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587B1 - (2s, 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염 - Google Patents

(2s, 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587B1
KR101070587B1 KR1020057020321A KR20057020321A KR101070587B1 KR 101070587 B1 KR101070587 B1 KR 101070587B1 KR 1020057020321 A KR1020057020321 A KR 1020057020321A KR 20057020321 A KR20057020321 A KR 20057020321A KR 101070587 B1 KR101070587 B1 KR 101070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rane
methylbutyl
carbamoyl
isobutoxymethyl
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960A (ko
Inventor
아츠시 덴도
도시히로 다카하시
도미오 야마카와
가즈키 오카이
스스무 니하시
Original Assignee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C07F1/04Sod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48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poxy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르복실산 및, 피페라진, 아다만탄아민 등으로부터 선택된 유기 아민으로부터의 염을 사용한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이하, "카르복실산" 이라 함) 의 정제, 및 하기 특성을 가지며 저장 안정성이 증진되어 의약품용 원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카르복실산의 결정질 나트륨 염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DSC: 170 내지 175℃ 에서 관찰된 중량 감소를 수반한 발열 피크; 및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특징적 흡수 밴드 (브롬화칼륨 정제 (tablet) 법): 3255, 2950, 2860, 1670, 1630, 1550, 1460, 1435, 1395, 1365, 1310, 1260, 1110, 890 cm-1.

Description

(2S, 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염 {SALT OF (2S,3S)-3-[[(1S)-1-ISOBUTOXYMETHYL-3-METHYLBUTYL]CARBAMOYL]OXIRANE-2-CARBOXYLIC ACID}
본 발명은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염에 관한 것이다.
하기 도시된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이하, 화합물 A 라 함) 는 카텝신-저해 작용을 나타내며, 류마티스 관절염 및 골다공증의 치료약으로서 유용하다 (참고 특허문헌 1: WO 99/11640 팜플렛):
Figure 112005060718281-pct00001
참고 특허문헌 1 에는, 하기 반응식에 따른 화합물 A 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참고 특허문헌 1 의 실시예 48 참조):
Figure 112005060718281-pct00002
일반적으로, 상기 반응식의 출발 에스테르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정제된 화합물 A 를 수득한다.
[발명의 개시]
무정형 화합물 A 는 매우 흡습성이며 열에 대해 매우 불안정하여, 치료약의 제조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가 예상되므로, 약학적 제제용 재료로서 취급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저장 수명이 길고 열적으로 안정한 결정질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화합물 A 를 유리 형태에서 목적한 형태로 전환시키는 염 제조 방법 또는 통상의 재결정화에 따라 결정질 화합물 A 를 제조할 경우, 생성물은 종종 여과하기에는 너무 미세한 결정자 (crystallite) 형태로, 또는 때로 한천과 같은 젤리 형태로 침전된다. 또한, 화합물 A 는 매우 습기를 흡수하기 쉽기 때문에, 공기 중의 수분이 화합물 A 를 결정 상태에서 무정형 상태로 전환시켜, 결과적으로, 생성물의 여과성을 저하시킨다.
화합물 A 의 공업적 제조에 있어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는 번거로운 절차이다. 따라서, 또한 화합물 A 에 대한 간단한 정제 방법의 제공이 요구된다.
화합물 A 를 공업적 규모로 제조할 경우, 화합물 A 를 유리 산 형태로 정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후술되는 유기 아민 염으로부터 화합물 A 를 유리산 형태로 제조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며 공업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에스테르 형태의 화합물 A 를 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 화합물로 가수분해하여 나트륨 또는 칼륨 염으로 직접 전환시키는 것은 제조 방법을 더 단순하고 유리하게 한다.
본 발명은, 저장 수명이 길고 열적으로 안정한 결정질 나트륨 또는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간단하고 공업적으로 유리한, 상기 화합물의 결정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 및 상기 방법에서 사용가능한 유기 아민과의 상기 화합물의 염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하기 특징을 갖는 결정질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DSC: 170 내지 175℃ 에서 관찰된 중량 감소를 수반한 발열 피크; 및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특징적인 흡수 밴드 (KBr 정제): 3255, 2950, 2860, 1670, 1630, 1550, 1460, 1435, 1395, 1365, 1310, 1260, 1110, 890 cm-1.
본 발명은 또한 하기의 특징을 갖는 결정질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DSC: 177℃ 에서 관찰된 중량 감소를 수반한 발열 피크; 및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특징적 흡수 밴드 (KBr 정제법): 3270, 3080, 2950, 2870, 1680, 1625, 1560, 1460, 1380, 1300, 1240, 1110, 895 cm-1.
본 발명은 또한 하기 단계 (1) 내지 (6) 을 포함하는, 결정질 나트륨 또는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에스테르 형태의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을 가수분해하여,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을 수득하는 단계,
(2) 전 단계에서 수득된 카르복실산을 유기 아민과 반응시켜,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과 유기 아민과의 염을 제조하는 단계,
(3) 전 단계에서 수득된 염에 산을 첨가하여,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을 수득하는 단계,
(4) 전 단계에서 수득된 카르복실산을, 물과 지방족 알콜 또는 아세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 화합물과 반응시켜,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을 수득하는 단계,
(5) 전 단계에서 수득된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을 지방족 알콜을 이용하여 재결정화하는 단계, 및
(6) 전 단계에서 재결정화된 생성물을 감압 하에 건조시키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하기 단계 (1) 내지 (4) 를 포함하는, 결정질 나트륨 또는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에스테르 형태의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을 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 화합물과 반응시켜, 나트륨 또는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는 단계,
(2) 전 단계에서 수득된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을 물과 아세톤의 혼합 용매로부터 결정화하여, 결정질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을 수득하는 단계,
(3) 전 단계에서 수득된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을 지방족 알콜을 이용하여 재결정화하는 단계, 및
(4) 전 단계에서 재결정화된 생성물을 감압 하에 건조시키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과 유기 아민과의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과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는 유기 아민과의 염에 관한 것이다:
(R1)(R2)(R3)N
[식 중, R1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기이고; R2 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 또는 아랄킬기이고; R3 은 할로겐 원자, 니트로, 히드록실, 카르복실, 구아니디노, 아미노, 아랄킬-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기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R2 및 R3 은 조합되어, R2 및 R3 이 연결되어 있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리는 추가 질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과 피페라진, 아다만탄 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아르기닌, 리신, 벤자틴 및 메글루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 아민과의 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
본 발명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결정질 나트륨 또는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는 하기의 흐름도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흐름도)
방법 1:
에스테르 형태 (A) → 유리 형태 (B) → 유기 아민과의 염 (C) → 유리 형태 (D) → Na 또는 K 염 (E) → 재결정화된 생성물 (F) → 즉시 건조된 결정자 (G).
또는 이와 달리,
공정 2:
에스테르 형태 (A) → Na 또는 K 염 (E) → 재결정화된 생성물 (F) → 즉시 건조된 결정자 (G).
각 단계는 하기에 기술된다.
(방법 1)
(1) 에스테르 형태 (A) → 유리 형태 (B) 의 단계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콜과 같은 지방족 알콜과 물의 혼합 용매 중에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과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에스테르 (A) 를 가수분해시킨 후 중화하여,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유리 형태 (B)] 을 수득한다.
상기 절차에서, 출발 물질인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에스테르는 지방족 알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 의 1 차, 2 차 또는 3 차 알콜과의 에스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메탄올, n-프로필 알콜 또는 이소프로필 알콜과의 에스테르이다.
출발 물질인 에스테르의 합성을 위해, 예를 들어, (2S,3S)-3-알콕시카르보닐옥시란-2-카르복실산 및 (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아민을 일반적인 축합 방법 (예컨대, DCC-HOSu 법, 산 클로라이드법, 및 산 무수물법) 에 따라 축합시킨다.
(2) 유리 형태 (B) → 유기 아민과의 염 (C) 의 단계
단계 (1) 에서 제조된 유리 형태 (B) 를 용매 중에서 유기 아민과 반응시킨다. 용매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필 알콜 및 이소프로필 알콜과 같은 지방족 알콜; 디에틸 에테르 및 디이소프로필 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지방족 에스테르; 아세톤 및 에틸 메틸 케톤과 같은 지방족 케톤; 및 물이 포함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혼합될 수 있다. 가연성 및 독성을 고려할 때,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목적한 유기 아민과의 염이 수득될 수 있다.
유기 아민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낸다:
(R1)(R2)(R3)N
[식 중, R1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기이고; R2 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 또는 아랄킬기이고; R3 은 할로겐 원자, 니트로, 히드록실, 카르복실, 구아니디노, 아미노, 아랄킬-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기 (아다만틸과 같은 가교된 고리형 탄화수소기 포함) 이거나; 또는 이와 달리, R2 및 R3 은 조합되어, R2 및 R3 이 연결되어 있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리는 추가 질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비용, 독성 및 결정화를 고려할 때, 유기 아민은 바람직하게는 피페라진, 아다만탄 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아르기닌 (바람직하게는 L-형태의), 리신 (바람직하게는 D-형태 또는 DL-형태의), 벤자틴 또는 메글루민이다. D- 또는 DL-리신, 벤자틴, 메글루민 및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과의 염은 추가 가공 없이 즉시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3) 유기 아민과의 염 (C) → 유리 형태 (D) 의 단계
단계 (2) 에서 수득된 유기 아민과의 염 (C) 을 통상의 방식으로 산 (예컨대, 염산) 으로 처리하여, 고순도의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D) 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된 유리 형태 (D) 는 분해 생성물로 인한 피크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9.8 분, 실시예 14 참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 에스테르 형태 (A) 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된 이의 유리 형태 또는 금속 염에 의해 피크가 나타난다.
(나트륨 염의 제조의 경우)
(4) 유리 형태 (D) → Na 염 (E) 의 단계
유리 형태 (D) 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기 용매 중 또는 물을 함유하는 유기 용매 중의 나트륨원을 사용하여 유리 형태 (D) 를 나트륨 염으로 전환시킨다. 나트륨원의 예로는, 나트륨 금속, 나트륨 메톡시드 및 나트륨 에톡시드와 같은 나트륨 알콕시드,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및 나트륨 유기 카르복실레이트가 포함된다.
가연성 및 독성을 고려할 때,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톤의 혼합 용매이다. 물의 함량이 1 내지 5% 의 범위인 경우, 생성물이 고수율로 수득된다.
이렇게 수득된 고체 생성물을 잘 여과하여, 통상의 여과 방법에 의해 생성물을 수거한다.
(5) Na 염 (E) → 재결정화된 생성물 (F) 의 단계
단계 (4) 에서 수득된 고체 나트륨 염 (E) 을 실온 내지 60℃ 의 온도에서 메탄올과 같은 지방족 알콜에 용해시킨 후,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결정질 생성물을 침전시킨다. 가연성 및 독성을 고려할 때,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및 에탄올의 혼합 용매이다. 에틸 아세테이트/알콜의 혼합비가 10/1 내지 5/1 인 경우, 생성물이 고수율로 수득된다.
이렇게 재결정화된 생성물 (F) 을 잘 여과하여, 통상의 여과에 의해 생성물을 수거한다.
(6) 재결정화된 생성물 (F) → 즉시 건조된 결정자 (G)
재결정화된 생성물 (F) 를 질소 가스 흐름 내에서의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즉시 건조시켜, 하기 특징을 갖는 고순도의 결정질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G) 를 고수율로 수득한다:
DSC (실시예 15 에서와 동일함): 170 내지 175℃ 범위의 온도에서 관찰된 질량 감소를 수반한 발열 피크; 및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특징적인 흡수 밴드 (KBr 정제법): 3255, 2950, 2860, 1670, 1630, 1550, 1460, 1435, 1395, 1365, 1310, 1260, 1110, 890 cm-1.
상기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백색 결정질 침상 형태이다.
본 발명의 결정질 Na 염 (실시예 9 에서 기재된) 에 비교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에서, Na 염을, 용액을 응축 건조시켜 수득된 물질 및 여과에 의해 수거된 생성물 두가지 모두와 함께 80℃ 에서 3 일간 방치하고, 재결정화한 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Na 염은 저장 안정성에 있어서 비교용 물질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5 참조) .
(칼륨 염을 제조하는 경우)
(7) 유리 형태 (D) → K 염 (E) 의 단계
유리 형태 (D) 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기 용매 중 또는 물을 함유하는 유기 용매 중의 칼륨원을 사용하여 유리 형태 (D) 를 칼륨 염으로 전환시킨다. 칼륨원의 예로는, 칼륨 금속, 칼륨 메톡시드 및 칼륨 에톡시드와 같은 칼륨 알콕시드,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및 칼륨 유기 카르복실레이트가 포함된다.
가연성 및 독성을 고려할 때,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톤의 혼합 용매이다. 물의 함량이 1 내지 5% 의 범위인 경우, 생성물이 고수율로 수득된다.
이렇게 수득된 고체 생성물을 잘 여과하여, 통상의 여과 방법에 의해 생성물을 수거한다.
(8) K 염 (E) → 재결정화된 생성물 (F) 의 단계
단계 (7) 에서 수득된 고체 칼륨 염 (E) 을 실온 내지 60℃ 의 온도에서 메탄올과 같은 지방족 알콜에 용해시킨 후,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결정질 생성물을 침전시킨다. 가연성 및 독성을 고려할 때,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및 에탄올의 혼합 용매이다. 에틸 아세테이트/알콜의 혼합비가 30/1 내지 10/1 의 범위인 경우, 생성물이 고수율로 수득된다.
이렇게 재결정화된 생성물 (F) 을 잘 여과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생성물을 수거한다.
(9) 재결정화된 생성물 (F) → 즉시 건조된 결정자 (G)
재결정화된 생성물 (F) 을 질소 가스 흐름 내에서의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즉시 건조시켜, 하기 특징을 갖는 고순도의 결정질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G) 를 고수율로 수득한다:
DSC (실시예 15 에서와 동일함): 177℃ 에서 관찰된 중량 감소를 수반한 발열 피크; 및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특징적인 흡수 밴드 (KBr 정제법): 3270, 3080, 2950, 2870, 1680, 1625, 1560, 1460, 1380, 1240, 1110, 895 cm-1.
상기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백색 결정질 침상 형태이다.
본 발명의 결정질 K 염 (실시예 11 에서 기재된) 에 비교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고, 상기 시험에서, K 염을 80℃ 에서 3 일간 방치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K 염은 저장 안정성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5 참조).
(칼슘 또는 리튬 염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언급한 단계 (4) 내지 (9) 와 유사한 단계를 통해, 고순도의 결정질 칼슘 또는 리튬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방법 2)
(1) 에스테르 형태 (A) → Na 또는 K 염 (E)
[Na 염 (E) 의 제조]
방법 1 의 단계 (1) 에 기재된 에스테르 형태 (A) 를 염기성 나트륨 화합물 (예컨대,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과 반응시켜 가수분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응축시킨 후, 아세톤과 같은 수-혼화성 (water-compatible)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염을 결정화시킴으로써, Na 염 (E) 이 수득될 수 있다. 물의 함량이 1 내지 5% 의 범위인 경우, 생성물이 고수율로 수득된다.
[K 염 (E) 의 제조]
에스테르 형태 (A) 를 염기성 칼륨 화합물 (예컨대,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과 반응시켜 가수분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응축시킨 후, 아세톤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염을 결정화시킴으로써, K 염 (E) 이 수득될 수 있다. 물의 함량이 1 내지 5% 의 범위인 경우, 생성물이 고수율로 수득된다.
(2) Na 또는 K 염 (E) → 재결정화된 생성물 (F) → 즉시 건조된 결정자 (G)
Na 염 (E) → 재결정화된 생성물 (F) → 즉시 건조된 결정자 (G) 의 단계는 상술한 방법 1 의 단계 (5) 및 (6) 과 동일할 수 있다.
K 염 (E) → 재결정화된 생성물 (F) → 즉시 건조된 결정자 (G) 의 단계는 상술한 방법 1 의 단계 (8) 및 (9) 와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을 유기 아민과의 염으로 전환시키는 정제 방법, 및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형태를 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 화합물로 가수분해하여, 나트륨 또는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를 직접 제조하는 방법은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스테르 형태를 정제하는 단계를 수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는 단순하고 공업적으로 유리한,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정제 방법이다.
본 발명의 결정질 나트륨 또는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는 긴 저장 수명 및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따라서, 약학적 제제용 재료로서 유용하다.
이렇게 수득된 결정질 나트륨 또는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로부터, 약제를 제조할 수 있다.
약제의 제조를 위해, 상기 염을 통상의 방식에 따라 가공하여, 예를 들어, 정제, 과립, 산제, 캡슐, 현탁제, 주사제 또는 좌제를 생성할 수 있다. 약학적 제제에는, 부형제, 붕해제, 바인더, 윤활제, 염료 및 희석제와 같은 일반 첨가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리 형태 (B) 의 제조
참고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합성된, 미정제 에틸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164.54 g) 를 에탄올 (520 mL)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빙랭하고 (10℃ 이하의 온도에서), 1 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22 mL) 을 적하하였다.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용액을 1.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 하에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물 (340 mL) 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 로 2 회 세척하였다. 수성 부분을 빙랭하는 동안, 6 mol/L 염산 수용액 (110 mL) 을 적하하여 pH 값을 1 로 조정한 후,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 로 2 회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부분을 물 (300 mL) 및 포화 염화 나트륨 수용액 (200 mL) 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류시켜,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139.61 g, 93.1%) 을 오렌지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NMR 데이터는 실시예 6 의 것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2] 유기 아민과의 염 (C) 의 제조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139.61 g) 을 에틸 아세테이트 (630 mL)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빙랭하고 (10℃ 이하의 온도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190 mL) 에 용해시킨 시클로헥실아민 (48.19 g)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건조시켜, 백색 분말 형태의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시클로헥실아민 염 (165.22 g, 88.0%) 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생성물 (1.0 g) 을 에탄올/물-함유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결정질 박편을 제조하였다 (925 mg, 92.5%).
용융점: 128℃ - 129℃;
IR (KBr) cm-1 : 3310, 2950, 2850, 1660, 1620, 1570, 1540, 1460, 1445, 1380, 1360, 1340, 1295, 1250, 1220, 1120, 945, 890; 및
NMR (CDCl3) δ 0.9-1.0 (12H, m), 1.2-1.8 (9H, m), 1.8-1.9 (3H, m), 2.0-2.1 (2H, m), 2.9-3.1 (1H, m), 3.2-3.3 (2H, m), 3.26 (1H, d, J= 2 Hz), 3.39 (2H, d, J= 4 Hz), 3.49 (1H, d, J= 2 Hz), 4.1-4.2 (1H, m), 6.46 (1H, d, J= 9 Hz), 7.7-8.5 (1H, 브로오드 s).
[실시예 3] 유기 아민과의 염 (C) 의 제조 2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6.59 g) 을 디에틸 에테르 (67 mL) 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디에틸 에테르 (18 mL) 에 용해된 벤자틴 (2.75 g) 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에탄올 (6 mL) 을 첨가하여, 분리된 유성 생성물을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84 mL) 를 추가로 첨가하였다. 용액을 빙랭하면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실온에서 감압 하에 건조하여, 백색 분말형태의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벤자틴 염 (7.43 g, 79.6%) 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생성물 (2 g) 을 에탄올/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벤자틴 염 (1.8 g, 90.0%) 을 결정질 박편으로 제조하였다.
용융점: 63℃;
IR (KBr) cm-1: 3400, 3260, 2950, 2850, 1650, 1450, 1380, 1295, 1240, 1110, 890, 740; 및
NMR (CDCl3) δ: 0.9-1.0 (12H, m), 1.3-1.5 (2H, m), 1.5-1.6 (1H, m), 1.8-1.9 (1H, m), 3.1-3.2 (4H, m), 3.9-4.0 (2H, m), 4.1-4.2 (1H, m), 6.36 (1H, d, J= 9 Hz), 7.39 (5H,s).
[실시예 4] 유기 아민과의 염 (C) 의 제조 3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1.31 g) 을 아세톤 (6 mL) 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물 (1.5 mL) 에 용해시킨 메글루민 (0.85 g) 을 첨가하였다. 아세톤 (14 mL) 을 추가로 첨가한 후, 용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공기 중에 건조시키고, 실온에서 감압 하에 추가로 건조시켜,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메글루민 염 (1.28 g, 61.0%) 을 백색 결정질 판상으로 수득하였다.
용융점: 96-98℃;
IR (KBr) cm-1 : 3300, 2950, 1660, 1620, 1590, 1460, 1390, 1305, 1250, 1100, 1080, 1030, 890; 및
NMR (D2O) δ: 0.7-0.9 (12H, m), 1.2-1.4 (2H, m), 1.5-1.6 (1H, m), 1.7-1.8 (1H, m), 2.69 (3H, s), 3.1-3.6 (15H, m), 3.7-3.8 (3H, m), 4.0-4.1 (2H, m).
[실시예 5] 유기 아민과의 염 (C) 의 제조 4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660 mg) 을 에탄올 (3 mL) 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물 (1.0 mL) 에 용해시킨 DL-리신 (336 mg) 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감압 하에 응축시키고, 에탄올 (10 mL) 을 첨가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에탄올로 세척하고, 공기 중에 건조시키고, 실온에서 감압 하에 추가로 건조시켜, 백색 분말형태의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DL-리신 염 (738 mg, 78.6%) 을 수득하였다.
IR (KBr) cm-1 : 2950, 1640, 1460, 1380, 1100, 890; 및
NMR (D2O) δ: 0.7-0.9 (12H, m), 1.2-1.9 (10H, m), 2.93 (2H, t, J= 7 Hz), 3.2-3.5 (6H, m), 3.66 (1H, t, J= 6 Hz), 4.0-4.1 (1H, m).
[실시예 6] 유리 형태 (D) 의 제조 1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시클로헥실아민 염 (165.22 g) 을 물 (400 mL) 과 에틸 아세테이트 (400 mL) 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빙랭하면서 (10℃ 이하의 온도에서), 3 mol/L 염산 수용액 (140 mL) 을 적하하여 pH 값을 약 3 으로 조정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부분을 수거하고, 독립적으로 수성 부분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 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액체 부분 및 상기 수거된 에틸 아세테이트 부분을 혼합하고, 물 (200 mL) 및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200 mL)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류시켜,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122.83 g, 99.9%) 을 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NMR. (CDCl3) δ: 0.9-1.0 (12H, m), 1.3-1.6 (3H, m), 1.8-1.9 (1H, m), 3.1-3.3 (2H, m), 3.43 (2H, d, J= 4 Hz), 3.47 (1H, d, J= 2 Hz), 3.71 (1H, d, J= 2 Hz), 4.1-4.2 (1H, m), 6.50 (1H, d, J= 9 Hz), 9.60 (1H, 브로오드 s).
[실시예 7] 유리 형태 (D) 의 제조 2
실시예 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벤자틴 염, 메글루민 염 또는 DL-리신 염과 같은 아민 염으로부터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을 황색 오일로 제조하였다. NMR 데이터는 실시예 6 에서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8] Na 염 (E) 의 제조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48.59 g) 을 아세톤 (245 mL) 에 용해시키고, 물 (32.9 mL) 에 용해된 탄산나트륨 (8.51 g) 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침전된 무기 염이 용해될 때까지, 상기 용액을 실온 내지 5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아세톤 (200 mL) 을 적하하고, 결정핵 (seed crystal) 을 용액 내에 넣은 후, 용액을 30 분간 교반하였다. 아세톤 (510 mL) 을 재적하하고,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용액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서서히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3% 물-아세톤 (70 mL) 혼합물로 세척하고, 공기 중에 건조시켜, 백색 고체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 이트 (46.1 g, 87,9%) 를 수득하였다. 고체 생성물의 NMR 데이터는 실시예 9 에서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9]
재결정화된 생성물 (F) 및 즉시 건조된 Na 결정자 (G) 의 제조
실시예 8 에서 제조된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25.18 g) 를 50℃ 에서 메탄올 (85 mL) 에 용해시키고,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를 적하하였다. 상기 온도를 여전히 유지하면서, 결정핵을 용액에 넣고, 그 용액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 를 재적하하였다. 상기 온도를 여전히 유지하면서,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를 추가로 적하하고, 또한 에틸 아세테이트 (75 mL) 를 더 적하한 후, 용액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서서히 실온으로 냉각시키면서, 상기 용액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질소 가스 흐름 내에서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5/1) 혼합물 3 회 분량 (40 mL, 25 mL, 25 mL) 으로 세척하였다. 공기 중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기 전에, 결정질 생성물을 40℃ 에서 하룻밤 동안 감압 하에 건조시켜,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21.1 g, 83.9%) 를 백색 결정질 침상으로 수득하였다.
용융점: 170℃ - 175℃ (분해);
IR (KBr) cm-1 : 3255, 2950, 2860, 1670, 1630, 1550, 1460, 1435, 1395, 1365, 1310, 1260, 1110, 890; 및
NMR (D2O) δ: 0.7-0.9 (12H, m), 1.2-1.4 (2H, m), 1.5-1.6 (1H, m), 1.7-1.8 (1H, m), 3.1-3.3 (2H, m), 3.3-3.5 (4H, m), 4.0-4.1 (1H, m).
[실시예 10] K 염 (E) 의 제조
실시예 6 또는 7 에서 제조된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 (4.83 g) 을 아세톤 (23 mL) 에 용해시키고, 물 (4.5 mL) 에 용해된 탄산칼륨 (1.11 g) 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침전된 무기 염이 용해될 때까지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바쓰 (bath) 내에서 50℃ 로 가열하면서 아세톤 (100 mL) 을 적하하고, 결정핵을 용액 내에 넣은 후, 30 분간 교반하였다. 아세톤 (94 mL) 을 재적하하고,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용액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서서히 실온으로 냉각시키면서, 상기 용액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2% 물-아세톤 혼합물 (20 mL) 로 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4.28 g, 81.7%) 를 수득하였다. 고체 생성물의 NMR 데이터는 실시예 11 에서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11] 재결정화된 생성물 (F) 및 즉시 건조된 K 결정자 (G) 의 제조
실시예 10 에서 제조된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500 mg) 를 메탄올 (3.5 mL) 에 용해시 켜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바쓰 내에서 50℃ 에서 가열하면서, 에틸 아세테이트 (12 mL) 를 첨가하고, 결정핵을 용액 내에 넣었다.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용액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3 mL) 를 재적하하였다. 상기 온도를 여전히 유지하면서 상기 용액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서서히 실온으로 냉각시키면서, 상기 용액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자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질소 가스 흐름 내에서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혼합물 (10/1, 10 mL) 로 세척하였다. 공기 중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기 전에, 결정질 생성물을 40℃ 에서 감압 하에 하룻밤 동안 건조시켜,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445 mg, 89.0%) 를 백색 결정질 침상으로 수득하였다.
용융점: 177℃ (분해);
IR (KBr) cm-1 : 3270, 3080, 2950, 2870, 1680, 1625, 1560, 1460, 1380, 1300, 1240, 1110, 895; 및
NMR (D20) δ: 0.8-0.9 (12H, m), 1.2-1.4 (2H, m), 1.5-1.6 (1H, m), 1.7-1.8 (1H, m), 3.2-3.3 (2H, m), 3.3-3.4 (4H, m), 4.0-4.1 (1H, m).
[실시예 12] Na 염 (E) 의 제조 (방법 2)
참고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법 (산 클로라이드법) 에 따라 합성된 미정제 에틸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15.29 g) 를 에탄올 (24 mL) 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 액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물 (24 mL) 에 용해된 탄산나트륨 (2.44 g) 을 적하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를 90℃ 내지 95℃ 에서 2 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류시키고, 잔류물에 물 (50 mL) 을 첨가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2 회 분량으로 세척하고, 물을 감압 하에 증류시켰다. 아세톤 (400 mL) 을 잔류물에 적하하고, 수득된 용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3% 물-아세톤 혼합물 (30 mL) 로 세척하고, 아세톤 (30 mL) 으로 재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10.55 g, 70.3%) 를 수득하였다. 고체 생성물의 NMR 데이터는 실시예 9 에서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13] Na 염 (E) 의 제조 (방법 2)
참고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법 (산 클로라이드법) 에 따라 합성된 미정제 에틸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7.82 g) 를 에탄올 (24 mL) 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빙랭 및 교반하면서, 1 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3.55 mL) 을 적하하였다. 온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용액을 1.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증류시켰다. 잔류물에 물 (39 mL) 을 첨가하고, 수득된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9 mL) 2 회 분량으로 세척한 후, 감압 하에 물을 증류시켰다. 아세톤 (157 mL) 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3% 물-아세톤 혼합물 (30 mL) 로 세 척하고, 아세톤 (30 mL) 으로 재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5.36 g, 69.9%) 를 수득하였다. 고체 생성물의 NMR 데이터는 실시예 9 에서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14] 유리 형태 (D) 의 순도 시험
실시예 6 및 7 에서 수득된 유리 형태 (D) 의 생성물에 순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에서, 각각의 유리 형태 (D) 는 후술되는 HPLC 조건 하에서 분해 생성물로 인한 피크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9.8 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 에스테르 형태 (A) 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된 이의 유리 형태 또는 금속 염에 의해 피크가 나타났다.
(HPLC 조건)
컬럼: YMC-A302 (150 ×4.5 mm),
이동상: 인산2수소나트륨 시약 (pH 3.0)/아세토니트릴 혼합물 (5:2) 0.1 mol/L
유속: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보유시간이 약 13 분이 되도록 제어됨, 및
검출기: UV (210 nm).
[실시예 15] 비교 안정성 시험
(절차)
시료로서, 10 mg 의 나트륨 또는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 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를 칭량하고, 시험관 내에 넣었다. 시료를 자동온도조절기 (thermostat) 내에 80℃ 에서 빛을 차단한 (light-shaded) 밀폐 조건 하에 3 일간 유지시킨 후, 남아있는 물질의 양을 HPLC 로 측정하였다.
(HPLC 조건)
실시예 14 에서와 동일하였다.
(DSC 의 조건: 시차 주사 열량측정)
각각의 나트륨 또는 칼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시료) 및 0.01 g 의 α-알루미나 (표준) 를 용기에 넣고, 2℃/분의 가열 속도로 실온 내지 약 200℃ 로 승온하는 온도로 가열하였다. (시차 주사 열량측정 열천칭 [TAS100, TG-DCS 형, Rigaku Corporation] 을 사용하였다.)
(결과)
결과는 표 1 에 나타나 있다.
DSC 80℃에서 3 일 후의 잔류비(%) 비고
Na 염 157℃ 13 - 77 무정형 > 결정질3)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득됨1))

Na 염 160 - 170℃ 38 - 77 무정형 > 결정질3)
(재결정화 및 공기 중의 건조에 의해 수득됨2))

Na 염 170 - 175℃ 95 - 98 결정질 침상
(실시예 9 에서 수득됨)

K 염 177℃ 99.9 결정질 침상
(실시예 11 에서 수득됨)
1) 응축 건조시켜 수득됨;
2) 재결정화하고 여과에 의해 수거한 후, 실온에서 방치함; 및
3) 결정형 상태보다 무정형 상태가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됨.
표 1 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9 에서 제조된 (염을 재결정화하고, 질소 흐름 내에서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즉시 건조시킨) 결정질 Na 염이, 응축 건조시켜 수득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염 또는 재결정화 및 공기 중에서의 건조에 의해 수득된 염에 비해 저장 안정성이 우수함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또한, 표 1 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1 에서 제조된 결정질 K 염이 또한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하기 특징을 갖는 결정질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2 ℃/분의 가열 상승율에서 측정한 DSC: 170 내지 175℃ 에서 관찰된 중량 감소를 수반한 발열 피크.
  2. 삭제
  3. 하기 단계 (1) 내지 (6) 을 포함하는, 결정질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방법:
    (1)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을 수득하는 단계,
    (2) 전 단계에서 수득된 카르복실산을 유기 아민과 반응시켜,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과 유기 아민과의 염을 제조하는 단계,
    (3) 전 단계에서 수득된 염에 산을 첨가하여,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을 수득하는 단계,
    (4) 전 단계에서 수득된 카르복실산을, 물과 지방족 알콜 또는 아세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염기성 나트륨 화합물과 반응시켜 나트륨 염을 수득하는 단계,
    (5) 전 단계에서 수득된 나트륨 염을 지방족 알콜을 이용하여 재결정화하는 단계, 및
    (6) 전 단계에서 재결정화된 생성물을 감압 하에 건조시키는 단계.
  4. 하기 단계 (1) 내지 (4) 를 포함하는, 결정질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방법:
    (1)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를 염기성 나트륨 화합물과 반응시켜,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는 단계,
    (2) 전 단계에서 수득된 나트륨 염을 물과 아세톤의 혼합 용매로부터 결정화하여, 나트륨 염을 수득하는 단계,
    (3) 전 단계에서 수득된 나트륨 염을 지방족 알콜을 이용하여 재결정화하는 단계, 및
    (4) 전 단계에서 재결정화된 생성물을 감압 하에 건조시키는 단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KBr 정제에 의해 측정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특징적 흡수 밴드: 3255, 2950, 2860, 1670, 1630, 1550, 1460, 1435, 1395, 1365, 1310, 1260, 1110, 890 cm-1 인 결정질 나트륨 (2S,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레이트.
KR1020057020321A 2003-04-25 2005-10-25 (2s, 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염 KR101070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1103 2003-04-25
JP2003121103 2003-04-25
PCT/JP2004/005767 WO2004096785A1 (ja) 2003-04-25 2004-04-22 (2s,3s)-3-[[(1s)-1-イソブトキシメチル-3-メチルブチル]カルバモイル]オキシラン-2-カルボン酸の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930A Division KR101124180B1 (ko) 2003-04-25 2004-04-22 (2s, 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960A KR20060004960A (ko) 2006-01-16
KR101070587B1 true KR101070587B1 (ko) 2011-10-06

Family

ID=334100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930A KR101124180B1 (ko) 2003-04-25 2004-04-22 (2s, 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염
KR1020057020321A KR101070587B1 (ko) 2003-04-25 2005-10-25 (2s, 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930A KR101124180B1 (ko) 2003-04-25 2004-04-22 (2s, 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7585988B2 (ko)
EP (1) EP1619190B1 (ko)
JP (1) JP4616168B2 (ko)
KR (2) KR101124180B1 (ko)
CN (1) CN100506811C (ko)
AT (1) ATE493393T1 (ko)
AU (2) AU2004234235A1 (ko)
CA (1) CA2523233C (ko)
DE (1) DE602004030780D1 (ko)
ES (1) ES2358669T3 (ko)
WO (1) WO2004096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6168B2 (ja) * 2003-04-25 2011-01-19 日本ケミファ株式会社 (2s,3s)−3−[[(1s)−1−イソブトキシメチル−3−メチルブチル]カルバモイル]オキシラン−2−カルボン酸の塩
ITMI20051352A1 (it) * 2005-07-15 2007-01-16 Erregierre Spa Processo di preparazi0ne di acido 2-metossicarbonilmetil-6,6-dimetil-2-tetraidropiran carbossilico
JP2011241148A (ja) * 2008-09-08 2011-12-01 Nippon Chemiphar Co Ltd 医療用固形製剤
CA2835913A1 (en) 2011-05-16 2012-11-22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Use of cathepsin k inhibition for the treatment and/or prophylaxis of pulmonary hypertension and/or heart fail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7908B1 (en) 1997-09-04 2002-05-14 Nippon Chemiphar Co., Ltd. Epoxysuccinamide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697B2 (ja) 1985-11-07 1994-07-06 日本ケミフア株式会社 2−(10,11−ジヒドロ−10−オキソジベンゾ〔b,f〕チエピン−2−イル)プロピオン酸の精製法
WO1994021649A1 (en) * 1993-03-25 1994-09-29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Crystalline benzathine salt of cefonicid and its preparation
TW416948B (en) 1993-12-28 2001-01-01 Merck & Co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eukotriene antagonists
US5705496A (en) 1994-03-24 1998-01-06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Crystalline benzathine salt of cefonicid and its preparation
AT404727B (de) 1997-01-16 1999-02-25 Biochemie Gmbh Kristallines salz von cefixim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TW538045B (en) * 1997-01-16 2003-06-21 Biochemie Gmbh Process for purifying cefixime
GB9900339D0 (en) * 1999-01-09 1999-02-24 Zeneca Ltd Chemical compounds
CZ20012761A3 (cs) * 1999-02-03 2002-05-15 Institute For Drug Research Ltd. Mikrobiální způsob výroby pravastatinu
US6682913B1 (en) 1999-02-03 2004-01-27 Institute For Drug Research Ltd. Microbial process for preparing pravastatin
GB9929037D0 (en) 1999-12-08 2000-02-02 Glaxo Wellcome Spa Heterocyclic derivatives
US20020133009A1 (en) 2001-03-13 2002-09-19 Lambrou George N. Method for opening potassium channels
JP4616168B2 (ja) * 2003-04-25 2011-01-19 日本ケミファ株式会社 (2s,3s)−3−[[(1s)−1−イソブトキシメチル−3−メチルブチル]カルバモイル]オキシラン−2−カルボン酸の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7908B1 (en) 1997-09-04 2002-05-14 Nippon Chemiphar Co., Ltd. Epoxysuccinamid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9549A (zh) 2006-07-26
AU2011201257A1 (en) 2011-04-07
DE602004030780D1 (en) 2011-02-10
US7795458B2 (en) 2010-09-14
US8163942B2 (en) 2012-04-24
KR20060004960A (ko) 2006-01-16
WO2004096785A1 (ja) 2004-11-11
EP1619190A1 (en) 2006-01-25
KR20100038475A (ko) 2010-04-14
US20110003993A1 (en) 2011-01-06
ES2358669T3 (es) 2011-05-12
CA2523233C (en) 2012-03-20
JPWO2004096785A1 (ja) 2006-07-13
ATE493393T1 (de) 2011-01-15
AU2011201257B2 (en) 2013-03-21
KR101124180B1 (ko) 2012-03-27
EP1619190B1 (en) 2010-12-29
CA2523233A1 (en) 2004-11-11
JP4616168B2 (ja) 2011-01-19
CN100506811C (zh) 2009-07-01
US20090312563A1 (en) 2009-12-17
US7585988B2 (en) 2009-09-08
EP1619190A4 (en) 2008-07-23
AU2004234235A1 (en) 2004-11-11
US20060252826A1 (en)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585631A (zh) 制备l-草铵膦中间体的方法
KR101070587B1 (ko) (2s, 3s)-3-〔〔(1s)-1-이소부톡시메틸-3-메틸부틸〕카르바모일〕옥시란-2-카르복실산의 염
JP6985179B2 (ja) プロリンア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EP3286168A1 (en) A solid form of apremilast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NZ547354A (en) A process for resolving, optionally substituted, mandelic acids by salt formation with a chiral base cyclic amide
SU554815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симмтриазоло-(4,3-а)-хинолина или их солей
KR20220114626A (ko) 6-카르복시 벤족사졸 유도체의 효율적인 제조 방법
JP7279134B2 (ja) プロリンア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KR101299720B1 (ko) 3-아미노-5-플루오로-4-디알콕시펜탄산 에스테르의 새로운제조방법
SU1417798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S-3-морфолино-4-(3 @ -трет-бутиламино-2 @ -оксипропокси)-1,2,5-тиадиазола
JP2023100917A (ja) プロリンア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EP4313964A1 (en) New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5-{5-chloro-2-[(3s)-3- [(morpholin-4-yl)methyl]-3,4-dihydroisoquinoline-2(1h )-carbonyl]phenyl}-1,2-dimethyl-1h-pyrrole-3-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its application for the production of pharmaceutical compounds
JP2021181407A (ja) アミドアルコール化合物の水和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及びラクトン化合物の製造方法
EP4330255A1 (en) Processes for the synthesis of valbenazine
JPH0446175A (ja) 5―ヒドロキシ―3,4―メチレンジオキシ安息香酸誘導体の製造法
KR820001615B1 (ko) N-펜에틸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JPS58164573A (ja) 1−(4−クロロベンゾイル)−5−メトキシ−2−メチル−3−インド−ルアセトキシ酢酸類の製法
JP2013006804A (ja) ベンゾフェノン誘導体の製造法
JP2002265462A (ja) ニトリル誘導体の製造方法、その中間体および中間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16

Effective date: 201106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