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256B1 -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 Google Patents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256B1
KR101070256B1 KR1020080100486A KR20080100486A KR101070256B1 KR 101070256 B1 KR101070256 B1 KR 101070256B1 KR 1020080100486 A KR1020080100486 A KR 1020080100486A KR 20080100486 A KR20080100486 A KR 20080100486A KR 101070256 B1 KR101070256 B1 KR 101070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etting
controller
safety electronic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344A (ko
Inventor
윤홍근
이주식
Original Assignee
이주식
윤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식, 윤홍근 filed Critical 이주식
Priority to KR102008010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2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3Materials or fluids with special properties
    • B60Y2410/132Magnetic,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차체 또는 도어에 설치되는 일정거리내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 및 경보수단과; 상기 도어의 개폐 혹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수단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경보를 발하는 컨트롤러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용차는 물론 승합차 등의 차량에 간단히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차시 유발될 수 있는 각종 오토바이 등과의 충돌사고도 미연에 방지하고, 개문발차 사고 및 승하차시 개폐되는 도어와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더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승하차, 승객, 개문발차, 충돌, 오토바이, 안전, 도우미

Description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A SAFETY HELPING UNIT FOR GETTING ON AND OFF A CAR}
본 발명은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이 차량에 승차하거나 하차할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행중인 버스와 같은 대형 승합차는 물론 통학을 위한 학원용 소형 승합차 및 택시와 같은 승용차들은 대부분 운전자 1인에 의해 운행되고 있다.
또한, 승차도어와 하차도어의 자동개폐장치의 설치로 인해 하차를 위한 안내보조원 없이도 운전자 1인에 의해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고, 대부분의 승객용 승합차들은 이러한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속에서 승객의 승하차시 안전사고의 위험은 상존해 왔으며, 최근 날로 심화되어지는 교통 환경의 여건은 그 경향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다.
예컨대, 신속한 소형화물의 운송수단으로 대두된 오토바이에 의한 버스 승하차 승객과의 충돌사고는 해를 거듭할수록 더욱 늘어가고 있으며, 특히 도로의 폭이 좁은 곳에서는 더욱 위험하다.
뿐만 아니라, 차량에서 승하차시 노약자나 어린이 등은 주의력과 운동능력이 떨어져, 이를 주의하지 않은 운전자에 의해 개문발차 사고의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승하차시 승객의 소지품이 도어에 걸린다거나 혹은 도복의 띠나 옷자락, 가방끈 등이 도어에 걸렸을 때 운전자가 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도어가 닫히면서 2차적인 인명사고로까지 이어지는 문제도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차량 운전 이외에도 탑승자의 승, 하차시 그들의 안전문제에도 신경을 써야 하므로 피로도를 더욱 가중시키게 되어 안전운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크기가 작고 설치하기 용이한 전자 도우미를 승용차는 물론 승합차 등의 승,하차 도어에 간단히 부착하여 승객의 승하차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시 발생되는 오토바이와의 충돌사고, 개문발차 사고 및 옷이나 도복띠, 가방끈 등이 승,하차도어에 걸려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다 안전한 승하차 문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의 차체 또는 도어에 설치되는 일정거리내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 및 경보수단과; 상기 도어의 개폐 혹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수단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경보를 발하는 컨트롤러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미닫이형 도어가 열릴 경우 열림과 동시에 경보를 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미닫이형 도어가 닫힐 경우 닫힌 후 일정시간동안 수신되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의 해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에 구비된 전원공급용 단자와 접속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며, 이때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도어에 구비된 전원공급용 단자에 연결된 충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의 문틀에 설치된 도어핀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의 주변 차체에 각각 전자석 및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의 원근에 따른 전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소형 건전지이고, 상기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차량에 탈부착이 가능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된 조절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장치는 장치의 온/오프를 조절하거나 상기 경보수단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상기 센서의 감지 시간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를 무선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리모콘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원격리모콘은 장치의 온/오프를 조절하거나 상기 경보수단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상기 센서의 감지 시간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보수단은, 램프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 승용차는 물론 대형 승합차 등의 차량에 간단히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차시 유발될 수 있는 각종 오토바이 등과의 충돌사고도 미연에 방지하고, 개문발차 사고 및 승하차시 개폐되는 도어와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더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의 예시적인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의 예시적인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의 예시도이며, 도 5는 일체형으로 구성된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의 예시도 이다.
[제1실시예]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승합차(100)의 미닫이형 도어(200)에 설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의한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본체하우징(300)과 본체하우징(300)에 연결된 제어박스(320)에 각 구성요소들이 포함된다. 즉, 본체하우징(300)에는 일정거리내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304)와 경보수단(302)이 설치되고, 제어박스(320)에는 도어(200)의 개폐 혹은 센서(304)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수단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경보를 발하는 컨트롤러(324)와 전원공급수단으로서 충전기(322)가 설치되며, 충전기(322)는 도어(200)에 구비된 전원공급용 단자(T)와 연결되어 도어(200)가 닫혔을 경우 충전된다. 본체하우징(300)이나 제어박스(320) 없이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직접 차량의 도어나 차체에 설치될 수도 있 다.
또한, 상기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컨트롤러(324)와 연결된 조절장치(305)나 컨트롤러(324)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원격리모콘(340)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조절장치(305)나 원격리모콘(340)은 장치의 온/오프를 조절하거나 경보수단(302)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센서(304)의 감지 시간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체하우징(300)은 색깔을 가질 수 있는데, 경보를 표시하기 위해 "황색"을 갖도록 형성(도색)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체하우징(300)의 색깔은 예시된 황색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더 강한 경보를 나타내기 위해 "적색"을 가질 수도 있는 바,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주위의 시선을 쉽게 끌 수 있는 색이 좋다.
이는 본체하우징(300)에 내장되는 램프(미도시)가 발광될 때 외부로 표출되는 본체하우징(300)의 색깔에 의해 그 주변에 있는 사람들의 시선을 쉽게 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면에, 본체하우징(300)은 투명하게 형성되고, 램프(미도시)가 특정한 색깔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것의 의미는 램프 자체에서 발광되는 색깔이 특정한 색을 갖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램프, 즉 전구의 표면에 도색된 색깔에 의해 발광되는 색깔이 특정한 색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체하우징(300)에는 경보수단이 구비된다.
경보수단(302)은 스피커 또는/및 램프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경보수단의 하나로서 스피커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경보수단(302) 중 스피커의 경우 는 본체하우징(300)의 외표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피커는 특정 조건하에서 경보음을 발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그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주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는 일정한 형태의 경보음을 주기적으로 혹은 연속적으로 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혹은 사람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하우징(300)의 외표면에는 센서(304)가 구비되는데, 센서(304)는 근접센서가 바람직하며, 이는 센서(304)로부터 일정거리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렇게 구성된 본체하우징(300)은 소형 승합차(100)의 미닫이형 도어(200)의 외측면에 볼트,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데, 경우에 따라서는 영구자석이나 접착제, 양면테이프와 같은 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고, 또 이들이 복합적으로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박스(320)는 미닫이형 도어(200)의 내부에 고정설치 되어 차량 실내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이때, 제어박스(320)에는 전원공급용 충전기(322)와, 제어용 컨트롤러(324)가 내장된다.
여기에서, 제어박스(320)는 반드시 도어(200)의 내부에 고정설치 될 필요는 없으며, 본체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충전기(322)는 12V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통상의 충전기로서 소형 승합차(10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충전기(322)는 일반적으로 미닫이형 도어(200)에 부착된 전원공급용 단자(T)에 연결된다.
이는 소형 승합차(1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것으로, 보통 15인승 이하 소형 승합차(100)의 경우 대부분 12V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용 단자(T)가 미닫이형 도어(200)에 2개 또는 4개 설치되어 있어 미닫이형 도어(200)의 개폐상태를 운전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창문을 열고 닫거나 혹은 도어록을 개폐하는 등 여러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미닫이형 도어(200)가 닫혔을 경우에는 단자(T)를 통해 통전이 일어나 충전기(322)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고, 미닫이형 도어(200)가 열렸을 때에는 충전기(322)에 충전된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단자(T)의 온/오프 신호는 컨트롤러(324)에 인터록되어 본체하우징(300)에 구비된 램프를 발광시키거나 혹은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송출하는 등의 제반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324)는 앞서 설명한 경보수단(302)을 제어하여 램프를 발광시키거나 경보음을 출력하게 되는데, 이를테면 미닫이형 도어(200)가 열릴 때에는 단자(T)의 오프 신호를 기반으로 열림과 동시에 스피커, 램프 또는 이들 모두를 동작시켜 미닫이형 도어(200)가 닫힐 때 까지 계속하여 램프를 발광시키거나 경보음을 출력하게 된다.
반면, 미닫이형 도어(200)가 닫힐 때에는 단자(T)의 온 신호를 기반으로 회로전환되어 센서(304)를 일정시간, 예컨대 2-3초간 가동시키고 그때 검출되는 센 서(304)의 감지신호를 통해 램프 및 경보음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센서(304)가 센싱하는 2-3초의 시간내에 미닫이형 도어(200) 주변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램프 및 경보음을 해제하게 되며, 감지될 경우에는 감지되지 않을 때 까지 지속적으로 램프를 발광시키거나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램프 및 경보음의 출력은 탑승자의 승,하차시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앞서 설명한 경보수단(302)과와 센서(304) 등은 리드선(306)에 의해 컨트롤러(324) 및 충전기(322)와 전기적으로 연결설치된다.
한편, 본체하우징(300) 하단부에는 방수 가능한 조절장치(305)가 부착되어 있는데, 조절장치(305)는 컨트롤러(324)와 연결되어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의 온/오프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램프의 발광이나 경고음을 선택할 수도 있고, 센서(304)의 감지 시간도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324)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원격리모콘(340)에는 컨트롤러(324)가 수행하고 있는 작업의 상황이 표시될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324)를 근거리에서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형 승합차(100)를 이용하여 승객(탑승자)가 승차 혹은 하차할 때 미닫이형 도어(20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일련의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높은 조건들, 예컨대 미닫이형 도어(200) 쪽으로 오토바이나 자전거가 진입하고 있다거나 혹은 옷자락이나 도복의 띠나 각종 소지품 등이 미닫이형 도어(200)에 걸렸다 거나 하는 일이 발생되었을 때 램프가 점멸하면서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주위를 환기시켜 주변 사람들 및 운전자, 그리고 승객들 모두에게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그러한 원인들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더욱 더 안전운전에 집중할 수 있게 되어 피로도의 가중을 막고, 경우에 따라서는 오토바이를 이용한 소매치기와 같은 범죄 발생시 다수의 목격자를 확보할 수도 있어 매우 유용한 안전장비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승합차(100')의 하차도어(200')가 위치한 차체에 설치된다.
이때, 대형 승합차는 도시된 예와 같이 승차도어와 하차도어가 분리된 형태도 있고, 또 하나의 도어를 통해 탑승자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형태도 있으며, 나아가 하차도어의 경우도 미닫이형과 여닫이형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지만 여기에서는 승차도어와 하차도어가 분리되어 있음은 물론 하차도어도 미닫이형인 시내버스의 경우를 바람직한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택시와 같은 승용차 등 다른 형태의 도어의 경우에도 본 발명 제2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설치구조상의 미차만 있을 뿐 사실상 동일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그것과 실질적인 구성은 동일하지만 차량의 구조가 상이하므로 설치구조에 있어 약간의 차이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본체하우징(300)에 센서(304)와 경보수단(302)이 설치되고, 제1실시예와는 달리 컨트롤러(324)가 본체하우징(300)에 설치되며, 전원공급수단으로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V)를 이용하고 차량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해 컨트롤러(324)가 도어(200')의 문틀에 설치된 도어핀 스위치(S)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본체하우징(300) 없이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직접 차량의 도어나 차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도 컨트롤러(324)와 연결된 조절장치(305)나 컨트롤러(324)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원격리모콘(340)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아울러, 대형 승합차(100')의 경우는 12V가 아닌 24V를 전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구동될 수 있도록 회로구성이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며, 또한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대형 승합차(100')의 차량용 배터리(V)등 차량 전원부로부터 직접 연결선(307)을 인출하여 전원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하차도어(200')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하차도어(200') 문틀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핀스위치(S)에 감지선(308)을 인출하여 컨트롤러(3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배선함으로써 하차도어(200')의 개폐에 따른 각종 버스의 개문발차 사고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대처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택시와 같은 승용차의 경우 대부분이 여닫이 도어이며, 대다수의 차량이 앞과 뒤의 도어 사이에 외부에 드러나는 차체의 폭이 적거나 아예 없으므로, 본체하우징(300)을 여닫이 도어에 설치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외관의 미려함을 추구하기 위해 명시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체하우징(300)을 대형 승합차(100')의 차체에 매립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의 동작과정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와 대동소이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
도 5는 도 2의 단자(T) 또는 도 4의 도어핀스위치(S)와 배터리(V)와 같이 기존 차량에 부착된 부속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구비된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단자(T) 또는 도어핀스위치(S)를 이용하지 않고,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본체하우징(300)에 내장된 전자석(310)과 전자석(310)이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된 영구자석(311)을 이용한 것인데, 본체하우징(300)이 도어에 부착되어 있다면 영구자석(311)을 차체에 부착하고, 본체하우징(300)이 차체에 부착되어 있다면 영구자석(311)은 도어에 부착하여, 전자석(310)이 영구자석(311)과 원근접 되는 상황을 감지하여 컨트롤러(324)에 신호를 보내면 도어의 개폐 여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자(T) 또는 배터리(V) 등 차량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소형 건전지(309)를 본체하우징(300)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밖에, 경보수단(302), 물체 감지를 위한 센서(304),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324)의 구성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며, 컨트롤러(324) 기능을 조절하는 조절장치(305)이나 근거리에서 조정가능한 원격리모콘(340)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들의 연결관계 또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이 동일하다.
위와 같이 기존 차량에 부착된 부속 장치와 연결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일체형 승하차 안전 도우미의 경우, 차량에 설치할 때 배선작업이 필요 없어 운전자등 일반인이 쉽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는 특히 일부 시간만 사용하는 지입차량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용이하고, 하나의 제품으로 여러대의 차량에 시간 차이를 두고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종에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각종 차량을 타고 내리는 탑승자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의 예시적인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의 예시적인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체형으로 구성된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소형승합차 100'....대형승합차
200....미닫이형 도어 200'....하차도어
300....본체하우징 302....경보수단
304....센서 305....조절장치
306....리드선 307....연결선
308....감지선 309....건전지
310....전자석 311....영구자석
320....제어박스 322....충전기
324....컨트롤러 340....원격리모콘
T....단자
S....도어핀스위치 V....배터리

Claims (10)

  1. 차량의 차체 또는 도어에 설치되는, 일정거리내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 및 경보수단과;
    상기 도어의 개폐 혹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수단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경보를 발하는 컨트롤러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된 조절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장치는 장치의 온/오프를 조절하거나 상기 경보수단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상기 센서의 감지 시간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가 열릴 경우 열림과 동시에 경보를 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어가 닫힐 경우 닫힌 후 일정시간동안 수신되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의 해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에 구비된 전원공급용 단자와 접속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도어에 구비된 전원공급용 단자에 연결된 충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의 문틀에 설치된 도어핀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의 주변 차체에 각각 전자석 및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의 원근에 따른 전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소형 건전지이고,
    상기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차량에 탈부착이 가능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를 무선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리모콘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격리모콘은 장치의 온/오프를 조절하거나 상기 경보수단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상기 센서의 감지 시간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램프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KR1020080100486A 2008-10-14 2008-10-14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KR101070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86A KR101070256B1 (ko) 2008-10-14 2008-10-14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86A KR101070256B1 (ko) 2008-10-14 2008-10-14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344A KR20100041344A (ko) 2010-04-22
KR101070256B1 true KR101070256B1 (ko) 2011-10-06

Family

ID=4221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486A KR101070256B1 (ko) 2008-10-14 2008-10-14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2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238B1 (ko) 2013-04-16 2013-09-10 (주)렉스뷰 차량 승하차 안전감시시스템
KR101403993B1 (ko) 2013-07-02 2014-06-10 (주)엠트로스 차량 승,하차 안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254B1 (ko) * 2021-04-14 2021-10-13 강무길 차량 부착용 장애물 알림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47Y1 (ko) * 2006-02-17 2006-05-08 유호연 자동차 도어 개방 경보장치
KR100666666B1 (ko) * 2005-06-30 2007-01-09 정영재 차량 도어 닫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62041B1 (ko) * 2007-05-09 2008-10-07 홍종운 차량용 승객 보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666B1 (ko) * 2005-06-30 2007-01-09 정영재 차량 도어 닫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15847Y1 (ko) * 2006-02-17 2006-05-08 유호연 자동차 도어 개방 경보장치
KR100862041B1 (ko) * 2007-05-09 2008-10-07 홍종운 차량용 승객 보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238B1 (ko) 2013-04-16 2013-09-10 (주)렉스뷰 차량 승하차 안전감시시스템
KR101403993B1 (ko) 2013-07-02 2014-06-10 (주)엠트로스 차량 승,하차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344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2923A1 (en) Buckle, seatbelt reminder device using the buckle, and seatbelt device using the seatbelt reminder device
US20030160689A1 (en) Seat belt detection device
CN1372517A (zh) 系带安全报警器
US9508246B2 (en) In-vehicle charging device, automobile and charging system
US20140104053A1 (en) Vehicle occupancy and restraint status indication and driver distraction system
CN109398224A (zh) 增强型车辆安全系统
WO2015107485A1 (en) Child protection system and apparatus
KR20140126928A (ko) 차량용 하차 경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70256B1 (ko)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CN103832332A (zh) 开启汽车门的警示装置
US20120026331A1 (en) Seat Belt Usage Indication
US20160144783A1 (en) Method for vehicle occupancy reminding
EP2796329B1 (en) Proximity detection apparatus for cargo vehicle
CN203698108U (zh) 车门开启及行车转向双向预警系统
US10486592B2 (en) Pedestrian detection system
US20210268990A1 (en) Child car seat safety system
US6819233B2 (en) Prisoner escape seat belt detection and alert system
KR101621857B1 (ko) 어린이 통학용 차량을 위한 지능형 문끼임 방지 시스템 및 동작방법
CN112622759A (zh) 上下车防磕碰提醒系统的控制方法、提醒系统和车辆
CN112810561B (zh) 一种车辆及其乘客防遗留的控制系统和方法
KR102161239B1 (ko) 어르신 운전 배려등 시스템
KR200227955Y1 (ko) 탑승자 하차 사전 예고장치
CN209460948U (zh) 一种基于激光雷达的安全行驶预警系统及预警装置
CN211166452U (zh) 一种车门警示装置和车辆
KR101793865B1 (ko) 자동차의 스마트 테일게이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