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254B1 - 차량 부착용 장애물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부착용 장애물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254B1
KR102311254B1 KR1020210048128A KR20210048128A KR102311254B1 KR 102311254 B1 KR102311254 B1 KR 102311254B1 KR 1020210048128 A KR1020210048128 A KR 1020210048128A KR 20210048128 A KR20210048128 A KR 20210048128A KR 102311254 B1 KR102311254 B1 KR 102311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unit
sound
notification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무길
Original Assignee
강무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무길 filed Critical 강무길
Priority to KR102021004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물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한 센서부가 제어부를 통해서 부저부로 신호를 보낸다. 이를 통해 부저부는 입력받은 신호의 강도에 따라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여 경보하게 된다. 이를 통해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고 물체의 손상을 감소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물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게 한다.
또한, 차량에 내장되어 있지 않고 접착부재로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휴대성과 범용성이 높은 장치이다. 이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 부착용 장애물 알림 장치{WARN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장애물을 알리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장애물이 근처에서 감지될 때 경보가 울려 사용자로 하여금 주의를 주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알림 장치는 차량 도어(door)나 여러 가지 부분에 장치를 접착하여 장애물과의 충돌을 막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돌출부 등에 접착하여 사용하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나 일반 기계에 내장된 형태가 아니라 접착부재를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여 휴대성과 범용성이 높아 충돌 방지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 사이드 미러(mirror)나 차량의 창문을 통해 확인을 하고 열게 된다. 이들을 통한 주시는 사용자로 하여금 장애물을 인지하기에 부족하며 충돌 방지에 미흡하다.
현재 차량 자체에 주변 센서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지만 옵션(선택사항)을 추가하여 차를 교체해야 하는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되며 번거로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475호(이하 ‘문헌 1’)의 “버스 승하차시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에서 도어 근처에 구동방식으로 설치되는 안전 가이드 바를 개시하고 있다.
문헌 1 발명의 경우, 안전 바에 물건이 닿아 있을 경우 표시하여 경고할 수 있으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기에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1749121호(이하 ‘문헌 2’)의 “도어 가드 유닛”에서 회전을 통해 돌출되어 도어를 보호하는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문헌 2 발명의 경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여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충격 흡수폼을 노출시키고 있으나, 도어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크다는 부담이 있다.
또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0718호(이하 ‘문헌 3’)의 “자동차 개문사고 방지 장치”는 탑승자가 문을 열기 위해 문고리를 잡는 순간에 부착된 램프가 발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문헌 3 발명의 경우, 발광하는 램프를 통해 후방의 운전자에게 열림 여부를 알려줄 수 있으나, 탑승자가 내부에서 하차할 때에는 발광하는 램프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충돌을 방지하는 어려움이 있다.
나아가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8146호(이하 ‘문헌 4’)의 “차량의 문콕 방지 장치”에서 도어의 모서리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패드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문헌 4 발명의 경우, 돌출된 지지패드가 장애물과 접촉하여 도어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지지패드는 직접적인 충돌로 인하여 내구성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475호
(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749121호
(문헌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0718호
(문헌 4)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8146호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 따른 충돌 방지 장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 거리 내에 장애물이 감지되었을 때 부저(buzzer)를 통해 소리를 발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주의를 환기시키고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하게 하여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장애물 알림 장치의 외부 표면에 야광물질이 함유하여 야간에 식별자로 하여금 장치와 장치가 접착되어 있는 물체를 빠르게 인지하게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에 내장되어 있는 형태가 아니라 접착부재를 통해 장애물 알림 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있는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휴대성과 범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장애물 알림 장치(20)와 상단에 센서부(21)가 돌출되어 있고 표면에는 부저부(23)가 내입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부(21)와 부저부(23)를 연결하여 중재하는 제어부(22)가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이를 통해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21)와 부저부(23)의 개수와 위치는 한정하지 않으며 돌출되거나 요입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장애물이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센서부(21)의 신호가 달라져 부저부(23)의 소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외부 표면에는 야광물질을 함유하여 야간에 식별자로 하여금 장애물 알림 장치(20)와 장애물 알림 장치(20)가 접착되어 있는 물체를 인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하단에 접착부재(30)와 이에 따른 이형지를 형성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고 제품화가 효율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세한 발명의 구성은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화된다.
본 발명의 장애물 알림 장치는 일정 거리 내에 장애물이 접근하거나 존재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고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부저부의 소리의 볼륨에 따라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장애물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전행위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표면의 야광물질을 통해 야간에 장애물 알림 장치의 경보가 없는 상태에서도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이러한 감지를 통해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장애물 알림 장치의 하단에 있는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장치가 접착되어 있는 물체의 교체에 따라 장애물 알림 장치를 이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애물 알림 장치의 이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애물 알림 장치와 장치의 배터리 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장애물 알림 장치가 접착부재를 통해 차량 도어에 접착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애물 알림 장치가 일정 거리 내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도어; 11: 손잡이; 12: 차량
20: 장애물 알림 장치; 21: 센서부; 22: 제어부; 23: 부저부
30: 접착부재; 31: 배터리 홈; 32: 외부보호부; 33: 이형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알림 장치는 도어 가드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차량과 사용자로 하여금 장애물 감지가 필요한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10)에 접착된다. 이때, 장애물 알림 장치는 도어(10)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외부와 접촉하기가 가장 쉬운 부분에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장애물 알림 장치(20) 내에 연결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들이 포함된다. 즉,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부(21)와 센서부(21)에서 입력하는 신호를 부저부(23)로 보내는 제어부(22)와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저부(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구성요소들의 연결을 통해 경보를 발생하게 한다. 먼저, 센서부(21)는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하게 된다. 이 감지에 의한 신호에 따라 센서부(21)는 제어부(22)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신호를 받은 제어부(22)는 이를 통해 부저부(23)로 보내게 된다. 이렇게 신호를 입력 받은 부저부(23)는 받은 신호를 토대로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여 발생하게 한다.
더불어, 센서부(21)는 일정 거리 내에서 장애물의 감지가 중단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2)로 보내게 된다. 이로 인해 제어부(22)는 중단신호를 부저부(23)로 보내게 된다. 이러한 부저부(23)는 발생시키던 소리를 중단시키게 되며 장애물이 일정 거리 내에 벗어났을 때에 불필요한 경보를 막을 수 있어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며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나아가, 사용자는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부저부(23)만을 통해서도 소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소리의 초기값을 사용자가 있는 외부 환경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음이 많은 장소에서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소리가 묻히지 않고 사용자뿐만 아니라 상대방으로 하여금 경보를 들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소리 자체가 소음이 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는 장애물 알림 장치(20)를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보여 지는 표면에는 본 장치의 상표나 상거래상 표지를 인쇄하거나 부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그 위치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2)에 연결되어 전력공급을 받지 않으며, 배터리 홈(31)을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홈(31)은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장애물 알림 장치(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사용자는 배터리를 장착하거나 장착을 해제하는 것을 통해서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온(on)/오프(off)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예를 들어 코인 형태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크기에 따라 소형 건전지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전력 공급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차량(12)의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장애물 알림 장치(2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차량(12)의 시동을 끈 다음에 승하차를 수행하였을 때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킨다.
더불어, 배터리 홈(31)이 있어 장애물 알림 장치(20)가 개별적으로 전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다른 기계와의 설치와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차량(12)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험요소가 많은 공사장에서 사용할 경우 일반인의 접근을 방지하고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많은 인적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애물의 접근을 최소화해야 하는 장소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의 보호나 어린이의 충돌 방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10)에 접착된다. 접착될 시에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잡는 과정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접착 과정을 수행할 시에 차량의 도어(10)의 개량이 필요하지 않으며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하단에 있는 접착부재(30)와 이형지(33)를 통해 접착이 가능하다.
현재 차량(12)에 내장되어 있는 경보 장치는 차량의 도어(10)를 개량해서 경보 장치를 설치할 시에는 차량(12)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12) 자체를 교체할 때 내장되어 있는 경보 장치를 해제하고 거듭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요하지 않는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접착부재(3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다양한 각도로 접착이 가능하다. 또한, 장애물 알림 장치(20)를 떼어내 다른 곳에 이용할 시에 원체 접착되어 있는 물체에는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재접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부재(30)가 접착될 수 있는 물체 표면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10)에 쓰이는 소재와 가정에서 쓰이는 문의 소재 등에서도 접착이 가능하며, 나아가 플라스틱, 유리, 철판, 타일, 종이 또는 대리석 등의 표면에도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재(30)의 외면에 박리가 용이하도록 이형지(33)를 형성한다. 이는 상업용으로 판매하기 위해 제품화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높은 휴대성과 범용성을 가져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한다. 이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센서부(21)는 일정 거리 내에 장애물이 접근하거나 존재하였을 때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말하면, 일정 거리 내에서 원거리(D)에 진입하거나 존재하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센서부(21)는 상대적으로 약한 신호를 제어부(22)로 보내게 된다. 이 제어부(22)는 받은 신호를 토대로 부저부(23)에 신호를 보내 상대적으로 약한 소리를 발생시킨다.
또한, 일정 거리 내에서 근거리(D‘)에 진입하거나 존재하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센서부(21)는 상대적으로 강한 신호를 제어부(22)로 보내게 된다. 이 제어부(22)는 받은 신호를 토대로 부저부(23)에 신호를 보내 상대적으로 강한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일정 거리 내에서 장애물이 접근하거나 존재하는 거리에 따라 센서부(21)는 입력 신호를 다르게 제어부(22)에 보내 부저부(23)의 소리를 조절하여 거리에 따른 충돌 가능성을 알린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부저부(23)의 소리에 따라 장애물의 위치를 판단하고 충돌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다음 행위를 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외곽에 외부보호부(3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외부보호부(32)는 제어부(22)와 연결되어 부저부(23)로 신호를 보낸다. 또한 장애물 알림 장치(20)에 충돌이 발생하였을 시에 외부보호부(32)의 충격 흡수를 통해 장치와 충돌한 장애물 모두 손상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특히, 외부보호부(32)는 충돌이 일어났을 때 흡수한 충격의 강도에 따라 제어부(22)로 신호를 보낸다. 이를 통해 제어부(22)는 부저부(23)로 신호를 보내며 소리를 발생시킨다. 충돌의 강도에 따라 달라지는 소리의 볼륨을 토대로 사용자는 충돌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돌을 먼저 겪는 외부보호부(32)는 손상이 발생하였을 시에 교체가 가능하며 새로이 장애물 알림 장치(20)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장애물 알림 장치(20) 자체를 교체하지 않고 외부보호부(32)의 교체만으로도 수명을 연장시키며 내구성 또한 높일 수 있다.
이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위와 같은 기능을 하면서, 충돌이 발생하였을 경우 장치와 장애물에 모두 손상이 가지 않는 기본적인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소리가 나더라도 그대로 충돌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장치와 장애물에 손상이 갈 수 있고, 나아가 전원이 없는 상태이면 소리가 나지 않으므로, 충돌에 대한 경보음이 나오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충돌이 생기더라도 외부보호부(32)가 그 본래적인 기능을 발휘하여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보호부(32)의 재질은 탄성이 있어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실리콘과 우레탄이 될 수 있으나, 이렇게 예시된 물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모든 충격 흡수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장애물 알림 장치(20)의 외부 표면에 야광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야간에 이용할 시에 식별자가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장애물 알림 장치(20)는 식별자가 일정 거리 밖에 있는 상태에서는 경보가 울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식별자는 야광물질을 통해서 야간에 장애물 알림 장치(20)와 장애물 알림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는 물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위 장애물 알림 장치에서 사용하는 야광물질은 자발광 성질을 갖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전원장치에 의하여 빛을 발산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칼리토금속의 황화물이나 황화아연에 중금속을 함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렇게 예시된 물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모든 야광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의하여 또는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야광물질을 병렬적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하거나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체와 식별자가 일정 거리 밖에 있어도 시각적으로 감지가 가능하다. 특히, 야간운전 시에 장애물 알림 장치(20)를 통해 도로를 주행하고 있거나 길가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12)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야간에 발생하는 많은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경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7)

  1. 차량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경보를 발생하는 차량 부착용 장애물 알림 장치(20)에 있어서,
    장애물이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면 이를 감지하며 이러한 거리에 따라 신호를 증대하거나 감소하도록 하고 일정 거리 내에 장애물의 감지가 중단되면 제어부(22)로 중단신호를 보내는 센서부(21);
    상기 센서부(21)의 입력과 동시에 제어부(22)를 통해 신호를 받아 소리를 발생하고 신호의 강도에 따라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하고 소리의 초기값 설정이 가능한 부저부(23);
    상기 센서부(21)와 부저부(23) 사이에서 소리를 조절하고 장애물이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거나 존재하는 것을 감지한 센서부(21)에 의한 입력신호를 부저부(23)로 보내 소리를 발생하게 하는 제어부(22)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개별적으로 전력공급을 유지하기 위해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는 배터리 홈(31)으로 이루어지고,
    외곽에 충격을 흡수하고 이러한 충격의 강도에 따라 제어부(22)로 신호를 보내 부저부(23)가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며 손상이 발생할 시에 교체가 가능하여 장애물 알림 장치(20)에 새로이 설치되는 외부보호부(32)로 이루어지고,
    야간에 사용자로 하여금 식별이 가능하게 하도록 외부 표면이 야광물질로 이루어지는 차량 부착용 장애물 알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48128A 2021-04-14 2021-04-14 차량 부착용 장애물 알림 장치 KR102311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28A KR102311254B1 (ko) 2021-04-14 2021-04-14 차량 부착용 장애물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28A KR102311254B1 (ko) 2021-04-14 2021-04-14 차량 부착용 장애물 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254B1 true KR102311254B1 (ko) 2021-10-13

Family

ID=7815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128A KR102311254B1 (ko) 2021-04-14 2021-04-14 차량 부착용 장애물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2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887A (ko) * 1995-12-22 1997-07-24 배순훈 차량 충돌 방지 경보음 제어장치
KR20100000209A (ko) * 2008-06-24 2010-01-06 경신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 및 방법
KR20100041344A (ko) * 2008-10-14 2010-04-22 윤홍근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KR20140010804A (ko) * 2012-07-17 2014-01-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차문의 손잡이 모듈에 설치되는 근접센서와 엘이디를 갖는 근접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887A (ko) * 1995-12-22 1997-07-24 배순훈 차량 충돌 방지 경보음 제어장치
KR20100000209A (ko) * 2008-06-24 2010-01-06 경신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충돌 경고장치 및 방법
KR20100041344A (ko) * 2008-10-14 2010-04-22 윤홍근 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
KR20140010804A (ko) * 2012-07-17 2014-01-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차문의 손잡이 모듈에 설치되는 근접센서와 엘이디를 갖는 근접 경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11460A (en) Emergency light signal
JP2001233138A (ja) 自動車内で使用する移動電話のための警告装置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KR102311254B1 (ko) 차량 부착용 장애물 알림 장치
KR20120076385A (ko) 차량용 디지털 전자 보조 식별판
KR20160017485A (ko) 중장비 또는 대형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인체 감지 알람 시스템
KR100905545B1 (ko) 자동차 측면 보호장치
KR200482769Y1 (ko) 자동차 알림 정보판
US7872571B2 (en) Vehicle alarm device
KR101775840B1 (ko) 차량 충돌시 충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93070Y1 (ko) 비상 삼각대 장치
JPH11147441A (ja) 自動車事故の衝撃により作動する事故表示スイッチ
CN101587651A (zh) 一种防止汽车二次碰撞系统及其运行方法
EP2033860B1 (en) Calling-help warning device with a third brake light of an automobile
CN210191337U (zh) 无线自动感应汽车开门发光后视广角镜
KR200305415Y1 (ko) 차량후방위험 경보장치
CN213109174U (zh) 汽车开门提示器
CN215513547U (zh) 一种车辆盲区危险预警报警装置
CN213473034U (zh) 一种车尾防撞吸能报警装置
KR20190055513A (ko) 발광수단이 부착된 안전모
KR102068695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장치
US20230306827A1 (en) Presence detection and indicator system and method
US6747551B1 (en) School bus approaching notification system
KR20200085666A (ko) 교통 신호봉 겸용 차량용 알림 장치 수납케이스
KR970002509Y1 (ko) 자동차 주차브레이크 감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