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442B1 -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7442B1 KR102577442B1 KR1020160070545A KR20160070545A KR102577442B1 KR 102577442 B1 KR102577442 B1 KR 102577442B1 KR 1020160070545 A KR1020160070545 A KR 1020160070545A KR 20160070545 A KR20160070545 A KR 20160070545A KR 102577442 B1 KR102577442 B1 KR 1025774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estal
- slider
- door
- elastic
-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저장실과; 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에 설치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저장실 외부로 펼쳐지는 펼침위치와 저장실 내부로 접혀지는 접힘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게 구비되고, 도어의 폐쇄 동작에 의해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접힘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며, 도어의 개방 동작에 의해 가압력의 작용이 해제되면 펼침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받침대; 및 도어의 폐쇄 동작에 연동되어 펼침위치에 위치된 받침대의 위치를 접힘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받침대에 가하는 접힘유도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 등과 같은 저장물을 보관하는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 등과 같은 식품 또는 그외 저장물을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저장물을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배치에 따라,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 마운팅 타입(Top mounting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냉장실 도어의 내측에 도어선반 내지 수납케이스를 마련하여 저장물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한 형태의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에서, 도어의 내측에 저장실과 별도의 공간으로 마련되는 수납케이스는 홈바 또는 보조저장실이라 일컬어진다.
또한 도어를 열어 냉장실 전체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보조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냉장실 도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서브도어가 장착되기도 한다.
이에 따르면, 도어는 메인도어와 서브도어로 구분될 수 있고, 냉장실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는 메인도어라 하며, 서브도어는 보조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라 할 수 있다.
서브도어는, 메인도어와 크기가 같거나 메인도어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으며,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수직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브도어만을 열어 메인도어의 개구부를 통해 보조저장실에 접근하여 음료나 음식물을 보조저장실에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냉장고는, 저장실 또는 보조저장실이 저장물로 꽉 채워진 상태에서 저장실 또는 보조저장실의 깊숙한 곳에 위치한 저장물을 꺼내거나 그들의 위치를 바꾸고자 할 때, 또는 저장실 또는 보조저장실에 저장된 음료 또는 음식물을 컵에 따르거나 다른 그릇에 덜어내고자 할 때, 임시로 꺼내진 저장물들을 놓을 만한 마땅한 공간이나 구조물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임시로 꺼내진 저장물들을 임시로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 외부로 펼쳐지는 펼침위치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접혀지는 접힘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폐쇄 동작에 의해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접힘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동작에 의해 가압력의 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펼침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받침대; 및 상기 도어의 폐쇄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펼침위치에 위치된 상기 받침대의 위치를 상기 접힘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상기 받침대에 가하는 접힘유도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캐비닛에 상기 펼침위치와 상기 접힘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메인도어, 및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메인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메인도어, 및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은,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간에 형성되는 메인저장실 및 상기 서브도어와 상기 메인저장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서브저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접힘위치에서 상기 서브저장실에 위치하도록 세워지고 상기 펼침위치에서 상기 서브저장실 외부로 펼쳐지도록 상기 메인도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메인도어, 및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은,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간에 형성되는 메인저장실 및 상기 서브도어와 상기 메인저장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서브저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접힘위치에서 상기 메인저장실에 위치하도록 세워지고 상기 펼침위치에서 상기 메인저장실 외부로 펼쳐지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펼침위치 또는 상기 접힘위치로 위치가 변화된 상기 받침대의 위치가 각각 유지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자세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접힘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기 위한 힘을 받도록 상기 저장실 외부를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세유지부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받침대를 상기 저장실 외부를 향해 기울이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세유지부는, 상기 펼침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의 가로방향으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하부면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가로지지벽, 및 상기 접힘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의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하부면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세로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부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받침대와 상기 세로지지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로지지벽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세유지부는, 상기 펼침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의 가로방향으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세로지지벽의 후방측에서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힘유도장치는, 돌출위치와 함몰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저장실을 폐쇄하는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함몰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받침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함몰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입력되는 직선방향의 힘을 상기 받침대의 위치를 상기 접힘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출력하며, 상기 펼침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상기 받침대에 의해 입력되는 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돌출위치로 복귀시키는 직선방향의 힘으로 출력하는 변환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폐쇄 동작시 상기 도어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돌출위치에 위치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함몰위치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돌기본체부; 및 상기 돌기본체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본체부는, 강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접촉부 간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접힘유도장치는: 돌출위치와 함몰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캐비닛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을 폐쇄하는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함몰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저장실 외부로 펼쳐지는 펼침위치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접혀지는 접힘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구비된 받침대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함몰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입력되는 직선방향의 힘을 상기 받침대의 위치를 상기 접힘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출력하며, 상기 펼침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상기 받침대에 의해 입력되는 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돌출위치로 복귀시키는 직선방향의 힘으로 출력하는 변환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환출력부에 입력되는 상기 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환출력부 및 상기 탄성지지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돌출위치와 상기 함몰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핀부; 및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이드핀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핀부에 외삽되어 상기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결합부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압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돌출위치로 이동된 슬라이더와 인접한 측에 위치한 상기 케이스의 벽면과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돌출위치로 측으로의 이동이 소정 거리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외측에 끼워지는 스프링장착핀; 및 상기 결합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부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스프링장착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핀은, 한 쌍의 상기 스프링장착핀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프링장착핀이 상기 결합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관통공, 및 상기 슬라이딩핀이 상기 결합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2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이 상기 슬라이딩핀과 접촉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스프링장착핀이 통과 가능한 내경으로 형성되는 통과공; 및 상기 스프링장착핀에 외삽되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통과공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확장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에 따르면, 저장실이 저장물로 꽉 채워진 상태에서 저장실의 깊숙한 곳에 위치한 저장물을 꺼내거나 그들의 위치를 바꾸고자 할 때, 또는 저장실에 저장된 음료 또는 음식물을 컵에 따르거나 다른 그릇에 덜어내고자 할 때, 이들을 임시로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와 같은 거치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사용 편의성 및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대가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받침대를 손으로 직접 펼치거나 접을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명은 받침대가 부드럽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받침대가 펼쳐질 때 받침대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받침대가 펼쳐질 때 받을 수 있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도어와 서브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세유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세유지부에 받침대가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받침대의 위치가 접힘위치로 변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받침대의 기울기 범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탄성가압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접힘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접힘유도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함몰위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도어와 서브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세유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세유지부에 받침대가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받침대의 위치가 접힘위치로 변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받침대의 기울기 범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탄성가압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접힘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접힘유도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함몰위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도어와 서브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세유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세유지부에 받침대가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받침대의 위치가 접힘위치로 변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받침대의 기울기 범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탄성가압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캐비닛(100)과 도어(200)와 받침대(300)와 자세유지부(400) 및 접힘유도장치(500)를 포함한다.
캐비닛(100)은 도어(200)와 함께 냉장고의 외관 골격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저장실(110,12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닛(100) 내의 저장실로서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가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 마운팅 타입(Top mounting type),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0)는, 캐비닛(100)에 설치되어 저장실(110,120)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각각 구비되고,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는 각각 좌측도어와 우측도어로 구분되는 형태로 도어(2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형태,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중 어느 하나만이 좌측도어와 우측도어로 구분되는 형태, 또한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모두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형태,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후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도어가 설치된 냉장고가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각각 좌측도어와 우측도어로 구분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좌측도어와 우측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200)는, 메인도어(210)와 서브도어(220)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도어(200)에서, 메인도어(210)는 캐비닛(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실(110,120)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메인도어(210)의 내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개구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서브도어(220)는, 메인도어(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도어(210)에 마련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200)를 갖는 냉장고에 따르면, 냉장고 내부의 저장실(110,120)은 메인저장실(110)과 서브저장실(120)로 구분될 수 있다.
메인저장실(110)은, 캐비닛(100) 내부의 공간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에 해당되며, 메인도어(210)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서브저장실(120)은, 서브도어(220)와 메인저장실(110) 사이에서 개구부를 포함하는 공간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에 해당되며, 서브도어(220)에 의해 개폐된다.
받침대(300)는, 저장실(110,120) 외부로 펼쳐지는 펼침위치와 저장실(110,120) 내부로 접혀지는 접힘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받침대(300)는, 도어(2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서브도어(220)의 폐쇄 동작에 의해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접힘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며, 도어(200)의 개방 동작에 의해 가압력의 작용이 해제되면 펼침위치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서 받침대(300)는, 상하방향으로 납작한 대략 육면체 형상의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서 측방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은, 받침대(300)가 펼침위치에서 펼쳐졌을 때 받침대(300)의 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받침대(300)는, 회전축이 메인도어(210)의 양측 내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메인도어(21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접힘위치에서 서브저장실(120)에 위치하도록 세워지고(도 6 참조), 펼침위치에서 서브저장실(120)의 외부로, 바꾸어 말하면 서브저장실(120)의 전방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메인도어(2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받침대(300)는, 메인도어(21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힘위치에서 받침대(300) 전체가 서브저장실(120)에 위치하도록 세워질 수 있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펼침위치에서 받침대(300)의 대부분이 서브저장실(12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펼쳐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힘위치는 도어(200)가 이루는 세로방향의 평면과 나란한 세로방향으로 받침대(300)가 세워지는 위치인 것으로 정의되고, 펼침위치는 도어(200)가 이루는 세로방향의 평면과 수직을 이루는 가로방향으로 받침대(300)가 펼쳐지는 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다만, 접힘위치는 도어(200)가 이루는 세로방향의 평면과 비교하여 소정 각도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받침대(300)가 세워지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펼침위치는 도어(200)가 이루는 세로방향의 평면과 정확히 수직을 이루는 위치뿐 아니라 그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어느 정도 기울어진 위치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받침대(300)는 상하방향으로 납작한 대략 육면체 형상의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측면에 축공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받침대(300)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는, 메인도어(2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축이 받침대(300)의 축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메인도어(210)와 받침대(300) 간의 회동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받침대(300)는 메인도어(210)가 아닌 캐비닛(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받침대(300)는, 메인저장실(110)이 내부에 형성된 캐비닛(100)의 양측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접힘위치에서 메인저장실(110)에 위치하도록 세워지고, 펼침위치에서 메인저장실(110)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도록 캐비닛(1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받침대(300)는 메인도어(210)와 캐비닛(100)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은 냉장고의 여러 다양한 위치에 받침대(300)가 설치된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자세유지부(400)는 펼침위치 또는 접힘위치로 위치가 변화된 받침대(300)의 위치가 각각 해당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받침대(30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세유지부(400)가 메인도어(210)의 서브저장실(120)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되, 메인도어(210)의 하측 내벽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받침대(300)가 캐비닛(100)에 설치되는 경우, 자세유지부(400)는 캐비닛(100)의 메인저장실(110)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세유지부(4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지지벽(410) 및 세로지지벽(420)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로지지벽(410)은, 펼침위치에서 받침대(300)의 가로방향으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받침대(300)의 하부면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가로방향의 벽체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가로지지벽(410)은 받침대(300)의 회동 중심이 되는 회전축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세로지지벽(420)은, 접힘위치에서 받침대(300)의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받침대(300)의 하부면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세로방향의 벽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세로지지벽(420)은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벽체가 받침대(30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가로지지벽(410)은 이와 같이 세워진 세로지지벽(420)의 상단부에 세로지지벽(42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 가로방향의 벽체가 올려져 세로지지벽(420)과 "T" 형상을 이루며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자세유지부(400)는, 가로지지벽(410) 및 세로지지벽(420) 외에 지지리브(4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리브(430)는, 펼침위치에서 받침대(300)의 가로방향으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세로지지벽(420)의 후방측에서 받침대(300)의 상부면을 상부에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리브(430)는 세로지지벽(420)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세워진 세로벽(431)의 상단으로부터 지지돌기(433)가 전방측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전체적으로 "Γ" 형상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리브(430)는 가로방향으로 펼쳐진 받침대(300)의 상부면이 펼침위치에서 지지리브(430)의 지지돌기(433)와 간섭되도록 마련되고, 이와 같이 지지리브(430)의 지지돌기(433)와 간섭된 받침대(300)는 그 위치로부터 더 이상 하부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그 움직임이 구속됨으로써 그 위치가 펼침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리브(430)의 지지돌기(433)와 접촉하는 받침대(300)의 일영역에는 지지리브(430)의 지지돌기(433)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310)은 지지리브(430)의 지지돌기(433)와 받침대(300) 간의 접촉 부분이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는 깊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받침대(300)가 펼침위치에서 펼쳐졌을 때 받침대(300)의 상부면과 지지리브(430)가 동일 평면을 이루며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받침대(300) 설치 부위의 외관 품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받침대(300)가 제공하는 거치 면적이 확장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리브(430)는 받침대(300)의 회동 중심이 되는 회전축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즉 받침대(3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가로지지벽(410)이 전방측에 위치되고 지지리브(430)가 후방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펼침위치에서의 받침대(300)의 지지 상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펼침위치에 해당하는 위치로 회동된 받침대(300)는, 그 하부면이 가로지지벽(410)과 간섭되어 가로지지벽(410)에 의해 지지되고, 그 상부면이 지지리브(430)의 지지돌기와 간섭되어 지지리브(430)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더 이상의 회동이 제한되면서 펼침위치에 정착하게 된다.
이때 가로지지벽(410)이 받침대(300)의 하부면을 회전축의 전방측에서 지지하고 지지리브(430)가 받침대(300)의 상부면을 회전축의 후방측에서 지지하는 지지 구조가 이루어지므로, 받침대(300)가 자세유지부(400)에 의해 흔들림 없이 지지되며 펼침위치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펼침위치에서 상부방향으로 회동된 받침대(300)는, 접힘위치에서 그 하부면이 세로지지벽(420)에 의해 전방에서 지지됨으로써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세로지지벽(420)은, 후술할 탄성가압부(440)를 매개로 받침대(300)와 간접적으로 접촉되면서 받침대(300)를 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받침대(300)는, 접힘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펼쳐지는 방향, 즉 하부방향으로 회동되기 위한 힘을 받도록 저장실(110,120; 도 1 참조) 외부를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의 받침대(300)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지 않고 수직방향에 비해 소정 각도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는 형태, 즉 받침대(300)의 상단부가 받침대(300)의 회동 중심이 되는 회전축에 비해 전방측으로 치우친 형태로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받침대(300)가 기울어지게 세워지면, 받침대(3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작용이 해제되었을 때 받침대(300)의 자중에 의해 받침대(300)가 하부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기울어지게 세워지는 받침대(300)는, 도어(200)의 개방 동작으로 인해 받침대(3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작용이 해제되면, 받침대(300)의 자중에 의해 받침대(300)가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위치가 접힘위치로 변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300)가 펼침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펼쳐지는 각도를 0°라고 할 때, 접힘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받침대(300)의 기울기 범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75° 이상 90° 미만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받침대(300)의 기울기가 75° 미만인 경우에는, 받침대(300)가 접혀진 상태에서도 받침대(300)의 상단부가 저장실(110,120; 도 1 참조) 외부로 지나치게 돌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도어(200)가 닫힐 때 받침대(300)와 도어(200) 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받침대(300) 또는 도어(200)의 파손이 발생되거나, 받침대(300)와 도어(200) 간의 간섭 발생으로 인해 도어(200)가 제대로 닫히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 받침대(300)가 세로방향으로 세워질 때 받침대(300)의 상단부가 저장실(110,120)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로 받침대(300)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도 있겠으나, 이 경우에는 받침대(300)가 제공하는 저장물 거치 공간을 불필요하게 축소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접힘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받침대(300)의 기울기가 90°를 넘는 경우에는, 받침대(300)의 자중에 의한 힘이 받침대(300)의 전방측으로 작용되기 어렵게 되므로,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이 지연되거나,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발생된다.
이와 비교하여 접힘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받침대(300)의 기울기가 75° 이상 90° 미만의 범위인 경우, 도어(200)가 닫힐 때 도어(200)와 받침대(300) 간의 출돌이 발생사거나 도어(200)의 닫힘에 문제가 발생될 염려가 없으면서도 도어(200) 개방시 받침대(300)의 자중에 의한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 즉 펼침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자세유지부(400)는, 탄성가압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가압부(440)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받침대(300)를 저장실(110,120) 외부를 향해 기울이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일례로서, 탄성가압부(440)는 받침대(300)의 전방측 및 회전축의 하부측에서 받침대(300)와 접촉하며 받침대(30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가압부(440)는, 받침대(300)의 하단부가 받침대(300)의 상단부에 비해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도록 받침대(30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가압부(440)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을 갖는 연질 재질로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부재가 본 발명의 탄성가압부(440)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부(440)는, 접힘위치를 향해 회동하며 세워지는 받침대(300)와 직접 접촉하며 받침대(300)가 접힘위치를 넘어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받침대(300)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이러한 탄성가압부(440)는, 탄성을 갖는 연질 재질로 형성되므로, 접힘위치를 향해 회동하는 받침대(300)에 의해 눌리면서 받침대(300)와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가압부(440)는, 받침대(300)가 접힘위치에서 세워져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때에는 받침대(300)에 의해 눌린 상태로 유지되다가, 도어(200)의 개방 동작으로 인해 받침대(3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작용이 해제되면 눌려 있던 상태가 해제되면서 받침대(300)를 밀어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일례로서, 탄성부재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받침대(300)와 세로지지벽(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로지지벽(4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받침대(300)를 저장실(110,120) 외부를 향해 기울이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는 받침대(300)의 전방측 및 회전축의 하부측에서 받침대(300)와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탄성부재는, 받침대(300)를 세로지지벽(4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는, 회전축의 하부측에서 받침대(300)의 하부 영역을 후방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받침대(300)의 하부 영역은 후방측으로 회동하고, 회전축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받침대(300)의 상부 영역은 전방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받침대(300)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례로서, 탄성부재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받침대(300)와 세로지지벽(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로지지벽(4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받침대(300)를 저장실(110,120) 외부를 향해 기울이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는 받침대(300)의 전방측 및 회전축의 하부측에서 받침대(300)와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탄성부재는, 받침대(300)를 세로지지벽(4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는, 회전축의 하부측에서 받침대(300)의 하부 영역을 후방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받침대(300)의 하부 영역은 후방측으로 회동하고, 회전축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받침대(300)의 상부 영역은 전방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받침대(300)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대(300)는, 그 자중과 탄성가압부(440)의 탄성력을 합한 힘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위치가 펼침위치로 변화될 수 있다.
세로방향으로 세워져 있던 받침대(300)의 회동이 이루어질 때, 받침대(300)를 회동시키기 위해 받침대(300)에 가해지는 모멘트(Moment)는 받침대(300)가 접힘위치에 근접한 위치일 수록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하고 받침대(300)가 펼침위치에 근접한 위치일 수록 강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받침대(300)가 접힘위치에 근접한 위치에서 회동을 시작하는 시기, 즉 받침대(300)의 회동 초기에는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받침대(300)의 회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하는 받침대(300)의 회동 초기에 탄성가압부(440)에 의한 탄성력의 작용이 더해져 받침대(300)를 좀 더 강한 힘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되므로, 받침대(300)의 위치를 펼침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가압부(440)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받침대(300)와 세로지지벽(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로지지벽(420)에 설치된다.
바꾸어 설명하면, 탄성가압부(440)는 지지리브(430)와 마주보는 세로지지벽(420)의 내측면에 설치됨으로써, 세로지지벽(420)과 지지리브(430) 사이에 숨겨진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탄성가압부(440)와 같은 돌출된 구조물이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게 되므로, 받침대(300) 설치 부위의 외관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가압부(440)가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받침대(300)와 세로지지벽(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로지지벽(4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를 참조하면, 탄성가압부(440a)는 받침대(30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탄성가압부(440a)는, 받침대(300)가 펼침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펼쳐졌을 때, 그 전방 측이 세로지지벽(420)에 의해 가려지고 후방 측이 지지리브(430)에 의해 가려지며 상방 측이 받침대(300)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 즉 탄성가압부(440a)의 전방과 후방과 상방이 세로지지벽(420)과 지지리브(430), 받침대(300)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탄성가압부(440a) 또한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게 되므로, 받침대(300) 설치 부위의 외관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탄성가압부(440a)는, 받침대(300)의 하부면에 결합된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대(300)가 접힘위치를 향해 회동하며 세워질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지지벽(420)과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로지지벽(420)과 접촉되는 탄성가압부(440a)는, 받침대(300)가 접힘위치를 향한 회동을 계속하는 동안 받침대(300)와 세로지지벽(420) 사이에서 눌리면서 탄성력을 축적한다.
그리고 탄성가압부(440a)의 눌림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못할 정도로 받침대(300)의 회동이 이루어지면, 받침대(300)는 접힘위치를 넘어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고 그 움직임이 구속된다.
그리고 도어(200)의 개방 동작으로 인해 받침대(3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작용이 해제되면, 탄성가압부(440a)의 눌려 있던 상태가 해제되면서 탄성가압부(440a)의 탄성력이 받침대(300)에 작용하여 받침대(300)를 전방 측을 향해 밀어주는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외에도, 탄성가압부(440a)가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는 여러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능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경우 외부에 보여지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탄성가압부(440a)의 설치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접힘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접힘유도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1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함몰위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접힘유도장치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접힘유도장치(500)는 도어(200)의 폐쇄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되, 펼침위치에 위치된 받침대(300)의 위치를 접힘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받침대(300)에 가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접힘유도장치(5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10,515)와 슬라이더(520)와 변환출력부(530) 및 탄성지지부(540)를 포함한다.
케이스(510,515)는, 접힘유도장치(5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변환출력부(530) 및 탄성지지부(54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스(510,515)에는, 슬라이더(520)가 출몰 가능하게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510,515)는 제1케이스(510)와 제2케이스(515)로 분리된 형태로 마련된다.
제1케이스(510)는, 슬라이더(520)와 변환출력부(530) 및 탄성지지부(540)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1케이스(51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5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변환출력부(530)의 각 구성들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탄성지지부(540)의 일측 단부가 제1케이스(510)의 내벽에 지지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아울러 제1케이스(510)의 전방측에는, 출몰 가능하게 수용된 슬라이더(520)의 일부분이 케이스(510,515)의 외부로 돌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는, 제1케이스(510)의 전방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2케이스(515)에 형성된 홈과 제1케이스(510)의 전방측에 형성된 홈이 합쳐져 개구부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케이스(515)는, 제1케이스(510)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제1케이스(510)와 함께 하나의 케이스(510,515)로 조립된다.
접힘유도장치(500)의 케이스가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면 그 내부 공간에 복잡한 부품들을 조립하기 어려우므로, 이와 같이 복수개로 분리된 케이스(510,515)를 결합하는 형태로 케이스(510,515)의 조립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더(520)는, 케이스(510,515)에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되, 후술할 가이드핀부(570,575)와의 결합을 매개로 케이스(510,515)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슬라이더(520)는, 돌출위치와 함몰위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저장실(110,120; 도 1 참조)을 폐쇄하는 도어(200)에 의해 가압되어 함몰위치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힘유도장치(500) 및 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더(520)가 메인도어(210)에 설치되고, 슬라이더(520)는 서브저장실(120)을 폐쇄하는 서브도어(220)에 의해 함몰위치로 이동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받침대(300; 도 2 참조)가 메인도어(210)가 아닌 캐비닛(100; 도 2 참조)에 설치될 경우 접힘유도장치(500)는 받침대(300)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캐비닛(1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받침대(300)가 냉장고가 아닌 다른 기기, 예를 들면 전자레인지나 오븐의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경우 접힘유도장치(500)는 그 받침대(300)가 설치된 해당 기기의 캐비닛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접힘유도장치(500)의 설치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슬라이더(520)의 전방측에는, 케이스(510,515)의 전면보다 더 돌출되어 튀어나올 수 있는 돌출부(521)가 마련된다.
돌출부(521)는, 슬라이더(520)가 돌출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케이스(510,515)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도어(200)의 폐쇄 동작에 의해 작용되는 가압력을 직접 받게 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돌출부(521)가 케이스(510,515)로부터 완전히 돌출된 상태가 돌출위치, 돌출부(521) 대부분의 영역이 케이스(510,515)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함몰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슬라이더(520)는, 돌출위치로부터 함몰위치로 이동하면서 직선방향의 힘을 변환출력부(530)에 입력시킬 수 있고, 변환출력부(530)를 통해 입력되는 직선방향의 힘에 의해 함몰위치로부터 돌출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변환출력부(530)는, 케이스(5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슬라이더(520)와 받침대(30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변환출력부(530)는, 함몰위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520)에 의해 입력되는 직선방향의 힘을 받침대(300)의 위치를 접힘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출력한다.
또한 변환출력부(530)는, 펼침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받침대(300)에 의해 입력되는 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슬라이더(520)를 돌출위치로 복귀시키는 직선방향의 힘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더(520)의 하부측에는 하부방향을 향해 톱니들이 형성된 랙(523)이 마련되고, 변환출력부(530)는 상기 랙(523)과 치합되는 피니언(533)이 외주면에 마련된 회전기어(531)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회전기어(531)는 케이스(510,5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방향 또는 그 역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랙(523)은 슬라이더(520)의 이동거리와 피니언(533)과의 맞물림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니언(533)은 회전기어(531)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회전기어(531)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회전기어(531)의 외주면 일부분, 즉 랙(523)과의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적정 영역을 고려한 범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피니언(533)이 회전기어(531)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경우, 회전기어(531)의 어느 위치에서라도 랙(523)과 피니언(533) 간의 맞물림이 적정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회전기어(531)의 조립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피니언(533)이 회전기어(531)의 외주면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경우, 피니언(533)이 형성되지 않지 않은 부분만큼 케이스(510,515)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좀 더 컴팩트한 사이즈로 접힘유도장치(500)가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슬라이더(520)와 변환출력부(530) 간의 연결은, 슬라이더(520)의 랙(523)과 회전기어(531)의 피니언(533) 간의 치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520)와 변환출력부(530) 간의 연결에 의해, 함몰위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520)에 의해 입력되는 직선방향의 힘은 피니언(533)과 치합된 랙(523)에 의해 피니언(533)으로 전달되고, 이와 같이 전달된 직선방향의 힘은 랙(523)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533)을 통해 회전기어(531)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회전기어(531)는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기어(531)는 함몰위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520)에 의해 입력되는 직선방향의 힘을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기어(531)는 케이스(150,155),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케이스(515)에 관통되게 형성된 축공에 끼워짐으로써 케이스(150,15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축공에 끼워진 회전기어(531)의 단부는 제2케이스(515)의 외부로 노출된다.
즉 슬라이더(520)는 케이스(150,155)의 전방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기어(531)는 그 단부가 케이스(150,155)의 측방향 일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접힘유도장치(5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00)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메인도어(210)의 측벽에 내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되, 슬라이더(520)가 서브도어(220)와 마주보는 메인도어(210)의 전방측으로 노출되고 회전기어(531)의 단부가 받침대(300)와 마주보는 메인도어(210)의 내벽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메인도어(210)의 내벽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기어(531)는, 회전기어(531)와 마주보는 받침대(300)의 일 측면에서 돌출되는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300)의 회전축과 회전기어(531)는, 일체로 함께 회전되도록 서로 연결된다.
일례로서, 회전기어(531)와 연결되는 회전축의 단부는 원기둥 형태가 아니라 원기둥 원주부의 적어도 일측이 평면에 의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기어(531)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 단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연결홈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홈에 회전축의 단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회전축과 회전기어(531)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축과 회전기어(531)가 일체로 함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여러 다양한 형태의 연결 구조(가령, 키와 키홈)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해 받침대(300)와 연결되는 회전기어(531)는, 일방향으로 회전시 받침대(300)의 위치를 펼침위치에서 접힘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향, 즉 받침대(30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받침대(300)에 전달한다.
이러한 회전기어(531)는, 접힘위치에서 펼침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즉 하부방향으로 회동되는 받침대(300)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접힘유도장치(5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출력부(530)에 입력되는 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퍼(550) 및 댐퍼(550)에 의해 제공되는 댐핑력을 변환출력부(530)로 전달하는 연결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550)는 회전기어(531)의 타방향 회전만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저항을 가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일례로서 댐퍼(550)는, 댐퍼(55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의 내부에 점성이 큰 작동 유체가 채워지고, 이와 같이 작동 유체가 채워진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개의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부재와 결합되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샤프트(551)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550)에 따르면, 회전부재가 샤프트(551)를 따라 타방향으로 회전될 때 작동 유체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큰 저항을 받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샤프트(551)에 같은 회전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샤프트(551)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이 일방향으로의 회전보다 느린 속도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댐퍼(550)의 샤프트(551)는 회전기어(531)의 타방향 회전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댐퍼(550)와 변환출력부(530) 간의 연결은, 연결부(56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560)가 회전기어(531)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마련된 댐퍼구동기어(561), 그리고 샤프트(551)와 동일축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댐퍼구동기어(56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563)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댐퍼구동기어(561)는, 회전기어(531)와 별물로 구비되어 회전기어(531)와 결합, 조립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회전기어(531)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댐퍼구동기어(561)와 회전기어(531)가 별물로 구비되는 경우 댐퍼구동기어(561)와 회전기어(531) 각각을 사출성형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댐퍼구동기어(561)와 회전기어(53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접힘유도장치(500)에 소요되는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기어(561)는 회전기어(531)와 일체로 회전되며 회전력을 종동기어(563)에 전달하고, 종동기어(563)는 댐퍼구동기어(561)와 맞물려 회전되면서 이러한 회전력을 샤프트(551)에 전달한다.
회전기어(531)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이러한 회전기어(531)의 타방향 회전은 연결부(560)를 매개로 회전기어(531)와 연결된 샤프트(551)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기어(531)의 회전 속도가 감소된다.
이와 같이 회전속도가 감소된 회전기어(531)는 받침대(300; 도 7 참조)의 하부방향으로의 회동을 방해하는 저항으로 작용되며, 이에 따라 받침대(300)는 펼침위치로의 회동시 하부방향으로의 회동속도가 감속되며 부드럽게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샤프트(551)와 회전기어(531) 사이에 연결부(560)가 구비되지 않고 샤프트(551)가 회전기어(531)에 직결되는 형태로 회전기어(531)와 댐퍼(55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직선방향의 댐핑력을 제공하는 유압 댐퍼 형태로 마련된 댐퍼가 돌출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520)의 직선방향 이동을 직접 규제하는 방식으로 회전기어(531) 및 받침대(300)의 회전력 감쇄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접힘유도장치(50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핀부(570,575) 및 결합부(5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핀부(570,575)는, 케이스(510,515)에 설치되어 슬라이더(520)와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핀부(570,575)는, 슬라이더(52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위치와 함몰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슬라이더(520)의 이동경로를 안내한다.
그리고 결합부(525)는, 슬라이더(520)를 가이드핀부(570,575)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더(520)의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핀부(570,575)는 후술할 탄성지지부(540)의 코일스프링이 외측에 끼워지는 스프랑장착핀(570), 및 결합부(52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핀(575)을 포함한다.
이 중 각각의 스프랑장착핀(570)은, 단순한 핀 형태가 아니라 핀의 일단부에 마련된 머리부(571), 그리고 머리부(571)에 인접한 핀의 외주면 부분에 마련된 나사부(57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부(571)에는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스프랑장착핀(570)은 케이스(510,515)에 형성된 체결홀에 나사 결합 형태로 체결되어 케이스(510,515)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핀(575)도 스프랑장착핀(570)과 유사하게 머리부(576)와 나사부(577)를 포함하는데, 나사부(577)는 머리부(571)가 형성된 핀의 일단부가 아닌 그 반대편 단부 외주면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525)는, 스프랑장착핀(570)이 결합부(525)를 통과하도록 결합부(525)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관통공(526), 및 슬라이딩핀(575)이 결합부(525)를 통과하도록 결합부(525)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관통공(527)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핀부(570,575)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랑장착핀(570)을 포함하고, 슬라이딩핀(575)은 한 쌍의 스프랑장착핀(570)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결합부(525)는 한 쌍의 스프랑장착핀(570)의 이격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관통공(526)을 포함하고, 제2관통공(527)은 한 쌍의 제1관통공(526) 사이에 배치된다.
가이드핀부(570,575)와 결합부(525) 간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은, 한 쌍의 스프랑장착핀(570)이 한 쌍의 제1관통공(526)을 통과하는 형태로 스프랑장착핀(570)과 결합부(525)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고 슬라이딩핀(575)이 제2관통공(527)을 통과하는 형태로 슬라이딩핀(575)과 결합부(525)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결합부(525)가 가이드핀부(570,57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매달린 형태로 가이드핀부(570,575)와 결합부(525) 간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슬라이더(520)는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핀부(570,575)와 결합부(525) 간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핀부(570,57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관통공(526)은, 통과공(526a)과 확장공(526b)으로 구분될 수 있다.
통과공(526a)은 스프랑장착핀(570)이 통과 가능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확장공(526b)은 스프랑장착핀(570)에 외삽되는 후술할 탄성지지부(540)의 코일스프링이 통과 가능하도록 통과공(526a)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이에 비해 제2관통공(527)은 그 전체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되, 슬라이딩핀(575)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핀(575)은 제2관통공(527)이 형성된 결합부(525)의 내주면과 밀착된 형태로 결합부(525)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코일스프링이 확장공(526b)에 삽입되어 결합부(525)와 접촉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이 압축되거나 탄성 복원되면서 결합부(525)를 흔드는 힘을 발생시키게 되면, 결합부(525)를 포함한 슬라이더(520) 전체에 유동이 발생되어 슬라이더(520)의 전후방향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슬라이더(520) 이동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525)의 유동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코일스프링이 압축되거나 탄성 복원되면서 결합부(525)를 흔드는 힘을 발생시키더라도 이러한 힘에 의해 결합부(525)가 흔들리지 않도록 결합부(525)가 가이드핀부(570,575)에 충분히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랑장착핀(570)과 결합부(525) 간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제1관통공(526)이 형성된 결합부(525)의 내주면과 스프랑장착핀(570)의 외주면 간에 밀착되는 영역이 통과공(526a)이 형성된 영역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이는, 코일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 확장공(526b)의 내경이 스프랑장착핀(570)의 외경보다 큼으로 인해, 확장공(526b)이 형성된 영역에서 스프랑장착핀(570)의 위주면이 결합부(525)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프랑장착핀(570)과 결합부(525) 간의 결합만으로는, 결합부(525)가 가이드핀부(570,575)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525)와 가이드핀부(570,575) 간의 밀착 영역을 충분하게 얻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랑장착핀(570) 사이에 슬라이딩핀(575)이 설치되도록 하되, 이 슬라이딩핀(575)이 제2관통공(527)이 형성된 결합부(525)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결합부(525)와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제2관통공(527)은, 제2관통공(527)이 형성된 결합부(525)의 내주면 전체가 슬라이딩핀(575)과 밀착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슬라이딩핀(575)의 외경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관통공(527)이 형성된 결합부(525)와 슬라이딩핀(575) 간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제2관통공(527)이 형성된 결합부(525)의 내주면과 슬라이딩핀(575)의 외주면 간에 밀착되는 영역이 제2관통공(527)이 형성된 전체 영역, 즉 제1관통공(526)의 통과공(526a)과 확장공(526b)을 합한만큼의 영역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결합부(525)와 슬라이딩핀(575) 간의 결합 구조는, 코일스프링이 압축되거나 탄성 복원되면서 결합부(525)를 흔드는 힘을 발생시키더라도 이러한 힘에 의해 결합부(525)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결합부(525)와 슬라이딩핀(575) 간의 결합 구조가 한 쌍의 스프랑장착핀(570) 사이, 즉 가이드핀부(570,575)의 중심에서 제공되므로, 스프랑장착핀(570)이 장착된 양측에서 발생될 수 있는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결합부(525)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2관통공(527)의 내경이 슬라이딩핀(575)의 외경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것에 비해, 제1관통공(526)은 통과공(526a)의 내경이 스프랑장착핀(57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핀부(570,575)와 결합부(525)의 조립 과정에서 스프랑장착핀(570), 슬라이딩핀(575), 제1관통공(526), 제2관통공(527)의 공차를 모두 정확하게 관리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2관통공(527)의 내경이 슬라이딩핀(575)의 외경과 일치되게 형성되도록 슬라이딩핀(575)과 제2관통공(527)의 공차만을 관리하여 슬라이더(520) 유동 방지의 목적을 이루고, 나머지 스프랑장착핀(570), 제1관통공(526)은 어느 정도의 오차가 허용되도록 공차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통과공(526a)의 내경이 스프랑장착핀(57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제1관통공(526)이 형성되면, 스프랑장착핀(570), 제1관통공(526)의 가공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차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공차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탄성지지부(540)는,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더(520)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지지부(540)는,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더(520)와 함께 이동되는 결합부(525)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슬라이더(520)의 이동 속도를 감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지지부(540)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지지부(540)에 포함되는 코일스프링은, 결합부(525)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도록 스프랑장착핀(570)에 외삽되고,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결합부(525)에 의해 결합부(525)의 이동방향을 따라 압축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은, 스프랑장착핀(5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 압축 가능하게 마련되며, 케이스(510,515)의 벽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돌출위치로 이동된 슬라이더(520)와 인접한 측에 위치한 제1케이스(510)의 벽면과 결합부(525)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스프링은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제1케이스(510)의 벽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의 타측 단부는, 돌출위치로 이동된 슬라이더(520)의 결합부(525)와 접촉된다.
이때 코일스프링의 타측 단부는, 제1관통공(526)의 확장공(526b)에 삽입된 상태에서, 확장공(526b)과 통과공(526a) 사이에 형성된 단턱과 접촉되고,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과 결합부(525) 간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코일스프링과 결합부(525) 간의 접촉은 슬라이더(520)의 돌출위치 측으로의 이동이 소정 거리 이루어진 이후에 이루어진다.
이처럼 코일스프링과 결합부(525) 간의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슬라이더(520)의 돌출위치 측으로의 이동이 계속되면, 코일스프링과 결합부(525) 간의 간섭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지면서 슬라이더(520)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코일스프링이 결합부(525)에 탄성력을 가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도록 제공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부(540)는, 슬라이더(520)의 돌출위치 측으로의 소정 거리 이루어진 이후에 슬라이더(520)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520)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520)에 가해지는 탄성력은, 슬라이더(520)와 맞물린 회전기어(531)의 타방향 회전력을 감쇄시키는 저항으로 작용되고, 결국 회전기어(531)와 함께 회동되는 받침대(300; 도 6 참조)의 하부방향 회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저항으로 작용된다.
즉 접힘위치에서 펼침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기 위해 이루어지는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 과정에는, 댐퍼(550)에 의한 댐핑력과 탄성지지부(540)에 의한 탄성력이 받침대(300)의 회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저항으로 작용되고, 이에 따라 받침대(300)는 그 회동 속도가 감속되며 부드럽게 펼쳐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탄성지지부(540)의 작용은, 슬라이더(520)가 함몰위치보다 돌출위치에 더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한 이후에 슬라이더(520)에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방향으로 세워져 있던 받침대(300)의 회동이 이루어질 때, 받침대(300)를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받침대(300)에 가해지는 모멘트(Moment)는 받침대(300)가 접힘위치에 근접한 위치일 수록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하고 받침대(300)가 펼침위치에 근접한 위치일 수록 강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받침대(300)가 펼침위치에 거의 도달한 위치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강한 모멘트가 받침대(300)에 작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받침대(300)가 완전히 펼쳐진 이후에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발생은 받침대(300; 도 7 참조)의 하부방향으로의 회동을 방해하는 저항을 발생시키는 댐퍼(550)의 댐핑력을 키움으로써 방지될 수는 있겠으나, 이 경우 받침대(300)의 회동 과정 전체에 걸쳐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댐퍼(550)의 특성 상 세로방향으로 세워져 있던 받침대(300)가 회동을 시작하는 초기에 작용하는 모멘트보다 댐핑력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모멘트가 약하게 작용하는 받침대(300)의 회동 초기에도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댐핑력이 댐퍼(550)에 의해 제공되도록 하고,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강해지는 받침대(300)의 회동 후기에는 댐퍼(550)의 댐핑력과 탄성지지부(540)의 탄성력을 합한 힘이 받침대(300)의 회전력을 감쇄시키는 힘으로 작용되도록 한다.
이로써 받침대(300)의 회동 초기에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받침대(300)의 회동 속도가 감속되며 받침대(300)가 부드럽게 펼쳐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받침대(300)가 펼쳐지는 과정 또는 그 이후에 받침대(300)가 흔들리는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가압돌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돌기(600)는, 도어(200)의 배면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도어(200)의 폐쇄 동작시 도어(200)와 함께 이동하여 돌출위치에 위치된 슬라이더(520)를 함몰위치 측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돌기(600)가 서브도어(220)의 배면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다르게 받침대(300; 도 1 참조) 및 접힘유도장치(500)가 캐비닛(100; 도 1 참조)에 설치되는 경우, 가압돌기(600)는 메인도어(210)의 배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돌기(600)는 돌기본체부(610)와 접촉부(620)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돌기본체부(610)는 도어(20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접촉부(620)는 돌기본체부(610)의 외측에 마련되어 슬라이더(520)와 접촉될 수 있다.
돌기본체부(610)는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 돌기본체부(610)는, 반복 사용에도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금속감이 강조된 아름다운 표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메탈릭 컬러(Metalic color)를 표현할 수 있어 향상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접촉부(620)는 슬라이더(520)와 접촉부(620) 간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재질, 예를 들면 POM과 같은 재질로 매끄러운 표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더(520)와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더(520)와 가압돌기(600) 간의 슬라이딩이 매끄럽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가압돌기(600)는, 반복 사용에도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높은 강성, 금속감이 강조된 아름다운 표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메탈릭 컬러를 통해 표현되는 향상된 미감, 슬라이더(520)와 가압돌기(600) 간의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슬라이딩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접힘유도장치(500)와 가압돌기(600)가 도어(200)의 회동 중심,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서브저장실(120; 도 1 참조)을 개폐하는 서브도어(220)와 메인도어(210) 간의 회동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회동 중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접힘유도장치(500)와 가압돌기(600)가 이러한 위치에 배치되면, 그 반대편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접힘유도장치(500)와 가압돌기(600)가 도어(200)의 회동에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대(300)의 접힘 또는 펼침을 위한 회동이 도어(200)의 개폐가 이루어짐에 따라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도어(200)의 개폐 과정, 특히 도어(200)의 폐쇄 동작 과정에서 받침대(300)와 도어(200)의 충돌이 발생되어 받침대(30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5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받침대(300)와 접힘유도장치(500)가 메인도어(210)에 설치되고 가압돌기(600)가 서브도어(220)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도어(2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받침대(300)가 펼침위치에 위치하여 받침대(300)가 서브저장실(120) 외부로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받침대(3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서브도어(220)를 열고 서브저장실(120)에서 음료 또는 음식물을 인출했을 때 인출한 음료 또는 음식물을 받침대(300)에 올려놓을 수 있다.
즉 저장실(110,120)이 저장물로 꽉 채워진 상태에서 저장실(110,120)의 깊숙한 곳에 위치한 저장물을 꺼내거나 그들의 위치를 바꾸고자 할 때, 또는 저장실(110,120)에 저장된 음료 또는 음식물을 컵에 따르거나 다른 그릇에 덜어내고자 할 때, 임시로 꺼내진 저장물들을 식탁 등의 다른 장소로 옮길 필요 없이 받침대(300)에 올려놓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사용 편의성 및 그에 따른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300)가 저장실(110,120) 외부로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브도어(220)를 닫게 되면, 서브도어(220)는 서브저장실(12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과정에서 서브도어(220)의 배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가압돌기(600)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520)를 밀어 함몰위치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520)가 함몰위치 측으로 이동되면, 회전기어(53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기어(531)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받침대(300)가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받침대(300)의 위치가 접힘위치로 변화된다.
서브도어(220)가 서브저장실(120)을 완전히 폐쇄하는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받침대(300)는, 도 6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저장실(120; 도 1 참조)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가 된다.
이때 받침대(300)는, 접힘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펼쳐지는 방향, 즉 하부방향으로 회동되기 위한 힘을 받도록 저장실(110,120) 외부를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브저장실(120)이 개방되도록 서브도어(220)를 회동시키게 되면, 세로방향으로 세워져 있던 받침대(300)는 그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도 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가 펼침위치로 변화되고, 이에 따라 받침대(300)는 서브저장실(120) 외부로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때 이루어지는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에 의해 회전기어(531)가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기어(531)의 타방향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520)가 돌출위치 측으로 다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받침대(300)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하는 받침대(300)의 회동 초기에 탄성가압부(440)에 의한 탄성력의 작용이 더해져 받침대(300)를 좀 더 강한 힘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되므로, 받침대(300)의 위치를 펼침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회전기어(531)의 타방향 회전이 댐퍼(550)에 전달되고, 댐퍼(550)는 이러한 회전기어(531)의 타방향 회전 및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저항으로 작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520)의 돌출위치 측으로의 소정 거리 이루어진 이후에는, 탄성지지부(540)가 슬라이더(520)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520)에 탄성력을 가하게 되고, 이와 같이 슬라이더(520)에 가해지는 탄성력 역시 회전기어(531)의 타방향 회전 및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저항으로 작용된다.
이에 따라,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강해지는 받침대(300)의 회동 후기에는 댐퍼(550)의 댐핑력과 탄성지지부(540)의 탄성력을 합한 힘이 받침대(300)의 회전력을 감쇄시키는 힘으로 작용되어 받침대(300)의 회동 속도가 감속되며 받침대(300)가 부드럽게 펼쳐질 수 있고, 받침대(300)가 펼쳐지는 과정 또는 그 이후에 받침대(300)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저장실(110,120)이 저장물로 꽉 채워진 상태에서 저장실(110,120)의 깊숙한 곳에 위치한 저장물을 꺼내거나 그들의 위치를 바꾸고자 할 때, 또는 저장실(110,120)에 저장된 음료 또는 음식물을 컵에 따르거나 다른 그릇에 덜어내고자 할 때, 이들을 임시로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300)와 같은 거치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사용 편의성 및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500)는, 받침대(300)가 도어(2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받침대(300)를 손으로 직접 펼치거나 접을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500)는, 받침대(300)의 하부방향 회동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댐퍼(550)와 탄성지지부(540)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받침대(300)가 부드럽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받침대(300)가 펼쳐질 때 받침대(300)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받침대(300)가 펼쳐질 때 받을 수 있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캐비닛
110 : 메인저장실
120 : 서브저장실
200 : 도어
210 : 메인도어
220 : 서브도어
300 : 받침대
310 : 안착홈
400 : 자세유지부
410 : 가로지지벽
420 : 세로지지벽
430 : 지지리브
431 : 세로벽
433 : 지지돌기
440,440a : 탄성가압부
500 : 접힘유도장치
510 : 제1케이스
515 : 제2케이스
520 : 슬라이더
521 : 돌출부
523 : 랙
525 : 결합부
526 : 제1관통공
526a : 통과공
526b : 확장공
527 : 제2관통공
530 : 변환출력부
531 : 회전기어
533 : 피니언
540 : 탄성지지부
550 : 댐퍼
551 : 샤프트
560 : 연결부
561 : 댐퍼구동기어
563 : 종동기어
570 : 스프링장착핀
571,576 : 머리부
572,577 : 나사부
575 : 슬라이딩핀
600 : 가압돌기
610 : 돌기본체부
620 : 접촉부
110 : 메인저장실
120 : 서브저장실
200 : 도어
210 : 메인도어
220 : 서브도어
300 : 받침대
310 : 안착홈
400 : 자세유지부
410 : 가로지지벽
420 : 세로지지벽
430 : 지지리브
431 : 세로벽
433 : 지지돌기
440,440a : 탄성가압부
500 : 접힘유도장치
510 : 제1케이스
515 : 제2케이스
520 : 슬라이더
521 : 돌출부
523 : 랙
525 : 결합부
526 : 제1관통공
526a : 통과공
526b : 확장공
527 : 제2관통공
530 : 변환출력부
531 : 회전기어
533 : 피니언
540 : 탄성지지부
550 : 댐퍼
551 : 샤프트
560 : 연결부
561 : 댐퍼구동기어
563 : 종동기어
570 : 스프링장착핀
571,576 : 머리부
572,577 : 나사부
575 : 슬라이딩핀
600 : 가압돌기
610 : 돌기본체부
620 : 접촉부
Claims (26)
-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외부로 펼쳐지는 펼침위치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접혀지는 접힘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대; 및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받침대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상기 받침대에 가하는 접힘유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유도장치는,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받침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입력되는 직선방향의 힘을 상기 받침대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회전력으로 출력하는 변환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보다 하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펼침위치 및 상기 접힘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접힘위치에서, 상기 받침대가 상기 저장실 외부를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지며,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비해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비해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대를 기울이는 탄성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받침대의 전방측 및 상기 회전축의 하부측에서 상기 받침대와 접촉하며 상기 받침대의 움직임을 구속하되, 상기 받침대의 하단부가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에 비해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의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하부면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세로지지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부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받침대와 상기 세로지지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로지지벽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받침대를 상기 세로지지벽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위치에서 상기 받침대를 상기 저장실 외부를 향해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의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
상기 저장실 외부로 펼쳐지는 펼침위치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접혀지는 접힘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구비된 받침대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입력되는 직선방향의 힘을 상기 받침대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회전력으로 출력하는 변환출력부; 및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돌출위치와 함몰위치로 직선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함몰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접힘유도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출력부는, 상기 함몰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입력되는 직선방향의 힘을 상기 받침대의 위치를 상기 접힘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한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출력하며, 상기 펼침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상기 받침대에 의해 입력되는 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돌출위치로 복귀시키는 직선방향의 힘으로 출력하고,
상기 접힘유도장치는, 상기 변환출력부에 입력되는 상기 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접힘유도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돌출위치와 상기 함몰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핀부, 및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이드핀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이동경로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결합부에 의해 압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접힘유도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돌출위치 측으로의 이동이 소정 거리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접힘유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0545A KR102577442B1 (ko) | 2016-06-07 | 2016-06-07 |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 |
US15/615,950 US10539359B2 (en) | 2016-06-07 | 2017-06-07 | Refrigerator and folding guide device provided there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0545A KR102577442B1 (ko) | 2016-06-07 | 2016-06-07 |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8308A KR20170138308A (ko) | 2017-12-15 |
KR102577442B1 true KR102577442B1 (ko) | 2023-09-11 |
Family
ID=6048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0545A KR102577442B1 (ko) | 2016-06-07 | 2016-06-07 |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539359B2 (ko) |
KR (1) | KR10257744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2812A (ko) * | 2019-09-17 | 2021-03-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CN110895069B (zh) * | 2019-11-29 | 2021-09-21 |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 门体及具有其的冰箱 |
US11215391B1 (en) * | 2020-12-01 | 2022-01-04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
US11668513B2 (en) | 2020-12-01 | 2023-06-06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3592B1 (ko) * | 2015-04-06 | 2016-03-15 | (주)청호시스템 | 냉장고 홈바용 댐핑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84529B2 (en) * | 2000-04-19 | 2002-11-26 | Whirlpool Corporation | Cabinet construction for an ice maker or other refrigeration appliance |
KR100473322B1 (ko) * | 2003-01-25 | 2005-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JP4243163B2 (ja) * | 2003-10-21 | 2009-03-25 | 三洋電機株式会社 | 低温貯蔵庫 |
KR20060075638A (ko) * | 2004-12-28 | 2006-07-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스토핑구조 |
US7430111B2 (en) * | 2005-01-04 | 2008-09-30 | Lg Electronics Inc. | Mounting structure for display unit in refrigerator |
US20060226750A1 (en) * | 2005-04-08 | 2006-10-12 | Lee Jeong Y | Refrigerator having home bar |
US8640482B2 (en) * | 2006-08-11 | 2014-02-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having folding shelf |
KR101263433B1 (ko) * | 2006-09-19 | 2013-05-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열림장치 |
US8726689B2 (en) * | 2008-05-06 | 2014-05-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with cold storage unit |
KR101307681B1 (ko) * | 2009-06-03 | 2013-09-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WO2011021630A1 (ja) * | 2009-08-20 | 2011-02-24 |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 戸開閉システム及び戸開閉システム用受座 |
KR101704817B1 (ko) * | 2010-08-20 | 2017-0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844072B1 (ko) * | 2011-11-11 | 2018-05-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918296B1 (ko) * | 2012-06-21 | 2019-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691260B1 (ko) * | 2014-10-17 | 2016-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EP3543632B1 (en) * | 2015-03-18 | 2021-04-07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
2016
- 2016-06-07 KR KR1020160070545A patent/KR10257744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6-07 US US15/615,950 patent/US1053935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3592B1 (ko) * | 2015-04-06 | 2016-03-15 | (주)청호시스템 | 냉장고 홈바용 댐핑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539359B2 (en) | 2020-01-21 |
KR20170138308A (ko) | 2017-12-15 |
US20170350637A1 (en) | 2017-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7442B1 (ko) |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 | |
US9464841B2 (en) | Refrigerator | |
US9429355B2 (en) | Refrigerator | |
US9127877B2 (en) | Refrigerator | |
US8002367B2 (en) | Food refrigerator | |
US9920557B2 (en) | Refrigerator | |
KR102396040B1 (ko) | 냉장고 | |
KR102391682B1 (ko) | 냉장고 | |
EP3228968B1 (en) | Refrigerator | |
KR101691260B1 (ko) | 냉장고 | |
KR20040046467A (ko) | 냉장고 | |
EP3543632B1 (en) | Refrigerator | |
KR101692734B1 (ko) | 냉장고 | |
KR101713324B1 (ko) | 냉장고 | |
KR101653315B1 (ko) | 냉장고 | |
KR20090066778A (ko) | 냉장고용 선반 | |
JP2008039295A (ja) | 冷凍冷蔵庫 | |
EP2402688A1 (en) | Expandable refrigerating appliance | |
WO2005001353A1 (en) | Fruit compartment for refrigerators | |
KR100568214B1 (ko) | 김치냉장고 | |
KR20220170210A (ko) | 선반장치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 |
JP2021089091A (ja) | 冷蔵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