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73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734B1
KR101692734B1 KR1020150037688A KR20150037688A KR101692734B1 KR 101692734 B1 KR101692734 B1 KR 101692734B1 KR 1020150037688 A KR1020150037688 A KR 1020150037688A KR 20150037688 A KR20150037688 A KR 20150037688A KR 101692734 B1 KR101692734 B1 KR 101692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edestal
shaft
slide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301A (ko
Inventor
임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7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734B1/ko
Priority to EP19169548.5A priority patent/EP3543632B1/en
Priority to TR2019/08691T priority patent/TR201908691T4/tr
Priority to EP16154211.3A priority patent/EP3070421B1/en
Priority to US15/017,404 priority patent/US9879901B2/en
Priority to CN201610116155.0A priority patent/CN105987559B/zh
Publication of KR2016011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후측에 장착되는 보조저장실;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보조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개구부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을 가진 받침대; 상기 메인도어에 마련된 홈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에 랙이 마련되며 상기 서브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후퇴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고 원주면에 상기 슬라이더의 랙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이 마련되며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서브도어를 닫으면 상기 받침대가 수직으로 되도록 회전되고 상기 서브도어를 열면 상기 받침대가 수평으로 되도록 회전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서 메인도어의 개구부에 마련된 받침대가 서브도어의 회동에 연동하여 수직 위치 또는 수평 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배치에 따라,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 마운팅 타입(Top Mounting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저장 용량이 큰 대형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고,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주로 냉장실 도어의 내측에도 도어선반 내지 수납케이스를 마련하여 저장물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어의 내측에 저장실과 별도의 공간으로 마련되는 수납케이스는 홈바 또는 보조저장실이라 일컬어진다.
도어를 열어 냉장실 전체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보조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냉장실 도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서브도어를 장착하기도 한다.
그래서, 냉장실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메인도어라 하고, 서브도어는 보조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라 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는 메인도어와 크기가 같거나 메인도어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브도어만을 열어 메인도어의 개구부를 통해 보조저장실에 접근하여 음료나 음식물을 보조저장실에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그러나, 서브도어를 열고 음료나 음식물을 꺼냈을 때 냉장고에 음식물 등을 받칠 수 있는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꺼낸 음식물을 식탁, 싱크대 등의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도어의 개구부에 서브도어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여 수평 상태와 수직 상태 사이에서 회동되는 받침대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인출한 음식물을 바로 받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후측에 장착되는 보조저장실;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보조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개구부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을 가진 받침대; 상기 메인도어에 마련된 홈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에 랙이 마련되며 상기 서브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후퇴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고 원주면에 상기 슬라이더의 랙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이 마련되며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서브도어를 닫으면 상기 받침대가 수직으로 되도록 회전되고 상기 서브도어를 열면 상기 받침대가 수평으로 되도록 회전된다.
상기 받침대는,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서 측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받침대가 내려올 때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그 전면에 상기 돌출부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도어는 그 배면에 서브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돌출부를 밀어주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는 상기 서브도어의 힌지가 있는 측방으로 갈수록 점점 더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의 양측 모서리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후퇴하였을 때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가이드핀의 양측에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핀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각각 수용하는 제1축장착부 및 제2축장착부가 양측부에 마련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위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마련된 오목부에 장착되는 상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축장착부의 일측과 상기 제1회전축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받침대의 일측면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축부와, 상기 제1축장착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축장착부는 그 하면에 제1회전축 장착시에 상기 제1회전축의 이동을 위해 축이동공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사용자가 상기 축이동공을 통해 일측으로 밀 수 있도록 그 외면에 마련된 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도어의 개구부 하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의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공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를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에서 지지하는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받침대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받침대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와, 상기 받침대가 수평 위치에 있을 때 받침대의 하면을 지지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받침대가 회동할 때 상기 회전축의 후단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오목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상기 서브도어를 열 때 상기 받침대가 서서히 내려오도록 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는, 밀폐된 내부 공간에 작동유체가 주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일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서로 소정 간격을 갖도록 장착되어 회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회전부재와,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의 사이에 장착되되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일측이 지지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장착된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는, 상기 회전기어에 결합되어 회전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댐퍼구동기어와, 상기 댐퍼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회동축의 일단부에 장착된 종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구동기어는 상기 회전기어보다 기어의 반지름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측에 복수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사용자가 서브도어를 열고 보조저장실에서 음식물을 인출했을 때 메인도어의 개구부 하부에 마련된 받침대에 음식물을 바로 올려놓을 수 있어서 음식물을 식탁 등의 다른 장소로 옮길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는 서브도어와 연동하여 서브도어를 닫을 때 수직 상태로 회동되고 서브도어를 열 때 수평 상태로 자동으로 회동되어 내려오기 때문에, 사용자는 서브도어를 개폐할 때 받침대를 손으로 내리거나 올릴 필요가 없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도어의 회동력을 받침대의 회전축에 다른 방향의 회동력으로 전달하는 연동장치에는 댐퍼가 마련되어 있어서, 받침대가 회동되어 내려올 때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의 양측면에 한 쌍의 회전축이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일측의 회전축이 받침대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개구부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회전축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우측 냉장실을 개폐하는 메인도어와 서브도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받침대의 제1회전축의 장착시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연동장치의 사시도와 그 투시도.
도 6은 도 5의 연동장치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그 투시도.
도 7은 연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연동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9는 댐퍼의 투시도.
도 10은 댐퍼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메인도어에 서브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가 투시되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메인도어가 닫히면서 메인도어의 돌기가 연동장치의 슬라이더를 밀어 작동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우측 냉장실을 개폐하는 메인도어와 서브도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냉장고는 캐비닛(100) 내에 저장실로서,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해 회동되어 개폐되는 메인도어와 서브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로서 냉장실 좌측도어(110)와 냉장실 우측도어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냉장실 우측도어는 냉장실 우측부를 개폐하는 메인도어(120)와, 이 메인도어(1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1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도어(120)는 힌지(12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서브도어(130)는 힌지(132)에 의해 상기 메인도어(1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메인도어(120)의 중앙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배면에 보조저장실(140)이 마련되는데, 상기 서브도어(130)는 이 보조저장실(140)을 개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저장실(140)은 냉장실 내부 공간과 구획되는 저장 공간으로서, 하나 이상의 바스켓(142)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142)은 상기 메인도어(120)의 도어다이크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바스켓걸이(124)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130)의 배면에도 복수의 바스켓(13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4)은 상기 서브도어(130)가 닫혔을 때 상기 메인도어(120)의 개구부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서브도어(130)의 배면 일측에는 상기 메인도어(120)의 전면 일측에 장착된 래치홈(125)에 삽입되는 후크(13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후크(135)는 사용자에 의해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상하로 소정 각도 회동되어 상기 래치홈(125)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후크(135)는 상기 서브도어(130)에 고정되고 래치장치 내부에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래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후크(135)가 래치홈(125)에 걸린 상태로 상기 서브도어(130)를 당기면 상기 메인도어(120)와 서브도어(130)가 결합된 상태로 회동되고, 상기 후크(135)와 래치홈(125)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서브도어(130)를 당기면 서브도어(130)만 회동되어 상기한 보조저장실(140)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는 메인도어와 서브도어를 포함하되, 좌우로 나뉘어 열리지 않고 상기 본체(1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메인도어 및 서브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도 냉동실 좌측도어(150)와 냉동실 우측도어(160)를 포함하고 있다. 냉동실도어도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전후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식 도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도어(120)의 전면 우측 하부에는 후술하는 연동장치의 돌출부(431)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메인도어(1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돌출부(431)만 메인도어(120)의 전면에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서브도어(130)의 배면에는 상기 힌지(132)가 있는 쪽의 테두리부에 돌기(137)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서브도어(130)를 닫으면 상기 돌기(137)가 상기 돌출부(431)를 밀어서 연동장치를 작동시키고, 연동장치는 상기 받침대(200)의 회전축을 회동시켜 받침대(200)를 세우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받침대(200)의 하면에는 받침대의 좌측에서 돌출되어 있던 회전축을 회전축의 수용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축이동공(22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동장치와 받침대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에는 연동장치(400)와 함께 받침대(20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동장치(400)는 상기 서브도어(130)의 회동에 의해 작동되며 서브도어가 닫힐 때 상기 받침대(200)의 회전축을 받침대를 세우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서브도어가 열릴 때 받침대를 수평으로 되도록 회전시킨다.
상기 받침대(2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서 측방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제1회전축(230) 및 제2회전축(240)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200)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1회전축(230) 및 제2회전축(240)을 각각 수용하는 제1축장착부(221) 및 제2축장착부(224)가 양측부에 마련된 하부케이스(220)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위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후측에는 상기 상부케이스(250)와 나사로 체결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보스(226)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50)의 후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226)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체결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20)는 그 테두리부가 상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50)의 테두리부는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테두리부의 외측에 결합되도록 그보다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전면 및 양 측면 테두리부에는 복수의 결합홈(227)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50)의 전면 및 양 측면 테두리부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홈(227)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축장착부(221)는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후단부 가까이에 좌측 테두리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좌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회전축(230)이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어링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축장착부(224)는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후단부 가까이에 우측 테두리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우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240)이 장착되는 베어링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50)도 그 양측 테두리부에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두 베어링홈에 대응하는 베어링홈(25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50)의 두 베어링홈(254)은 상기 제1회전축(230) 및 제2회전축(240)을 그 위에서 지지한다.
상기 제1축장착부(221)는 상기 제2축장착부(224)와 달리, 상기 제1회전축(23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회전축(230)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장착부(221)의 하면에는 상기한 축이동공(222)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장착부(221) 내에는 상기 제1축장착부(221)의 일측과 상기 제1회전축(23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일단부가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좌측면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35)가 장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35)는 용수철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전축(230)의 우측단에 마련된 지지돌기(234)와 상기 제1축장착부(221)의 우측면에 마련된 지지돌기(223)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120)의 개구부(140)의 폭은 상기 받침대(200)의 폭보다는 크지만 상기 제1회전축(230)의 좌측 단부와 상기 제2회전축(240)의 우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는 작다.
상기 제1회전축(230)과 상기 제2회전축(240)이 모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면 상기 받침대(200)를 상기 개구부(140) 내에 장착할 수 없겠지만, 상기 제1회전축(230)이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측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인입될 수 있기 때문에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회전축을 가진 받침대(200)를 상기 개구부 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230)은 상기 받침대(200)의 일측면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축부(231)와, 상기 제1축장착부(22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장착부(221)는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회전축(230)도 그에 대응하여 사각형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1회전축(230)은 좌우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지만, 상기 제1축장착부(221)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232)는 그 중간에 사용자가 상기 축이동공(222)을 통해 일측으로 밀 수 있도록 그 외면에 마련된 홈부(23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233)는 상기 슬라이딩부(232)의 중간에 소정 깊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상기 홈부(233)가 상기 슬라이딩부(232)의 주위에 모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홈부(233)는 상기 슬라이딩부(232)의 하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대(200)를 장착할 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회전축(230)을 외측에서 손가락으로 밀어 넣고 상기 개구부(140)의 좌측면 축공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축이동공(222)과 홈부(233)는 상기 받침대(200)를 장착할 때에는 필요 없다.
반대로, 장착되어 있던 상기 받침대(200)를 분리할 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축이동공(222)을 통해 뾰족한 핀 등으로 상기 홈부(233)를 우측으로 밀어 상기 제1회전축(230)이 돌출되지 않도록 밀어 넣은 다음, 상기 받침대(200)를 앞으로 당겨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00)를 장착하는 것을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는 조립된 받침대(200)의 우측에 있는 상기 제2회전축(240)을 상기 개구부(140)의 우측 축공에 먼저 삽입하고, 상기 제1회전축(230)을 돌출되지 않도록 밀어넣은 다음 상기 제1회전축(230)을 상기 개구부(140)의 좌측 축공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대(200)를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상부케이스(250)의 상면에 마련된 오목부(256)에 장착되는 상판(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50) 자체의 상면이 매끄러운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상부케이스(250)의 상면에 오목부(256)를 마련하고 이에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상판(260)을 더 장착함으로써, 외관상 더 좋은 미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판(260)을 상기 상부케이스(250)와 다른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그 위에 안착되는 물건의 충격을 흡수하고 마찰력을 더 증대시켜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250)의 오목부(256)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보강그루브(2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그루브(258)는 좌우로 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상부케이스(250)를 아래에서 보면 상기 보강그루브(258)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보이게 된다.
주로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상기 상부케이스(250)는 그 테두리부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형성함과 아울러 상기한 보강그루브(258)를 형성함으로써, 그 위에 상당히 무거운 물건을 올려놓더라도 심하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200)의 회전축은 상기 메인도어(120)의 개구부(140) 하단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축공에 직접 장착될 수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장착부재(210)를 상기 메인도어(120)의 개구부(140) 하단부에 장착하고 이 장착부재(210)에 상기 받침대(20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1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장착부재(210)에 대응하는 오목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이 오목부에 상기 장착부재(210)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210)는 상기 개구부(140)의 하단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전방 하측에 복수의 결합홈(211)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개구부(140)의 오목부 전방면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홈(21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210)의 양측에는 상기 받침대(200)의 제1회전축(230) 및 제2회전축(240)이 각각 삽입되는 축공이 마련된다.
상기 장착부재(210)의 축공도 그 외측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장착부재(210)를 소정의 폭을 가진 상기 개구부(140) 내에 장착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장착부재(210)에서 우측의 축공을 형성하는 베어링부(215)는 장착부재(210)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좌측의 축공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 베어링부재(214)가 좌측면에 형성된 베어링장착공(21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재(210)를 상기 개구부(140)의 하단부에 장착할 때, 상기 베어링부재(214)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우측의 베어링부(215)를 먼저 삽입하고, 상기한 전면의 결합홈(211)에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내려서 안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210)를 정위치시킨 다음, 좌측의 베어링장착공(213)에 상기 베어링부재(214)를 삽입함으로써 장착부재(2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210)는 상기 받침대(200)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받침대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218)와, 상기 받침대가 수평 위치에 있을 때 받침대의 하면을 지지하는 바닥면(217)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도어(130)를 닫으면 상기 돌기(137)가 상기 연동장치(400)를 통해 상기 받침대(200)를 수직 상태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는데, 상기 지지리브(218)도 상기 받침대(200)를 수직 위치에서 그 상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받침대(200)가 후방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상태는 정확히 지면에 대해 90도로 세워진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받침대(200)가 상기 보조저장실(140)의 수납물 또는 상기 서브도어(130)의 배면과 간섭되지 않는다면, 80~100도의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00)가 수평 상태가 되면 그 하면이 상기 장착부재(210)의 바닥면(217)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210)는 상기 받침대(200)가 회동할 때 상기 회전축의 후단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오목부(212)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200)의 회전축은 그 후단부에 밀착되지 않고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받침대(200)가 회전할 때 그 후단부도 회동 운동을 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오목부(212)는 대략 90도 정도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대(200)가 회동 운동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오목부(212)의 상단에 상기한 지지리브(218)가 마련되는데, 상기 지지리브(218)의 하면은 상기 받침대(200)가 수평 위치에 있을 때 받침대(200)의 후단부 상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받침대(200)가 수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닥면(217)은 받침대(200)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리브(218)는 받침대의 상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받침대(200)에 무거운 물건을 올려놓더라도 큰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연동장치(400)는 상기 제2회전축(240)의 우측 단부와 결합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연동장치(4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연동장치(400)는, 상기 메인도어(120)에 마련된 홈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에 랙(436)이 마련된 슬라이더(430)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슬라이더의 랙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464)이 마련되며 상기 받침대(200)의 제2회전축(240)과 연결되는 회전기어(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장치(400)의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슬라이더(4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기어(46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케이스(410)와, 상기 제1케이스(41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기어(46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케이스(420)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장치(400)의 케이스를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하면 그 내부 공간에 복잡한 부품들을 조립하기 어려우므로, 위와 같이 2개의 케이스를 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케이스(410)는 그 상면에 결합공(417)이 마련되고 상기 제2케이스(420)는 그 내측면에 상기 결합공(417)에 삽입되는 결합돌기(427)가 마련된다.
상기 제1케이스(410)는 좌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420)는 상기 제1케이스(410)의 좌측면에 결합되되, 그 테두리부가 소정 길이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돌기(427)는 상기 테두리부에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420)의 테두리부는 그 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410)의 좌측면 테두리부 내에 단차지게 형성된 부위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410)의 하단 양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2케이스(420)와 나사로 체결할 수 있도록 2개의 체결공(418)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418)의 옆은 체결공(418)에 나사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오목한 홈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4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제2케이스(420)와 결합된 후 상기 메인도어(120) 내에 마련된 홈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2개의 체결공(미도시)에 각각 나사(S)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4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30)는 상기 제1케이스(41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430)의 전방측이 상기 제1케이스(410)의 앞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410)의 전면에 개구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413)는 상기 제1케이스(410)의 전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2케이스(420)에 형성된 홈과 상기 제1케이스(410)의 전면에 형성된 홈이 결합하여 상기한 개구부(413)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30)의 전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보다 더 돌출되어 나올 수 있는 돌출부(431)가 마련되는데, 상기 돌출부(431)는 상기 슬라이더(430)의 전면에서 좌측에 치우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413)는 상기 돌출부(431)에 대응하는 형태로만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슬라이더(430)의 전면 전체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430)는 상기 제1케이스(41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한정된 제1케이스(410)의 공간 내에서 상기 슬라이더(430)가 전방으로 끝까지 이동했을 때 상기 개구부(413)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430)의 이동 거리가 더 크게 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30)의 슬라이딩 운동은 슬라이더(430)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410) 내에 장착되는 가이드핀(440)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제1케이스(410)의 전면 및 후면 상부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핀(440)이 삽입되는 가이드핀공(414)이 각각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30)에도 그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부위에 상기 가이드핀(440)이 통과하는 가이드핀공(434)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핀(440)은 단순한 핀 형태가 아니라 핀의 일단부에 마련된 머리부(444)와 핀의 타단부 원주부에 마련된 나사부(44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부(444)는 나사와 같이 십(十)자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케이스(410)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핀공(414)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446)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446)는 가이드핀(440)의 인접한 핀 부위의 지름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410)의 후면에 형성된 가이드핀공(414)은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핀공(414)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30)를 상기 제1케이스(410) 내에 조립할 때 슬라이더(430)를를 제1케이스(410) 내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가이드핀(440)을 제1케이스(410)의 후면 가이드핀공(414)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430)의 가이드핀공(434)을 통과하도록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핀(440)을 외측에서 드라이버로 돌림으로써 쉽게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연동장치(400)는 상기 슬라이더(430)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후퇴하였을 때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450)는 상기 제1케이스(410)의 후면과 상기 슬라이더(430)의 후면 사이에 장착되는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50)는 상기 슬라이더(430)의 이동에 따라 상당한 비율로 신축되므로, 상기 탄성부재(450)가 신축되더라도 일방향으로만 신축되고 그 장착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상기 탄성부재(450)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가이드핀(440)의 양측에 상기 슬라이더(430)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핀(452)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장착핀(452)도 상기 가이드핀(440)과 유사하게 머리부(454)와 나사부(456)를 포함하는데, 상기 나사부(456)는 상기 장착핀(452)에서 상기 머리부(454)의 반대쪽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머리부(454)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30)에는 상기한 가이드핀공(434)의 양측에 상기 한 쌍의 장착핀(452)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장착핀공(43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41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핀공(414)의 양측에 상기 한 쌍의 장착핀(452)이 각각 삽입되는 장착핀공(41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착핀(452)의 나사부(456)는 상기 머리부(454)에 인접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장착핀공(415) 중 상기 제1케이스(410)의 후면에 있는 장착핀공(415)의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50)의 내경은 상기 장착핀공(432) 및 상기 장착핀공(415)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450)는 장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더(430)의 후면과 상기 제1케이스(410)의 후면 사이에서 신축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430)의 가이드핀공(434)의 내주면은 상기 가이드핀(44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됨에 반해, 상기 탄성부재(450)의 장착핀(452)의 외경은 상기 장착핀공(43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핀공(432)이 상기 장착핀(452)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430)를 3개의 핀으로 모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할 경우 마찰력이 커서 이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장착핀공(432)이 상기 장착핀(452)에 접촉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450)의 신축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50)가 하나가 아니라 상기 가이드핀(440)의 양측에 한 쌍이 장착되기 때문에, 탄성부재(450)가 하나인 경우에 비해 탄성계수가 작은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430) 자체가 좌우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탄성부재(450)가 상기 슬라이더(430)를 밀 때 상기 슬라이더(430)가 틀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받침대(200)의 제2회전축(240)은 상기 제1케이스(410) 내에서 상기 슬라이더(430)의 아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기어(460)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회전축(240)의 우측 단부는 원기둥 형태가 아니라 원기둥의 원주부 양측이 평면에 의해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기어(460)의 좌측 내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240)의 우측 단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진 축연결홈(46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46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케이스(420)에는 상기 회전기어(460)의 좌측 단부가 삽입되는 장착공(426)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기어(460)의 우측 단부는 그 중심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공(468)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제1케이스(420)의 우측 내면에 마련된 축지지홈(미도시)에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축스크류(4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축스크류(480)는, 상기 회전기어(460)의 내측에 삽입되는 머리부(484)와, 상기 머리부(484)에 인접하는 부위의 원주면에 형성된 나사부(4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스크류(480)의 나사부(486)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기어(460)의 스크류 체결공(468) 내주면에도 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기어(460)의 외주면에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 피니언(464)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430)의 하면에 형성된 랙(436)과 기어 결합한다.
상기 랙(436)은 상기 슬라이더(43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부위의 하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더(430)의 전후방향 이동거리와 상기 피니언(464)과의 맞물림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464)은 상기 회전기어(460)의 크기와 상기 슬라이더(430)의 전후방향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중심에 대해 대략 120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연동장치의 구조에 따른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서브도어(130)를 닫는 방향으로 밀면, 서브도어(130)의 후면 돌기(137)가 상기 돌출부(431)를 밀어서 상기 슬라이더(4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430)의 랙(436)은 상기 회전기어(460)의 피니언(464)을 회전시키고, 그와 동시에 상기 회전기어(460)에 연결된 상기 받침대(200)의 제2회전축(240)도 회전된다.
상기 제2회전축(240)이 회전되면 상기 받침대(200)는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사용자가 닫혀 있는 상기 서브도어(130)를 당겨서 열면, 상기 돌출부(431)를 밀고 있던 상기 돌기(137)가 후퇴하는데, 이때 상기한 탄성부재(450)가 수축되어 있다가 신장하면서 상기 슬라이더(430)를 전방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430)의 랙(436)은 상기 회전기어(460)의 피니언(464)을 회전시켜 상기 받침대(200)가 회동되어 내려오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200)가 수직 위치보다 앞으로 회동되어 내려오면, 그 무게중심이 그 회전축보다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탄성부재(450)의 탄성력에 더하여 그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더 빨리 회동되어 내려오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받침대(200)가 수평 위치에서 그 하면이 상기 바닥면(217)에 지지되고 그 상면이 상기 후방 지지리브(218)에 지지되는 순간에 충격을 받아 받침대(200)의 회전축 주위가 파손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연동장치(400)는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상기 서브도어(130)를 열 때 상기 받침대(200)가 서서히 내려오도록 하는 댐퍼(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500)는 상기 제1케이스(410) 내에 상기 슬라이더(430)의 우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3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댐퍼(500)와 간섭되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더(430)에서 상기한 가이드핀공(434)과 장착핀공(432)이 슬라이더(430)의 중간 높이가 아니라 상방으로 연장된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댐퍼(500)의 구체적인 구조와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댐퍼(500)는 밀폐된 내부 공간에 작동유체가 주입되는 댐퍼 케이스(530)와, 상기 댐퍼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일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 회동축(520)과, 상기 회동축에 서로 소정 간격을 갖도록 장착되어 회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회전부재(560)와,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의 사이에 장착되되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면에 일측이 지지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장착된 복수의 고정부재(5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 케이스(530)는 좌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좌측에 커버(540)가 결합되어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한다.
상기 댐퍼 케이스(530)와 커버(540)는 그 내부 공간에 점성이 큰 작동 유체가 주입되는데, 작동 유체의 큰 압력을 견디도록 복수의 체결부재(580)에 의해 밀폐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580)는 각각 하나의 부재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동축(520)은 상기 커버(540)의 중앙에 형성된 축공(542)에 중간부가 위치하여 그 좌측부가 상기 커버(54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회동축(520)의 우측 단부는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내측면에 마련된 축지지홈(535)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동축(520)은, 상기 축공(542)에 지지되는 원통부(524)와, 상기 원통부(524)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5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22)와 상기 원원통부(524)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560) 및 복수의 고정부재(570)가 장착되는 회전부(5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22)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종동기어(51)가 장착되어 함께 회전된다.
상기 돌출부(522)와 상기 회전부(526)에는 이에 장착되는 부품과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자른 절개부가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560)는 중심에 상기 회전부(526)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의 축공(56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회동축(52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한다.
반면에,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570)의 중심에 형성된 축공(672)은 단순히 원형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회동축(520)이 회전하더라도 함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560)에는 일측으로 연장부(564)가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하면서 상기 작동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부(564)는 상기 회전부재(56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점 커지다가 그 단부 근처에서 다시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564)는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으나,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내주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564)의 단부 반지름이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내주면 반지름보다 같거나 작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560)는 회전될 때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내주면에 의해 그 회전이 방해받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570)에는 양방향으로 한 쌍의 연장부가 형성되는데, 제1연장부(574)와 제2연장부(578)가 서로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574)는 상기 회전부재(560)의 연장부(564)와 같은 형태에서 추가적으로 스토퍼돌기(577)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2연장부(578)는 전체적으로 같은 폭을 갖도록 연장되는데, 중심으로부터 단부까지의 반지름이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내주면 반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스토퍼돌기(577)와 상기 제2연장부(578)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스토퍼홈(537)이 마련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570)는 상기 제1연장부(574)의 스토퍼돌기(577)와 상기 제2연장부(578)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홈(537)에 각각 삽입되도록 장착되므로, 상기 축공(572)이 회전하는 회동축(520)에 의해 설사 마찰력이 가해지더라도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회전기어(460)의 회전력이 상기 댐퍼(500)의 회동축(520)에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회동축(520)에 장착되는 종동기어(510)는 상기 회전기어(460)에서 상기 피니언(464)의 옆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회전기어(460)의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래서, 상기 회전기어(460)와 별도로 제작되어 회전기어(460)에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댐퍼구동기어(470)를 마련하여 상기 종동기어(510)를 회전시키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구동기어(470)는 그 외주면에 상기 회전기어(460)와 비슷한 각도의 기어부(4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기어(470)의 기어부(474)는 상기 종동기어(510)의 약 2배 정도의 반지름을 가져서 상기 댐퍼구동기어(470)가 작은 각도로 회동하더라도 상기 종동기어(510)와 연결된 회동축(520)을 더 많이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기어(470)는 그 중심에 상기 축스크류(480)가 통과하는 축공(47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댐퍼구동기어(470)는 상기 축스크류(48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댐퍼구동기어(470)는 상기 회전기어(460)와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댐퍼구동기어(470)의 축공(478)의 부근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477)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기어(460)의 우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돌기(477)가 삽입되는 한 쌍의 홈(467)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댐퍼구동기어(470)의 축공(478)의 부근에는 한 쌍의 체결공(479)이 관통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기어(460)의 측면에도 한 쌍의 체결공(479)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구동기어(470)의 축공(478)에는 이에 삽입되는 결합스크류(490)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단차진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구동기어(470)의 기어부(474)은 상기 회전기어(460)의 피니언(464)보다 더 큰 기어 반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구동기어(470)는 상기 회전기어(460)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지만, 기어부(474)의 반지름이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종동기어(510)와 회동축(520)을 더 큰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댐퍼(500)의 회동축(520)은 회전되면서 댐퍼(500) 내부의 작동 유체의 유동 저항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460)에 회전을 감쇠하는 저항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기어(460)가 상기 받침대(200)가 내려오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회전기어(460)에 댐핑력을 가하여 상기 받침대(200)의 회전축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댐퍼(500)는 상기 커버(540)의 내측면과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동축(520)을 지지하는 베어링디스크(5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디스크(550)는 원형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에 상기 회동축(520)이 통과하는 원형의 축공(552)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베어링디스크(550)는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560) 중 가장 좌측에 있는 회전부재(560)의 측면과 접촉되어 그 회전부재(56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베어링디스크(550)는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커버(540)의 내측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접촉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어링디스크(550)는 상기 커버(54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마찰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500) 내부는 작동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되어야 하는데, 상기 회동축(520)과 상기 회전부재(560)가 상기 댐퍼(500) 내부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회동축(520)과 상기 커버(540)의 축공(542) 사이에 틈이 있다면 작동 유체가 누설될 것이고 틈이 생기지 않도록 억지끼움으로 장착되면 큰 마찰력 때문에 상기 회동축(520)이 회동되기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상기 커버(540) 내측에 베어링디스크(550)를 더 장착함으로써 밀봉되면서도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540)의 축공(542)은 상기 회동축(520)이 약간 헐겁게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반면, 상기 베어링디스크(550)의 축공(552)은 상기 회동축(520)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회동축(520)을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베어링디스크(550)는 상기 회동축(520)과 함께 회전될 수 있지만, 상기 베어링디스크(550)가 상기 댐퍼 케이스(530)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커버(540)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회전하는 부품들의 원활한 회전과 작동 유체의 밀봉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메인도어에 서브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가 투시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메인도어가 닫히면서 메인도어의 돌기가 연동장치의 슬라이더를 밀어 작동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열린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도어(130)를 닫으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도어(130)가 상기 메인도어(120)에 대해 대략 90도로 배치된 시점에서 상기 돌기(137)가 상기 돌출부(431)와 접촉하여 밀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연동장치(400)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되어 올라가기 시작한다.
이어서, 상기 서브도어(130)를 계속해서 회동시키면 상기 돌기(137)가 상기 돌출부(431)를 밀어서 후퇴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430)가 상기 회전기어(460)를 회전시켜 회전기어(460)에 연결된 상기 제2회전축(240)이 회동되면서 상기 받침대(200)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올라간다.
상기 서브도어(130)를 완전히 닫으면 상기 돌기(137)가 상기 돌출부(431)를 밀어 끝까지 인입시키고, 상기 받침대(200)는 거의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상면이 상기 후방 지지리브(218)에 지지되어 더 이상 뒤로 회동되지 않는다.
한편, 도 2에서 상기 서브도어(130)가 열렸을 때 상기 받침대(200)가 수직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받침대(200)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은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도어(130)를 닫았을 때에 그러하고, 도 2는 상기 받침대(200)의 하면을 보여주기 위해 편의상 그렇게 도시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도어(130)를 열면 상기 연동장치(400)의 탄성부재(450)가 상기 슬라이더(430)를 밀어 돌출부(431)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복원시키므로, 상기 받침대(200)는 하방으로 회동되어 내려오게 된다.
이때, 상기 댐퍼(500)는 상기 받침대(200)의 회동 속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받침대(200)가 수평 상태로 지지되는 순간에 그 회전축에 받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도어의 개폐에 따라 받침대가 수평 위치와 수직 위치 사이에서 자동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출한 물건을 받침대에 바로 올려놓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가 회동되어 내려올 때 댐퍼가 그 회동속도를 줄임으로써 충격에 의해 받침대의 회전축 장착 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캐비닛
110: 냉장실 좌측도어
120: 메인도어
122: 힌지
124: 바스켓걸이
125: 래치홈
130: 서브도어
132: 힌지
134: 바스켓
135: 후크
137: 돌기
140: 보조저장실
150: 냉동실 좌측도어
160: 냉동실 우측도어
200: 받침대
210: 장착부재
211: 결합홈
212: 오목부
213: 베어링장착공
214: 베어링부재
215: 베어링부
217: 바닥면
218: 후방 지지리브
220: 하부 케이스
221: 제1축장착부
222: 축이동공
223: 탄성부재 지지돌기
224: 제2축장착부
226: 체결보스
227: 결합홈
230: 제1회전축
231: 축부
232: 슬라이딩부
233: 홈부
234: 탄성부재 지지돌기
235: 탄성부재
240: 제2회전축
250: 상부 케이스
254: 베어링홈
256: 오목부
258: 보강그루브
260: 상판
400: 연동장치
410: 제1케이스
411: 체결부
413: 개구부
414: 가이드핀공
415: 장착핀공
417: 결합공
418: 체결공
420: 제2케이스
426: 회전기어 장착공
427: 결합돌기
430: 슬라이더
431: 돌출부
432: 장착핀공
434: 가이드핀공
436: 랙
440: 가이드핀
444: 머리부
446: 나사부
450: 탄성부재
452: 탄성부재 장착핀
454: 머리부
456: 나사부
460: 회전기어
462: 축연결홈
464: 피니언
468: 스크류 체결공
469: 체결공
470: 댐퍼구동기어
474: 기어부
477: 돌기
478: 축공
479: 체결공
480: 축스크류
484: 머리부
486: 나사부
490: 결합스크류
500: 댐퍼
510: 종동기어
520: 회동축
522: 돌출부
524: 원통부
526: 회전부
530: 댐퍼 케이스
534: 체결공
535: 축지지홈
537: 스토퍼홈
540: 커버
542: 축공
550: 베어링디스크
552: 축공
560: 회전부재
562: 축공
564: 연장부
570: 고정부재
572: 축공
574: 제1연장부
577: 스토퍼돌기
578: 제2연장부
580: 결합부재

Claims (21)

  1. 내부에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내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후측에 장착되는 보조저장실;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보조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개구부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을 가진 받침대;
    상기 메인도어에 마련된 홈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에 랙이 마련되며 상기 서브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후퇴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고 원주면에 상기 슬라이더의 랙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이 마련되며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서브도어를 닫으면 상기 받침대가 수직으로 되도록 회전되고 상기 서브도어를 열면 상기 받침대가 수평으로 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서 측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받침대가 내려올 때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그 전면에 상기 돌출부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어는 그 배면에 서브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돌출부를 밀어주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서브도어의 힌지가 있는 측방으로 갈수록 점점 더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의 양측 모서리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후퇴하였을 때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가이드핀의 양측에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핀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각각 수용하는 제1축장착부 및 제2축장착부가 양측부에 마련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위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마련된 오목부에 장착되는 상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축장착부의 일측과 상기 제1회전축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받침대의 일측면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축부와, 상기 제1축장착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장착부는 그 하면에 상기 제1회전축의 장착시에 상기 제1회전축을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된 축이동공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사용자가 상기 축이동공을 통해 일측으로 밀 수 있도록 그 외면에 마련된 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의 개구부 하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의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공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를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에서 지지하는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받침대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받침대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와, 상기 받침대가 수평 위치에 있을 때 받침대의 하면을 지지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받침대가 회동할 때 상기 회전축의 후단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오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상기 서브도어를 열 때 상기 받침대가 서서히 내려오도록 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밀폐된 내부 공간에 작동유체가 주입되는 댐퍼 케이스와,
    상기 댐퍼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일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서로 소정 간격을 갖도록 장착되어 회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회전부재와,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의 사이에 장착되되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면에 일측이 지지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장착된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회전기어에 결합되어 회전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댐퍼구동기어와,
    상기 댐퍼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회동축의 일단부에 장착된 종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구동기어는 상기 회전기어보다 기어의 반지름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댐퍼 케이스의 개구된 일측에 복수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037688A 2015-03-18 2015-03-18 냉장고 KR101692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688A KR101692734B1 (ko) 2015-03-18 2015-03-18 냉장고
EP19169548.5A EP3543632B1 (en) 2015-03-18 2016-02-04 Refrigerator
TR2019/08691T TR201908691T4 (tr) 2015-03-18 2016-02-04 Buzdolabı.
EP16154211.3A EP3070421B1 (en) 2015-03-18 2016-02-04 Refrigerator
US15/017,404 US9879901B2 (en) 2015-03-18 2016-02-05 Refrigerator
CN201610116155.0A CN105987559B (zh) 2015-03-18 2016-03-01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688A KR101692734B1 (ko) 2015-03-18 2015-03-1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301A KR20160112301A (ko) 2016-09-28
KR101692734B1 true KR101692734B1 (ko) 2017-01-04

Family

ID=5710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688A KR101692734B1 (ko) 2015-03-18 2015-03-1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812A (ko) * 2019-09-17 2021-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865A (ko) * 2003-07-04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KR101187135B1 (ko) * 2005-08-11 201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트레이 인출장치
KR101573534B1 (ko) * 2008-12-10 201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장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이 어셈블리
KR20140116595A (ko) * 2013-03-25 201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캔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301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3632B1 (en) Refrigerator
KR101618128B1 (ko) 냉장고
US9464841B2 (en) Refrigerator
US8944534B2 (en) Refrigerator includes a second door disposed on a first door, a shelf disposed on the first door, a connection assembly connecting the shelf to the second door and linking opening of the second door to rotate the shelf
KR101860718B1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US20140232250A1 (en)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KR102196314B1 (ko) 냉장고
EP4293185A2 (en) Fixing device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KR20150031011A (ko) 냉장고
US20120181910A1 (en) Refrigerator with drawer type door
US11892228B2 (en) Appliance bin
KR101697112B1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US11460240B2 (en) Refrigerator
KR102577442B1 (ko)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
KR101692734B1 (ko) 냉장고
US20200025441A1 (en) Refrigerator with increased stability
KR101653315B1 (ko) 냉장고
KR101713324B1 (ko) 냉장고
CN106705550B (zh) 容纳装置及具有该容纳装置的制冷设备
KR100603732B1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각도 정지 장치
KR102052374B1 (ko) 냉장고
KR0137800Y1 (ko) 회전선반의 조립 구조물
KR102485761B1 (ko) 냉장고
KR20140104639A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