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178B1 -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 Google Patents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178B1
KR101066178B1 KR1020110004434A KR20110004434A KR101066178B1 KR 101066178 B1 KR101066178 B1 KR 101066178B1 KR 1020110004434 A KR1020110004434 A KR 1020110004434A KR 20110004434 A KR20110004434 A KR 20110004434A KR 101066178 B1 KR101066178 B1 KR 10106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aquaculture
fish
water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락
Original Assignee
김성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락 filed Critical 김성락
Priority to KR102011000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178B1/ko
Priority to PCT/KR2011/005851 priority patent/WO201209930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1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입설되는 사각틀체와, 사각틀체의 높이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설치되는 양식수조들과, 양식수조들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물이 양식수조들을 순차로 거쳐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관들과, 최하단의 양식수조와 최상단의 양식수조를 가로질러 사각틀체에 설치되는 피드백관과, 피드백관이 물을 피드백하도록 펌핑하는 펌프와, 최하단의 양식수조에 외부의 물을 급수하는 급수관과, 양식수조들에 설치되어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 양식을 가능하도록 한 복합양식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다슬기의 침전물이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쉽게 수거되므로 고품질의 다슬기가 양식되고, 물이 재사용되는 등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APPARATUS FOR FARMING TOGETHER MARSH SNAIL AND FISH}
본 발명은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슬기를 효과적으로 양식할 수 있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4135호에는 다슬기 양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저수조의 물을 양식조로 이송시켜 다슬기를 양식하는데, 양식조의 바닥에 부양토를 깔아 수초가 자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양식조의 물을 강제로 순환시켜 다슬기의 폐사를 막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다슬기의 생육시 발생되는 침전물의 빈번한 수거로 인해 다슬기가 스트레스를 받아 생육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품질 저하가 우려된다.
또한, 침전물을 수거하기 위해 양수조에서 방류되는 물은 재사용 없이 버려지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이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슬기에 어류를 복합 양식해 다슬기의 침전물을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쉽게 수거할 수 있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을 재사용해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식수조를 상하로 배열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자연 유속을 유도할 수 있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식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입설되는 사각틀체; 윗면만을 개구한 사각형상을 이루어 상기 사각틀체의 높이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설치되는 양식수조들; 상기 양식수조들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양식수조들의 물을 배수하되, 최상단의 양식수조의 물이 그 아래의 양식수조들을 순차로 거쳐 배수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들; 최하단의 양식수조와 최상단의 양식수조를 가로질러 상기 사각틀체에 설치되는 피드백관; 상기 피드백관의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피드백관을 통해서 최하단의 양식수조의 물이 최상단의 양식수조로 피드백하도록 펌핑하는 펌프; 최하단의 상기 양식수조에 외부의 물을 급수하는 급수관; 및 상기 양식수조들에 설치되어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 양식을 가능하도록 한 복합양식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양식수조들은 일단에 통로를 갖는 칸막이를 바닥으로부터 입설하여 내부를 상기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하는 다수개의 양식공간으로 구획 분할하고, 상기 복합양식수단은 양식공간 각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배수관들은 상기 통로를 통해 물이 지그재그로 흘러 배수되게 상기 양식수조들의 양식공간에 대해 교호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 피드백관이 위치하는 최하단의 양식수조의 양식공간은 상기 복합양식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침전조를 이루고, 상기 배수관은 침전조를 이루는 양식공간에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월류하는 물을 배수함이 좋다.
또, 상기 사각틀체의 사이 사이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작업대는 상기 양식수조들의 높이에 맞게 작업이 가능하도록 사다리 또는 계단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복합양식수단은 상기 양식수조들에 안치되어 바닥과의 사이에 어류를 양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ㄷ자형상의 격자체와, 상기 격자체에 적층되어 다슬기가 달라붙어 양식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다슬기양식판과, 상기 다슬기양식판과 격자체와의 사이에 적층되어 다슬기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고 배설물은 관통시켜 침전되도록 한 망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다슬기의 침전물이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쉽게 수거되므로 고품질의 다슬기가 양식된다.
또한, 물이 재사용되어 경제적 이득을 얻는다.
또한, 양식수조가 상하로 배열되기 때문에 양식장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자연 유속이 유도되기 때문에 강제 순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다슬기의 스트레스가 줄어든다.
또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대를 타고 양식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가 양식장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양식수조로부터 복합양식수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양식수조를 길이를 따라 종축으로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양식수조를 길이를 따라 종축으로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에서 물이 흘러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가 양식장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양식수조로부터 복합양식수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양식수조를 길이를 따라 종축으로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양식수조를 길이를 따라 종축으로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에서 물이 흘러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는 비닐하우스나 유리하우스 등의 양식장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날씨 변화 등으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복합양식장치는 바닥으로부터 입설되는 사각틀체(10)를 구비한다.
사각틀체(10)는 파이프와 같은 부재를 가지고 용접 등을 통해서 조립 제작한 육면체형의 구조부이다.
사각틀체(10)는 양식수조(20)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고 견고히 지지하는 골격을 이룬다.
양식수조(20)는 윗면만을 개구한 사각형상의 구조부로서, 사각틀체(10)의 내부에 높이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설치된다.
양식수조(20)는 물을 저류해 다슬기(1) 및 붕어, 잉어, 향어와 같은 어류(3)를 양식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한다.
사각틀체(10)는 중간에 파이프와 같은 부재(11)를 돌려 설치하고 마주보는 부재들(11) 사이에 다수개의 지지대(12)를 가로질러 설치하여 양식수조(20)를 안전하게 받쳐 지지한다.
양식수조(20)는 일단에 통로(21)를 갖는 칸막이(23)를 바닥으로부터 입설하여 내부를 통로(21)를 통해 서로 연통하는 양식공간들(24,25)로 구획 분할한다.
분할된 양식공간들(24,25)에는 복합양식수단(30)이 설치됨으로써 다슬기(1)와 어류(3)의 복합 양식이 가능하게 된다.
복합양식수단(30)은 각 양식공간(24,25)에 안치되어 바닥과의 사이에 어류(3)를 양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ㄷ자형상의 격자체(31)와, 격자체(31)에 적층되어 다슬기(1)가 달라붙어 양식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다슬기양식판(32)과, 다슬기양식판(32)과 격자체(31)와의 사이에 적층되는 망체(34)로 이루어진다.
다슬기양식판(32)은 굴곡을 이루어 양식면적을 늘려 다슬기(1)의 생산성을 높인다.
망체(34)는 다슬기(1)가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어류(3)가 괴롭히는 것을 막고 다슬기(1)의 배설물은 관통시켜 침전되도록 한다.
이때 침전물은 어류(3)의 유영으로 인해 바닥으로 침전되지 않고 부유하는데, 물살을 따라 이동하여 배수구(41,43,45)를 통해 배수되어 자연스럽게 수거된다.
배수구(41,43,45)는 양식수조들(2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양식수조들(20)의 물을 배수하는데, 최상단의 양식수조(20)의 물이 그 아래의 양식수조들(20)을 순차로 거쳐 배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배수관들(41,43,45)은 통로(21)를 통해 물이 지그재그로 흘러 배수되게 양식수조들(20)의 양식공간(24,25)에 대해 교호로 설치된다.
즉, 배수관(41)은 최상단의 양식수조(20A)의 양식공간(24A)에 설치되어 중간단의 양식수조(20B)의 양식공간(24B)을 향해 설치된다.
배수관(43)은 양식수조(20B)의 양식공간(25B)에 설치되어 최하단의 양식수조(20C)의 양식공간(25C)를 향해 설치된다.
배수관(45)는 양식수조(20C)의 양식공간(24C)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설치되어 최종 배수한다.
이처럼, 최종 배수관(45)이 설치되는 양식수조(20C)의 양식공간(24C)에는 피드백관(51)이 사각틀체(10)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피드백관(51)은 최상단의 양식수조(20A)의 양식공간(25A)에 까지 위를 향해 가로질러 설치되어 양식수조(20C)의 양식공간(24C)에 저류되는 물을 양식수조(20A)의 양식공간(25C)에 피드백할 수 있는 물길을 만든다.
양식수조(20C)의 양식공간(24C)에 저류되는 물의 피드백은 피드백관(51)의 중간에 설치되어 물을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해 펌핑하는 펌프(61)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펌프(61)의 펌핑으로 피드백관(51)을 통해 양식수조(20A)의 양식공간(25A)에 환원된 물은 낙차에 의해서 통로(21)를 통해 양식공간(24A)으로 빠져나가 배수관(41)를 거쳐 양식수조(20B)의 양식공간(24B)으로 유동하는데, 이때 양식공간(25A)에 부유중인 침전물은 물살을 따라 통로(21) 쪽으로 이동하여 침전된다.
이처럼 침전된 침전물은 물살에 딸려 통로(21)를 통해 양식공간(24A)으로 빠져나가고 어류의 유영으로 다시 부유해 배수관(41) 쪽으로 이동하여 2차 침전된다.
2차 침전된 침전물은 배수관(41)을 통해 양식수조(20B)의 양식공간(24B)으로 이동하고, 양식수조(20A)에서 일어난 일이 양식수조(20B)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나 배수관(43)을 통해 양식수조(20C)의 양식공간(25C)으로 이동한다.
양식수조(20C)에서도 양식수조(20B)에 일어난 일이 동일하게 일어나 침전물은 양식공간(24C)으로 이동하는데, 양식공간(24C)은 복합양식수단(30)이 설치되지 않은 침전조를 이루기 때문에, 침전물은 부유하지 않고 가라앉아 침전된다.
이때, 배수관(45)은 침전물까지 배수하지 않도록 양식공간(24C)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월류하는 물을 배수하며, 이 때문에 양식공간(24C)에는 항상 일정 수위의 물이 머문다.
피드백관(51)은 양식공간(24C)의 수면으로부터 깊지 않은 곳에서 물을 퍼올리기 때문에, 양식공간(25A)으로 피드백되는 물에는 침전물이 포함되지 않는다.
게다가, 피드백관(51)의 중간에는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5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식공간(25A)으로 환원되는 물은 더 깨끗하다.
또한, 최하단을 이루는 양식수조(20C)의 양식공간(25C)에는 급수관(71)을 통해서 배수되는 량만큼 외부의 물이 급수되기 때문에 일정량의 물이 계속 순환한다.
한편, 사각틀체(10)의 사이 사이에는 레일(81)이 깔리고, 그 레일(81)을 따라 작업대(83)가 이동한다.
레일(81)은 끊어진 곳 없이 사각틀체(10)를 돌아 지그재그로 설치되며, 작업대(83)는 레일(81)을 따라 사각틀체(10) 사이 사이를 누비며 양식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한다.
작업대(83)는 양식수조들(20)의 높이에 맞게 작업이 가능하도록 사다리 또는 계단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좋고, 사람의 힘으로 밀고 다니는 수동 또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이동하는 전동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슬기(1)의 침전물을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쉽게 수거하므로 고품질의 다슬기(1)를 양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재사용하고, 다슬기(1)와 어류(3)의 복합양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한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식수조를 상하로 배열하기 때문에 양식장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고, 낙차에 의한 자연 유속이 유도되기 때문에 다슬기(1)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81)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대(83)를 타고 양식 작업하기 때문에 양식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1:다슬기 3:어류
10:사각틀체 20A,20B,20C:양식수조
21:통로 23:칸막이
24A,24B,24C,25A,25B,25C:양식공간 30:복합양식수단
31:격자체 32:다슬기양식판
34:망체 41,43,45:배수구
51:피드백관 53:필터
61:펌프 71:급수관
81:레일 83:작업대

Claims (7)

  1. 바닥으로부터 입설되는 사각틀체;
    윗면만을 개구한 사각형상을 이루어 상기 사각틀체의 높이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설치되는 양식수조들;
    상기 양식수조들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양식수조들의 물을 배수하되, 최상단의 양식수조의 물이 그 아래의 양식수조들을 순차로 거쳐 배수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들;
    최하단의 양식수조와 최상단의 양식수조를 가로질러 상기 사각틀체에 설치되는 피드백관;
    상기 피드백관의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피드백관을 통해서 최하단의 양식수조의 물이 최상단의 양식수조로 피드백하도록 펌핑하는 펌프;
    최하단의 상기 양식수조에 외부의 물을 급수하는 급수관; 및
    상기 양식수조들에 설치되어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 양식을 가능하도록 한 복합양식수단을 포함하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들은 일단에 통로를 갖는 칸막이를 바닥으로부터 입설하여 내부를 상기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하는 다수개의 양식공간으로 구획 분할하고, 상기 복합양식수단은 양식공간 각각에 설치되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들은 상기 통로를 통해 물이 지그재그로 흘러 배수되게 상기 양식수조들의 양식공간에 대해 교호로 설치되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관이 위치하는 최하단의 양식수조의 양식공간은 상기 복합양식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침전조를 이루고, 상기 배수관은 침전조를 이루는 양식공간에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월류하는 물을 배수하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틀체의 사이 사이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대가 더 설치되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양식수조들의 높이에 맞게 작업이 가능하도록 사다리 또는 계단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양식수단은 상기 양식수조들에 안치되어 바닥과의 사이에 어류를 양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ㄷ자형상의 격자체와, 상기 격자체에 적층되어 다슬기가 달라붙어 양식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다슬기양식판과, 상기 다슬기양식판과 격자체와의 사이에 적층되어 다슬기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고 배설물은 관통시켜 침전되도록 한 망체로 이루어지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KR1020110004434A 2011-01-17 2011-01-17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KR10106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434A KR101066178B1 (ko) 2011-01-17 2011-01-17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PCT/KR2011/005851 WO2012099308A1 (ko) 2011-01-17 2011-08-10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434A KR101066178B1 (ko) 2011-01-17 2011-01-17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178B1 true KR101066178B1 (ko) 2011-09-20

Family

ID=4495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434A KR101066178B1 (ko) 2011-01-17 2011-01-17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6178B1 (ko)
WO (1) WO201209930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889B1 (ko) * 2012-08-27 2014-05-21 전라남도 회류식 다층 복합양식수조
KR101426228B1 (ko) * 2012-09-13 2014-08-07 서일권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KR101572987B1 (ko) 2013-10-01 2015-11-30 명노환 다단 양식장
CN106922578A (zh) * 2017-01-14 2017-07-07 陆川县品养殖专业合作社 一种田螺套养技术
KR20220132081A (ko) * 2021-03-22 2022-09-30 김성락 바이오플락 다슬기 양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7685B (zh) * 2014-08-18 2016-10-05 福建省水产研究所 一种不同规格东风螺稚、幼螺筛选分选的方法
CN104798702A (zh) * 2015-04-03 2015-07-29 长江大学 福寿螺养殖方法
CN105052793A (zh) * 2015-08-10 2015-11-18 苏州市相城区阳澄湖镇剑成水产生态养殖专业合作社 一种田螺的高产养殖方法
CN107897110A (zh) * 2017-11-10 2018-04-13 湖南和滨特种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龟鳖生态养殖经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684A (ko) * 2009-01-28 2010-08-05 김용우 빌딩형 양식장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2153B2 (ja) * 1994-05-31 2004-03-02 株式会社有隣堂 海水魚の飼育方法及びその装置
ES2257122B2 (es) * 2003-08-01 2007-08-16 Vikingaquaculture Development, S.L. Piscifactoria que utiliza corrientes de aguas someras.
KR100981601B1 (ko) * 2009-11-27 2010-09-13 김성락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684A (ko) * 2009-01-28 2010-08-05 김용우 빌딩형 양식장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889B1 (ko) * 2012-08-27 2014-05-21 전라남도 회류식 다층 복합양식수조
KR101426228B1 (ko) * 2012-09-13 2014-08-07 서일권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KR101572987B1 (ko) 2013-10-01 2015-11-30 명노환 다단 양식장
CN106922578A (zh) * 2017-01-14 2017-07-07 陆川县品养殖专业合作社 一种田螺套养技术
KR20220132081A (ko) * 2021-03-22 2022-09-30 김성락 바이오플락 다슬기 양식장치
KR102605199B1 (ko) * 2021-03-22 2023-11-23 김성락 바이오플락 다슬기 양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9308A1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178B1 (ko)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CN1023750C (zh) 一种强化养鱼的设备
CN103826448B (zh) 鱼类养殖设备、模块、方法和用途
HRP20120537T1 (hr) Sustav uzgoja i reprodukcije mikroorganizama kojitraže intenzivnu svjetlost kao što su alge
CN104705238B (zh) 一种水生动物养殖系统
CN104585112A (zh) 一体化水产养殖系统
CN104082211B (zh) 平位三渠道循环水养鱼方法
CN203152265U (zh) 一种养殖水循环净化装置
NO342765B1 (en) System for selective waste removal from aquaculture
EP2371771A1 (en) Modular filtration reed bed
CN203762066U (zh) 一种自供氧观赏鱼缸
CN107223016A (zh) 双重气力提升装置
US20160262322A1 (en) Aquaponic system
JP2017099362A (ja) 池のろ過装置
CN104365514A (zh) 一种鳗鱼工厂化养殖系统
KR101178320B1 (ko) 다슬기 양식수조 청소기
KR101568803B1 (ko)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KR102221507B1 (ko) 기포 분리기가 장착된 양어장
CN103566635A (zh) 一种水产养殖水陆两用净化装置及其工作方法
CN213214754U (zh) 一种农业养猪用污水池清理装置
JP2023109012A (ja) 並列式循環瀘過養殖装置
CN107410144B (zh) 一种热带观赏鱼简易工厂化养殖系统
KR102070593B1 (ko) 유속 유발유지형 양식 수조 장치
CN207418526U (zh) 一种污水处理系统
CN215288215U (zh) 一种高效的一体化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