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279B1 - 호스 클램프 및 이의 연속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호스 클램프 및 이의 연속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279B1
KR101068279B1 KR1020090089857A KR20090089857A KR101068279B1 KR 101068279 B1 KR101068279 B1 KR 101068279B1 KR 1020090089857 A KR1020090089857 A KR 1020090089857A KR 20090089857 A KR20090089857 A KR 20090089857A KR 101068279 B1 KR101068279 B1 KR 101068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using
worm gear
band
gea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390A (ko
Inventor
강맹수
Original Assignee
강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맹수 filed Critical 강맹수
Priority to KR102009008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2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8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 F16L33/085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with a scroll-type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클램프와 이의 연속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웜기어가 설치된 기어하우징과, 기어하우징에 일측이 관통하면서 웜기어와 치합되는 밴드로 구성된 호스 클램프에서, 웜기어와 밴드의 체결력을 높이는 기어치합홈의 구조를 가지고, 웜기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웜기어를 안정되게 축지할 수 있도록 기어하우징의 양측벽에 축고정돌기가 형성된 호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호스 클램프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웜기어가 내부에 장착되고 평면형의 바닥부와 원호형의 천정부로 이루어지며 천정부의 양측에 웜기어의 양단부를 둘러싸는 측벽이 형성되고 각각의 측벽의 양측에 삽입된 웜기어를 감싸면서 절곡되어 웜기어를 축지하는 축고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기어하우징; 상기 기어하우징에 일단부가 고정되되고 타단부는 다수 개의 기어치합홈이 형성되어 둥글게 감긴 후 다시 기어하우징에 삽입되어 웜기어와 치합된 밴드;로 구성된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의 바닥부 끝단에는 한 쌍의 하우징결합돌기가 수직으로 밴딩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어하우징의 천정부 끝단에는 각 하우징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기어하우징의 바닥부 양측에는 각각 밴드의 일단에 형성된 밴드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밴드고정돌기가 수직으로 밴딩되게 형성되어, 웜기어를 기어하우징의 내부에 놓고 하우징결합돌기를 하우징결합공에 결합시킴으로써 웜기어의 조립 및 고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 호스 클램프가 제공된다.
클램프, 웜기어, 밴드, 기어하우징

Description

호스 클램프 및 이의 연속 제조 방법{Hose clam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호스 클램프와 이의 연속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웜기어가 설치된 기어하우징과, 기어하우징에 일측이 관통하면서 웜기어와 치합되는 밴드로 구성된 호스 클램프에서, 웜기어와 밴드의 체결력을 높이는 기어치합홈의 구조를 가지고, 웜기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웜기어를 안정되게 축지할 수 있도록 기어하우징의 양측벽에 축고정돌기가 형성된 호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호스 클램프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스 클램프는 관체의 연결구에 호스나 튜브가 끼워진 후, 이를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하여 호스나 튜브를 연결구에 밀착되게 조여주는 기구이다. 이러한 호스 클램프는 웜기어가 설치된 기어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둥글게 감긴 후 다시 기어하우징에 삽입되어 웜기어와 치합된 밴드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의 타측부에는 웜기어의 이빨과 치합되는 기어치합홈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웜기어를 회전시키면 밴드가 이동하면서 밴드에 의해 형성된 둥근 형상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호스나 튜브를 압착하여 조여주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클램프는 기어하우징을 만드는 반제품을 각각 개별적으로 성형하여 기어하우징을 만들고, 이에 웜기어를 삽입한 후 체결되게 조립하였다. 즉 하나의 긴 소재를 연속 공급하면서, 기어하우징용 반제품을 만들지 못하였다.
따라서 제조에 있어 생산성이 낮고, 웜기어를 장착한 후 기어하우징을 압착하여 웜기어를 축지하는 등의 과정에서 웜기어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게 조립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웜기어와 밴드가 치합되는 구조가 취약하여 큰 힘으로 호스나 튜브를 조여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밴드에는 웜기어의 이빨과 치합되는 기어치합홈이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종래의 기어치합홈은 펀치에 의해 완전히 뚫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기어치합홈과 기어치합홈의 사이가 좁아 큰 힘을 지탱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기어하우징을 하나의 긴 원소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제조하 는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기어하우징의 특유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어하우징의 연속 제조는 물론이고 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큰 힘으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여 호스 또는 튜브의 기밀이나 수밀을 향상시키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어하우징의 양측에 측벽을 형성시키고, 상기 측벽에는 축고정돌기를 형성시켜 기어하우징이 반제품으로 성형된 후 웜기어가 자동으로 조립 및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밴드의 기어치합홈을 펀칭으로 뚫어 끊어내지 않고, 홈의 형성하는 밴드부분이 돌기처럼 융기되게 함으로써 힘살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소재를 연속 공급하면서 다수 번의 순차적 펀칭에 의해 기어하우징이 만들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기어하우징의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웜기어의 조립과 고정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져 웜기어의 회전 작동이 원활하여 클램프의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확실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웜기어가 견고하고 힘있게 기어치합홈에 체결됨으로써 호스 또는 튜브를 확실하게 수밀 또는 기밀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웜기어(1)가 내부에 장착되고 평면형의 바닥부와 원호형의 천정부로 이루어지며 천정부의 양측에 웜기어(1)의 양단부를 둘러싸는 측벽(5)이 형성되고 각각의 측벽(5)의 양측에 삽입된 웜기어(1)를 감싸면서 절곡되어 웜기어(1)를 축지하는 축고정돌기(6)가 돌출되게 형성된 기어하우징(2); 상기 기어하우징(2)에 일단부가 고정되되고 타단부는 다수 개의 기어치합홈(3)이 형성되어 둥글게 감긴 후 다시 기어하우징(2)에 삽입되어 웜기어(1)와 치합된 밴드(4);로 구성된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2)의 바닥부 끝단에는 한 쌍의 하우징결합돌기(13)가 수직으로 밴딩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어하우징(2)의 천정부 끝단에는 각 하우징결합돌기(13)가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결합공(9)이 형성되며, 상기 기어하우징(2)의 바닥부 양측에는 각각 밴드(4)의 일단에 형성된 밴드결합공(18)에 삽입 결합되는 밴드고정돌기(11)가 수직으로 밴딩되게 형성되어, 웜기어(1)를 기어하우징(2)의 내부에 놓고 하우징결합돌기(13)를 하우징결합공(9)에 결합시킴으로써 웜기어(1)의 조립 및 고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치합홈(3)은 소재가 완전히 절취되어 뚫린 형상이 아니라, 구멍을 형성하는 소재 부분의 일측 변만 절취되어 융기되어 힘살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클램프는 도 5에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 둥글게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조적인 특징으로는 기어하우징(2)이 연속된 제조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는 구조와, 웜기어(1)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고 또한 조립이 자동화 될 수 있는 매우 용이한 구조이다.
연속 제조가 가능한 구조는, 여러 펀치들에 의하여 외형과, 돌기 및 구멍들이 형성되는 단일화된 구조이고, 웜기어(1)의 원활한 작동은 웜기어(1)의 압착 고정이 아니라 측벽(5)에 형성된 축고정돌기(6)에 의해 간단하게 체결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밴드(4)에 형성된 기어치합홈(3)은 단순히 펀칭되어 소재가 따내어져 제거된 구멍이 아니라, 일측의 긴 변만이 절취되어 구멍을 형성시키기 위해 소재가 밀려 돌출되어 힘살의 역할을 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서는 기어치합홈(3)과 기어치합홈(3) 사이의 얇은 간격의 소재 부분이 웜기어(1)의 잇빨과 결합되어 힘을 지탱하게 되어, 큰 힘으로 클램핑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은 기어치합홈(3)을 형성하기 위해 융기된 소재 부분이 기어치합홈(3)과 기어치합홈(3)의 사이 소재 부분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큰 힘으로 웜기어(1)를 돌려 클램핑하더라도 지탱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진 클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공급되는 원소재(7)로부터 연속 제조할 수 있다.
제1단계는 원소재(7)를 공급하면서 펀치로 펀칭하여 연속으로 다수 개의 기어하우징(2)의 펼친 형상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해 가는 단계이다.
원소재(7)는 철이나 비철 등의 재질로서 통상 클램프의 재질로 사용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원소재(7)는 다수 개의 펀치가 설치된 장치에 연속으로 진입시킨다.
원소재(7)의 진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펀칭이 이루어져 기어하우징(2)의 펼친 형상으로로 재단된다. 이하에서의 여러 펀치의 작동 순서는 그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작업의 편의상 그 순서를 달리하여도 상관없다.
도 1에서와 같이, 원소재(7)가 우측으로 공급되면, 외형펀치(14a)에 의해 일부가 절취되고, 계속 진행에 의해 결합공펀치(8)가 하우징결합공(9)을 형성시키며, 이어서 밴드고정돌기펀치(10)가 기어하우징(2)의 외형을 재단하면서 밴드(4)를 고 정할 밴드고정돌기(11)를 형성시켜 펀칭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돌기펀치(12)가 기어하우징의 가장자리에 하우징결합돌기(13)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다시 외형펀치(14b)가 외형펀치(14a)에 의한 기어하우징의 외형의 맞은편 가장자리를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기어하우징의 연결 부위에 측벽펀치(15)가 작동하여 구멍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밴딩펀치(19)를 작동시켜 하우징결합돌기(13)와 밴드고정돌기(11)를 절곡시킨다.
상기와 같이 원소재(7)가 이동하면서 순차적인 펀치의 작동에 의하여 기어하우징의 펼친 형태가 연속으로 재단된 형태가 되는데,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다음의 단계에서는 서로 연결된 기어하우징을 하나씩 나누어 주는 단계가 필요하게 된다.
제2단계는 다수 개의 기어하우징(2)의 펼친 형상이 연결된 부분을 분할펀치(16)로 펀칭하여 분리하여 기어하우징(2)을 연속적으로 끊어내는 단계이다.
분할펀치(16)는 측벽(5)의 단부에 돌출된 축고정돌기(6)를 끊어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각각의 기어하우징(2)은 그 각각을 성형하고 다른 구성 부분을 조립하여 클램프를 완성하여 나가게 된다.
제3단계는 독립된 기어하우징(2)을 펀칭하여 양측에 축고정돌기(6)가 형성된 측벽(5)을 세우고, 웜기어(1)가 삽입될 공간형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축고정돌기(6)가 형성된 측벽(5)은 제2단계에서 밴드고정돌기펀치(10)와 외형펀치(14b) 및 측벽펀치(15)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제3단계에서는 하우징성형펀치(17) 등에 의하여 웜기어(1)가 삽입되는 둥근 홈을 형성시키고, 그 주위로 측벽(5) 및 다른 부분을 절곡하여 도 3(웜기어가 없는 상태)과 같은 형상으로 성형한다.
측벽(5)은 웜기어(1)가 빠지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이 상태에서는 축고정돌기(6)의 사이 간격이 넓어, 웜기어(1)의 축이 용이하게 삽입되는 형상이다.
제4단계는 기어하우징(2)에 웜기어(1)를 삽입하고, 측벽(5)의 축고정돌기(6)를 웜기어(1)의 축을 감싸도록 성형시키는 단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기어(1)의 축을 축고정돌기(6)의 사이로 삽입시킨 후, 축고정돌기(6)을 휘어서 축을 고정하여 웜기어(1)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물론 웜기어(1)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정도로 성형하면 된다.
제5단계는 기어하우징(2)에 형성된 밴드고정돌기(11)에 밴드(4)에 형성된 밴드결합공(18)을 끼운 후 기어하우징(2)의 하우징결합공(9)과 하우징결합돌기(13)가 체결되게 성형하는 단계이다.
밴드고정돌기(11)는 제2단계에서의 밴드고정돌기펀치(10)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하우징결합공(9)과 하우징결합돌기(13)은 각각 결합공펀치(8)와 결합돌기펀치(12)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제5단계에서는 밴드(4)를 기어하우징(2)에 체결하여 클램프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밴드(4)의 타측을 다시 기어하우징(2)에 끼워 웜기어(1)와 치합되게 하면 둥근 형상의 클램프가 완성된다.
도 1은 기어하우징의 연속 제조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기어하우징의 펼친 상태도
도 3은 기어하우징에 웜기어와 밴드를 조립하는 상태도
도 4는 기어하우징에 웜기어를 조립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기어하우징에 웜기어와 밴드가 조립된 상태도
도 6은 기어하우징에 웜기어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밴드의 기어치합홈을 성형하는 상태도
도 8은 클램프의 전체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웜기어 2 : 기어하우징
3 : 기어치합홈 4 : 밴드
5 : 측벽 6 : 축고정돌기
7 : 원소재 8 : 결합공펀치
9 : 하우징결합공 10 : 밴드고정돌기펀치
11 : 밴드고정돌기 12 : 결합돌기펀치
13 : 하우징결합돌기 14a, 14b : 외형펀치
15 : 측벽펀치 16 : 분할펀치
17 : 하우징성형펀치 18 : 밴드결합공
19 : 밴딩펀치

Claims (3)

  1. 웜기어(1)가 내부에 장착되고 평면형의 바닥부와 원호형의 천정부로 이루어지며 천정부의 양측에 웜기어(1)의 양단부를 둘러싸는 측벽(5)이 형성되고 각각의 측벽(5)의 양측에 삽입된 웜기어(1)를 감싸면서 절곡되어 웜기어(1)를 축지하는 축고정돌기(6)가 돌출되게 형성된 기어하우징(2); 상기 기어하우징(2)에 일단부가 고정되되고 타단부는 다수 개의 기어치합홈(3)이 형성되어 둥글게 감긴 후 다시 기어하우징(2)에 삽입되어 웜기어(1)와 치합된 밴드(4);로 구성된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2)의 바닥부 끝단에는 한 쌍의 하우징결합돌기(13)가 수직으로 밴딩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어하우징(2)의 천정부 끝단에는 각 하우징결합돌기(13)가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결합공(9)이 형성되며, 상기 기어하우징(2)의 바닥부 양측에는 각각 밴드(4)의 일단에 형성된 밴드결합공(18)에 삽입 결합되는 밴드고정돌기(11)가 수직으로 밴딩되게 형성되어, 웜기어(1)를 기어하우징(2)의 내부에 놓고 하우징결합돌기(13)를 하우징결합공(9)에 결합시킴으로써 웜기어(1)의 조립 및 고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 호스 클램프.
  2. 삭제
  3. 원소재(7)를 공급하면서 펀칭하여 연속으로 다수 개의 기어하우징(2)의 펼친 형상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해 가는 제1단계; 다수 개의 기어하우징(2)의 펼친 형상이 연결된 부분을 분할펀치(16)의 펀칭으로 분리하여 기어하우징(2)을 연속적으로 끊어내는 제2단계; 독립된 기어하우징(2)을 하우징성형펀치(17)로 펀칭하여 양측에 축고정돌기(6)가 형성된 측벽(5)을 세우고, 웜기어(1)가 삽입될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 기어하우징(2)에 웜기어(1)를 삽입하고, 측벽(5)의 축고정돌기(6)를 웜기어(1)의 축을 감싸도록 성형시키는 제4단계; 기어하우징(2)에 형성된 밴드고정돌기(11)에 밴드(4)에 형성된 밴드결합공(18)을 끼운 후 기어하우징(2)의 하우징결합공(9)과 하우징결합돌기(13)가 체결되게 성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의 연속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원소재(7)를 외형펀치(14a)와 결합공펀치(8)와 밴드고정돌기펀치(10)와 결합돌기펀치(12)와 외형펀치(14b)와 측벽펀치(15) 및 벤딩펀치(19)로 차례대로 펀칭하여 하우징결합공(9)과 밴드고정돌기(11)와 하우징결합돌기(13)와 측벽(5) 및 측고정돌기(6)가 형성된 다수 개의 기어하우징(2)의 펼친 형상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형성해 가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호스 클램프의 연속 제조 방법.
KR1020090089857A 2009-09-23 2009-09-23 호스 클램프 및 이의 연속 제조 방법 KR101068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57A KR101068279B1 (ko) 2009-09-23 2009-09-23 호스 클램프 및 이의 연속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57A KR101068279B1 (ko) 2009-09-23 2009-09-23 호스 클램프 및 이의 연속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390A KR20110032390A (ko) 2011-03-30
KR101068279B1 true KR101068279B1 (ko) 2011-09-28

Family

ID=4393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857A KR101068279B1 (ko) 2009-09-23 2009-09-23 호스 클램프 및 이의 연속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2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585A (ja) * 1995-12-11 1997-07-15 Rasmussen Gmbh ウォーム駆動されるホースクランプのワンピースハウジング
JPH1078186A (ja) 1996-08-20 1998-03-24 Rasmussen Gmbh ウォーム駆動クランプ
JP2000274575A (ja) 1999-03-23 2000-10-03 Toyox Co Ltd 緊締バンド
JP2004169911A (ja) 2002-10-24 2004-06-17 Rasmussen Gmbh ホースクランプを事前に位置決めするためのホースクランプとホースとの接続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585A (ja) * 1995-12-11 1997-07-15 Rasmussen Gmbh ウォーム駆動されるホースクランプのワンピースハウジング
JPH1078186A (ja) 1996-08-20 1998-03-24 Rasmussen Gmbh ウォーム駆動クランプ
JP2000274575A (ja) 1999-03-23 2000-10-03 Toyox Co Ltd 緊締バンド
JP2004169911A (ja) 2002-10-24 2004-06-17 Rasmussen Gmbh ホースクランプを事前に位置決めするためのホースクランプとホースとの接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390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6025B2 (ja) モータのステータコア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979674A (zh) 部件单元
KR101068279B1 (ko) 호스 클램프 및 이의 연속 제조 방법
KR100714403B1 (ko) 케이블용 덕트의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EP1032084A1 (en) Cable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able to a cable connector
KR100819713B1 (ko) 덕트용 엘보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US9622363B2 (en) Structure for cabinet
TWI541087B (zh) Bicycle Wheels Semi-finished pieces of the joint
JP4828661B1 (ja) 型枠解体補助具
KR101033235B1 (ko) 튜브 고정용 랙
JP5008189B2 (ja) 歯車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154578A (ja) 圧接端子の製造方法
KR101068376B1 (ko) 스퍼기어형 호스 클램프
JP5654395B2 (ja) 金属製ボックス、金属製配設物、および、金属製ボックスの支持装置
JP4965531B2 (ja) スイッチの取付枠及びスイッチ装置
JP3125506U (ja) 金属製筒状カバー
KR200429939Y1 (ko) 장신용 밴드 연결구
JP6066776B2 (ja) 埋設型ガス栓の取付金具
JP5829323B2 (ja) 金属製配線ボックスおよび金属製配線ボックスの支持装置
KR100974199B1 (ko) 디지털 마이크 칩 케이싱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마이크 칩 케이싱
KR100465817B1 (ko) 건축 내장용 벽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49005Y1 (ko) 방폭용 플렉시블 조인트
KR200306787Y1 (ko) 건축 내장용 벽체 패널
KR20200007341A (ko) 텐트 폴 연결용 모울드
KR970061385A (ko) 파이프용 연결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