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040B1 -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040B1
KR101071040B1 KR1020100017449A KR20100017449A KR101071040B1 KR 101071040 B1 KR101071040 B1 KR 101071040B1 KR 1020100017449 A KR1020100017449 A KR 1020100017449A KR 20100017449 A KR20100017449 A KR 20100017449A KR 101071040 B1 KR101071040 B1 KR 10107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main body
weight
arm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321A (ko
Inventor
아쯔시 모리시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9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추와 아암부의 접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한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
안전 장치(36)의 안전 장치 본체(52)의 아암부(64)에 형성한 오목부(64c)의 양측에 벽부(64b)를 일체 형성한다. 아암부(64)의 강도를 구조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아암부(64)의 경도를 상대적으로 저하시킨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53)와 아암부(64)의 아암부 본체(64a)의 선단부의 접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케이스체의 하측이 하방의 피청소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에서는 모터에의 급전을 차단하는 안전 장치를 갖는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기 본체에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어 본체 집진실이 구획되어 있으며, 이 본체 집진실은 청소기 본체에 개구 형성된 본체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흡입구에는 호스체, 연장관 및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가 순차 접속되어, 이 바닥 브러시를 피청소면인 바닥면 위에서 주행시킴으로써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바닥면 위의 진애(塵埃)를 흡입하여, 본체 집진실에 집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닥 브러시는 가로로 긴 케이스체의 하면에 가로로 긴 흡입구가 개구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흡입구에 융단 등의 바닥면으로부터 진애를 붙잡아내기 위한 회전 청소체인 회전 브러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의 내부에는 회전 브러시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의 하부에는 케이스체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에서는 모터가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전 장치는, 케이스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 형상의 안전 장치 본체를 갖고, 이 안전 장치 본체에는 케이스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 롤러가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안전 장치 본체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는 아암부가 형성되고, 안전 장치 본체의 축 방향의 타단부에는 모터와 전원측 사이에 전기적으로 배치된 항시 개방된 스위치를 폐쇄시키기 위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는 구체 형상의 추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를 구비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추는 케이스체를 상하 바르게 한 상태에서는 아암부의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기는 하지만, 케이스체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에서는 오목부로부터 돌출되어 이동하고, 아암부의 선단측과 접촉함으로써 안전 장치 본체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항시 개방의 스위치가 폐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특허공개평7-67814호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닥 브러시에서는, 아암부가 가늘고 긴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추와의 접촉 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안전 장치 본체에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PC), 혹은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페닐렌술파이드(PPS) 등의 강도가 비교적 큰, 즉 단단한 재료가 사용된다. 이로 인해, 아암부와 추가 접촉했을 때에 큰 금속 소리가 소음으로서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추와 아암부의 접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한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흡입구는 하면에 개구된 흡입구를 구비한 케이스체와, 상기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청소체와, 이 회전 청소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케이스체의 하측이 하방의 피청소면에 대하여 접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로 급전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케이스체의 하측이 하방의 피청소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에의 급전을 차단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 장치는, 전원측과 상기 모터측 사이에 접속된 항시 개방의 스위치와, 상기 피청소면과의 접촉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위치를 폐쇄시키는 안전 장치 본체와, 이 안전 장치 본체에 설치된 아암부와, 상기 안전 장치 본체의 이동을 저지 가능한 구체 형상의 추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부는, 아암부 본체와, 이 아암부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추를 가동적으로 수용하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벽부를 갖고,
상기 추는, 상기 케이스체의 상하를 반대로 한 상태에서 상기 오목부로부터 외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아암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안전 장치 본체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암부의 오목부의 양측에 벽부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아암부의 강도를 구조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아암부의 재질의 경도를 상대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추와 아암부의 접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흡입구체 및 소음 억제가 가능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흡입구체의 안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고, (a1)은 흡입구체를 피청소면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에서의 스위치와 안전 장치 본체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a2)는 흡입구체를 피청소면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에서의 안전 장치 본체와 추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b1)은 흡입구체를 피청소면 위에 놓은 상태에서의 스위치와 안전 장치 본체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b2)는 흡입구체를 피청소면 위에 놓은 상태에서의 안전 장치 본체와 추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c1)은 흡입구체의 케이스체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에서의 스위치와 안전 장치 본체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c2)는 흡입구체의 케이스체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에서의 안전 장치 본체와 추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상기 안전 장치 본체를 나타내고, (a)는 안전 장치 본체의 평면도, (b)는 안전 장치 본체의 측면도.
도 3은 상기 흡입구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상기 흡입구체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상기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기 청소기
13 : 청소기 본체
19 :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
27 : 전동 송풍기
31 : 케이스체
33 : 흡입구
34 :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
35 : 모터
36 : 안전 장치
52 : 안전 장치 본체
53 : 추
56 : 스위치
64 : 아암부
64a : 아암부 본체
64b : 벽부
64c : 오목부
F : 피청소면인 바닥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참조 부호 11은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관부(12)와, 이 관부(1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청소기 본체(13)를 갖고 있다.
관부(12)는 청소기 본체(13)에 접속되는 직관 형상의 접속관부(15)와, 이 접속관부(15)의 선단측에 연통되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체(16)와, 이 호스체(16)의 선단측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부(17)와, 이 손잡이 조작부(17)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18)과, 이 연장관(18)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19)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부(17)에는, 파지부(21)가 호스체(16)측으로 돌출되고, 이 파지부(21)에는 조작용의 설정 버튼(22)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3)는 전동 송풍기(27)를 수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동 송풍기실과, 이 전동 송풍기실에 연통되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 집진실을 내부에 구비하고, 양측에 설치된 주행륜(28)(한쪽만 도시)에 의해 피청소면인 바닥면(F)(도 1) 위를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 집진실에는 관부(12)의 기단부측인 접속관부(15)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집진실에는 집진 주머니인 종이 팩, 혹은 집진 장치인 집진 컵 등의 도시하지 않은 집진부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27)는, 청소기 본체(13) 내에 수용된 도시하지 않은 이차 전지, 혹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 코드를 통하여 접속된 상용 교류 전원 등으로부터 급전되어, 청소기 본체(13) 내의 제어 수단인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의해, 설정 버튼(22)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동작 모드로 동작되어 관부(12)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진애를 흡입하는 것이다.
또한, 바닥 브러시(19)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가로로 길게 형성된 케이스체(31)와, 이 케이스체(31)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연장관(18)에 접속되는 접속관(3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체(31)에는, 바닥면(F)에 대향하는 하면에 가로로 긴 흡입구(33)가 개구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흡입구(33) 내에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3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체(31)의 내부에는 회전 브러시(34)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35)와, 이 모터(35)에의 급전을 가능하게 하거나, 급전을 차단하거나 하기 위한 안전 장치(36)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체(31)는 상측이 개구된 하부 케이스(41)와, 이 하부 케이스(41)의 상측을 덮는 상부 케이스(42)와, 이들 케이스(41, 42) 사이에 끼움 지지되는 완충 부재인 범퍼(43)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33)는 하부 케이스(41)의 하면(41a)에 개구 형성되어 있고, 접속관(32)에 연통되어 있다.
회전 브러시(34)는 긴 형상의 회전축(45)의 주위로 블레이드 혹은 털 브러시 등의 긴 형상의 복수의 청소 부재(46)가, 회전축(45)의 축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45)은, 양단부가 베어링(47, 47)을 개재하여 하부 케이스(41)의 흡입구(33)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베어링(47)에는 전달 수단인 벨트(48)를 통하여 모터(35)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터(35)는 케이스체(31) 내에 있어서, 흡입구(33)의 후방의 일측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모터(35)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접속관(32), 연장관(18)(도 5), 호스체(16)(도 5) 및 접속관부(15)(도 5)를 개재하여 청소기 본체(13)(도 5)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 청소기 본체(13)(도 5)측의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급전되고 있다. 또한, 이 모터(35)는 설정 버튼(22)(도 5)의 조작에 의해 구동의 온 오프를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전 장치(3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체(31) 내에 있어서 흡입구(33)의 후방의 타측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안전 장치(36)는 모터(35)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1)와, 케이스체(31)에 이동 가능,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 형상의 안전 장치 본체(52)와, 케이스체(31)의 상하 방향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인 구체 형상의 추(5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51)는 모터(35)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 회로를 실장한 기판부(55)와, 이 기판부(55)의 모터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항시 개방의 스위치(56)를 갖고 있다.
기판부(55)는 안전 장치 본체(5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56)는 청소기 본체(13)측의 전원과 모터(35) 사이에 위치하고, 전원으로부터 모터(35)에의 급전을 가능하게 하거나, 이 급전을 차단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스위치(56)는, 예를 들어 융단 등의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와 다다미(주 : 일본식 돗자리) 등의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 등의 청소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조건 선택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이 조건 선택 스위치에 의해 융단 등의 회전 브러시(34)의 회전 구동을 필요로 하는 바닥면 청소의 경우를 선택하고 있는 경우에만 모터(35)에의 급전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위치(5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 형상의 스위치 본체(56a)와, 이 스위치 본체(56a)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접점 조작부인 접점 아암(56b)을 갖고 있으며, 이 접점 아암(56b)의 선단측이 스위치 본체(56a)측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함으로써 스위치(56)가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점 아암(56b)은 선단측이 스위치 본체(56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안전 장치(36)에 있어서의 안전 장치 본체(52)는 도 1,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의 일단부측에 스위치(56)를 폐쇄시키기 위한 스위치 절환부인 접촉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축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바닥면(F)에 접촉 가능한 회전 롤러(62)를 축지지하는 축지지부(63, 63)가 축 방향에 교차하도록 직경 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일체 형성되고, 또한 축 방향의 타단부측에 아암부(64)가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안전 장치 본체(52)는 하부 케이스(41)와, 이 하부 케이스(41)의 상부에 설치된 커버체(65)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안전 장치 본체(52)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는 이 안전 장치 본체(52)를 회전 방향으로 압박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6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안전 장치 본체(52)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POM) 등의 비교적 부드러운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접촉부(61)는 안전 장치 본체(52)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전 장치 본체(52)를 케이스체(31)에 설치한 상태에서 스위치(56)의 접점 아암(56b)의 선단측의 하방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접촉부(61)는 회전 롤러(62)의 바닥면(F)에의 접촉에 의해 안전 장치 본체(52)가 회전함으로써 접점 아암(56b)의 선단측을 스위치 본체(56a)측으로 눌러 스위치(56)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롤러(62)는 안전 장치 본체(52)를 케이스체(31)에 설치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41)의 하면(41a)에 개구 형성된 안전 장치용 개구부(68)(도 4)로부터 케이스체(31)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 롤러(62)는 외주면에 기모천(62a)이 설치되어 있고, 토션 스프링(66)에 의해 이 회전 롤러(62)가 케이스체(31)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압박되어 있음으로써 바닥 브러시(19)를 바닥면(F) 위에 놓은 상태에서 바닥면(F)에 항상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지지부(63, 63)는 회전 롤러(62)의 회전축(62b)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축지지 구멍(63a)을 각각 갖고 있다.
아암부(64)는 가늘고 긴 팔 형상으로 연장되는 아암부 본체(64a)와, 이 아암부 본체(64a)의 양측에 일체 형성된 벽부(64b, 64b)를 갖고 있다.
아암부 본체(64a)는 안전 장치 본체(52)에 대하여, 후방 하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방 전방측으로 되접듯이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아암부 본체(64a)에는 추(53)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64c)가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도 1의 (a2)). 또한, 도 1의 (a1) 내지 도 1의 (b2)에 있어서, 우측이 바닥 브러시(19)(도 4)의 전방측이며, 좌측이 바닥 브러시(19)(도 4)의 후방측이다.
오목부(64c)는 양측이 벽부(64b, 64b)에 의해 구획되고, 안전 장치 본체(52)의 상방 전방측에 개구(64d)를 갖고 있다. 즉, 이 오목부(64c)는 최심부가 안전 장치 본체(52)의 후방 하측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부(64c)는 안전 장치 본체(52)가 최대로 회전한 상태에서도 개구(64d)가 하방을 향하지 않는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도 1의 (b2)), 바닥 브러시(19)(도 4)의 상하를 바르게 한 상태에서는 안전 장치 본체(52)의 회전에 상관없이, 추(53)가 오목부(64c)로부터 전방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벽부(64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아암부 본체(64a)의 기단부와 선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부(64b, 64b)의 간격은 추(53)의 직경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오목부(64c) 내에서의 추(53)의 좌우 양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64c)는 추(53)의 좌우 방향으로의 릴리프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각 벽부(64b)에는 구멍부(64e)가 각각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부(64e)는, 예를 들어 안전 장치 본체(52)의 성형 시의 발취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안전 장치 본체(52)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이들 구멍부(64e)는 추(53)가 이들 구멍부(64e)를 통하여 오목부(64c)로부터 밖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그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구멍부(64e)의 형상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절결 형상뿐만 아니라, 벽부(64b)를 뚫어 형성한 구멍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이들 구멍부(64e)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65)는 안전 장치용 개구부(68)(도 4)를 덮는 커버부(65a)와, 이 커버부(65a)의 측부에 일체 형성된 규제부인 가이드부(65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커버체(65)는 하부 케이스(41)와 상부 케이스(42)(도 5)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움 지지 고정되어 있다.
커버부(65a)의 상부에는 제어부(51)의 기판부(5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부(65c)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65b)는 아암부(64)가 내부에 위치하는 아암부 수용부(69)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용의 리브부이며, 평면에서 볼 때 전방에 개구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부(65b)의 폭 치수는 아암부(64)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66)은 안전 장치 본체(52)를 회전 롤러(62)가 안전 장치용 개구부(68)(도 4)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즉 접촉부(61)가 스위치(56)의 접점 아암(56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바꾸어 말하면 접점 아암(56b)이 스위치 본체(56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53)는, 예를 들어 철 등의 비중이 큰 금속에 의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코어부를 중심으로 하여, 이 코어부의 외주에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부재가, 예를 들어 1.0㎜ 내지 1.5㎜ 정도의 소정의 두께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코어부의 외주면의 대략 전체가 탄성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구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체(31)의 상하를 바르게 한 도 1의 (a1) 내지 도 1의 (b2)에 도시된 상태, 즉 흡입구(33)(도 4)를 바닥면(F)측에 대향시키는 상태에서 추(53)가 오목부(64c)의 개구(64d)로부터 이 오목부(64c)의 외부로 쉽게 튀어나오지 않도록 소정의 중량을 갖고 있다.
또한, 추(5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64)의 전방에 위치하는 돌출 방지 벽부(W)에 의해, 진동 등에 의해 전방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일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청소할 때는, 도 5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13)의 본체 집진실에 집진부를 설치하고, 전원 코드를 콘센트에 접속하는 등, 전동 송풍기(27)에의 급전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청소기 본체(13) 내의 제어 회로가 전동 송풍기(27)를 구동시킨다.
작업자는 바닥면(F)(도 1) 위에 바닥 브러시(19)를 놓고, 파지부(21)를 파지하여 바닥 브러시(19)를 전후로 주행시킴으로써 전동 송풍기(27)의 부압의 작용에 의해 흡입구(33)(도 4)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를 흡입한다. 이 흡입된 공기는 흡입풍이 되어 진애와 함께 접속관(32), 연장관(18), 호스체(16) 및 접속관부(15)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13)의 본체 집진실로 흡입되어, 이 본체 집진실 내의 집진실에 의해 진애가 포집된다. 그리고, 이 진애가 포집된 흡입풍은 전동 송풍기실 내의 전동 송풍기(27)의 흡입측에 흡입되고, 이 전동 송풍기(27) 내를 냉각하면서 통과하여 배기풍이 되어, 청소기 본체(13)의 배기 구멍으로부터 이 청소기 본체(13)의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작업자는, 예를 들어 융단 등의 바닥면(F)을 청소할 때는 설정 버튼(22)을 조작하여 회전 브러시(34)를 적절히 회전 구동시킨다.
여기서, 도 1의 (a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19)(도 4)를 바닥면(F)으로부터 이격한(뜨게 한) 상태에서는 토션 스프링(66)(도 2)의 압박에 의해, 안전 장치 본체(52)는 회전 롤러(62)가 케이스체(31)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회전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안전 장치 본체(52)의 접촉부(61)가 스위치(56)의 접점 아암(56b)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접점 아암(56b)이 스위치 본체(56a)로부터 이격되고 스위치(56)가 개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회전 브러시(34)(도 4)는 설정 버튼(22)(도 5)을 조작해도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도 1의 (a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53)는 아암부(64)의 오목부(64c) 내의 최심부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도 1의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19)(도 4)를 바닥면(F) 위에 놓으면 회전 롤러(62)가 바닥면(F)에 접촉하고, 바닥 브러시(19)(도 4)의 중량에 의해 안전 장치 본체(52)가 토션 스프링(66)(도 2)의 압박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 롤러(62)가 안전 장치용 개구부(68)(도 4) 내로 인입한다.
또한, 접촉부(61)가 스위치(56)의 접점 아암(56b)의 선단측을 스위치 본체(56a)측으로 눌러 회전시킴으로써 스위치(56)가 폐쇄된다. 그 결과, 전원으로부터 모터(35)로 급전 가능해진다.
그리고, 조건 선택 스위치에 의해 융단 등의 회전 브러시(34)(도 4)의 회전 구동을 필요로 하는 바닥면의 청소의 경우를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설정 버튼(22)(도 5)을 조작하면 제어부(51)(도 3)의 모터 제어 회로가 모터(35)를 회전 구동시켜 이 모터(35)의 회전 구동을 벨트(48)(도 4)가 베어링(47)으로 전달함으로써 회전 브러시(34)(도 4)가 회전한다.
이때, 도 1의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64)는 추(53)가 오목부(64c)의 최심부에 유지된 상태 그대로 안전 장치 본체(52)와 일체로 회전한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회전 브러시(34)의 회전에 의해 바닥면(F)(도 1)에 들어온 진애가 청소 부재(46)에 의해 붙잡아내어져 흡입구(33)로부터 순차적으로 흡입된다. 또한, 회전 브러시(34)의 회전 방향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c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19)(도 4)의 케이스체(31)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 즉 하부 케이스(41)의 하면(41a)이 상측으로 되도록 바닥 브러시(19)(도 4)를 상하 반전시킨(뒤집은) 상태에서는 아암부(64)의 오목부(64c)의 개구(64d)가 하방을 향한다.
그 결과, 오목부(64c) 내에 수용된 추(53)가 이 개구(64d)로부터 오목부(64c)의 외부로 튀어나와, 아암부(64)의 아암부 본체(64a)의 선단측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유지부로서의 보스(70)의 상단부에 유지되며 규제 벽부(71)에 의해 추(53)의 동작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아암부 본체(64a)의 선단부가 추(53)에 접촉됨으로써 안전 장치 본체(52)의 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도 1의 (c1)에 도시된 회전 롤러(62)를 누를 수 없게 되며, 따라서 스위치(56)(도 1의 (c1))가 폐쇄되는 일이 없어, 모터(35)(도 4)에 급전되지 않아, 회전 브러시(34)(도 4)의 회전이 저지된다. 그 결과, 바닥 브러시(19)(도 4)를 상하 반전시킨 상태에서 회전 브러시(34)(도 4)를 실수로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소가 종료되면 작업자는 설정 버튼(22)(도 5)을 적절하게 조작하여 회전 브러시(34)의 회전, 및 전동 송풍기(27)(도 5)의 구동을 각각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전 장치 본체(52)의 아암부(64)의 오목부(64c)의 양측에 벽부(64b)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안전 장치 본체(52)의 아암부(64)에서의 강도를 구조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아암부(64)(안전 장치 본체(52))의 재질을 종래와 같이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등의 경질의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경도(강도)를 저하시킨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케이스체(31)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에서의 오목부(64c)로부터 돌출된 추(53)와 아암부(64)의 아암부 본체(64a)의 선단부의 접촉, 케이스체(31)(바닥 브러시(19)(도 4))를 바닥면(F)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 혹은 케이스체(31)(바닥 브러시(19)(도 4))를 바닥면(F)에 놓은 상태 등에서의 추(53)와 아암부(64) 및 벽부(64b) 등의 접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추(53)는 케이스체(31)를 상하 바르게 한 상태에서 오목부(64c)로부터 상방으로 튀어나와 안전 장치 본체(52)의 회전을 저지하면 통상의 사용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회전 브러시(34)(도 4)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튀어나오지 않도록 비중이 큰 금속 등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암부(64)는 오목부(64c)를 형성하기 위해 만곡 형상이며, 또한 가늘게 형성되는 한편, 케이스체(31)를 상하 반전시킨 상태에서 회전 브러시(34)(도 4)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비중이 큰 추(53)와 접촉시킬 필요가 있어 추(53)와의 접촉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강도가 필요하게 되어 종래의 구성에서는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구성에서는 경질의 아암부(64)와, 비중이 큰 추(53)의 충돌에 의해 금속적인 충돌음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부(64)를 벽부(64b)에 의해 상자 형상으로 하여 구조적으로 강화함으로써 아암부(64)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비교적 경도가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아암부(64)를 더 작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추(53)도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아암부(64)와 추(53)의 접촉 시의 소음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추(53)는 아암부(64)의 양측으로의 이동이 아암부(64)를 수용하는 아암부 수용부(69)를 구획하는 커버체(65)의 가이드부(65b)에 의해 규제되어 있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부(64) 자체의 벽부(64b, 64b)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
가이드부(65b)의 폭 치수는 안전 장치 본체(52)의 회전에 의해 아암부(64)와 접촉하지 않도록 이 아암부(64)의 양측부에 대하여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필요해지므로 종래의 구성에서는 추(53)의 좌우 방향으로의 가동 폭이 가이드부(65b)의 폭 치수가 되어 있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추(53)의 좌우 방향으로의 가동 폭이 벽부(64b, 64b) 사이의 치수가 되므로 추(53)의 좌우 방향으로의 가동 폭을 더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추(53)와 아암부(64)의 접촉 시의 충격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이 접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더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벽부(64b, 64b)를 아암부(64)에 형성함으로써 추(53)와 접촉했을 때의 아암부(64) 자체의 진동도 억제되어 소음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추(53)로서 금속제의 구체를 사용함으로써 크기를 작게 해도 충분한 비중을 쉽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추(53)의 주위를 탄성 부재에 의해 포위 유지함으로써 추(53)와 안전체(52)의 아암부(64)의 접촉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전 장치 본체(52)는 회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면(F)과 일부가 접촉됨으로써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여 스위치(56)를 폐쇄 가능한 구성이면 임의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추(53)로서는 충분한 비중을 얻을 수 있으면 금속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Claims (4)

  1. 하면에 개구된 흡입구를 구비한 케이스체와,
    상기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청소체와,
    이 회전 청소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케이스체의 하측이 하방의 피청소면에 대하여 접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에 급전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케이스체의 하측이 하방의 피청소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에의 급전을 차단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 장치는,
    전원측과 상기 모터측 사이에 접속된 항시 개방의 스위치와,
    상기 피청소면과의 접촉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위치를 폐쇄시키는 안전 장치 본체와,
    이 안전 장치 본체에 설치된 아암부와,
    상기 안전 장치 본체의 이동을 저지 가능한 구체 형상의 추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부는,
    아암부 본체와,
    이 아암부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추를 가동적으로 수용하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벽부를 갖고,
    상기 추는, 상기 케이스체의 상하를 반대로 한 상태에서 상기 오목부로부터 외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아암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안전 장치 본체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는 금속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는 주위가 탄성 부재에 포위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4.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 가능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입구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100017449A 2009-02-27 2010-02-26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KR101071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46442 2009-02-27
JP2009046442A JP2010200803A (ja) 2009-02-27 2009-02-27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321A KR20100098321A (ko) 2010-09-06
KR101071040B1 true KR101071040B1 (ko) 2011-10-06

Family

ID=4296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449A KR101071040B1 (ko) 2009-02-27 2010-02-26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0200803A (ko)
KR (1) KR101071040B1 (ko)
CN (1) CN201668347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668347U (zh) 2010-12-15
JP2010200803A (ja) 2010-09-16
KR20100098321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80383A1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20200119063A (ko) 청소기, 충전기구, 및 이들을 포함하는 청소기 패키지
KR101496008B1 (ko)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JP2014000137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101071040B1 (ko)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JP6800048B2 (ja) 電気掃除機の寝具用吸込口体
KR102015320B1 (ko) 청소기
JP2006198152A (ja) 電気掃除機
JP461215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3797461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5147475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2010273872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US6732404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exhaust air return feature
JP5380160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6572080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18082895A (ja) 電機掃除機
JP3865987B2 (ja) 電気掃除機
JP2010046432A (ja) 電気掃除機
CN112971590B (zh) 吸入口体以及电动吸尘器
JP2010200801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WO2017183254A1 (ja) 電気掃除機
JP3731725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6801244B2 (ja) 電気掃除機
JP5275732B2 (ja) 電気掃除機
KR101054526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