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803B1 -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803B1
KR101568803B1 KR1020130147023A KR20130147023A KR101568803B1 KR 101568803 B1 KR101568803 B1 KR 101568803B1 KR 1020130147023 A KR1020130147023 A KR 1020130147023A KR 20130147023 A KR20130147023 A KR 20130147023A KR 101568803 B1 KR101568803 B1 KR 101568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floating
module
dissolv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406A (ko
Inventor
권순범
유영범
김상민
양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Priority to KR1020130147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8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Abstract

본 발명은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존공기부상시스템에 사용되는 용존공기부상부를 모듈화하고, 상기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기존의 침전지 내부에 간소하게 설치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부유성 조류가 급격하게 증식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종래의 가압부상시설보다 여러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정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되는 일정 깊이의 침전지; 상기 침전지에 설치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침전지의 원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통하여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Retrofitting water purifying system of settling tank using DAF module}
본 발명은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공기부상시스템에 일체화된 용존공기부상시설을 모듈화하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기존의 침전지 내부에 간소하게 설치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유성 조류가 급격하게 증식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종래의 가압부상시설보다 여러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정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원수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 등을 침전시킨 다음, 그 상등수를 여과하는 방식으로 정수처리를 하고 있다.
즉, 원수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 등을 응집 및 침전과정을 통하여 상당량 층분리한 후에는, 그 상등수에 잔존하는 부유물은 여과지를 통하여 보다 세밀하게 걸려내게 된다.
그런데, 근래에 들어서 계절별로 다양한 조류가 급속도로 증식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기후의 변화로 부유성 조류가 크게 증식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부유성 조류 중 규조류의 경우, 다른 조류와는 달리 응집과 침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그 개체수가 급속하게 증가하게 되면, 여과지에 사용되는 여재를 급속히 막히게 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들은 여과지를 이용한 정수처리공정에 많은 부하를 가하게 되어 정수처리에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과지를 빈번하게 역세척하거나, 여과사면을 삭취하는 등의 임시방편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방안 외에, 원수에 황산동을 주입하여 부유성 조류를 포함하여 각종 조류의 급속한 증가를 억제하는 방안도 제기된 바 있으나, 상기 황산동은 독극물이므로 자칫 수질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혼화시설, 응집시설, 용존공기부상시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형성된 가압부상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데, 상기 가압부상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침전지와 연계가능한 별도의 설치공간(부지)을 마련하여야 하는 애로사항이 있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에 상기 가압부상시스템을 설치하는 별도의 증설공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설치공간(부지) 마련 및 설치공사비용 등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 침전지 주변에 가압부상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지)이 없는 경우에는 그야말로 조류, 특히 규조류로 인한 정수처리장애를 해결하기 어렵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용수공급 부족과 같은 추가적인 문제로 확산될 우려가 매우 크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49543호 '용존공기 부상형 전처리장치'(2011. 5. 1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기존의 가압부상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 구성인 용존공기부상시설을 모듈화하여 기존의 침전지에 간소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유성 조류가 과다하게 증식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압부상시설과 대비하여 볼 때, 조류제거효율은 거의 대등하면서도 종래 가압부상시설에 비해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동시에 설치관련 비용의 현저한 절감이 가능하여, 여러 측면에서 더욱 효율적인 정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은, 원수가 유입되는 일정 깊이의 침전지(10); 일정 형상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21); 상기 본체(21)의 전측에 형성되되, 공기분사부(22a), 부유물 분리제거부(22b), 배수부(22c) 순으로 형성된 정수처리부(22); 상기 공기분사부(22a)와 배수부(22c)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되, 그 일측에는 순환펌프(23a)가 설치된 순환배관(23); 및 침전지(10)의 내측 벽면에 더 가까운 상기 본체(21)의 후측에 형성되되, 상기 순환배관(23)과 연결되어 순환배관(23)을 흐르는 순환수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순환배관(23)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순환수에 용해시키는 공기용해장치(24a), 상기 공기용해장치(24a)에 연결 설치되어 공기용해장치(24a)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24b)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공급부(24)를 포함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을 포함하되, 상기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은 상기 본체(21)가 침전지(10) 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21)의 하부에서 상기 침전지(10) 바닥까지 이르는 일정 높이의 지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침전지 내측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존공기부상 모듈(20)로써 침전지(10)의 원수를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은, 상기 정수처리부는 상등수 유입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분사노즐이 형성된 공기분사부; 상기 공기분사부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된 부유물을 걷어내어 제거하는 부유물 분리제거부; 상기 부유물 분리제거부를 통해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은, 상기 본체에는 배수부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를 모래여과 및 막여과하는 여과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기술적,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기존의 가압부상시스템을 구성하는 용존공기부상시설을 분리하여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모듈화하고, 그에 의한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기존 침전지 내의 상부 일측에 설치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침전지 내(內)의 조류 등이 포함된 침전처리수를 부상공정을 병행하여 용이하게 정수처리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와 같이 침전지 내에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설치하여 정수처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유성 조류가 급속하게 증가하더라도 종래에 비하여 처리시간이 대폭 짧아져 처리효율이 향상되며, 나아가 처리유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노후화로 인하여 정수처리효율이 떨어지는 정수처리시설 및 처리용량 증가가 필요한 정수처리시설의 경우, 상기와 같은 용존공기부상 모듈로써 간소하게 대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노후화된 정수처리시설을 효과적으로 개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넷째, 기존의 침전지 내측에 상기 패키지화된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증설공사가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별도의 증설을 위한 부지를 마련해야 하는 종래 가압부상시스템에 비하여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설치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 정수시스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 정수시스템 상세도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정수시스템은 침전지(10)에 모듈화된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을 설치하여, 침전지(10) 내에서 원수를 효율적으로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되는 일정 깊이의 침전지(10); 상기 침전지(10) 내측에 설치가능한 용존공기부상 모듈(20); 을 포함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본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시스템은, 침전지(10)에 원수가 유입되면 원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먼저 침전시키고, 그 상등수(10a)와 침전이 어려운 부유성 조류는 상기 침전지(10) 내에 설치된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을 통하여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침전지(10)는 일정 깊이의 수조형으로 형성되어 원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등을 침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 대규모 정수장 침전지의 경우, 길이가 약 70미터, 폭이 약 16미터, 깊이가 약 5미터에 이르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침전지는 콘크리트 등의 구조재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침전지(10)에 원수를 유입시켜 일정 시간 정치시키게 되면,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바닥에 가라앉게 되고, 그 상등수(10a)는 유입시의 원수보다 수질급수가 자연히 향상되며, 이 상등수(10a)를 인위적으로 여과정수처리하여 줌으로써, 사용가능한 음용수 및 용수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전지(10)의 상등수(10a)는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을 통하여 정수처리하게 되는데, 상기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은 기존의 가압공기부상시스템의 구성 중 하나인 용존공기부상 관련시설들을 패키지 형태로 모듈화한 것이다.
즉, 상기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은, 일정 형상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21); 상기 본체(21)의 전측에 형성되되, 공기분사부(22a), 부유물 분리제거부(22b), 배수부(22c) 순으로 형성된 정수처리부(22); 상기 공기분사부(22a)와 배수부(22c)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되, 그 일측에는 순환펌프(23a)가 설치된 순환배관(23); 상기 본체(21)의 후측에 형성되되, 상기 순환배관(23)과 연결되어 순환배관(23)을 흐르는 순환수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24);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은 원수의 상등수가 형성되는 침전지(20)의 내측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상등수(10a)가 직접 유입되어 정수처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침전지(10) 내의 상부 일측에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이 설치되는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을 구성하는 본체(21)는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일정 형태의 함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21)는 침전지(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후측면이 침전지(10)의 내측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본체(21)의 후측면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하여 침전지(1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은 본체(21)의 후측면을 침전지(10)의 내측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21)는 침전지(10) 내의 상부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본체(21)의 하부에는 침전지(10)의 바닥까지 이르는 일정 높이의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지지토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상기 지지수단은 꼭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형성할 수도, 형성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침전지(10) 내의 상부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본체(21)는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정수처리부(22), 압축공기 공급부(24) 순(順)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24)는 상기 본체(21)가 고정설치되는 침전지(10)의 내측 벽면에 더 가까운 후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정수처리부(22)는 자연히 본체(21)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등수(10a)가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처리부(22)는 공기분사부(22a), 부유물 분리제거부(22b), 배수부(22c)의 순(順)으로 구획하여 형성되되, 상기 공기분사부(22a)와 부유물 분리제거부(22b)는 상부가 서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부유물 분리제거부(22b)와 배수부(22c)는 하부가 송수관(22d)으로써 서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부(22c)는 압축공기 공급부(24)와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원수의 상등수(10a)를 처리하는 정수처리부(22)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등수(10a)는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공기분사부(22a), 부유물 분리제거부(22b), 배수부(22c)를 차례대로 거치면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배수부(22c)는 공기분사부(22a)와 순환배관(23)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배관(23)에는 순환펌프(23a)가 설치되어 배수부(22c)의 처리수 일부를 공기분사부(22a)로 강제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배관(23)은 압축공기 공급부(24)와 연결되어 있어, 순환수에 압축공기를 용해시켜 공기분사부(22a)에서 분사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체(21)의 정수처리부(22)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기분사부(22a)는 그 상부에 상등수(10a)가 유입되는 상등수 유입부(22a-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순환배관(23)과 연결된 분사노즐(22a-2)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상등수 유입부(22a-1)를 통해 상등수(10a)가 유입되면, 상기 상등수(10a)에 압축공기가 포함된 순환수를 분사노즐(22a-2)을 통하여 상향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공기분사부(22a)의 전측 벽면의 상부에 형성된 상등수 유입부(22a-1)는 침전지(10)의 수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등수(10a)가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분사부(22a)에 유입된 상등수(10a)에 분사노즐(22a-2)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포함된 순환수를 분사하게 되면, 순환수와 함께 분사되는 미세공기방울은 부유성 조류 등과 같이 침전이 어려운 이물질의 외표면에 일부 부착되어 수면으로 부상케 하거나, 혹은 상기 무수한 미세공기방울의 상향 부상을 통하여 상등수(10a)에 포함된 부유성 이물질 등도 함께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분사부(22a)의 미세공기방울에 의하여 수면으로 부상된 부유성 이물질 등은 부유물 분리제거부(22b)에서 분리 및 제거되는데, 상기 부유물 분리제거부(22b)는 수면으로 부상되는 이물질 등을 걷어내어 분리제거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유물 분리제거부(22b)에 대한 구성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부유물 분리제거부(22b)를 통해 걷어진 이물질은 별도의 배출공간으로 포집되어 분리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는 배수부(22c)로 이동하여 사용가능한 용수로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부(22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수 중에서 일부는 순환배관(23)을 통하여 공기분사부(22a)로 이동되도록 하는데, 상기 순환배관(23)을 흐르는 순환수는 순환배관(23)을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순환배관(23)과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부(24)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공기분사부(22a)에서 분사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수부(22c)의 일부 처리수를 순환배관(23)을 통하여 공기분사부(22a)로 강제 이송케 하여 분사되는 공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순환배관(23)의 일단은 배수부(22c)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분사부(22a)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순환배관(23)의 일측에는 순환펌프(23a)가 설치되어 배수부(22c)의 처리수 일부가 공기분사부(22a)로 강제이송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배관(23)은 압축공기 공급부(24)와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2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21)의 후측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공기용해장치(24a), 공기압축기(24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공기용해장치(24a)는 순환배관(23)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순환수에 용해시키는 장치이고, 공기압축기(24b)는 상기 공기용해장치(24a)에 연결설치되어 공기용해장치(24a)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압축기(24b)에서 외부의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공기용해장치(24a)로 공급하면, 상기 공기용해장치(24a)는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순환수와 블렌딩(blending)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압축공기 공급부(24)에 의해 순환수에 용해되는 압축공기는 공기분사부(22a)를 통하여 분사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순환배관(23)을 통하여 배수부의 처리수 일부를 다시 공기분사부(22a)로 순환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의 내부에서는 공기분사부(22a), 부유물 분리제거부(22b), 배수부(22c)로 흐르는 자연스러운 물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흐름에 의하여 별도의 유도장치가 없더라도 외부의 상등수(10a)가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어져 정수처리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부유성 조류를 제거하는 데에 효과적인 용존공기부상법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유성 조류가 급속하게 증식을 하더라도, 후속 공정에 이용되는 여과지의 운영장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을 침전지(10) 내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여 원수를 직접 처리함으로써 수득된 부유성 조류의 제거율을 나타낸 도표이다.
<그림1. 총현존량 대비 DAF 공정 후(後), 조류제거율>
Figure 112013109309549-pat00001

위 그림1에서 Total은 총현존량, T-DAF는 DAF 공정 후(後) 총현존량, Diatom은 규조류 현존량, Di-DAF는 DAF 공정 후(後) 규조류 현존량, Green은 녹조류 현존량, Gr-DAF는 DAF 공정 후(後) 녹조류 현존량, Standing Crops는 현존량을 의미한다.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은 부유성 조류인 규조류의 제거율이 99.6%에 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은 부유성 조류의 제거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21)의 배수부(22c) 후측에는 상기 배수부(22c)를 통하여 배출되는 처리수를 막여과하는 막여과부(미도시)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높은 수질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막여과부가 본체(21)에 형성하게 된다면, 상기 막여과부는 배수부(22c)와 압축공기 공급부(2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한편, 침전지(10) 내의 상부 일측에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함으로써 원수의 상등수(10a)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침전지(10)의 내측 벽면에 일정 개수의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을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용존공기부상 모듈 사이에 격벽(A)을 형성하여 상등수(10a)가 각 용존공기부상 모듈(20)에 구분되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등수(10a)의 정수처리가 독립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격벽(A)의 상단은 침전지(10)의 상단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고, 하단은 상기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 혹은 침전지(10)의 바닥에 위치하는 형태로 형성하되, 그 길이는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의 전측 방향으로, 상기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의 전측보다 더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침전지 10a : 상등수
20 : 용존공기부상 모듈 21 : 본체
22 : 정수처리부 22a : 공기분사부
22a-1 : 상등수 유입부 22a-2 : 분사노즐
22b : 부유물 분리제거부 22c : 배수부
22d : 송수관 23 : 순환배관
23a : 순환펌프 24 : 압축공기 공급부
24a : 공기용해장치 24b : 공기압축기
A : 격벽

Claims (5)

  1. 원수가 유입되는 일정 깊이의 침전지(10);
    일정 형상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21);
    상기 본체(21)의 전측에 형성되되, 공기분사부(22a), 부유물 분리제거부(22b), 배수부(22c) 순으로 형성된 정수처리부(22);
    상기 공기분사부(22a)와 배수부(22c)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되, 그 일측에는 순환펌프(23a)가 설치된 순환배관(23); 및
    침전지(10)의 내측 벽면에 더 가까운 상기 본체(21)의 후측에 형성되되, 상기 순환배관(23)과 연결되어 순환배관(23)을 흐르는 순환수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순환배관(23)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순환수에 용해시키는 공기용해장치(24a), 상기 공기용해장치(24a)에 연결 설치되어 공기용해장치(24a)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24b)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공급부(24)를 포함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을 포함하되,
    상기 용존공기부상 모듈(20)은 상기 본체(21)가 침전지(10) 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21)의 하부에서 상기 침전지(10) 바닥까지 이르는 일정 높이의 지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침전지 내측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존공기부상 모듈(20)로써 침전지(10)의 원수를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공기부상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처리부(22)는,
    상등수 유입부(22a-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분사노즐(22a-2)이 형성된 공기분사부(22a); 상기 공기분사부(22a)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된 부유물을 걷어내어 제거하는 부유물 분리제거부(22b); 상기 부유물 분리제거부(22b)를 통해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22c);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에는 배수부(22c)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를 모래여과 및 막여과하는 여과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KR1020130147023A 2013-11-29 2013-11-29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KR101568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023A KR101568803B1 (ko) 2013-11-29 2013-11-29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023A KR101568803B1 (ko) 2013-11-29 2013-11-29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406A KR20150062406A (ko) 2015-06-08
KR101568803B1 true KR101568803B1 (ko) 2015-11-13

Family

ID=5350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023A KR101568803B1 (ko) 2013-11-29 2013-11-29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8864A (zh) * 2019-05-30 2019-09-13 聊城市天工景观艺术有限公司 一种新农村建设用的污水集中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0973C1 (ru) * 2018-12-05 2020-01-14 Дмитрий Валерьевич Ковалев Автомойка
FR3093104B1 (fr) * 2019-02-25 2023-12-22 Veolia Water Solutions & Tech Installation modulaire de traitement d’eau par flott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169B1 (ko) * 2013-07-22 2013-12-03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169B1 (ko) * 2013-07-22 2013-12-03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8864A (zh) * 2019-05-30 2019-09-13 聊城市天工景观艺术有限公司 一种新农村建设用的污水集中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406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0979B (zh) 可调式浮沉切换固液分离装置
US9725334B2 (en) Rapid flotation device for water laden with suspended matter,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US20140014562A1 (en) Dissolved air flotation-type pretreatment apparatus
US20140190897A1 (en) Enhanced separation of nuisance materials from wastewater
KR101637562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568803B1 (ko)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CN103253792A (zh) 一种全自动高效净水器
JP2019010645A (ja) 移送システム
KR101318263B1 (ko)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용 침전장치
KR101261839B1 (ko) 반류수 처리장치
CN102596819A (zh) 用于游泳池的过滤系统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KR100898080B1 (ko) 가압 부상식 여과지
CN202898140U (zh) 一种含油含洗涤废水回用系统
CN210610740U (zh) 养殖鳗鲡尾水除磷系统
KR101469634B1 (ko) 관형여과기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KR101590142B1 (ko) 수처리장치
KR101431325B1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KR102318251B1 (ko)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CN102874965B (zh) 一种含油含洗涤废水回用系统
KR20160048500A (ko) 역세척 폐수의 배수를 위한 다공 배수관 및 이를 포함하는 용존공기부상형 수처리장치
CN105330068A (zh) 气浮和过滤一体化装置
CN205258183U (zh) 气浮和过滤一体化装置
CN205258185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209740858U (zh) 可回用的家具喷漆废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