피부 톤 등의 정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에 적합한 뷰티 큐레이션을 제안하고자 사용자의 얼굴을 부분적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확대 촬영하고, 사용자의 얼굴 전체를 촬영 후 이미지 분석을 통해 각 부분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카메라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복수의 확대 정지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복수의 정지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출되어 뷰티 큐레이션의 진단 및 제안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큐레이터 미러(100)의 디스플레이부(300), 지향성 스피커(430), LED조명(440) 등에 출력 신호를 보낸다.
통신부(240)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정보처리장치와 TCP/IP통신 및 데이터 정보처리장치의 저장 및 호출, 개인정보(PI)를 저장하며 사용자 인증을 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은 얼굴 또는 QR코드 인증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를 인식하는 근접센서(320)가 작동되면서 발생하며, 큐레이터 미러(100)가 인증모드로 전환되어 지향성 스피커(420)에서 음성인식을 알리며 얼굴인증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PI)를 인증할 수 있으며, 기존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큐레이터 미러(100)의 사용자 입력부(400) 또는 APP을 통하여 신규 등록이 가능하다.
이때, 얼굴인증을 거부하는 사용자는 개인 모바일폰(450)에 저장된 QR코드로 개인인증을 진행할 수 있으며,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모바일폰(450)에 APP을 설치하고 개인정보 이용 동의 후 QR코드를 수령하여 개인인증을 진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스위치부(210)에서는 고해상도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위한 영상 스위치로서 디스플레이부(300)에 영상을 출력, 표출하는 역할을 하며, 이미지 분석, 음성인식, 조명 제어 등의 필요한 연산 및 명령 제어를 하는 CPU(201)와 프로그램 관리 사용자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02)가 통신부(240)와 연결되어 영상을 제어한다.
이러한 도 4에서의 외부 입력부(211)는 입력 장치 중 하나로, 외부 데이터 장치 USB가 외부 입력부(211)를 통하여 다양한 형식의 정보를 제어장치부(200)의 영상스위치부(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장치로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00), 오디오를 출력하는 지향성 스피커(420), LED조명(440)으로 출력 신호를 내보내는 출력부(230)를 포함한다.
한편 LED 조명(440)은 제어장치부(200) 내에 사전 정의된 환경별 적정 조도값과 조도센서(310)에서 측정된 조도값과 비교하여 큐레이터 미러(100) 4면의 복수의 LED를 ON/OFF 또는 전류비례 제어함으로 뷰티 미러에 적합한 피사체 이미지를 얻도록 조명을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빛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지향성 스피커(420)는 마이크(460)과 함께 사용자와 Interactive한 대화 시스템을 목적으로 소리의 방향이 사방으로 방사되는 일반 스피커와는 달리, 목적하는 방향으로만 소리를 방사하여 주변 소음공해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전달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본 발명 큐레이터 미러란, 피사체의 피부, 얼굴특징, 체형 등의 퍼스널 정보(PI, Personal Information)를 정확하게 추출, 분석하여 응용시스템에 제공하는 미러이다. 즉, 큐레이터 미러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외부서버&DB(600)는 큐레이터 미러(100)의 정보를 받아 분석, 제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큐레이터 미러(100)에서 제공된 피사체의 영상은 뷰티, 패션, 안경, 헤어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외부서버(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큐레이션 진단 및 제안을 위해서는 피사체의 부분별 고해상의 정밀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얼굴(이마, 눈, 코 볼 입 등), 전신(팔, 다리, 어깨 등) 등으로 구분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해서 외부서버&DB(600)에 제공하며, 상세 정보 제공으로 사용자의 퍼스널 정보(PI)를 얻을 수 있다.
상세촬영 방법은 안내 멘트에 따라 왼쪽, 오른쪽, 아래, 머리 등 부위별로 촬영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고해상도의 정밀한 한번의 촬영으로 피사체의 얼굴을 분할하여 피사체의 얼굴정보를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화면에 부위별로 표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큐레이터 미러(100)에서 추출된 피사체의 사진, 키, 나이 등 개인정보(PI)는 외부서버&DB(600)에 제공되고, 큐레이터 미러(100)는 외부서버&DB(600)에서 서비스 하고자 하는 용도(뷰티, 패션, 안경, 헤어 등)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를 외부서버&DB(600)로부터 수신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를 위하여 외부서버&DB(600)는 서비스 하고자 하는 용도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구축되는데, 이러한 큐레이션의 범위는 뷰티, 패션, 안경, 헤어 등에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산업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즉, 수년전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을 큐레이터 미러(100)의 제어장치부(200)에 구성하고, 외부서버&DB(600)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피사체(사용자)의 얼굴 특징이란, 얼굴의 형태에 따라서 화장법이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광대가 튀어나온 스타일, 사각형의 얼굴, 콧등이 낮고 높은 등등 이러한 얼굴 형태를 분석하여 적합한 큐레이션 진단 및 제안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큐레이터 미러는 평상시에는 대기 모드(방범 모드 또는 광고 모드)로 미리 저장된 브랜드 및 신제품 홍보용으로 사용되다가, 보안이 필요한 경우(퇴근 후, 쉬는 날 등)나 장소에서도 큐레이터 미러는 기본적으로 카메라와, 마이크, 근접센서가 장착되어 있어서 실시간으로 미러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야간 또는 퇴근 후 등의 보안이 필요한 시점에 외부인의 침입이 발생했을 경우, 근접센서와 카메라로 침입탐지하고 카메라 영상을 취득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취득된 영상은 미리 설정된 모바일(스마트폰)로 외부관리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다.
또한, LED조명을 미리 설정된 주기로 On/Off 하는 방식으로 침입자에게 경각심을 높이는 위협조명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프로그램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실사도(디스플레이 실사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큐레이터 미러(100)는 디스플레이부(300), 조도센서(310), 근접센서(320), 사용자 입력부(400), QR코드리더(410), 지향성스피커(420), 카메라(430) 및 LED조명(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카메라(43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출한다.
이때, 사용자의 피부 상태, 피부 톤 등의 정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에 적합한 뷰티 큐레이션을 제안하고자 사용자의 얼굴을 부분적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확대 촬영하고, 사용자의 얼굴 전체를 촬영 후 이미지 분석을 통해 각 부분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카메라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복수의 확대 정지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복수의 정지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출되어 뷰티 큐레이션의 진단 및 제안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조도센서(310)는 큐레이터 미러(100)의 4면 모서리에 설치되어 4면 각각의 밝기를 측정하며, 이를 제어장치부(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근접센서(320)는 사용자가 큐레이터 미러(100)에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광고 영상 표출 화면에서 미러 모드로 변경시켜주는 센서로써, 평소에는 매장에서 브랜드 및 신제품 홍보의 광고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출되도록 구성되지만, 근접센서(320)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부(300)에 미러 모드로 전환시켜주어 카메라(430)와 조도센서(310)가 동작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부(400)는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매장에서 직접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입력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QR코드리더(410)는 모바일폰(스마트폰)(450)에서 사전 부여받은 QR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PI)를 인증한다.
지향성스피커(420)는 음성인식 모듈을 사용하여 사용자와 Interactive한 대화 시스템을 형성하며 소리의 방향이 사방으로 방사되는 일반 스피커와는 달리, 목적하는 방향으로만 소리를 방사하여 주변 소음공해를 절감하며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전달의 역할을 한다.
카메라(430)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출한다.
LED조명(440)은 제어장치부(200) 내에 사전 정의된 환경별 적정 조도값(현장경험이나 실험에 의해 설정된)과 복수의(예를 들면 4면)의 조도센서(310)에서 측정된 조도값을 제어장치부(200)에 전달하며, 적정 조도값을 LED조명(440)에 전달하여 큐레이터 미러(100) 복수면(예를 들면 4면)의 조명을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를 이용하여 촬영 및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큐레이터 미러(100)는 평상시에는 대기 모드(방범 모드 또는 광고 모드)로 미리 저장된 브랜드 및 신제품 홍보용으로 사용되다가, 사용자가 큐레이터 미러(100)로 다가오면 근접센서(320)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고(S100), 큐레이션을 위한 미러 모드로 전환된다(S110).
미러 모드 전환 시 카메라(430)가 기본적으로 작동되며, 사용자 방향으로 설치된 지향성 스피커(420)가 “큐레이션을 시작해도 괜찮겠습니까” 라는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대화 시스템으로 작동하며(S120), 사용자가 영상 촬영을 거부한다면 미러 모드에서 다시 평상 시 대기모드(방범 모드 또는 광고 모드)로 전환되고, 광고를 표출(디스플레이)한다(S130).
그러나 사용자가 큐레이션을 받을 것을 응답하면, 얼굴 또는 QR 코드로 인증한다(S140). 즉 외부 서버& DB(600)를 통해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통신부(240)를 통해 인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큐레이션 응답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을 허락하면 카메라(430)가 영상을 촬영 시작한다(S150).
전체 얼굴과 부위별로 카메라(430)의 촬영이 마치면 디스플레이부(300)에서 부위별/얼굴 전체의 영상이 표출되며(S160), 부위별 촬영과(S170), 부위별/얼굴전체 영상 표출(S180)이 되고, 사용자의 얼굴 상태와 퍼스널 컬러를 찾아주는 진단과 제안을 위한 뷰티 큐레이션이 진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인증 및 QR코드 인증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얼굴 인증 제어 흐름은 사용자를 인식하는 근접센서(320)가 작동되면서 발생하며(S200), 큐레이터 미러(100)가 인증모드로 전환(인증모드 ON)되어(S210), 지향성 스피커(420)에서 사용자에게 음성인식을 알리기 위한 음성을 시작한다(S220). 이러한, 얼굴인증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PI)를 인증할 수 있다.
기존에 얼굴이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30), 인증이 확인되면(S240), 카메라(430)를 통해 영상 촬영을 시작한다(S280)(도 5의 150)).
한편 얼굴 인증이 안되는 경우 QR 코드(S250)를 선택하는데, 기존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큐레이터 미러(100)의 사용자 입력부(400) 또는 APP을 통하여 신규 등록이 가능하며, QR코드를 수령하여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S260). 즉 얼굴인증을 거부하는 사용자는 개인 모바일폰(450)에 저장된 QR코드로 개인인증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모바일폰(450)에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사용자 등록을 위한 APP을 설치하고 개인정보 이용 동의 후 QR코드를 수령하여 개인인증을 진행한다(S270).
도 8은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 4면의 조명을 제어하는 광량조절에 따른 제어 흐름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량 조절 제어 흐름은 사용자의 영상 촬영의 시작을 알리는 조도센서(310)가 작동되며 이때, 영상촬영을 시작하면(S300), 조도센서가 인식되고(S310), 조도값을 수신하여 조도값을 추출한다(S320).
그리고 미리 설정된 최적의 조도값으로 보정을 하는데(S330), 4면의 조도센서(310)로부터 측정된 조도값과 비교하여 제어장치부(200)에서 반복적으로 조도센서(310)에 의해 변경되는 조도값에 맞는 최적의 조도값을 찾아 LED조명(440)에서 빛이 발산되도록 제어한다(S340). 그에 따라 미러에 표출되고 서비스가 시작된다(S350)(도 5의 S160).
도 9는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 4면의 조명을 제어하는 광량을 조절하며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큐레이터 미러(100)의 전면에 조도센서(310), 근접센서(320), 카메라(430), LED조명(440)을 포함한다.
큐레이터 미러(100) 미리 설정된 4개 면에 대하여 각각의 조도센서(310)로부터 조도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조도값과 미리 설정된 최적의 조도값 간의 밝기 차이를 제어장치부(200)가 보정해주며, 큐레이터 미러(100) 4개 면의 서로 다른 밝기 값을 보정하여 동일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큐레이터 미러의 슬롯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와 제어장치부를 분리하여 점검이 용이한 외형 케이스인 슬라이딩 방식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레일 방식의 슬라이딩부(112)과 힌지 여닫이문(113) 방식의 복합 구조물 외형 케이스(110)를 이며, 장비, 즉 제어장치부(200), 디스플레이부(300) 및 전원부(500)의 교환을 레일방식으로 체결, 표준 커넥터(111)를 사용하여 손쉬운 업그레이드 및 A/S 서비스 등 관리가 용이한 외형 케이스(110)이다.
슬롯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300)와 제어장치부(200)를 분리하여 점검이 용이한 외형 케이스(110)로 큐레이터 미러(100)의 유지보수의 편리함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큐레이터 미러
110 : 큐레이터 미러 장치 외형 케이스
111 : 외형 케이스 커넥터 결속부
112 : 외형 케이스 슬라이딩부
113 : 외형 케이스 힌지 여닫이문
200 : 제어장치부
201 : CPU 202 : 메모리
210 : 영상 스위치부 220 : 입력부
230 : 출력부 240 : 통신부
300 : 디스플레이부 310 : 조도센서
320 : 근접센서 400 : 사용자 입력부
410 : QR코드리더 420 : 지향성 스피커
430 : 카메라 440 : LED조명
450 : 모바일폰 460 : 마이크
500 : 전원부 600 : 외부서버&DB

Claims (11)

  1. 정보수집, 정보 분석, 정보 처리하는 방법론의 프로그램과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부(200);
    제어장치부(200)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영상 스위치부(210)에서 입력되어지는 디스플레이부(300);
    사용자의 스크린을 제어하고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널과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부(400); 및
    상기 제어장치부(200), 디스플레이부(300) 및 사용자 입력부(400)에 필요한 용량의 전원을 공급하고 관리하는 전원부(500);를 포함하고,
    레일 방식의 슬라이딩부(112)와 힌지 여닫이문(113) 방식의 복합 구조물 외형 케이스(110)를 포함하며,
    상기 외형 케이스(110)는 상기 제어장치부(200), 디스플레이부(300) 및 전원부(500)의 교환을 레일방식으로 체결, 표준 커넥터(111)를 사용하여 손쉬운 업그레이드 및 A/S 서비스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슬롯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와 제어장치부(200)를 분리하여 점검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부(200)는,
    고해상도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위한 영상 스위치로 디스플레이부(300)에 영상을 출력, 표출하는 역할을 하는 영상 스위치부(210)와, 이미지 분석, 음성인식, 조명 제어 등의 필요 한 연산 및 명령 제어를 하는 CPU(201)와, 프로그램관리 사용자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02)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정보처리장치와 TCP/IP통신 및 데이터 정보처리장치의 저장 및 호출, 개인정보(PI)를 저장하며 CPU(201)와 메모리(202)와 연결하여 영상을 제어하여 촬영 영상의 저장 및 기존 영상의 호출이 가능하며, 외부 영상을 호출하여 광고기능을 하는 통신부(240)와,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의 입력 처리 신호인 사용자 입력부(400), 카메라(440), 마이크(460), QR코드리더(410), 근접센서(320), 조도센서(310), 외부 입력부(USB, 211)를 포함하는 입력부(220)와,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420), LED조명(440)을 포함하는 출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440)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 피부 톤 등의 정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에 적합한 뷰티 큐레이션을 제안하고자 사용자의 얼굴을 부분적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확대 촬영하고, 사용자의 얼굴 전체를 촬영 후 이미지 분석을 통해 각 부분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카메라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복수의 확대 정지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복수의 정지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출되어 뷰티 큐레이션의 진단 및 제안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는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얼굴 또는 QR코드 인증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를 인식하는 근접센서(320)가 작동되면, 큐레이터 미러(100)가 인증모드로 전환되어 지향성 스피커(420)에서 음성인식을 알리며 얼굴인증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PI)를 인증할 수 있으며, 기존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큐레이터 미러(100)의 사용자 입력부(400) 또는 APP을 통하여 신규 등록이 가능하고, 얼굴인증을 거부하는 사용자는 개인 모바일폰(450)에 저장된 QR코드로 개인인증을 진행할 수 있으며,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모바일폰(450)에 APP을 설치하고 개인정보 이용 동의 후 QR코드를 수령하여 개인인증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부(200)에 포함된 조명 제어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근접센서(320)가 작동되고, 조도센서(310)가 작동되면, 조도센서(310)에 의해 광량을 측정하여, 조도값 수신, 조도값 보정, 조도값 입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부(200)가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 맞는 최적의 조도값을 찾아 밝기를 측정하며 LED조명(440)에 빛을 보정하여 동일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평상시에는 대기 모드(방범 모드 또는 광고 모드)로 브랜드 및 신제품 홍보용으로 사용되다가, 사용자가 큐레이터 미러(100)로 다가오면 근접센서(320)가 사용자를 인식하여 미러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460)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음성신호는 제어장치부(200) 내의 음성인식 모듈에 입력되어 사용자 발화 의도를 인지하고,
    상기 스피커(420)는,
    상기 마이크(460)에서 추출된 음성정보가 상기 제어장치부(200)내의 음성인식 모듈을 통해 변환되며, 변환된 음성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 시 소음공해 절감, 정보전달의 명확화 및 개인정보(PI) 보호를 위하여 지향성 스피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8. 삭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제어 방법으로,
    큐레이터 미러(100)는 평상시에는 방범 모드 또는 광고 모드로 미리 저장된 브랜드 및 신제품 홍보용으로 사용되다가, 사용자가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로 다가와 근접센서(320)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되면(S100), 큐레이션을 위한 미러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S110);
    상기 미러 모드 전환 시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의 카메라(430)가 기본적으로 작동되며, 사용자 방향으로 설치된 스피커(420)가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대화 시스템으로 작동하는 단계(S120);
    사용자가 영상 촬영을 거부한다면 미러 모드에서 다시 평상 시 대기모드로 전환되고, 광고를 표출(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30);
    상기 사용자가 큐레이션을 받을 것을 응답하면, 얼굴을 인증하는 단계(S140);
    상기 큐레이션 응답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을 허락하면 상기 카메라(430)가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단계(S150);
    상기 사용자의 전체 얼굴과 부위별로 상기 카메라(430)의 촬영이 이루어지고, 촬영을 마치면 마치면 디스플레이부(300)에서 부위별/얼굴 전체의 영상이 표출되는 단계(S180);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 상태와 퍼스널 컬러를 찾아주는 진단과 제안이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와 외부서버&DB(600)를 통해 이루어지는 뷰티 큐레이션이 진행되는 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큐레이션을 받을 것을 응답하면, 얼굴을 인증하는 단계(S140)와, 상기 큐레이션 응답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을 허락하면 상기 카메라(430)가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단계(S150)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근접센서(320)가 작동되면서(S200),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가 인증모드로 전환(인증모드 ON)되어(S210), 상기 스피커(420)에서 사용자에게 음성인식을 알리기 위한 음성을 시작하는 단계(S220)와, 기존에 얼굴이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30), 인증이 확인되면(S240), 카메라(430)를 통해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단계(S280)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얼굴 인증이 안되는 경우 QR 코드(S250)를 선택하며, 이때 기존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의 사용자 입력부(400) 또는 APP을 통하여 신규 등록이 가능하며, QR코드를 수령하여 서비스를 시작하여(S260), 등록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는 모바일폰(450)에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사용자 등록을 위한 APP을 설치하고 개인정보 이용 동의 후 QR코드를 수령하여 개인인증을 진행하는 단계(S27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제어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430)가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단계(S150)는,
    큐레이터 미러 4면의 조도센서(310)가 활성화되고(S310), 4면의 조도센서(310)가 측정한 조도값을 추출하는 단계(S320)와, 상기 큐레이터 미러(100)의 제어장치부(200)가 미리 설정된 최적의 조도값으로 보정을 하되(S330), 조도값 입력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장치부(200)가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 맞는 최적의 조도값으로 LED조명(440)에서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제어 방법.
KR1020180143538A 2018-11-20 2018-11-20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79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38A KR101979355B1 (ko) 2018-11-20 2018-11-20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38A KR101979355B1 (ko) 2018-11-20 2018-11-20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355B1 true KR101979355B1 (ko) 2019-05-15

Family

ID=6657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538A KR101979355B1 (ko) 2018-11-20 2018-11-20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3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9146A (zh) * 2019-10-23 2020-03-2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00133486A (ko) * 2019-05-20 2020-11-30 주식회사 룰루랩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KR102283567B1 (ko) 2020-12-30 2021-07-29 주식회사 어리드 인공지능 기반 뷰티샵 큐레이션 시스템
WO2021172791A1 (ko) * 2020-02-25 2021-09-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각적 효과 제공 방법
KR102403012B1 (ko) 2021-10-27 2022-05-30 (주)이지템 개인 맞춤형 뷰티솔루션 제공을 위한 뷰티미러 및 그 미러의 구동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793A (ko) * 2014-01-22 2015-07-30 이상호 스마트 거울 장치와 그에 따른 시스템
KR101679417B1 (ko) 2015-09-21 2016-11-2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거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78600B1 (ko) 2016-06-27 2017-09-14 주식회사 디엔씨아이 색온도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조명
KR101783712B1 (ko) 2014-08-04 2017-10-10 브릴리언츠 주식회사 피부진단용 거울 장치
KR20180000557A (ko) * 2016-06-23 2018-01-03 (주)휴먼사인즈 미용실 스마트미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미용 서비스 방법
KR20180003237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자 거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793A (ko) * 2014-01-22 2015-07-30 이상호 스마트 거울 장치와 그에 따른 시스템
KR101783712B1 (ko) 2014-08-04 2017-10-10 브릴리언츠 주식회사 피부진단용 거울 장치
KR101679417B1 (ko) 2015-09-21 2016-11-2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거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0557A (ko) * 2016-06-23 2018-01-03 (주)휴먼사인즈 미용실 스마트미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미용 서비스 방법
KR101778600B1 (ko) 2016-06-27 2017-09-14 주식회사 디엔씨아이 색온도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조명
KR20180003237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자 거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486A (ko) * 2019-05-20 2020-11-30 주식회사 룰루랩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KR102268759B1 (ko) * 2019-05-20 2021-06-24 주식회사 룰루랩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CN110929146A (zh) * 2019-10-23 2020-03-2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929146B (zh) * 2019-10-23 2024-04-0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21172791A1 (ko) * 2020-02-25 2021-09-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각적 효과 제공 방법
KR102283567B1 (ko) 2020-12-30 2021-07-29 주식회사 어리드 인공지능 기반 뷰티샵 큐레이션 시스템
KR102403012B1 (ko) 2021-10-27 2022-05-30 (주)이지템 개인 맞춤형 뷰티솔루션 제공을 위한 뷰티미러 및 그 미러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355B1 (ko)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US10565763B2 (en) Method and camera device for processing image
CN103024338B (zh) 具有图像捕获和分析模块的显示设备
CN109726694B (zh) 一种虹膜图像采集方法及装置
KR101520778B1 (ko) 콘택트렌즈 가상 피팅 방법, 장치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US20140275948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101939696B1 (ko) 사용자 무의식형 멀티모달 출입통제시스템
CN103839054A (zh) 一种支持虹膜识别的多功能移动智能终端传感器
KR20190035116A (ko) Ar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2227393A1 (zh) 图像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90130448A (ko)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80140A (ko) 개인화된 피부 진단 및 피부 케어
CN208013970U (zh) 一种生物特征识别系统
US6628320B2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mage transmission function
CN105095917A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终端
KR20090132839A (ko) 전자 id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071948B1 (ko)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CN108933891A (zh) 拍照方法、终端及系统
US20090172756A1 (en) Lighting analysis and recommender system for video telephony
CN111275648B (zh) 人脸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18244B1 (ko) 얼굴 표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2115747A (zh) 活体检测和数据处理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20110006062A (ko)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
KR102627697B1 (ko) 스마트 미러를 이용하는 피부 진단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2827589A1 (en) Display device and device for adapting a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