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939Y1 - 장신용 밴드 연결구 - Google Patents

장신용 밴드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939Y1
KR200429939Y1 KR2020060022562U KR20060022562U KR200429939Y1 KR 200429939 Y1 KR200429939 Y1 KR 200429939Y1 KR 2020060022562 U KR2020060022562 U KR 2020060022562U KR 20060022562 U KR20060022562 U KR 20060022562U KR 200429939 Y1 KR200429939 Y1 KR 200429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ssembled
connector
seating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병 해 정
Original Assignee
병 해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병 해 정 filed Critical 병 해 정
Priority to KR2020060022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9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9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용 밴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의 연결 작업이 손쉽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 조립된 외관이 깔끔한 장신용 밴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은, 다수의 결합돌기(11a)와 결합홈(11b)에 의해 조립되는 한 쌍의 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양 몸체(10)가 접하는 면에 밴드 안착홈(12)을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하며, 상기 밴드 안착홈(12)의 내주면에 압입돌기(13)를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신용 밴드 연결구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용 밴드 연결구는 가압돌기와 밴드 안착홈 및 접착제에 의해 세 단계에 걸쳐 밴드를 고정하기 때문에 매우 견고한 일체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양 몸체가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단순히 억지끼움되는 조립방식이므로 매우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형상을 다양화함으로써, 연결구 자체를 장식용으로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장신용 밴드, 연결구, 압입, 돌기, 충진

Description

장신용 밴드 연결구{band joint}
도 1은 종래에 따른 장신용 밴드 연결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용 밴드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밴드 10 - 몸체
11a - 결합돌기 11b - 결합홈
12 - 밴드 안착홈 13 - 압입돌기
14 - 충진홀 15 - 접착제
본 고안은 장신용 밴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의 연결 작업이 손쉽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 조립된 외관이 깔끔한 장신용 밴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용 밴드는 머리를 단정히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머리를 한 데 묶기에 용이하도록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장신용 밴드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밴드의 말단이 연결구에 의해 일체화됨으로써 링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밴드의 말단을 일체화하는 종래의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관체를 이용하여 일체화하고 있는데, 금속관체를 이용한 일체화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금속관체를 구비하고, 이 금속관체의 양단에 연결하고자 하는 밴드를 삽입시킨 후 금속관체의 외부에서 부분적으로 압입시키면 금속관체가 눌려지면서 그 내부에 삽입된 밴드를 강제 누르게 되어 양 밴드와 금속관체가 일체화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장신용 밴드 연결구는 단순히 압입시켜 일체화시키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압입되는 금속관체가 밴드의 중앙부를 정확히 압입하지 못하면 반복되는 잡아당김에 의해 결국 밴드가 금속관체로부터 이탈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입된 형상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예쁘게 꾸미기 위한 장신용임에도 불구하고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밴드의 연결 작업이 손쉬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 조립된 외관이 깔끔한 장신용 밴드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신용 밴드 연결구는,
다수의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조립되는 한 쌍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양 몸체가 접하는 면에 밴드 안착홈을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하며,
상기 밴드 안착홈의 내주면에 압입돌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 내외부로 관통되는 충진홀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용 밴드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용 밴드 연결구는 다수의 결합돌기(11a)와 결합홈(11b)에 의해 조립되는 한 쌍의 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양 몸체(10)는 서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하는 면에는 다수의 수직 결합돌기(11a)와 결합홈(11b)이 형성되어 이들 결합돌기(11a)가 결합홈(11b)에 억지끼움 되면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몸체(10)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밴드 안착홈(12)이 형성되어 양측으로부터 신축성을 갖는 밴드(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밴드 안착홈(12)은 밴드(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양 몸체(10) 조립시 밴드 안착홈(12)에 삽입된 밴드(1)의 둘레를 강제 압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 안착홈(12)의 내주면 양측에 띠 형상의 가압돌기(13)가 돌 출 형성되는데, 이 가압돌기(13)는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양 몸체(10) 결합시 일차적으로 가압돌기(13)가 밴드(1)를 가압하고, 이차적으로 밴드 안착홈(12)이 밴드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양 몸체(10) 중 어느 하나의 몸체(10)에는 밴드 안착홈(12)으로 관통되는 충진홀(14)이 형성되어 몸체(10)의 조립 완료 후 이 충진홀(14)로부터 접착제(15)가 유입되어 삽입된 밴드(1)의 양단을 일체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장신용 밴드 연결구를 이용하여 밴드의 양단 연결시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일측 몸체(10)의 밴드 안착홈(12)에 밴드(1)의 양 말단부를 안착시켜 위치시키고, 또 다른 몸체(10)를 그 상부로부터 눌러 조립한다. 이때 양 몸체(10)는 결합돌기(11a)가 결합홈(11b)에 억지 끼워지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양 몸체(1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13)가 밴드(1)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조여줌과 동시에 밴드 안착홈(12)도 밴드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몸체(10)로부터 양 밴드(1)가 일체화된다.
마지막으로 충진홀(14)을 통해 외부에서 접착제(15)를 유입하면 밴드 안착홈(12)에 유입된 접착제(15)가 밴드(1)의 말단부와 접합된 상태에서 굳어 짐으로써, 더욱 일체화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용 밴드 연결구는 가압돌기와 밴드 안착홈 및 접착제에 의해 세 단계에 걸쳐 밴드를 고정하기 때문에 매우 견 고한 일체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양 몸체가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단순히 억지끼움되는 조립방식이므로 매우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형상을 다양화함으로써, 연결구 자체를 장식용으로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수의 결합돌기(11a)와 결합홈(11b)에 의해 조립되는 한 쌍의 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양 몸체(10)가 접하는 면에 양측으로 관통되는 밴드 안착홈(12)을 형성하며, 상기 밴드 안착홈(12)의 내주면에는 가압돌기(1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밴드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몸체(10) 중 어느 하나의 몸체(10)에 밴드 안착홈(12)으로 관통되는 충진홀(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밴드 연결구.
KR2020060022562U 2006-08-23 2006-08-23 장신용 밴드 연결구 KR200429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62U KR200429939Y1 (ko) 2006-08-23 2006-08-23 장신용 밴드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62U KR200429939Y1 (ko) 2006-08-23 2006-08-23 장신용 밴드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939Y1 true KR200429939Y1 (ko) 2006-10-30

Family

ID=4177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562U KR200429939Y1 (ko) 2006-08-23 2006-08-23 장신용 밴드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9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17B1 (ko) * 2007-02-23 2007-05-31 주식회사 미성씨티 양복 조끼에 갖추어진 장식리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17B1 (ko) * 2007-02-23 2007-05-31 주식회사 미성씨티 양복 조끼에 갖추어진 장식리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8198U (ja) ホース接続用のコネクタ
US20100209178A1 (en) Coupler for corrugated pipe
JP2005226833A (ja) ホース接続部品、ホース継手、及びホース接続部品を有するホース金具
JP2005326001A (ja) シーリングエレメント
KR100739891B1 (ko) 나선형 파이프용 조인트 및 그 체결방법
JP2006517333A (ja) 2本の電気ケーブルを相互接続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5140230A5 (ko)
EP2519766B1 (en) A quick connector element
KR200429939Y1 (ko) 장신용 밴드 연결구
DE10347101A1 (de) Drehfeste Verbindung
KR20100052979A (ko) 파이프용 연결구
KR100764946B1 (ko) 주름관 연결 구조
KR200198059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JP2006349050A (ja) 合成樹脂パイプ接続装置
CN113186905A (zh) 一种预制混凝土连接件和预制混凝土桩
JP4400785B2 (ja) 棒状体の連結構造
US10801144B2 (en) Hollow pipe joint structure for a sewing machine
KR200450167Y1 (ko) 옹벽용 배수관 장치
KR200261449Y1 (ko) 호스 연결구
JPH0953779A (ja) ブロックジョイントを用いたワンタッチ接続構造
JPH10276972A (ja) 内視鏡用チューブの口金接続部及びその製造方法
JP4847944B2 (ja) 中空ロール
JP2008014133A (ja) 管継手
JPS6217670Y2 (ko)
JP4963759B2 (ja) 筒状ゴム部品のリングかしめ構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