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359B1 - 저온 저장고 - Google Patents

저온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359B1
KR101066359B1 KR1020040083786A KR20040083786A KR101066359B1 KR 101066359 B1 KR101066359 B1 KR 101066359B1 KR 1020040083786 A KR1020040083786 A KR 1020040083786A KR 20040083786 A KR20040083786 A KR 20040083786A KR 101066359 B1 KR101066359 B1 KR 101066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eat insulation
spacer
hin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558A (ko
Inventor
오꾸다사또시
와따나베야스히데
사까따야스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 바이오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 바이오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 바이오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6Devices for taking the weight of the wing, arranged away from the hinge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05Aligning devices for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단열 도어의 개폐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도어 하강을 수정(보정)하는 동시에,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스위치가 되는 요철을 확보할 수 있는 초저온도 영역으로 냉각 유지되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방면에 개구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복수의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단열 도어와, 상기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하는 안내면을 갖는 스페이서를 설치한 것이다.
단열 도어, 저온 저장고, 단열 상자 본체, 스페이서

Description

저온 저장고 {LOW TEMPERATURE STORAGE CONTAINER}
도1은 본 발명의 저온 저장고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저온 저장고의 외부 도어(단열 도어) 및 내부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예를 나타내는 본체측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본체측 스페이서의 부착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도어측 스페이서 및 도어 스위치의 부착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스페이서(본체측 스페이서와 도어측 스페이서)의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의 도어 스위치의 동작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스페이서(도어측 스페이서)의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스페이서(본체측 스페이서)의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온 저장고(초저온 프리저)
2 : 단열 상자 본체
2A : 개구
3 : 힌지
4 : 단열 도어(외부 도어)
5 : 저장실
6 : 기계실
7 : 전방 패널
11 : 선반
12 : 소개구
13 : 내부 도어
21 : 본체측 스페이서
22 : 안내면
23 : 간격 유지면
24 : 받이부
25 : 접촉면
26 : 지지용 돌기
27 : 고정용 구멍
30 : 도어 스위치
31 : 스위치부
32 : 스위치 본체
33 : 부착 부재
35 : 도어측 스페이서
36 : 보조면
37 : 지지부
38 : 고정 구멍
39 : 간격 유지면
40 : 도어측 스페이서
41 : 간격 유지면
42 : 안내면
50 : 본체측 스페이서
51 : 간격 유지면
52 : 안내면
본 발명은, 고온측의 냉동 회로에 있어서의 증발기와, 저온측의 냉동 회로에 있어서의 응축기를 캐스케이드 접속시킴으로써 보다 저온도의 저장 온도를 실현하는 이원 냉동 회로를 구비한 냉각 장치에 의해, -80 ℃ 전후의 초저온도 영역으로 냉각 유지되는 저장실이 있는 저온 저장고, 특히 그 단열 도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저온 저장고는 -60 ℃ 내지 -90 ℃ 정도의 초저온도 영역의 생성을 위해, 이원 냉동 회로가 이용되고 있고, 고온측의 냉동 회로의 증발기와 저온측의 냉온 회로의 응축기를 캐스케이드 접속함으로써 구성한 것이 있다. 이 저온 저장고는 그 온도대를 포획하여 다른 이름으로 초저온 프리저라 불리우는 일이 있다. 또한, 저장실 내를 초저온도 영역으로 냉각 유지하기 때문에, 저장실과 저온 저장고 주위의 온도차는 100 ℃ 정도가 되므로, 저온 저장고의 도어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위해, 단열재의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그 두께 치수를 크게 하거나 하면, 자연히 도어의 중량이 증가된다. 이로 인해, 도어 그 자체는 물론, 이 도어를 지지하는 힌지나 힌지 부착 부분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있었다. 도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형상을 요철 구조로 하거나, 단열 상자 본체에 있어서의 개구 주연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게 하거나, 도어의 축지지측에 위치하는 개구 주연에 도어 하강 방지 가이드를 설치하거나 하고 있었다. 또한, 열절연 성능의 향상을 위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도어뿐만 아니라 내부 도어에도 발포 단열재를 충전한 보냉고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35646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1-183052호 공보
특허 문헌 2에 개시한 바와 같은 보냉고는 도어 하강이 발생한 경우의 것을 상정한 대책은 강구되어 있지 않고, 특허 문헌 1에 개시한 바와 같은 보냉고에서는 적극적으로 도어의 강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특히 단열 도어의 도어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 가이드를 힌지가 부착되는 측, 즉 도어의 축지지측에 배치하는 관계상, 약간 치수의 도어 하강에 대해서는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가 개폐될 때마다 저장실 내에는 외기가 진입하므로, 가장 온도차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쉬운 개구 주연 부분에는 저장실 중의 공기의 수분이 결로 및 동결되어 서리 부착 현상이 일어난다. 도어의 개폐가 반복되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로서 개구 주연 부분에 있어서 이 서리 부착 부분이 서서히 성장해 가는 것과 같이 확대되게 된다. 이 확대가 현저해지면, 도어를 폐쇄할 수 없는 상황으로 빠지는 일도 있다. 또한, 인위 조작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므로, 인위 조작의 실패로 확실하게 도어를 폐쇄하지 않는, 소위 폐쇄하는 것을 잊어버릴 우려는 부정할 수 없다. 이 도어를 폐쇄하는 것을 잊는 것이나 개방된 상태의 검출을 위해, 초저온도 영역으로 냉각 유지되는 저온 저장고에서는, 통상 온도차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도어측에 도어 스위치를 배치한다. 상기 특허 문헌 1 및 2에 있어서는, 이 도어 스위치의 것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초저온도 영역으로 냉각 유지되는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단열 도어의 개폐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도어 하강을 수정(보정)하는 동시에,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스위치가 되는 요철을 확보할 수 있는 저온 저장고를 제 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전방면에 개구(2A)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2)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복수의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단열 도어(4)와, 상기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5)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하는 안내면(22, 42, 52)을 갖는 스페이서를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상기 스페이서(40)를 상기 단열 도어(4)에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상기 스페이서(50)를 상기 단열 상자 본체(2)에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상기 스페이서는 단열 도어(4)에 설치되는 도어측 스페이서(35)와, 단열 상자 본체(2)에 설치되는 본체측 스페이서(21)로 이루어지고, 특히 그 재질을 폴리아세탈 수지제로 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전방면에 개구(2A)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2)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복수의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단열 도어(4)와, 상기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5)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상자 본체의 개구 모서리에,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하는 안내면(22)과, 상기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 도어의 하면에 설치된 도어 스위치(30)를 받는 받이부(24)를 갖는 수지제의 본체측 스페이서(21)를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상기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 도어의 하면에 설치한 도어측 스페이서(35)로 도어 스위치(30)를 지지한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상기 본체측 스페이서(21)는 후방부에 고정용 구멍(27)을 갖고, 전방부에 지지용 돌기(26)를 갖는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상기 받이부(24)는 안내면(22)의 경사보다도 큰 경사를 갖는 접촉면(25)을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전방면에 개구(2A)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2)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복수의 힌지(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단열 도어(4)와, 상기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5)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상자 본체의 개구 모서리에 설치된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하는 안내면(22)과 상기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 도어의 하면에 설치된 도어 스위치(30)를 받는 받이부(24)를 갖는 본체측 스페이서(21)와, 상기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 도어의 하면에 설치되어 단열 도어의 폐색 조작에 의해 상기 안내면(22)에 접촉하여 그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하는 도어측 스페이서(35)를 구비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저온 저장고의 정면도, 도2는 저온 저장고의 외부 도어(단열 도어) 및 내부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예를 나타내는 본체측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본체측 스페이서의 부착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도어측 스페이서 및 도어 스위치의 부착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스페이서의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의 도어 스위치의 동작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스페이서(도어측 스페이서)의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스페이서(본체측 스페이서)의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저온 저장고(초저온 프리저)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에 개구(2A)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2)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2)에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힌지(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개구(2A)를 폐색하는 외부 도어로서의 여닫이식 단열 도어(4)와, 상기 도어(4)와 본체(2)로 형성되는 저장실(5)과, 이 저장실(5)의 하방에 위치하여 저장실(5)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도시하지 않음)나 전장 상자(9) 등의 전기 및 기계 부품을 수납하는 기계실(6)을 구비한다. 이 기계실(6)은 그 전방면을 전방 패널(7)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고, 전방 패널(7)에는 그 후방에 배치되는 공기 안내 덕트, 먼지 회수용 필터, 응축기 등(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흡입구 커버로서의 그릴(8)이 부착된다.
도2에 있어서, 저장실(5)은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매)의 선반(11)에 의해 상하의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구획으로 구획되고, 이들 각 구획(이하, 소저장실이라 함)에 대응하는 개구부(12)는 각각 단열성의 내부 도어(13)에 의해 마찬가지로 개폐 가능하게 폐색된다.
도2 내지 도4에 있어서, 부호 21은 단열 도어(4)를 축지지하는 힌지(3)가 설치되지 않은(즉, 비축지지) 측에 위치하는 단열 상자 본체의 개구 모서리,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저온 저장고(1)의 본체측[전방 패널(7)의 상부]에 설치되는 폴리아세탈 혹은 아세탈 수지 등 수지제의 본체측 스페이서이고,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에 의해 그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하는 전방 하강 경사의 안내면(22)과, 단열 도어(4)의 하면을 필요한 높이(H1)로 유지하는 편평한 간격 유지면(23)과, 단열 도어(4)의 하면에 있어서 힌지(3)가 설치되지 않은(비축지지) 측에 위치하는 도어 스위치(30)를 받는 받이부(24)를 갖는다.
이 본체측 스페이서(21)는 그 후방부, 즉 간격 유지면(23)에 전방 패널(7)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용 구멍(27)을 갖고, 그 전방부에 전방 패널(7)에 지지시키는 지지용 돌기(26)를 갖는다. 또한, 받이부(24)는 안내면(22)의 경사보다도 큰 경사각을 갖는 접촉면(25)을 구비한 것이다. 이 받이부(24)는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시에 도어 스위치(30)의 스위치부(31)가 전방 패널(7)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함몰을 형성하는 한편, 접촉면(25)에 의해 스위치부(31)와 최초로 접촉하여 그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스위치부(31)의 상하 이동을 보조하는 것이다.
도4 및 도5에 있어서, 부호 30은 단열 도어(4)의 하면(4D)에 있어서의 힌지(3)가 설치되지 않은(비축지지) 측에 위치하여 단열 도어(4)의 개폐 상태(특히, 도어의 폐색)를 검출하는 도어 스위치이고, 단열 도어의 하면(4D)에 설치한 부착 구멍(45)으로부터 도어의 내부로 삽입되는 스위치 본체(32)와, 상하 이동 가능한 스위치부(31)를 갖고 도어(4)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부착 부재(33)를 구비한다.
부호 35는 단열 도어의 하면(4D)에 있어서의 힌지(3)가 설치되지 않은(비축지지) 측에 설치되는 폴리아세탈 혹은 아세탈 수지 등 수지제의 도어측 스페이서이고,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에 의해 본체측 스페이서(21)의 안내면(22)에 접촉하면, 폐색 조작에 수반하여 그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하는 후방 상승 경사의 보조면(36)과, 도어 스위치(30)의 부착 부재(33)에 하방으로부터 포개어 도어 스위치(30)를 지지하는 지지부(37) 및 고정 구멍(38)을 갖고 단열 도어(4)의 하면을 필요한 높이(H2)로 유지하는 편평한 간격 유지면(39)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페이서에 의한 도어 하강의 보정 및 수정의 동작에 대해 도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6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도어의 폐색 조작에 있어서의, (a) 양 스페이서가 접촉하지 않은 비접촉시, (b) 양 스페이서가 접촉한 접촉 최초, (c) 도어를 완전하게 폐색한 폐색시를 각각 도시하고 있고, (b)에 도시하는 안내면(22)의 접촉점으로부터 간격 유지면(23)까지의 높이 치수(q)의 거리만큼 도어 하면의 높이 위치를 보정 및 수정하는 것이다. 또한, (b)에 있어서의 일점쇄선과 도어 하면(4D)과의 간격(p)과 앞의 보정 치수(q)는 동일하다.
도6의 (b)에 있어서, 도어측 스페이서(35)가 본체측 스페이서(21)의 안내면(22)에 접촉한 후 더욱 후방으로 단열 도어(4)를 압입하는 폐색 조작을 하면, 도어측 스페이서(35)가 안내면(22)에 따라서 서서히 상승하는 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즉,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설치된 본체측 스페이서(21)의 안내면(22)에 의해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마다 단열 도어의 하면이 안내면(22)에 따라서 상방으로 안내되어 그 하강 치수가 보정되므로, 사용자는 도어 개폐 조작시의 도어의 폐색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또한 강제적으로 단열 도어의 도어 하강을 수정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본체측 스페이서(21)는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므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열화 등으로 약간 치수의 도어 하강이 생긴 경우라도 힌지로부터 거리가 떨어져 있으므로 정확하게 그 도어 하강을 파악할 수 있고, 도어의 하강 치수 보정에 기여시키는 것이 가능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열화에 수반하는 도어 하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3)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상자 본체의 개구 모서리에 설치되는 수지제의 본체측 스페이서(21)에 의해 그 안내면(22)에 의해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할 때마다 단열 도어의 하면이 안내면(22)에 따라서 상방으로 안내되어 그 하강 치수가 보정되므로, 사용자는 도어 개폐 조작시의 도어의 폐색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또한 강제적으로 단열 도어의 도어 하강을 수정할 수 있다. 또 한, 본체측 스페이서(21)의 받이부(24)에 의해 힌지(3)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도어(4)의 하면에 설치된 도어 스위치(30)를 받을 수 있으므로, 도어 스위치(30)를 가능한 한 도어의 비축지지측의 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페이서는 단열 도어(4)에 설치되는 도어측 스페이서(35)와, 단열 상자 본체[실제로는 전방 패널(7)]에 설치되는 본체측 스페이서(21)로 이루어지므로, 도어의 하면과 단열 상자 본체의 개구 주연과의 간극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의 도어 하강이 발생한 경우라도 재빨리 그 도어 하강의 보정 및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양 스페이서를 폴리아세탈 혹은 아세탈 수지 등 수지제로 함으로써 스페이서끼리의 접촉 및 미끄럼 이동에 의한 마모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형에 강한 구조로 할 수 있어 그 내구성이 향상된다.
힌지(3)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도어(4)의 하면에 설치한 도어측 스페이서(35)로 도어 스위치(30)의 부착 부재(33)를 지지시키도록 한 것에 의해, 도어측 스페이서(35)에 의해 도어 스위치(30)의 고정이나 지지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도어 스위치(30)의 지지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본체측 스페이서(21)는 후방부에 고정용 구멍(27)을 갖고, 전방부에 지지용 돌기(26)를 가지므로, 본체측 스페이서(21)를 부착 위치에 고정하는 데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용 돌기(26)를 외부 상자의 이면에 접촉시켜 위치 결정을 행하고, 고정용 구멍(27)에 나사 등의 고정 부재(28)로 고정하면 좋고, 그 부착 작업성의 향상 및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체측 스페이서(21)의 받이부(24)는 안내면(22)의 경사각보다도 큰 경사각을 갖는 접촉면(25)을 구비하였으므로, 보다 짧은 깊이 치수로 도어 스위치(30)의 스위칭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도7을 기초로 하여 단열 도어(4) 개폐 조작에 수반하는 도어 스위치(30)의 스위치부(31)의 상하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방 패널(7)의 상면과 단열 도어의 하면(4D)과의 간격을 H3이라 하면, 본체측 스페이서(21)의 높이(H1)와 도어측 스페이서(35)의 높이(H2)와의 관계는 H1 + H2 ≤ H3으로 되어 있다.
스위치부(31)의 후방면이 받이부(24)의 접촉면(25)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7에 있어서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부(31)는 그 자중에 의해 가장 하방까지 내려간 상태에 있다. 그 위치로부터 더욱 단열 도어(4)를 폐색하여 스위치부(31)가 접촉면(25)에 접촉하면, 도7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부(31)가 약간 상승한다. 다음에(사용자인지 알아차릴 수 없지만) 접촉면(25)에 접촉한 상태에서 더욱 단열 도어(4)를 붙이면, 스위치부(31)는 이 접촉면(25)에 따라서 서서히 상승하고, 그 하단부(정상점 부분)가 접촉, 면(25)을 넘어 안내면(22)에 적재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부(31)의 스위칭 동작이 행해지도록 설정해 두면, 도어가 폐색된 것이라 판단해 버리므로, 바람직하게는 이 하단부(정상점 부분)가 간격 유지면(23)에 도달한 시점에서 스위칭 동작이 행해지도록 해 두면 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페이서를, 도8을 기초로 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부호 40은 단열 도어(4)의 하면(4D)에 있어서 힌지(3)가 설치되지 않은(비축지지) 측에 설치되는 수지제의 도어측 스페이서이고, 단열 도어(4)의 하 면을 필요한 높이(h1)로 유지하는 편평한 간격 유지면(41)과,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에 의해 그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하는 후방 상승 경사의 안내면(42)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페이서에 의한 도어 하강의 보정 및 수정의 동작에 대해 도8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8은 도6과 마찬가지로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도어의 폐색 조작에 있어서의, (a) 스페이서가 전방 패널(7)에 접촉하지 않은 비접촉시, (b) 스페이서가 접촉한 접촉 최초시, (c) 도어를 완전하게 폐색한 폐색시를 각각 도시하고 있고, (b)에 도시하는 도어측 스페이서(40)의 안내면(42)의 접촉점으로부터 간격 유지면(41)까지의 높이 치수(s)의 거리만큼 도어 하면(4D)의 높이 위치를 자동적으로 보정 및 수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도어측 스페이서(40)에 있어서 보정 및 수정할 수 있는 최대 높이는 h1이다. 즉, s ≤ h1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치수(H3과 h1)와의 관계는 h1 ≤ H3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페이서에 따르면, 도8의 (b)에 있어서 도어측 스페이서(40)의 안내면(42)의 후단부가 전방 패널(7)에 접촉한 후 더욱 후방으로 단열 도어(4)를 압입하는 폐색 조작을 하면, 도어측 스페이서(40)가 안내면(42)의 전방 하향 경사에 따라서 서서히 상승하는 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즉,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설치된 도어측 스페이서(40)의 안내면(42)에 의해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마다 단열 도어의 하면이 안내면(42)에 따라서 상방으로 안내되어 그 하강 치수가 보정되므로, 사용자는 도어 개폐 조작시의 도어의 폐색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또한 강제적으로 단열 도어의 도어 하강을 수정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도어측 스페이서(40)는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므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열화 등으로 약간 치수의 도어 하강이 생긴 경우라도 힌지로부터 거리가 떨어져 있으므로 정확하게 그 도어 하강을 파악할 수 있어 도어의 하강 치수 보정에 기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열화에 수반하는 도어 하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페이서를 도9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부호 50은 단열 도어(4)를 축지지하는 힌지(3)가 설치되지 않은(즉 비축지지) 측에 위치하는 단열 상자 본체의 개구 모서리,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저온 저장고(1)의 본체측[전방 패널(7)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지제의 본체측 스페이서이고, 단열 도어(4)의 하면을 필요한 높이(h3)로 유지하는 편평한 간격 유지면(51)과,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에 의해 그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하는 전방 하강 경사의 안내면(52)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페이서에 의한 도어 하강의 보정 및 수정의 동작에 대해 도9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9는 도6과 마찬가지로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도어의 폐색 조작에 있어서의 (a) 도어의 하면(4D) 후단부가 본체측 스페이서에 접촉하지 않은 비접촉시, (b) 도어의 하면이 본체측 스페이서에 접촉한 접촉 최초시, (c) 도어를 완전하게 폐색한 폐색시를 각각 도시하고 있고, (b)에 도시하는 안내면(52)의 접촉점으로부터 간격 유지면(41)까지의 높이 치수(t)의 거리 만큼 도어 하면(4D)의 높이 위치를 보정 및 수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본체측 스페이서(50)에 있어서 보정 및 수정할 수 있는 최대 높이는 스페이서의 높이 치수(h3)이다. 즉, t ≤ h3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치수(H3과 h3)와의 관계는 h3 ≤ H3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9의 (b)에 있어서, 도어의 하면(4D)의 후단부가 본체측 스페이서(50)의 안내면(52)에 접촉한 후 더욱 후방으로 단열 도어(4)를 압입하는 폐색 조작을 하면, 도어의 하면(4D)의 후단부가 본체측 스페이서(50)의 안내면(52)에 따라서 서서히 상승하는 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즉,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설치된 본체측 스페이서(50)의 안내면(52)에 의해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마다 단열 도어의 하면이 안내면(52)에 따라서 상방으로 안내되어 그 하강 치수가 보정되므로, 사용자는 도어 개폐 조작시의 도어의 폐색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또한 강제적으로 단열 도어의 도어 하강을 수정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본체측 스페이서(50)는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므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열화 등으로 약간 치수의 도어 하강이 생긴 경우라도 힌지로부터 거리가 떨어져 있으므로 정확하게 그 도어 하강을 파악할 수 있어 도어의 하강 치수 보정에 기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열화에 수반하는 도어 하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페이서에 따르면, 스페이서(50)를 단열 상자 본체[실제로는 전방 패널(7)의 상부]에 설치하였으므로,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마다 단열 도어의 하면(4D)이 안내면(52)에 따라서 상방으로 안내되어 그 하강 치수를 보정할 수 있다. 게다가, 단열 상자 본체의 개구 주연에 발생한 결로수의 배출 통로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설치된 스페이서(21, 40, 50)의 안내면(22, 42, 52)에 의해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마다 단열 도어의 하면이 안내면(22, 42, 52)에 따라서 상방으로 안내되어 그 하강 치수가 보정되므로, 사용자는 도어 개폐 조작시의 도어의 폐색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또한 강제적으로 단열 도어의 도어 하강을 수정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스페이서(21, 40, 50)는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므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열화 등으로 약간 치수의 도어 하강이 생긴 경우라도 힌지로부터 거리가 떨어져 있으므로 정확하게 그 도어 하강을 파악할 수 있어 도어의 하강 치수 보정에 기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열화에 수반하는 도어 하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서(40)를 단열 도어(4)에 설치하였으므로, 사용자는 그 존재를 알아차리기 어려워 도어의 의장성을 손상시킬 우려는 없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서(50)를 단열 상자 본체[실제로는 전방 패널(7)]에 설치하였으므로,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마다 단열 도어의 하면이 안내면(52)에 따라서 상방으로 안내되어 그 하강 치 수를 보정하는 것은 물론, 개구 주연에 발생한 결로수의 배출 통로로서도 기능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단열 도어(4)에 설치되는 도어측 스페이서(35)와, 단열 상자 본체[실제로는 전방 패널(7)]에 설치되는 본체측 스페이서(21)로 이루어지므로, 도어의 하면과 단열 상자 본체의 개구 주연의 간극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의 도어 하강이 발생한 경우라도, 재빨리 그 도어 하강의 보정 및 수정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양 스페이서를 폴리아세탈 수지제로 하였으므로, 스페이서끼리의 접촉 및 미끄럼 이동에 의한 마모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형에 강하고, 그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상자 본체의 개구 모서리에 설치되는 수지제의 본체측 스페이서(21)에 의해 그 안내면(22)에 의해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할 때마다 단열 도어의 하면이 안내면(22)에 따라서 상방으로 안내되어 그 하강 치수가 보정되므로, 사용자는 도어 개폐 조작시의 도어의 폐색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또한 강제적으로 단열 도어의 도어 하강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측 스페이서(21)의 받이부(24)에 의해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도어(4)의 하면에 설치된 도어 스위치(30)를 받을 수 있으므로, 도어 스위치(30)를 가능한 한 도어의 비축지지측의 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도어(4)의 하면에 설치한 도어측 스페이서(35)로 도어 스위치(30)를 지지한 도어 스위치의 고정 및 지지가 보다 확실하게 행해져 지지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본체측 스페이서(21)는 후방부에 고정용 구멍(27)을 갖고, 전방부에 지지용 돌기(26)를 가지므로, 본체측 스페이서(21)를 부착 위치에 고정하는 데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용 돌기(26)를 외부 상자의 이면에 접촉시켜 위치 결정을 행하고, 고정용 구멍(27)에 나사 등의 고정 부재(28)로 고정하면 좋고, 그 부착 작업성의 향상 및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르면, 본체측 스페이서(21)의 받이부(24)는 안내면(22)의 경사각보다도 큰 경사각을 갖는 접촉면(25)을 구비하였으므로, 보다 짧은 깊이 치수로 도어 스위치(30)의 스위칭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9의 발명에 따르면,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상자 본체의 개구 모서리에 설치된 본체측 스페이서(21)의 안내면(22)에 의해 단열 도어(4)의 폐색 조작마다 단열 도어의 하면이 안내면(22)에 따라서 상방으로 안내되어 그 하강 치수가 보정되므로, 사용자는 도어 개폐 조작시의 도어의 폐색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또한 강제적으로 단열 도어의 도어 하강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측 스페이서(21)의 받이부(24)에 의해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도어(4)의 하면에 설치된 도어 스위치(30)를 받기 위해, 도어 스위치(30)를 가능한 한 도어의 비축지지측의 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도어(4)의 하면에 설치된 도어측 스페이서(35)에 의해 상기 도어의 폐색 조작에 의해 본체측 스페이서(21)의 안내면(22)에 접촉하여 그 도어 하강을 강제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전방면에 개구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복수의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단열 도어와, 상기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단열 상자 본체의 개구 모서리에,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하는 안내면과, 상기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 도어의 하면에 설치된 도어 스위치를 받는 받이부를 갖는 수지제의 본체측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 도어의 하면에 설치한 도어측 스페이서로 도어 스위치를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 스페이서는 후방부에 고정용 구멍을 갖고, 전방부에 지지용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는 안내면의 경사보다도 큰 경사를 갖는 접촉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9. 삭제
KR1020040083786A 2003-10-21 2004-10-20 저온 저장고 KR101066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1309A JP4243163B2 (ja) 2003-10-21 2003-10-21 低温貯蔵庫
JPJP-P-2003-00361309 2003-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558A KR20050038558A (ko) 2005-04-27
KR101066359B1 true KR101066359B1 (ko) 2011-09-20

Family

ID=3464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786A KR101066359B1 (ko) 2003-10-21 2004-10-20 저온 저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54107B2 (ko)
JP (1) JP4243163B2 (ko)
KR (1) KR101066359B1 (ko)
CN (1) CN10040683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3459B2 (en) * 2006-11-16 2010-07-13 General Electric Company Closure assembly and method
US7640769B1 (en) * 2007-01-03 2010-01-05 Clark David M Portable self-contained storage apparatus for biologicals
US7621148B1 (en) 2007-08-07 2009-11-24 Dain John F Ultra-low temperature bio-sample storage system
US7823394B2 (en) * 2007-11-02 2010-11-02 Reflect Scientific, Inc. Thermal insulation technique for ultra low temperature cryogenic processor
KR100915427B1 (ko) * 2009-02-06 2009-09-03 윤근진 혈장 급속 냉동기
KR20100122156A (ko)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434837B2 (en) * 2009-07-08 2013-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011191B2 (en) 2009-09-30 2011-09-06 Thermo Fisher Scientific (Asheville) Llc Refrigeration system having a variable speed compressor
DE102010035372A1 (de) * 2010-08-25 2012-03-01 Airbus Operations Gmbh Abdichtungssystem mit einer Positionierungseinrichtung
US8950118B2 (en) * 2010-12-15 2015-02-10 Richard P. Kuivila Gate adjustment system
US8851587B2 (en) * 2011-07-05 2014-10-07 Jonathan Manufacturing Corporation Heavy-duty slide assembly
CN102331145B (zh) * 2011-09-07 2016-01-20 张其明 真空保温法在电冰箱中的应用
KR20130060864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6038446B2 (ja) * 2011-12-07 2016-12-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断熱キャビネット
EP2613112B1 (en) 2012-01-03 2019-10-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KR101918296B1 (ko) * 2012-06-2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25737B1 (ko) * 2012-09-03 2019-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WO2014081993A1 (en) * 2012-11-21 2014-05-30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storage bin with improved door
CN104252736A (zh) * 2013-06-28 2014-12-31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自动售货机外壳
KR102118047B1 (ko) * 2013-09-09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6588313B2 (ja) * 2015-11-20 2019-10-09 三協立山株式会社 建具
KR102577442B1 (ko) * 2016-06-07 202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449U (ko) * 1995-02-09 1996-09-17 냉장고 도어처짐 방지장치
KR960029451U (ko) * 1995-02-09 1996-09-17 냉장고 도어처짐 방지장치
KR0139258Y1 (ko) * 1996-11-22 199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01050644A (ja) * 1999-08-11 2001-02-23 Sanden Corp 車載用保冷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0492A (en) * 1965-01-18 1968-09-10 Weather Proof Company Door frame assembly
US4516335A (en) * 1982-04-09 1985-05-14 Sanyo Electric Co., Ltd. Clothes dryer
FR2604474B3 (fr) * 1986-09-30 1989-03-24 Timmerman Raymonde Mecanisme de verrouillage secondaire de porte actionnable par le verrou de celle-ci
US4861099A (en) * 1988-03-11 1989-08-29 Paccar Inc. Door alignment assembly and method
DE29711358U1 (de) * 1997-07-01 1997-08-28 Dorma Gmbh & Co Kg Rahmenlose Ganzglastür
US6006817A (en) * 1998-01-09 1999-12-28 Clopay Building Products Company Overhead door, panel and hinge assembly
DE19803601C1 (de) * 1998-01-30 1999-09-09 Kendro Lab Prod Gmbh Verfahren zur Verschlußkontrolle für Brut- und Trockenschränke sowie Brut- oder Trockenschrank
JP2000130918A (ja) * 1998-10-26 2000-05-12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JP2000356461A (ja) 1999-06-15 2000-12-26 Daikin Ind Ltd 保冷庫
JP2001183052A (ja) 1999-12-28 2001-07-06 Sanyo Electric Co Ltd 保冷庫
JP2001327544A (ja) * 2000-03-15 2001-11-27 Fuji Heavy Ind Ltd 車椅子の補助動力装置
US6401478B2 (en) * 2000-04-19 2002-06-11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with cooperating inner and outer doors
JP4222733B2 (ja) * 2001-01-15 2009-02-12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GB0102987D0 (en) * 2001-02-07 2001-03-21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An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449U (ko) * 1995-02-09 1996-09-17 냉장고 도어처짐 방지장치
KR960029451U (ko) * 1995-02-09 1996-09-17 냉장고 도어처짐 방지장치
KR0139258Y1 (ko) * 1996-11-22 199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01050644A (ja) * 1999-08-11 2001-02-23 Sanden Corp 車載用保冷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06831C (zh) 2008-07-30
US20050138956A1 (en) 2005-06-30
KR20050038558A (ko) 2005-04-27
JP2005127553A (ja) 2005-05-19
CN1609539A (zh) 2005-04-27
JP4243163B2 (ja) 2009-03-25
US7654107B2 (en)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359B1 (ko) 저온 저장고
EP2650626B1 (en) Semi-auto clo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167389B2 (en) Refrigerator mullion with protection unit
KR20100035095A (ko) 냉장고
CN111721048B (zh) 冰箱
US20130014533A1 (en) Refrigerator
CN105042998A (zh) 冰箱
CN101644524A (zh) 冰箱
JP2004116967A (ja) 冷蔵庫
JP2007120800A (ja) 冷蔵庫の扉装置
KR20090085181A (ko) 냉장고
KR100222986B1 (ko) 냉장고의 서랍식 수납 장치
JP3843088B2 (ja) 超低温フリーザ
KR200406024Y1 (ko) 냉장고
CN115349074B (zh) 冰箱
WO2005116550A1 (ja) 冷蔵庫
JPH1054655A (ja) 冷蔵庫
US11187453B2 (en) Refrigerator
KR19990020545U (ko) 냉장고의 특선실 파손 방지 구조
US20230204282A1 (en) Refrigerator
US20240068738A1 (en) Control box and refrigerator including a control box
JP3288623B2 (ja) ショーケース
JP4367071B2 (ja) 冷蔵庫
JP3213541B2 (ja) 扉装置
KR100701931B1 (ko) 김치저장고의 백플레이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