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274B1 - 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274B1
KR101067274B1 KR1020090119347A KR20090119347A KR101067274B1 KR 101067274 B1 KR101067274 B1 KR 101067274B1 KR 1020090119347 A KR1020090119347 A KR 1020090119347A KR 20090119347 A KR20090119347 A KR 20090119347A KR 101067274 B1 KR101067274 B1 KR 101067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e
attachment
electric termin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581A (ko
Inventor
신종구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09011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2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가이드홈에 끼인 전기단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가 개시된다.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띠형의 전기단자가 통과하는 베이스와, 상기 전기단자와 와이어가 안착되는 앤빌과, 상기 앤빌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기단자를 와이어에 압착시키는 램부와, 상기 앤빌에 전기단자를 공급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구비되며,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한 쌍의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에 접촉함으로써, 회전시 상기 커버를 승하강시키는 이격수단;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하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어태치먼트, 단자, 커버, 스프링, 이격

Description

어태치먼트{ATTACHMENT}
본 발명은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띠형 전기단자가 이송되는 가이드홈을 밀폐시키는 커버에 탄성수단과 편심된 이격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용이하게 들어올려서 가이드홈을 개방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태치먼트는 전기단자를 압착하여 와이어의 선단에 결합시킴으로써 전기단자를 와이어에 조립하는 장치이다.
상기 어태치먼트는 띠형의 전기단자와 와이어의 선단을 앤빌에 안착시키고, 램부가 하강함으로써 전기단자를 압착시켜 와이어 선단을 감싸게 된다.
이러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의 전기단자(T)는 베이스(71)의 후방으로부터 가이드홈(70)에 진입되어 앤빌(79)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띠형의 전기단자(T)가 가이드홈(7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71)의 상면에는 커버(7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70)의 내부에 배치된 전기단자(T)는 이 커버(75)에 의하여 밀폐됨으로써 가이드홈(70)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어태치먼트는 띠형의 전기단자가 가이드홈에 진입하거나 통과하는 경우, 전기단자의 피복압착부 혹은 도선압착부의 테두리가 커버의 저면과 베이스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끼임으로써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와 베이스 사이에 전기단자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띠형의 전기단자가 통과하는 베이스와, 상기 전기단자와 와이어가 안착되는 앤빌과, 상기 앤빌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기단자를 와이어에 압착시키는 램부와, 상기 앤빌에 전기단자를 공급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구비되며,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한 쌍의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에 접촉함으로써, 회전시 상기 커버를 승하강시키는 이격수단;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하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어태치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띠형의 전기단자가 통과하는 베이스와, 상기 전기단자와 와이어가 안착되는 앤빌과, 상기 앤빌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기단자를 와이어에 압착시키는 램부와, 상기 앤빌에 전기단자를 공급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회전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하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어태치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는 베이스에 편심캠을 장착하여,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음으로,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전극단자가 낀 경우, 이 전극단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와 커버에 탄성부재를 장착함으로써, 들어올려진 커버가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베이스에 가이드부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정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탄성부와 이격수단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탄성부와 이격수단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어태치먼트는 베이스(1)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기단자(T)와 와이어(W)가 안착되는 앤빌(Anvil;2)과; 상기 앤빌(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하강시 상기 앤빌(2)에 안착된 상기 전기단자(T)를 압착하여 분리하고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전기단자(T)가 상기 와이어(W)의 선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램부(3)와; 상기 베이스(1)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램부(3)의 상하 운동시 연동하여 상기 전기단자(T)를 일정 피치씩 상기 앤빌(2)로 공급하는 이송부(7)와; 상기 앤빌(2)로 이송되는 띠형의 전기단자(T)가 가이드홈(3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42)와; 상기 커버(42)를 베이스(1)상에 탄력적으로 장착시키는 탄성수단(55)과; 상기 베이스(1)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42)를 승하강시키는 이격수단(8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의 상면에는 가이드홈(35)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홈(35)을 통하여 띠형의 전기단자(T)가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된 띠형의 전기단자(T)는 이송부(7)의 푸셔(19)에 의하여 일정 피치씩 앤빌(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띠형의 전기단자(T)가 가이드홈(3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4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커버(42)는 상기 베이스(1)의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가이드홈(35)의 상부를 개폐시켜서 띠형의 전기단자(T)가 가이드홈(35)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42)의 양측에는 날개편(45)이 각각 돌출됨으로써 그 측면(47)이 후술하는 가이드부(50)의 돌출부(52)와 접촉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정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42)는 일측(43)은 수평형상이며, 타측(44)은 일정 곡률의 곡면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42)의 타측(44)방향에서 띠형의 전기단자(T)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곡면으로 인하여 전기단자(T)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이격수단(80)은 베이스(1)의 측면에 구비되어 편심운동에 의하여 커버(42)를 상부로 들어올림으로써 베이스(1)의 상면과 커버(42)의 저면 사이에 공간을 확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격수단(80)은 편심캠(81)과, 상기 편심캠(8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5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핀(84)과, 상기 편심캠(8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42)의 저면에 접촉하는 접촉부(89)와, 상기 회전핀(84)에 구비되는 핸들(8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82)을 잡고 편심캠(81)을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 전시킴으로써 편심캠(81)의 접촉부(89)가 커버(42)의 저면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편심캠(81)을 회전시킴으로써 커버(42)를 상부로 들어올림으로써 커버(42)의 저면과 베이스(1)의 상면 사이에 전기단자(T)가 끼이는 경우 전기단자(T)가 용이하게 틈새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이격수단(80)으로서 편심캠(81)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레버도 가능하다.
즉, 상기 레버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의 저면에 접촉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레버를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42)가 승하강되는 경우,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부(5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50)는 베이스(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볼트에 의하여 체결된다. 몰론, 볼트 이외의 용접 등에 의하여도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50)는 커버(42)의 날개편(45)이 접촉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돌출부(52)와, 한 쌍의 돌출부(5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5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편심캠(81)은 상기 연결편(53)에 회전핀(84)에 의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캠(81)이 회전되어 접촉부(89)가 커버(42)의 저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커버(42)는 상부로 들리게 되고, 가이드부(50)의 돌출부(52)에 의 하여 정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승하강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캠을 생략하고, 가이드부에 의하여 커버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즉, 가이드부(90)의 일측을 회전핀(9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베이스(93)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90)는 그 크기가 변경됨으로써 그 상단(97)은 커버(94)의 날개편(45)의 저면 혹은 커버(94)의 저면에 접촉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가이드부(90)를 회전핀(9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선단(95)이 커버(94)의 저면에 접촉되는 경우 커버(94)를 들어올릴 수 있다.
반대로, 가이드부(9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커버(94)가 하부로 내려올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42)가 편심캠(81)에 의하여 승하강 되는 경우, 커버(42)가 베이스(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42)를 베이스(1)에 탄력적으로 고정시키는 탄성수단(55)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수단(55)은 커버(42)에 형성된 제 1관통홀(h1)과 베이스(1)에 형성된 제 2관통홀(h2)을 관통하는 가이드핀(54)과, 상기 가이드핀(54)의 하부에 구비된 너트(56)와, 상기 가이드핀(54)이 삽입되며 상단(60)은 상기 베이스(1)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단(62)은 상기 너트(56)의 상면에 지지되는 스프링(58)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핀(54)은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가 구비됨으로써 커버(42)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8)은 상단이 베이스(1)의 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단이 너트(56)를 하부로 탄력적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42)는 정상 운전상태인 경우, 스프링(58)이 탄성력에 의하여 가이드핀(54)을 하부로 밀게 되므로 커버(42)는 베이스(1)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전기단자(T)가 커버(42)의 저면과 베이스(1)의 상면 사이에 끼인 경우, 이를 이탈시키기 위하여 편심캠(81)을 회전시켜 커버(42)를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되고, 이때, 상기 탄성수단(55)이 커버(42)를 하부로 당김으로써 커버(42)가 베이스(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어태치먼트로 공급되는 전기단자(T)가 베이스(1)의 상면과 커버(42)의 저면 사이에 끼인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한 과정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의 전기단자(T)가 베이스(1)의 상면과 커버(42)의 저면 사이에 끼인 경우, 먼저, 상기 편심캠(81)의 핸들(82)을 잡고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편심캠(81)의 접촉부(89)가 커버(42)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편심캠(81)이 커버(42)의 저면에 접촉되기 시작하면, 커버(42)가 상부로 들리게 되고, 이때, 커버(42)의 날개편(45)이 가이드부(50)의 돌출부(52)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정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들린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55)의 스프링(58)이 가이드핀(54)의 너트(56)를 하부로 밀고 있는 상태이므로 커버(42)도 하부로 탄력적으로 당겨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42)가 편심캠(81)에 의하여 상부로 들려지는 경우에도, 탄성수단(55)에 의하여 하부로 당겨짐으로써 커버(42)가 베이스(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42)가 들려진 상태에서, 틈새에 끼인 띠형의 전기단자(T)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띠형의 전기단자(T)가 제거된 후, 편심캠(81)이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커버(42)는 하부로 이동하여 베이스(1)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가이드홈(35)의 내부를 다시 밀폐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어태치먼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탄성부와 이격수단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탄성부와 이격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Claims (5)

  1.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띠형의 전기단자가 통과하는 베이스와, 상기 전기단자와 와이어가 안착되는 앤빌과, 상기 앤빌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기단자를 와이어에 압착시키는 램부와, 상기 앤빌에 전기단자를 공급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구비되며,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한 쌍의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에 접촉함으로써, 회전시 상기 커버를 승하강시키는 이격수단;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하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2.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띠형의 전기단자가 통과하는 베이스와, 상기 전기단자와 와이어가 안착되는 앤빌과, 상기 앤빌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기단자를 와이어에 압착시키는 램부와, 상기 앤빌에 전기단자를 공급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회전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하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양측에 날개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한 쌍의 돌출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수직방향을 따라 승하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연결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핀과, 상기 편심캠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저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회전핀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커버에 형성된 제 1관통홀과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제 2관통홀을 관통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의 하부에 구비된 너트와,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며 상단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너트의 상면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KR1020090119347A 2009-12-03 2009-12-03 어태치먼트 KR10106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347A KR101067274B1 (ko) 2009-12-03 2009-12-03 어태치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347A KR101067274B1 (ko) 2009-12-03 2009-12-03 어태치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581A KR20110062581A (ko) 2011-06-10
KR101067274B1 true KR101067274B1 (ko) 2011-09-23

Family

ID=4439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347A KR101067274B1 (ko) 2009-12-03 2009-12-03 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2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096U (ko) * 2006-12-18 2007-01-18 김용복 송풍 덕트용 공기배출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096U (ko) * 2006-12-18 2007-01-18 김용복 송풍 덕트용 공기배출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581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86541B (zh) 电气部件用插座
US9048559B2 (en) Power outlet with jack safety shield device
CN105576445B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7393232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CN101292401B (zh) 电子器件的插座
US9270035B2 (en) Carrier and carrier assembly used thereof for positioning IC package
KR20080087707A (ko) 케이블 커넥터
EP2884827B1 (en) Socket
KR101961519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20160025775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s thereof
CN106785504B (zh) 内嵌式快速接线结构
US9859641B2 (en) Socket for electrical component
KR101067274B1 (ko) 어태치먼트
CN203377413U (zh) 软灯条连接器
CN201054401Y (zh) 电连接器
US20050202708A1 (en) IC socket
KR101067273B1 (ko) 어태치먼트
KR101067275B1 (ko) 어태치먼트
KR100488891B1 (ko) 전기부품용 소켓 및 그 조립방법
EP1605559B1 (en) Socket for electric component
CN219498995U (zh) 一种充电桩
US8075327B2 (en) Grid array connector with floating cover
KR20160051146A (ko) 테스트 소켓 및 테스트 소켓 구조체
CN212435217U (zh) 一种输电线路带电装销机
KR200485044Y1 (ko) 단일단자형 전기플러그와 콘센트를 구비한 전원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