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363B1 - 판넬 자동커팅기 - Google Patents

판넬 자동커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363B1
KR101067363B1 KR1020090039170A KR20090039170A KR101067363B1 KR 101067363 B1 KR101067363 B1 KR 101067363B1 KR 1020090039170 A KR1020090039170 A KR 1020090039170A KR 20090039170 A KR20090039170 A KR 20090039170A KR 101067363 B1 KR101067363 B1 KR 10106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utting
driving means
cutting object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387A (ko
Inventor
노명준
Original Assignee
김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호 filed Critical 김인호
Priority to KR102009003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36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7/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 B23D17/0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23D17/06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actuated by fluid or ga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8Press-pads; Counter-bases; Hold-dow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넬 자동커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대와, 절개 대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레일부재와, 상기 지지대의 중단으로 내입되는 절개 대상물의 상부면을 좌, 우로 절개하기 위한 제 1절개부가 구비하여 지지대에 결합되되 상기 절대대상물을 상단에서 상, 하로 유동되는 유동부와, 상기 절개 대상물의 하부면을 좌, 우로 절개하기 위한 제 2절개부가 구비되어 지지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 1, 2절개부, 유동부, 복수개의 회전커터 등에 연결된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EPS 등과 같은 절개 대상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 하면을 동시에 절단함으로써 작업효율을 상승시키는 판넬 자동커팅기에 관한 것이다.
판넬, 자동 커팅기, 구동수단, 커터

Description

판넬 자동커팅기{PANNEL AUTO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소정길이를 가지는 판넬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서 상, 하면을 동시에 절단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판넬 자동커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판넬은 공장, 창고, 조립식 건축물 등에 있어서의 벽 판재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판넬의 외형 규격은 제조업체에 따라서 차이는 있으나, 기성품은 그 폭이 1m 이면서 길이는 다양하게 출하되고, 특수 주문의 경우에는 길이의 규격을 주문 사양으로 제조하여 출하된다. 따라서 건축시공업자가 판넬을 사용하여 임의의 건축물을 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공업자가 판넬 판매업체에 가서 시공건축물의 사양에 맞추어 기성품의 자재를 적정 길이로 절단하여 구입하게 된다.
통상의 판넬 절단기는 판넬 판매업체에서 건축시공업자가 주문하는 사양에 맞추어 기성품 규격의 판넬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할 때 사용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판넬 절단기에 있어서는 회전하는 커터를 이용하여 판넬의 어느 정도 깊이까지만 절취할 수 있을 뿐 완전한 절단은 이룰 수가 없기 때문에 최종 배출라인에서 사람이 판넬을 잡고 일일이 상하로 흔들어 가면서 떼어내는 작업과정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인력에 의하여 떼어내기 위하여는 두꺼운 판넬을 어느 정도 깊이까지는 회전 커터에 의하여 절단시켜야만 가능한 것이지만, 기존의 판넬 절단기는 판넬을 절단하는 절단기가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상, 하로는 유동되지 못하고 좌, 우로만 작동되는 형태를 가짐으로 인하여, 두께가 상이한 판넬에 다양하게 사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완전한 절단이 되지 않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떼어내는 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의 증가 및 작업효율을 저하를 가져왔다.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동일한 길이로 판넬을 신속하고 깔끔하게 절단할 수 있는 판넬 절단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지지대의 중단으로 내입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후, 상기 절개 대상물의 저면에서는 절개 대상물의 폭 방향(좌, 우)으로 제 2절개부가 이동하면서 절개하고, 상기 절개 대상물의 상부에서는 절개 대상물의 상부면까지 유동부가 하강 후 유동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1절개부가 절개 대상물의 폭 방향(좌, 우)으로 유동하면서 절개 대상물의 상부를 절개함으로 인하여, 긴 길이를 가지는 절개 대상물을 일정한 길이로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판넬 자동커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 하로 유동되는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유동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대응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유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의 전, 후단에 설치되어, 절개 대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레일부재와; 상기 유동부에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단에 회전커터를 구비한 채로 좌, 우로 유동되어 절개 대상물의 상부를 절개하는 제 1절개부와; 상기 고정부에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단에 회전커터를 구비한 채로 좌, 우로 유동되어 절개 대상물의 하부를 절개하는 제 2절개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 후단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 하로 유동되는 복수개의 압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부 및 고정부는 상호간 이격되며 양단이 지지대에 직립설치된 제 1, 2축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는 양단이 제 1, 2축에 부동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유동부는 양단이 제 1, 2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2축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상, 하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축은 제 1구동수단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양단이 상호간 연결되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2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유동부가 상, 하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절개부는 절개 대상물의 상면에 대응되는 하단에 회전커터를 구비하고, 상단에는 상기 회전커터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전달가능토록 연결된 제 1구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의 양단에 연결되어 제 1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됨으로써 좌, 우로 유동하며 절개 대상물의 상면을 컷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절개부는 절개 대상물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단에 회전커터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상기 회전커터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전달가능토록 연결된 제 1구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연결되어 제 1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됨으로써, 좌, 우로 유동하며 절개 대상물의 저면을 컷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입부는 상기 유동부의 후면에 결합되되 상호간 소정간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 2구동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제 2구동수단에 일단이 각각 내입되어 상, 하로 유동되는 복수개의 피스톤과, 상기 복수개의 피스톤의 하단에 결합되는 압입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구로 일정길이 유입된 절개 대상물의 상면을 압입하여, 상기 절개 대상물을 절개시 상기 절개 대상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구동수단으로는 모터가 사용되며, 상기 제 1구동수단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오프(ON/OFF) 및 회전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구동수단으로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가 사용되며, 상기 제 2구동수단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오프(ON/OFF), 유압 또는 공압의 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부는 일측에 계측바늘이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계측바늘과 대응되도록 눈금판을 설치하여, 상기 유동부가 상, 하로 유동시 계측바늘이 지시하는 눈금판의 수치를 통해 상기 유동부의 상, 하 유동거리를 외부에서 식별 및 계측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 대상물로는 EPS가 사용되며, 상기 EPS는 스티로폼의 상, 하면에 철판을 접착제로 접합시킨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EPS 등과 같은 절개 대상물의 상, 하면을 동시에 절개함으로써 긴 길이를 가지는 절개 대상물을 동일한 길이로 다수번 커팅할 시, 작업시간이 단축 및 작업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절개 대상물의 두께가 상이함으로 고려하여, 상기 절개 대상물의 상부면을 절개하는 유동부를 절개 대상물의 상부에서 상, 하로 유동하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개 대상물의 상, 하 유동시, 유동된 거리를 계측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를 별도로 더 구비함으로써, 좌, 우 또는 상, 하로 유동되는 구성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수단의 온/오프, 회전수 등을 제어함으로써 절개 대상물의 절개 시 정확성을 높이되 손쉽게 컷팅조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 자동커팅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자동커팅기는 EPS(Expandable Polystyrene), 열가소성 수지) 등과 같은 절개 대상물(80)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되, 상기 절개 대상물(80)의 상, 하면을 폭방향으로 동시에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지지대(10), 유동부(20), 제 1절개부(50), 고정부(30), 제 2절개부(60), 레일부재(40), 압입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는 중앙으로 절개 대상물(80)이 내입될 수 있도록 전, 후방이 개구된 개구부(11)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10)의 개구부(11)의 양측으로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 1축(13)과 제 2축(14)을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제 1축(13)과 제 2축(14)은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 1, 2축(13, 14) 사이에 후술 될 유동부(20) 및 고정부(30)가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축(13) 및 제 2축(14) 각각은 양단이 지지대(10)의 상, 하단에 각각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제 1, 2축(13, 14)의 외주연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축(13)과 제 2축(14)의 각 상단은 동력전달수단(15)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15)은 제 1구동수단(17)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1구동수단(17)의 구동에 의해 동력전달수단(15)이 회전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15)에 의해 상호간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된 제 1, 2축(13, 14)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동력전달수단(15)이란, 벨트, 체인 등이 이에 속하며, 제 1구동수단(17)으로는 모터가 사용되었지만, 동력전달수단(15)의 경우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한다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며, 이하 후술될 동력전달수단(23, 33, 53, 63) 또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유동부(20)는 지지대(10)의 개구부(11) 내에 설치되되,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일단이 제 1축(13)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 2축(14)에 결합되되, 상기 제 1, 2축(13, 14)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제 1, 2축(13, 14)에 결합되는 양단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2축(13, 14)이 동시에 회전함으로 인하여, 상기 유동부(20)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상, 하로 유동이 가능해 진다.
상기 레일부재(40)는 유동부(20)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즉, 후술될 제 1, 2절개부(50, 60)로 인한 절개를 위하여 상호 상, 하부에 위치되어 마주보는 유동부(20)와 고정부(30) 사이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상기 레일부재(40)의 상부면에 절개 대상물(80)을 올려놓은 후, 상기 레일부재(40)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절개 대상물(80)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일방향으로 밀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작동을 할 경우, 상기 레일부재(40)는 다수개의 레일봉(41)이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재(40)의 상면에 올려진 절개 대상물(80)을 일방향으로 밀게 될 경우, 상기 다수개의 레일봉(41) 또한 각각 회전되어 절개 대상물(80)의 일방향 이송이 용이해 지도록 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압입부(70)는 지지대(10)의 개구부(11)로 절개 대상물(80)이 유입된 후, 사용자가 컷팅을 원하는 위치에서 절개 대상물(80)이 정지되었을 시, 상기 절개 대상물(80)이 컷팅되면서 유동되지 않도록 부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개의 압입부(70)는 지지대(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대(10)의 개구부(11) 내에서 유동부(20)의 전, 후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의 압입부(70)는 지면을 향해 직립되도록 제 2구동수단(71)을 설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2구동수단(71) 하단에 절개 대상물(80)의 상면과 접촉되며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일정길이의 압입판(73)을 결합한다. (상기 제 2구동수단(71)으로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 등이 사용된다.)
즉, 상기 제 2구동수단(71)의 하단에는 피스톤(72)이 결합되어 있되, 상기 피스톤(72)은 상기 제 2구동수단(71)에 일단이 내입되되 탈거되지 않는 형태를 가지고 있고, 타단은 압입판(73)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제 2구동수단(71)의 공기압 또는 유압으로 인해 피스톤(72)이 상, 하로 유동되면, 상기 압입판(73) 또한 상, 하로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제 1절개부(50)는 유동부(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동부(20)에 제 1절개부(5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유동부(20)에는 유동부(20)의 양단을 동력전달수단(23)으로 연결한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동력전달수단(23)을 원형으로 한 다음, 상기 동력전달수단(23)을 유동부(20)의 양단에 체결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유동부(20)의 양단에는 회전축(21)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야 할 것이고, 상기 유동부(20)의 양단에 형성된 회전축(21)에 상기 동력전달수단(23)이 맞물려 상기 유동부(2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동부(20)의 일단 회전축(21)에는 제 1구동수단(22)을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제 1구동수단(22)에 의해 회전축(21)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21)의 회전에 의해 동력전달수단(23)이 원형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즉, 상기 동력전달수단(23)을 체인이라 가정하였을 경우, 체인은 원을 이루며 회전하게 되되, 상, 하로 수평을 이루는 복수의 열(R1, R2)을 형성하게 된다. 복수개의 열(R1, R2) 중, 상측에 위치되는 열(R1)에 해당되는 체인에 제 1절개부(50)를 연결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23)이 좌, 우로 유동시 상기 제 1절개부(50) 또한 좌, 우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좌, 우로 유동되는 제 1절개부(50)의 하단에는 회전커터(51)가 설치되도록 하고, 제 1절개부(50)의 상단에는 회전커터(51)와 동력전달수단(53)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커터(51)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수단(52)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지지대(10)의 중앙으로 절개 대상물(80)이 내입되면, 상기 유동부(20)가 절개 대상물(80)의 상면을 향해 일정길이 하강하게 되고, 이 후 상기 유동부(20)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 2구동수단(71)에 의해 압입판(73)을 하강시켜 절개 대상물(80)을 레일부재(40)에 압입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한 후, 제 1구동수단(52)에 의해 회전커터(51)를 회전시키며 제 1절개부(50)를 절개 대상물(80)의 폭방향(좌, 우)으로 유동하여 절개 대상물(80)의 상부면을 절개하는 것이 다.
상기 고정부(30)는 유동부(2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상, 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30)는 유동부(20)의 하단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설치되되, 양단부가 제 1, 2축(13, 14)의 하단에 각각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 1, 2축(13, 14)은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30)의 양단부 내에 제 1, 2축(13, 14)은 회전이 가능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유동부(20)와 고정부(30)는 상호간 상, 하로 대응되며 위치되는 것이고, 상기 유동부(20)와 고정부(30)가 상호간 이격됨으로 인해, 상호간 사이에 유입구(16)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6) 내로 절개 대상물(80)이 내입될 시 컷팅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2절개부(60)는 제 1절개부(50)와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고정부(30)의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제 2절개부(60)가 설치되는 고정부(30)는 유동부(20)와 마찬가지로, 제 1, 2축(13, 14)과 연결된 양단에 회전축(3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회전축(31)에는 상호간을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하며 회전하는 동력전달수단(33)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후, 복수의 열(R1', R2')을 형성하며 회전하는 동력전달수단(33) 중, 하측에 위치되는 열(R2')에 해당되는 동력전달수단(33) 부위에 제 2절개부(60)를 연결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33)의 좌, 우 유동에 따라 상기 제 2절개부(60) 또한 좌, 우로 유동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동력전 달수단(33)의 유동을 위해, 상기 고정부(3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회전축(31) 중 하나에는 제 1구동수단(32)이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회전축(31)을 회전시키며,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을 통해 제 2절개부(60)가 좌, 우로 유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절개부(60)의 상단에는 회전커터(61)가 설치되도록 하고, 제 1절개부(50)의 하단에는 회전커터(61)와 동력전달수단(63)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커터(61)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수단(62)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제 1절개부(50)는 절개 대상물(80)의 저면을 컷팅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동부(20)에 설치된 제 1절개부(50)와 상기 고정부(30)에 설치된 제 2절개부(60)는 상기 유동부(20)와 고정부(30) 사이에 위치되는 절개 대상물(80)의 상, 하면을 동시에 절개하거나 또는 상호간 시간차를 두며(상기 제 1절개부(50)가 절개 대상물(80)의 상면을 컷팅 후, 바로 이어서 제 2절개부(60)가 절개 대상물(80)의 하면을 컷팅하거나, 또는 상기 제 2절개부(60)가 절개 대상물(80)의 하면을 컷팅 후, 바로 이어서 제 1절개부(50)가 절개 대상물(80)의 상면을 컷팅할 수 있다.) 절개 대상물(80)의 상하면을 절개하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상기 계측바늘(90)은 유동부(20)의 일측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유동부(20)가 상, 하로 유동될 시, 상기 유동부(20)의 상, 하 유동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계측바늘(90)과 대응되도록 지지대(10)의 일 측에 눈금판(12)을 설치하여, 상기 유동부(20)의 유동으로 계측바늘(90)이 유동시, 상기 계측바늘(90)이 가르키는 눈금판(12)의 수치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유동부(20)의 상, 하 유동거리를 측정가능토록 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의 절개 대상물(80)로는 스티로폼(81)의 상, 하면에 접착제(83)를 이용하여 철판(82, 82')이 접착되어 있는 EPS를 예시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커팅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대상물을 절개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한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다양한 대상 절개 대상물(80)의 두께(T)가 각각 상이할 수 있기에, 동일한 절개 대상물(80)을 절개시 미리 측정해둔 유동부(20)의 상, 하 유동거리(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절개 대상물(80)을 절개할 수 있을 정도로 절개 대상물(80)의 상면으로 하강한 거리)를 사용할 시 작업이 더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00)는 제 1, 2축(13, 14)의 동력전달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구동수단(17), 제 1, 2절개부(50, 60) 각각의 회전커터(51, 6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구동수단(52, 62), 유동부(20)에 설치되어 제 1절개부(50)를 좌, 우로 유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23)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구동수단(22), 고정부(30)에 설치되어 제 2절개부(60)를 좌, 우로 유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33)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구동수단(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구동수단(17, 52, 62, 22, 32)의 온/오프(on/off)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더불어, 제 2구동수단(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압 또는 공압 공급량을 조절하여 피스톤(72) 상, 하 유동량을 제어하거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 110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자동커팅기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를 제외한 커팅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팅기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기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지지대 11: 개구부
12: 눈금판 13: 제 1축
14: 제 2축 15, 23, 33, 53, 63: 동력전달수단
16: 유입구 17, 22, 32, 52, 62: 제 1구동수단
20: 유동부 21, 31: 회전축
30: 고정부 40: 레일부재
41: 레일봉 50: 제 1절개부
51, 61: 회전커터 60: 제 2절개부
70: 압입부 71: 제 2구동수단
72: 피스톤 73: 압입판
80: 절개 대상물 81: 스티로폼
82, 82': 철판 83: 접착제
90: 계측바늘

Claims (10)

  1.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 하로 유동되는 유동부(20)와;
    상기 유동부(20)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유동부(20)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대응 설치되는 고정부(30)와;
    상기 유동부(20)와 고정부(30)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16)의 전, 후단에 설치되어, 자동회전되어 절개 대상물(80)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레일부재(40)와;
    상기 유동부(20)에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단에 회전커터(51)를 구비한 채로 좌, 우로 유동되어 절개 대상물(80)의 상부를 절개하는 제 1절개부(50)와;
    상기 고정부(30)에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단에 회전커터(61)를 구비한 채로 좌, 우로 유동되어 절개 대상물(80)의 하부를 절개하는 제 2절개부(60)와;
    상기 고정부(30)의 전, 후단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지지대(10)에 설치되어 상, 하로 유동되는 복수개의 압입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동부(20) 및 고정부(30)는 상호간 이격되며 양단이 지지대(10)에 직립설치된 제 1, 2축(13, 14)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30)는 양단이 제 1, 2축(13, 14)에 부동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유동부(20)는 제 1, 2축(13, 14)이 동시에 회전함으로 인하여, 양단이 제 1, 2축(13, 14)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2축(13, 14)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상, 하로 유동되며,
    상기 제 1, 2축(13, 14)은 제 1구동수단(17)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된 동력전달수단(15)에 의해 양단이 상호간 연결되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2축(13, 14)의 회전방향에 따라 유동부(20)가 상, 하로 유동되며,
    상기 제 1절개부(50)는 절개 대상물(80)의 상면에 대응되는 하단에 회전커터(51)를 구비하고, 상단에는 상기 회전커터(51)와 동력전달수단(53)에 의해 동력전달가능토록 연결된 제 1구동수단(52)이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20)의 양단에 연결되어 제 1구동수단(22)에 의해 회전되며 상,하로 수평을 이루는 복수의 열(R1, R2)을 형성하는 동력전달수단(23) 중, 상측에 위치되는 열(R2)의 체인에 연결됨으로써 좌, 우로 유동하며 절개 대상물(80)의 상면을 컷팅하며,
    상기 제 2절개부(60)는 절개 대상물(80)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단에 회전커터(61)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상기 회전커터(61)와 동력전달수단(63)에 의해 동력전달가능토록 연결된 제 1구동수단(62)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30)의 양단에 연결되어 제 1구동수단(32)에 의해 회전되며, 상, 하로 수평을 이루는 복수의 열(R1', R2')을 형성하는 동력전달수단(33) 중, 하측에 위치되는 열(R2')의 체인에 연결됨으로써, 좌, 우로 유동하며 절개 대상물(80)의 저면을 컷팅하며,
    상기 복수개의 압입부(70)는 상기 유동부(20)의 전, 후면에 설치되되, 각각의 압입부(70)는 상호간 소정간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 2구동수단(71)과, 상기 복수개의 제 2구동수단(71)에 일단이 각각 내입되어 상, 하로 유동되는 복수개의 피스톤(72)과, 상기 복수개의 피스톤(72)의 하단에 결합되는 압입판(73)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구(16)로 일정길이 유입된 절개 대상물(80)의 상면을 유동부(20)의 전, 후단에서 압입하여, 상기 절개 대상물(80)을 절개시 상기 절개 대상물(80)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제 1구동수단(17, 22, 32, 52, 62)으로는 모터가 사용되며, 상기 제 1구동수단(17, 22, 32, 52, 62)은 제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오프(ON/OFF) 및 회전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제 2구동수단(71)으로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가 사용되며, 상기 제 2구동수단(71)은 제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오프(ON/OFF), 유압 또는 공압의 양이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유동부(20)는 일측에 계측바늘(90)이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10)에는 계측바늘(90)과 대응되도록 눈금판(12)을 설치하여, 상기 유동부(20)가 상, 하로 유동시 계측바늘(90)이 지시하는 눈금판(12)의 수치를 통해 상기 유동부(20)의 상, 하 유동거리를 외부에서 식별 및 계측 가능토록 하며,
    상기 절개 대상물(80)로는 EPS가 사용되며, 상기 EPS는 스티로폼(81)의 상, 하면에 철판(82, 82')을 접착제(83)로 각각 접합시킨 형태이며,
    상기 제 1, 2절개부(50, 60)는 절개 대상물(80)의 상, 하면을 상호간 시간차를 두며 절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자동커팅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39170A 2009-05-06 2009-05-06 판넬 자동커팅기 KR10106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70A KR101067363B1 (ko) 2009-05-06 2009-05-06 판넬 자동커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70A KR101067363B1 (ko) 2009-05-06 2009-05-06 판넬 자동커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387A KR20100120387A (ko) 2010-11-16
KR101067363B1 true KR101067363B1 (ko) 2011-09-23

Family

ID=4340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170A KR101067363B1 (ko) 2009-05-06 2009-05-06 판넬 자동커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8967A (zh) * 2020-12-29 2021-05-25 江苏友孚汽车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笔记本显示屏框架拼接用切割装置及其切割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495B1 (ko) * 1999-02-13 2001-09-13 이창식 건축용 샌드위치 판넬 절단기의 판넬 절단장치
KR100713715B1 (ko) * 2006-08-23 2007-05-02 임관빈 샌드위치 패널 절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495B1 (ko) * 1999-02-13 2001-09-13 이창식 건축용 샌드위치 판넬 절단기의 판넬 절단장치
KR100713715B1 (ko) * 2006-08-23 2007-05-02 임관빈 샌드위치 패널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387A (ko)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18181U (zh) 新型可调控式塑料波纹管自动切割机
JP2014019500A (ja) フィルム自動貼合機
CN103287908B (zh) 裁切机
CN207359147U (zh) 一种成型机超声波裁切装置
KR101067363B1 (ko) 판넬 자동커팅기
WO2016110059A1 (zh) 用于带状物的切割装置
KR101130615B1 (ko) 케이블 절단장치
CN205255097U (zh) 全自动压痕条裁切机
JP2013180385A (ja) ゴムシート切断装置
TW201038378A (en) Control module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positions of slitting blades
CN203875927U (zh) 用于塑料膜成型机成品塑料膜的线管切割机
CN102795507B (zh) 一种自动贴双面胶的机器
CN205647603U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布料裁剪装置
KR101285504B1 (ko) 포장용 필름의 컷팅길이 자동설정이 가능한 물티슈 포장시스템
KR100876428B1 (ko) 장식용 모자이크 시트지 커팅장치
CN204568954U (zh) 送料剪切装置
CN105798955A (zh) 一种板材自动切割装置
CN102990703A (zh) 自动切管机的张紧机构
KR100854100B1 (ko) 아티론보온재 절단 및 홈파기장치
CN204000392U (zh) 自动裁布接布装置
CN101182111B (zh) 液晶玻璃翻转机
CN206925919U (zh) 一种自动吸管切放机
CN102756407A (zh) 板材尺寸测量及加工方法
CN207809945U (zh) 一种塑料薄膜封口装置
JP6963771B2 (ja) 加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