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755B1 -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755B1
KR101070755B1 KR1020090037790A KR20090037790A KR101070755B1 KR 101070755 B1 KR101070755 B1 KR 101070755B1 KR 1020090037790 A KR1020090037790 A KR 1020090037790A KR 20090037790 A KR20090037790 A KR 20090037790A KR 101070755 B1 KR101070755 B1 KR 10107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charge trap
oxide
oxide lay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866A (ko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75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33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9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memory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터널 옥사이드, 터널 옥사이드의 상면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 터널 옥사이드 내에,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 2 전하 포획 영역,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과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 사이에 노출된 터널 옥사이드 상에 형성된 블로킹 옥사이드 및 블로킹 옥사이드 상에 형성된 콘트롤 게이트를 포함한다.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Description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DEVICE FOR NON-VOLATILE MEMORY OF MULTI-FUNC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본 발명은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구동 전압으로 전하를 포획하거나 소거시킬 수 있는 전하 포획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구동 전압으로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소거할 수 있는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전원 전압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고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정보 통신 장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정보 통신 장치가 저전력화되고, 다기능화됨에 따라서, 낮은 구동 전압, 높은 신뢰성, 대용량화 및 고집적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구동 전압이 높아서, 저전력화가 힘들고, 다기능화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구동 전압으로 전하를 포획하거나 소거시킬 수 있는 전하 포획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구동 전압으로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소거할 수 있는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터널 옥사이드, 상기 터널 옥사이드의 상면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 상기 터널 옥사이드 내에, 상기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 2 전하 포획 영역, 상기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과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 사이에 노출된 상기 터널 옥사이드 상에 형성된 블로킹 옥사이드 및 상기 블로킹 옥사이드 상에 형성된 콘트롤 게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이 금속 나노 크리스탈 또는 반도체 나노 크리스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은 실리콘질화막 또는 비정질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은 상기 터널 옥사이드 내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1 nm ~ 4 nm 높이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옥사이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옥사이드층의 상면에 서로 분리하여 제 1 전하 포획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옥사이드층 내에, 상기 제 1 전하 포획층들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제 2 전하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하 포획층들과 제 1 전하 포획층들 사이에 노출된 상기 제 1 옥사이드층 상에 제 2 옥사이드층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옥사이드층 상에 콘트롤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옥사이드층, 상기 제 1 전하 포획층, 상기 제 2 옥사이드층, 상기 콘트롤 게이트층을 각각 식각하여 터널링 옥사이드,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 블로킹 옥사이드, 콘트롤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은 금속 나노 크리스탈 또는 반도체 나노 크리스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은 실리콘질화막 또는 비정질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은 상기 제 1 옥사이드층 내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1 nm ~ 4 nm 높이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다양한 구동 전압으로 전하를 포획하거나 소거시킬 수 있는 전하 포획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구동 전압으로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소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반도체 기판(1000), 터널 옥사이드(1101),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1211, 1221), 제 2 전하 포획 영역(1300), 블로킹 옥사이드(1401) 및 콘트롤 게이트(1501)를 포함한다.
이러한 터널 옥사이드(1101)는 반도체 기판(1000) 상에 형성되며,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1211, 1221)은 터널 옥사이드(1101)의 상면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2 전하 포획 영역(1300)은 터널 옥사이드(1101) 내에,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1211, 1221)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 2 전하 포획 영역(1300)은 금속 나노 크리스탈 또는 반도체 나노 크리스탈로 형성되거나, 실리콘질화막 또는 비정질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전하 포획 영역(1300)은 상기 터널 옥사이드(1101) 내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1000)으로부터 1 nm ~ 4 nm 높이(H)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로킹 옥사이드(1401)는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1211, 1221) 과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1211, 1221) 사이에 노출된 터널 옥사이드(1101) 상에 형성되며, 콘트롤 게이트(1501)는 블로킹 옥사이드(1401)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터널 옥사이드(1101) 내에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1211, 1221)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제 2 전하 포획 영역(1300)이 형성됨으로써,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1211, 1221)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보다는 낮은 구동 전압으로 제 2 전하 포획 영역(1300)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소거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반도체 기판(1000) 상에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 등으로 SiO2의 제 1 옥사이드층(1100)을 2 nm ~ 15 nm 두께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옥사이드층(1100)의 상면에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 등으로 SiN 막을 2 nm ~ 10 nm 형성한 후에, 식각 공정으로 SiN막을 서로 분리하여 제 1 전하 포획층들(1210, 122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옥사이드층(1100) 내에, 이온 주입(ion implantation) 공정 등으로 제 1 전하 포획층들(1210, 1220)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제 2 전하 포획 영역(1300)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 2 전하 포획 영역(1300)은 금속 나노 크리스탈 또는 반도체 나노 크리스탈로 형성되거나, 실리콘질화막(SiN) 또는 비정질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전하 포획 영역(1300)은 상기 제 1 옥사이드층(1100) 내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1000)으로부터 1 nm ~ 4 nm 높이(H)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전하 포획층들(1210, 1220)과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1210, 1220) 사이에 노출된 제 1 옥사이드층(1100) 상에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 등으로 SiO2의 제 2 옥사이드층(1400)를 제 1 전하 포획층으로부터 3 nm ~ 10 nm 두께로 형성하고, 제 2 옥사이드층(1400) 상에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등으로 비정질 폴리 실리콘의 콘트롤 게이트층(150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1 옥사이드층(1100), 제 1 전하 포획층들(1210, 1220), 제 2 옥사이드층(1400), 콘트롤 게이트층(1500)을 각각 식각하여 터널 옥사이드(1101),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1211, 1221), 블로킹 옥사이드(1401), 콘트롤 게이트(1501)를 형성하고, 불순물을 이온 주입 공정으로 주입하여 소오스(1611)와 드레인(1621)을 형성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공정 단면도들.

Claims (8)

  1.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터널 옥사이드;
    상기 터널 옥사이드의 상면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
    상기 터널 옥사이드 내에, 상기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 2 전하 포획 영역;
    상기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과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 사이에 노출된상기 터널 옥사이드 상에 형성된 블로킹 옥사이드; 및
    상기 블로킹 옥사이드 상에 형성된 콘트롤 게이트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은 금속 나노 크리스탈 또는 반도체 나노 크리스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은 실리콘질화막 또는 비정질 폴리 실리콘으로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은 상기 터널 옥사이드 내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1 nm ~ 4 nm 높이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5.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옥사이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옥사이드층의 상면에 서로 분리하여 제 1 전하 포획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옥사이드층 내에, 상기 제 1 전하 포획층들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제 2 전하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하 포획층들과 제 1 전하 포획층들 사이에 노출된 상기 제 1 옥사이드층 상에 제 2 옥사이드층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옥사이드층 상에 콘트롤 게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옥사이드층, 상기 제 1 전하 포획층, 상기 제 2 옥사이드층, 상기 콘트롤 게이트층을 각각 식각하여 터널링 옥사이드, 제 1 전하 포획 영역들, 블로킹 옥사이드, 콘트롤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 리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은 금속 나노 크리스탈 또는 반도체 나노 크리스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은 실리콘질화막 또는 비정질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2 전하 포획 영역은 상기 제 1 옥사이드층 내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1 nm ~ 4 nm 높이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90037790A 2009-04-29 2009-04-29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7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790A KR101070755B1 (ko) 2009-04-29 2009-04-29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790A KR101070755B1 (ko) 2009-04-29 2009-04-29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866A KR20100118866A (ko) 2010-11-08
KR101070755B1 true KR101070755B1 (ko) 2011-10-07

Family

ID=4340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790A KR101070755B1 (ko) 2009-04-29 2009-04-29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849B1 (ko) * 2012-03-21 2014-02-0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311B1 (ko) 2004-06-09 2006-05-10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0672998B1 (ko) 2005-02-14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그 구동 방법 및 형성 방법
KR100684885B1 (ko) 2005-10-24 200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311B1 (ko) 2004-06-09 2006-05-10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0672998B1 (ko) 2005-02-14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그 구동 방법 및 형성 방법
KR100684885B1 (ko) 2005-10-24 200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866A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078B1 (ko) 수직 채널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집적 회로 장치 및 그제조 방법
US779508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mory cell
TWI381531B (zh) 記憶胞及其製造方法
JP200718432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5268808A (ja) メモリ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50028409A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782941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KR101070755B1 (ko) 멀티 펑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7485531B2 (en) Fabricating method of a non-volatile memory
US20160064401A1 (en) Method to Control the Common Drain of a Pair of Control Gates and to Improve Inter-Layer Dielectric (ILD) Filling Between the Control Gates
US20110018049A1 (en) Charge trapp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750394B (zh) 非揮發性記憶體單元及其形成方法
US8409945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charge trapping non-volatile memory cell
US7875926B2 (en) Non-volatile memory cell
JP2007242216A (ja) メモリ素子及びその動作方法
US20140103419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0695423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70468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7158339A (ja) 集積回路メモリ装置のゲート構造物、ゲ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メモリセル
Oh et al. 3D gate-all-around bandgap-engineered SONOS flash memory in vertical silicon pillar with metal gate
JP536300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41991B1 (ko) 소노스 소자 제조 방법
JP200231396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90810A (ja) 半導体メモリ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236970B (zh) 半导体元件与记忆体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