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486A -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486A
KR20200133486A KR1020190058750A KR20190058750A KR20200133486A KR 20200133486 A KR20200133486 A KR 20200133486A KR 1020190058750 A KR1020190058750 A KR 1020190058750A KR 20190058750 A KR20190058750 A KR 20190058750A KR 20200133486 A KR20200133486 A KR 20200133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kin condition
care
condition measuremen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759B1 (ko
Inventor
김성택
유상욱
최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룰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룰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룰루랩
Priority to KR102019005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759B1/ko
Priority to PCT/KR2020/006532 priority patent/WO2020235914A1/ko
Priority to US17/611,571 priority patent/US20220225927A1/en
Publication of KR2020013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5Evaluating skin irritation or skin trauma, e.g. rash, eczema, wound, bed s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부 상태의 측정을 수행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한 케어 장비의 종류 및 사용법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The device using skin condition measuring and care, and the system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부 상태의 측정을 수행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한 케어 장비의 종류 및 사용법에 대한 안내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근래에는 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용자 얼굴의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얼굴 피부를 촬영하여 사용자 얼굴에 있는 다양한 피부 트러블(예를 들어, 주름, 모공 및 여드름 등) 등을 분석하는 포터블 피부 상태 측정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화장품을 추천하는 등의 피부 종합 케어 시스템의 일 구성으로 피부 상태 측정 장치가 이용되고 있고, 특히 IoT 기술의 발달과 빅데이터의 축적에 기반하여 피부 상태 측정 및 맞춤 제품 추천용 디바이스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현 기술단계에서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종류나 구동 모드가 제어된 피부 케어 장비를 동시에 제공하는 기술은 상용화된 사례가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5-0063781
본 발명은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제공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과 사용 방법을 추천하도록 설계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의해 추천된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 값이 케어 장비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케어 장비를 제어함으로써,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의 연계성을 확보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일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거나, 또는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사용자 피부 상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욱이,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와 그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써,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는,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따라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하는 것으로써,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 상기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제공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서; 대기 모드, 동작 모드, 피부 상태 측정 모드 및 피부 상태 케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면 개폐도어; 및 케어 장비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케어 장비가 충전될 수 있도록 설계된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의해 추천된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 값이 상기 케어 장비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어 장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센서부는, 디바이스 전면의 물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전면의 물체가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센서부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얼굴 온도 변화를 체크하는 제 3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단일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거나, 또는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설정된 복수의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획득된 복수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 각각에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합성하여 획득된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천된 케어 장비가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 되었을 경우 구동되는 수동 모드의 전환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면 개폐도어의 디스플레이부는, 380nm 내지 780nm 범위 내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도가 30 내지 70%인 하프 미러 글라스 또는 380nm 내지 780nm 범위 내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도 5% 미만인 블랙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면 개폐도어의 디스플레이부가 하프 미러 글라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가상 터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피부 상태 케어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케어 장비의 사용 모습, 사용 방법 및 사용자의 실시간 피부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면 개폐도어는, 디바이스의 온오프 동작을 수동 제어하는 전원 및 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 변경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내부 공간은, 추천된 케어 장비를 육안 식별 가능하게 하는 LED 표시부; 및 케어 장비를 살균하는 UV 광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를 제어하고, 외부기기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어 장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방법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광원을 조사한 상태에서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제공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의해 추천된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 값이 상기 케어 장비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어 장비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케어 장비의 사용 모습 및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는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를 추천하며 사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는 특히,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따라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고, 이를 기반으로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값이 케어 장비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어 장비를 제어함으로써,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프로세스의 연계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피부 개선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과 상기 장비의 구체적인 사용방법을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의 정면도의 일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의 각 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일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 및 예시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는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이에 적합한 케어 장비를 추천하며, 상기 케어 장비의 사용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를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자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바이스 내에 있는 케어 장비를 추천해주며, 상기 케어 장비의 사용방법을 동시에 안내하는 단일 디바이스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는, 특히,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따라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고, 이를 기반으로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값이 케어 장비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어 장비를 제어함으로써,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프로세스의 연계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디바이스의 정면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디바이스(1)는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따라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하는 것으로써,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100);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200);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제공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서(400);대기 모드, 동작 모드, 피부 상태 측정 모드 및 피부 상태 케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501)를 포함하는 전면 개폐도어(500); 및 케어 장비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케어 장비가 충전될 수 있도록 설계된 충전 단자(601)를 포함하는 내부 공간(600)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400)는,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의해 추천된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 값이 상기 케어 장비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어 장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디바이스(1)는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을 포함한다.
센서부(100)는 디바이스(1)의 전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물체가 사용자(사람)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부(100)는 각각 디바이스(1)의 전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센서와 상기 물체가 사용자(사람)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센서부(100)는 디바이스(1) 전면의 물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전면의 물체가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는, 예를 들면 광 센서일 수 있고, 상기 광 센서는 디바이스(1) 전면의 물체의 존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디바이스(1) 전면의 어느 일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센서는, 예를 들면 IR 온도 센서일 수 있고, 상기 IR 온도 센서는 디바이스 전면의 물체가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디바이스 전면의 어느 일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는 제 1 센서가 전면 개폐도어(50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고, 제 2 센서가 전면 개폐도어(50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일 뿐,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00)의 각 위치가 도 1과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100)는 또한, 사용자의 얼굴 온도 변화를 실시간 체크할 수 있는 온도 체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센서부(100)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얼굴 온도 변화를 체크하는 제 3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센서를 통해, 후술하는 케어 장비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 얼굴의 온도 변화를 영상으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이마 영역 온도 체크를 통해 원격으로 사람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3 센서는, 예를 들면 IR 센서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100)는 또한, 사용자 얼굴 중 이마 부위의 온도를 체크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센서부(100)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이마 부위 온도를 체크함으로써,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제 4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센서는, 예를 들면 측두동맥위의 피부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00)는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에 의해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획득함에 있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전면 개폐도어(500)가 하프 미러 글라스를 포함하는 경우 구현되는 가상 터치를 위한 디바이스(1)와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센서는,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 또는 ToF(Time of Flight) 일 수 있다.
상기 거리 센서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 촬영 시 사용자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거나, 디바이스(1)와 사용자의 거리 감지를 통한 가상 터치 구현을 위한 일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리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이탈에 따른 부정확한 얼굴 이미지 획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보다 명확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상 터치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거리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 디바이스(1)에서 이탈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전면 개폐도어(500)의 디스플레이부(501) 또는 별도의 디바이스(1) 내 오디오부에 의해 사용자 얼굴 이탈 알림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센서가, ToF(Time of Flight) 센서, 구체적으로 3D ToF 센서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의 RGB 영상과 Depth값을 결합하여 3차원 모델링된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에어 모션 감지 기능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400)는 3D ToF 센서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의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된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동작을 해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기 설정 모드가 구동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200)를 포함한다.
광원부(200)는 백색광 또는 UV 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복수로 포함하는 것으로써, 센서부(10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발광되거나 또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 획득을 위한 촬영 시 발광 될 수 있다.
광원부(20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면 개폐도어(500)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부(200)에 포함되는 광원의 종류 및 세기는 디바이스(1)의 각 모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대기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전면 개폐도어(500)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501)를 통해 메이크업 등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를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를 통해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대기 모드보다 향상된 밝기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가 전면 개폐도어(500)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501)를 통해 메이크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501)가 적절한 광 투과도를 가지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501)는 하프 미러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는 사용자 얼굴을 1회 이상 촬영한 이미지를 프로세서(400)에 제공하여 사용자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는, 예를 들면 단일 카메라로 구성되거나, 듀얼 카메라 혹은 쿼드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가 듀얼 혹은 쿼드 카메라로 구성된 경우, 전면에 서로 다른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하거나, 편광 필름 및 UV 패스 필터 등이 전면에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디바이스(1)는 촬영 모드 변경에 따른 편광 이미지 및 UV 이미지 획득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는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제공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서(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는 특히, 단순히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아니하고, 분석된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 케어 장비를 추천해주며, 또한 상기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서(400)를 포함하여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의 연계성이 우수하다.
프로세서(400)는 디바이스 내 각종 구성과 연계하여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구동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프로세서(400)는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에 의해 획득된 단일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거나, 또는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설정된 복수의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획득된 복수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 각각에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합성하여 획득된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단일 사용자 얼굴 이미지」는 피부 상태 분석을 위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분석되는 단일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복수의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획득된 복수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의 특정 영역 추출 및 합성 기술을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와의 차별화를 위해, 상기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 복수의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획득된 복수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 각각에서 특정 얼굴 영역을 추출하고, 이를 합성하는 기술을 통해 형성되고,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프로세서(400)는 임의의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얼굴을 촬영하여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인 단일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400)는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의 촬영 파라미터 및 광원부(200)의 밝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0)는 예비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의 밝기를 분석하여, 상기 예비 촬영 파라미터를 촬영 파라미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예비 촬영 파라미터는 외부의 조명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400)는 예비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설정된 촬영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단일 사용자 얼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00)는 복수의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얼굴을 촬영하여 획득된 복수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 각각에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합성하여 획득된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0)는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설정된 복수의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획득된 복수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 각각에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합성하여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를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얼굴의 피부를 분석하기 위한 촬영 파라미터는 프로세서(400)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촬영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광원부(200)에 포함되는 광원의 세기, 종류 및/또는 방향 등이거나,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의 셔터 스피드 및/또는 조리개값 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촬영 파라미터는, 광원의 세기, 광원의 방향, 카메라의 셔터 스피드 및 조리개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예비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이를 합성하여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를 형성한 후, 이를 분석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서(4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로세서(400)는 복수의 예비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획득된 복수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의 밝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예비 촬영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복수의 촬영 파라미터로 설정하도록 설계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복수의 예비 촬영 파라미터 중 제1 예비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 얼굴의 제1 영역(예를 들어, 얼굴 중심 영역)에 대해 기 설정된 범위의 밝기값을 갖는 경우, 프로세서(400)는 제1 예비 촬영 파라미터를 사용자 얼굴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촬영 파라미터로 설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예비 촬영 파라미터 중 제2 예비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 얼굴의 제2 영역(예를 들어, 얼굴 외곽 영역)에 대해 기 설정된 범위의 밝기값을 갖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예비 촬영 파라미터를 사용자 얼굴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촬영 파라미터로 설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0)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의 제 1 영역에 대해 기 설정된 범위의 밝기값을 갖도록 하는 제 1 예비 촬영 파라미터를 제 1 촬영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사용자 얼굴 이미지의 제 2 영역에 대해 기 설정된 범위의 밝기값을 갖도록 하는 제 2 예비 촬영 파라미터를 제 2 촬영 파라미터로 설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복수의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프로세서(400)는 설정된 복수의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획득된 복수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 각각에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추출하도록 설계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프로세서(400)는 제1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얼굴을 촬영하여 제1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2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얼굴을 촬영하여 제2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복수의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얼굴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얼굴 영역들을 합성하여 얼굴 전체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0)는 상기 제 1 촬영 파라미터에 의해 획득된 제 1 사용자 얼굴 이미지로부터 제 1 얼굴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제 2 촬영 파라미터에 의해 획득된 제 2 사용자 얼굴 이미지로부터 제 2 얼굴 영역을 추출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얼굴 영역 및 제 2 얼굴 영역을 합성하여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1 얼굴 영역과 제2 얼굴 영역을 합성할 때, 프로세서(400)는 밝기 보정을 수행하여 제1 얼굴 영역과 제2 얼굴 영역을 합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0)는 제1 얼굴 영역과 제2 얼굴 영역의 경계 부근에서 상기 제1 얼굴 영역과 상기 제2 얼굴 영역 사이의 밝기 차이값을 판단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고, 프로세서(400)는 밝기 차이값을 바탕으로 제1 얼굴 영역 및 제2 얼굴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합성 가중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합성 가중치는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가중치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합성 가중치를 바탕으로 제1 얼굴 영역 및 제2 얼굴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밝기를 조절한 후, 상기 영역들을 합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로세서(400)의 구성을 통해, 보다 정확한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피부 상태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도록 설계된다.
프로세서(400)의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는, 예를 들면 얼굴 부위별 피부 상태를 나타내는 오버뷰, 피부 나이, 피부 점수, 피부 문제사항 및 각 피부 상태 진단 요소별 점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400)의 피부 상태 측정은, 예를 들면 디바이스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는 외부 서버의 빅데이터부에서 제공되는 최신 피부 상태 측정 정보가 실시간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정확한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피부 상태 측정 결과와 함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6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어 장비(2)가 위치하는데, 프로세서(400)는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내부 공간(600)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2)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한다. 또한, 프로세서(400)는 추천된 케어 장비(2)의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도록 설계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프로세서(400)는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600)에 위치하고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따라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케어 장비(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부(501) 상에 제공하고, 제공된 케어 장비(2)의 사용 시간이나 사용 세기 및 사용 모드 등을 포함하는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에 포함되는 프로세서(400)는 상기 구동 설정값으로 추천된 케어 장비(2)가 구동될 수 있도록, 케어 장비(2)를 제어한다.
즉, 프로세서(400)는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의해 추천된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 값이 케어 장비(2)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케어 장비(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는 단순히 피부 상태를 진단하고, 케어 제품을 추천해주는 것에 그치지 아니하고, 케어 장비(2)의 초기 동작 시 구동 설정값을 피부 상태 측정 결과와 상응하게 제어함으로써,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프로세스의 연계성 및 피부 상태 개선 효과의 우수성을 확보하는데 장점이 있다.
프로세서(400)가 케어 장비(2)를 제어하는 방식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통신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의 도어 센서에 의해 전면 개폐 도어(500)의 문 열림이 감지되거나 및/또는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강도 변이에 의해 문열림이 감지된 후, BLE 에드버타이징(advertising)하여 디바이스(1)로부터 케어 기기(2)로 구동설정값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프로세서(400)에서 설정된 케어 장비(2)의 구동 설정값이 케어 장비(2)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케어 장비(2)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대기 모드, 동작 모드, 피부 상태 측정 모드 및 피부 상태 케어 모드에 따른 전면 개폐도어(500)의 디스플레이부(501)에 제공되는 UI, 광원부(200)에 포함되는 광원의 세기 및 방향 및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의 셔터 스피드 및 조리개 값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00)는 사용자가 추천된 케어 장비(2)를 소정 이격 거리 이상에서 사용할 경우, 수동 모드로 인식하고, 전면 개폐도어(5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프로세서(400)는, 추천된 케어 장비가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 되었을 경우 구동되는 수동 모드의 전환에 따른 디스플레이부(501)의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00)는 추천된 케어 장비(2)를 육안 식별 가능하게 하는 LED 표시부(60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프로세서(400)는 전면 개폐도어(500)의 문열림 감지 후, 사용자가 추천된 케어 장비(2)를 육안식별 가능하게 하는 LED 표시부(60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추천된 케어 장비(2)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00)는 추천된 케어 장비(2)의 구체적인 사용 모습 및 사용 방법을 디스플레이부(5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0)는 추천된 케어 장비(2)를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실시간 사용 모습을 디스플레이부(5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또한 추천된 케어 장비(2)의 사용 부위 및 위치 등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사용 방법을 디스플레이부(5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400)는 광원부(200),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 및 디스플레이부(501)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내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00)는 추천된 케어 장비(2)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실시간 피부 상태를 디스플레이부(501)를 통해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0)는 추천된 케어 장비(2)를 사용자가 사용함과 동시에 또는 사용한 후, 자신의 피부 상태 변화, 예를 들면 얼굴 부위별 온도 변화 등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변화를 디스플레이부(501)를 통해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400)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의 설정 변경부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내용을 구현할 수 있도록 터치 패널, 센서부(100), 광원부(200),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 및 디스플레이부(50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부(501)를 포함하는 전면 개폐도어(500)를 포함한다.
전면 개폐도어(500)는 디스플레이부(501)를 매개로 사용자에게 각 모드 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내부 공간(600)에 위치하는 추천 케어 장비(2)를 사용자가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전면 개폐도어(500)는 디스플레이부(501)를 포함하는데, 디스플레이부(501)는 대기 모드, 동작 모드, 피부 상태 측정 모드 및 피부 상태 케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상응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대기 모드」는 디바이스(1)의 센서부(100)가 사용자를 인지하기 전 디바이스(1)의 모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일자, 요일, 날씨 및 미세먼지 지수를 포함하는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대기 모드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1)가 사용자를 인지하기 전 일자, 날씨 및 미세먼지 지수를 포함하는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모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동작 모드」는 디바이스(1)의 센서부(100)가 사용자를 인지함에 따라 전면 개폐도어(500)의 디스플레이부(501)가 사용자의 터치(가상 터치 포함) 동작에 의해 UI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동작 모드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부(100)의 제 1 센서(101)에 의해 디바이스 전면의 물체를 감지한 후, 제 2 센서(102)에 의해 전면의 물체가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물체가 사용자로 판별되었을 경우 구동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상태 측정 모드」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광원부(200) 및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가 구동되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진단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모드는,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1)의 촬영 콘텐츠 안내와 함께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를 매개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후 (도 4), 프로세서(400)를 매개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얼굴 부위별 피부 상태, 피부 나이, 피부 점수, 피부 문제사항 및 각 피부 상태 진단 요소별 점수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상태 케어 모드」는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바탕으로 적합한 케어 장비(2)를 추천 및 안내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용 모습 및 사용 방법을 제시하며, 사용에 따른 실시간 변화 상태를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피부 상태 케어 모드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1)의 UI 상에 내부 공간(600)에 위치한 케어 장비(2)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고,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 모습 및 사용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를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전면 개폐도어(5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501)는 사용자의 터치로 구동되는 것으로써, 상기 터치는 물리적 터치 및 가상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1)는 내부에 케어 기기(2)의 형상이 육안 식별가능하게 하는 반투명 디스플레이이거나, 불투명의 터치 디스플레이 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전면 개폐도어(500)의 디스플레이부(501)는, 380nm 내지 780nm 범위 내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도가 30 내지 70%인 하프 미러 글라스 또는 380nm 내지 780nm 범위 내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도 5% 미만인 블랙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1)가 하프 미러 글라스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가상 터치 동작을 통해, 디바이스(1)의 동작 모드, 피부 상태 측정 모드 및 피부 상태 케어 모드의 구동과 세부 UI 및 콘텐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전면 개폐도어(500)의 디스플레이부(501)가 하프 미러 글라스를 포함하는 경우, 디바이스(1)는 사용자의 가상 터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501)가 블랙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1)의 물리적 터치 동작을 통해, 디바이스(1)의 동작 모드, 피부 상태 측정 모드 및 피부 상태 케어 모드의 구동과 세부 UI 및 콘텐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1)는 전술한 각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피부 상태 케어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부(501)는 케어 장비(2)의 사용 모습, 사용 방법 및 사용자의 실시간 피부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케어 장비(2)를 실제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디스플레이부(501)에 제공한 상태에서 구체적인 케어 장비(2) 사용 부위 및 방법을 안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실시간 피부 상태를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얼굴 부위별 온도 변화를 디스플레이부(501)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 모습, 사용 방법 및 실시간 피부 상태의 제공에 대한 디스플레이부(501)의 서로 다른 UI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501)를 터치하는 동작(가상 터치 포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하단 터치 패널에 포함되어 있는 설정 변경부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전면 개폐도어(500)는 또한, 디바이스(1)의 온오프 동작을 수동 제어하는 전원 및 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501)의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 변경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5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502)는 디스플레이부(501)의 하단에 위치하여, 디바이스(1) 자체의 온오프 동작을 수동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프로세서(40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부(501)의 UI나 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501)의 설정을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패널(502)은 사용자의 물리적 터치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또한 가상 터치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 패널(502)은 사용자의 위치 이동 안내나 디스플레이부(501)의 UI 상에 제공되는 문자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는 케어 장비(2)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케어 장비(2)가 충전될 수 있도록 설계된 충전 단자(601)를 포함하는 내부 공간(600)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케어 장비(2)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있고, 각 케어 장비(2)와 상응하는 충전 단자(601)가 각 케어 장비(2)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간(600)은 케어 장비(2)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케어 장비(2)의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내부 공간(600)은, 추천된 케어 장비(2)를 육안 식별 가능하게 하는 LED 표시부(602); 및 케어 장비(2)를 살균하는 UV 광 조사부(6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LED 표시부(602)가 충전 단자(601) 부근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 뿐, LED 표시부(602)의 기능, 구체적으로 케어 장비(2)를 사용자가 보다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조건을 달성할 수 있다면, LED 표시부(602)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도 7에는 케어 장비(2)를 살균하는 UV 광 조사부(603)가 내부 공간(60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 뿐, UV 광 조사부(603)의 기능, 구체적으로 케어 장비(2)를 살균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조건을 달성할 수 있다면, UV 광 조사부(603)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사용자는, 내부 공간(600)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2) 중 디스플레이부(501)에 의해 추천되고 LED 표시부(602)에 의해 육안 식별 가능하게 된 케어 장비(2)를 선택하여 피부 케어를 수행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501)의 안내에 따라 사용 모습, 사용 방법 및 실시간 피부 상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내부 공간(600)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2)는 디바이스(1)와 연동되어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400)에서 할당되어 디스플레이부(501)에 제공되는 구동 설정값으로 제어된다. 이 때, 디바이스(1)와 케어 장비(2)는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어 전술한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는 내부 공간(600)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2)를 제어하고, 외부기기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디바이스(1)가 케어 장비(2)를 제어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1)와 케어 장비(2)를 무선 통신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1)과 외부기기, 예를 들면 PC, 외부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디바이스(1)에서 획득된 각종 사용자의 피부 상태 측정 정보를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원격 제어에 의해 디바이스(1)의 동작을 제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직비 통신 모듈, 블루투스 및 저전력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 및/또는 유선 통신 모듈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디바이스(1)와 케어 장비(2)는 블루투스 및 저전력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매개로 연동되어 있을 수 있고, 디바이스(1)와 외부 기기는 와이파이 혹은 유선 통신 모듈을 통해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1); 및 디바이스(1)의 내부 공간(600)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2)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은, 피부 상태 진단 및 케어용 디바이스(1); 및 디바이스(1)의 내부 공간(600)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어 장비(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피부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과 상기 케어 장비의 구체적인 사용방법과 실시간 사용 상태를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광원을 조사한 상태에서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진단 결과를 제공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피부 상태 진단 결과에 의해 추천된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 값이 상기 케어 장비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어 장비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케어 장비의 사용 모습 및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방법은,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케어 장비(2)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케어 장비(2)의 구체적인 사용 모습, 사용 방법 및 실시간 사용 효과를 육안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피부 상태의 측정 및 케어를 하나의 장소에서 일원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는, 디바이스(1)의 센서부(100)에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바이스(1)의 전면의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센서(101)가 1차적으로 물체 감지를 수행하고, 제 2센서(102)가 사용자 감지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로 판별되는 경우, 디바이스(1)는 대기 모드를 해제하고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광원을 조사한 상태에서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디바이스(1) 내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200),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300) 및 이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디바이스(1)는 피부 상태 측정 모드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 획득을 수행한다.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진단 결과를 제공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는 단계는, 프로세서(400) 및 프로세서(400)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5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피부 상태 측정 모드 및 피부 상태 케어 모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상태 진단 결과에 의해 추천된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 값이 상기 케어 장비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어 장비를 제어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전면 개폐도어(500)의 문열림 감지 후, BLE 에드버타이징(advertising)하여 디바이스(1)로부터 케어 기기(2)로 구동설정값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케어 장비의 사용 모습 및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의 내부 공간(600)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2)를 사용하기 전 및/또는 사용함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방법은 또한, 상기 케어 장비의 사용 모습 및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실시간 피부 상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는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2 : 케어 장비
100 : 센서부
200 : 광원부
300 :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
400 : 프로세서
500 : 전면 개폐도어
501 : 디스플레이부
502 : 터치 패널
600 : 내부 공간
601 : 충전 단자
602 : LED 표시부
603 : UV 광 조사부

Claims (13)

  1.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따라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
    상기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제공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서;
    대기 모드, 동작 모드, 피부 상태 측정 모드 및 피부 상태 케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면 개폐도어; 및
    케어 장비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케어 장비가 충전될 수 있도록 설계된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의해 추천된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 값이 상기 케어 장비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어 장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디바이스 전면의 물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전면의 물체가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얼굴 온도 변화를 체크하기 위해 제 2 센서를 활용하거나, 추가적인 제 3 센서를 더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단일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거나, 또는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설정된 복수의 촬영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획득된 복수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 각각에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얼굴의 특정 영역을 합성하여 획득된 사용자 얼굴 전체 이미지를 분석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천된 케어 장비가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을 경우 구동되는 수동 모드의 전환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개폐도어의 디스플레이부는,
    380nm 내지 780nm 범위 내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도가 30 내지 70%인 하프 미러 글라스 또는 380nm 내지 780nm 범위 내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도 5% 미만인 블랙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개폐도어의 디스플레이부가 하프 미러 글라스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가상 터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케어 모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케어 장비의 사용 모습, 사용 방법 및 사용자의 실시간 피부 상태를 제공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개폐도어는,
    디바이스의 온오프 동작을 수동 제어하는 전원 및 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 변경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은,
    추천된 케어 장비를 육안 식별 가능하게 하는 LED 표시부; 및
    케어 장비를 살균하는 UV 광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를 제어하고, 외부기기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12. 제 1항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어 장비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13. 제 11항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방법에 있어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광원을 조사한 상태에서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얼굴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제공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어 장비의 종류 및 구동 설정값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피부 상태 측정 결과에 의해 추천된 케어 장비의 구동 설정 값이 상기 케어 장비의 동작 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어 장비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케어 장비의 사용 모습 및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방법.
KR1020190058750A 2019-05-20 2019-05-20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KR10226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750A KR102268759B1 (ko) 2019-05-20 2019-05-20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PCT/KR2020/006532 WO2020235914A1 (ko) 2019-05-20 2020-05-19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US17/611,571 US20220225927A1 (en) 2019-05-20 2020-05-19 Device for skin condition measurement and skin care, and system for skin condition measurement and skin car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750A KR102268759B1 (ko) 2019-05-20 2019-05-20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486A true KR20200133486A (ko) 2020-11-30
KR102268759B1 KR102268759B1 (ko) 2021-06-24

Family

ID=7345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750A KR102268759B1 (ko) 2019-05-20 2019-05-20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25927A1 (ko)
KR (1) KR102268759B1 (ko)
WO (1) WO20202359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637B1 (ko) * 2022-07-06 2022-10-31 (주)쎄븐유 용도별 핸드피스를 구비한 맞춤형 피부관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300A (ko) * 2020-07-15 2022-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압력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93451B2 (en) * 2020-07-31 2023-10-24 L'oreal Interface and analysis techniques for customized skin care regimen based on skin diagnostic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781A (ko) 2002-10-08 2005-06-28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피부 반응성 및 과민성의 분석
KR20140075258A (ko) * 2012-12-11 2014-06-19 (주) 위나트 스마트통신기기와 피부관리기기를 연동한 피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9271A (ko) * 2014-08-11 2016-02-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화장대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8135671A1 (ko) * 2017-01-17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케어 기기 및 그의 피부 측정 방법
KR101979355B1 (ko) * 2018-11-20 2019-05-15 주식회사 카티스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540264A (zh) * 2014-04-18 2015-11-01 Sony Corp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方法、及程式
KR101668348B1 (ko) * 2014-06-27 2016-10-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피부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30851B1 (ko) * 2016-06-21 2018-12-19 (주)옵토바이오메드 3d 얼굴 모델링을 통한 피부 분석 진단 시스템
KR102628092B1 (ko) * 2016-11-07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케어 기기
KR20180080140A (ko) * 2017-01-03 2018-07-11 칼-콤프 빅 데이터, 인크. 개인화된 피부 진단 및 피부 케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781A (ko) 2002-10-08 2005-06-28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피부 반응성 및 과민성의 분석
KR20140075258A (ko) * 2012-12-11 2014-06-19 (주) 위나트 스마트통신기기와 피부관리기기를 연동한 피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9271A (ko) * 2014-08-11 2016-02-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화장대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8135671A1 (ko) * 2017-01-17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케어 기기 및 그의 피부 측정 방법
KR101979355B1 (ko) * 2018-11-20 2019-05-15 주식회사 카티스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637B1 (ko) * 2022-07-06 2022-10-31 (주)쎄븐유 용도별 핸드피스를 구비한 맞춤형 피부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25927A1 (en) 2022-07-21
KR102268759B1 (ko) 2021-06-24
WO2020235914A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5869B1 (en) Method for the disinfection and the quality control of the disinfection of the hands of a user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2268759B1 (ko)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KR102180920B1 (ko) 피부 상태 측정용 다중 이미지 획득 모듈
US9992409B2 (en) Digital mirror apparatus
JP4462377B2 (ja) 多機能眼科検査装置
EP2829221B1 (en) Asperger's diagnosis assistance device
JP6117707B2 (ja) 視力の機能的問題の検査、診断又は診断補助及び治療のための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KR102055881B1 (ko) 피부 상태 측정용 모듈
US201703190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953057A1 (en) Iris recognition terminal and method
CA3041021C (en) Body part color measurement detection and method
WO2013126877A1 (en) Personal skin scanner system
KR102036040B1 (ko) 광학식 피부질환 진단장치
CN101631201B (zh) 摄影装置
KR102036043B1 (ko) 스마트기기 기반의 피부질환 진단이 가능한 광학식 피부질환 진단장치
WO2010064492A1 (ja) 多機能眼科検査装置
KR20150143063A (ko) 피부 진단 장치
JP2019208651A (ja) 視力検査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視力検査システム
KR101867351B1 (ko) 스테레오 영상 및 포토메트릭 스테레오를 혼합하여 대상체의 3차원 미세 표면 영상을 획득하는 3차원 미세표면 촬영장치
WO20210349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upillary response
CN111210438A (zh) 镜子
EP41013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visual performance
WO2024090190A1 (ja) 超音波検査装置、検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71955B1 (ko) 휴대용 신경질환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KR20230006238A (ko) 사용자 맞춤형 피부 진단 사용자 단말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