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629B1 -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629B1
KR101065629B1 KR1020110043164A KR20110043164A KR101065629B1 KR 101065629 B1 KR101065629 B1 KR 101065629B1 KR 1020110043164 A KR1020110043164 A KR 1020110043164A KR 20110043164 A KR20110043164 A KR 20110043164A KR 101065629 B1 KR101065629 B1 KR 101065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ignal
water
supply pip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근
Original Assignee
한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규근 filed Critical 한규근
Priority to KR1020110043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설정 및 측정하는 수압 제어 장치는, 상기 급수 배관의 수압을 측정하는 압력 트랜스미터와,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로부터의 수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급수 배관에서 유지되어야 할 수압의 허용 범위와 압력 단위를 설정 및 표시하는 표시 및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됨으로써,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고, 허용되는 수압의 범위 및 압력 단위의 설정 등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제어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SURE OF WATER IN FIRE FIGHTING PIP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ESSURE OF WA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방용 급수 배관을 흐르는 소방 용수의 압력을 설정 및 측정하고 경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혹은 고층 건물에는 급수 설비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급수 설비는 급수 방식에 따라, 건물 옥상에 물탱크를 설치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급수하는 고가수조 방식과, 공기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급수하는 가압탱크 방식과, 펌프 운전에 의해 직접 급수하는 펌프 직송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그 사용 목적에 따라, 급수 설비는 급수용과 소화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의 소화용 급수 설비에서는 급수 배관의 압력을 소정의 규정압력 범위 내로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감압 밸브 등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소화용 급수 배관의 압력이 일정 범위로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압 측정 장치 등으로 실시간으로 수압을 측정하고 있다.
종래의 소화용 급수 설비에서는, 급수 배관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수압 측정 장치로서 압력 게이지 및 압력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압 측정 장치는 가압탱크에 설치될 수도 있고, 급수 배관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종래의 소방용 급수 배관에 설치된 수압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은 가압탱크(20)에 압력 게이지(30) 및 압력 스위치(40)가 설치된 경우이고, 도 2는 급수 배관(10)에 압력 게이지(31)가 설치된 경우이다. 도 1의 압력 스위치(40)에는 압력편차 조정볼트(41)와 압력 조정볼트(4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수압 측정 장치는 대부분 아날로그 방식이므로, 측정값의 정확도가 낮고, 충격 압력에 의한 압전 변이와 같은 고장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압력의 설정 범위가 좁고, 요구되는 압력 범위에 따라 특정한 압력 게이지 및 압력 스위치를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또한, 측정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만 압력의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및 관리에 있어서 편리성이 낮다.
뿐만 아니라, 도 1의 수압 측정 장치는 공기 압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탱크(20)의 공기가 소멸되면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설치 면적이나 설치 비용도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고, 허용되는 수압의 범위 및 압력 단위의 설정 등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및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장치의 설치 면적 및 설치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설정 및 측정하는 수압 제어 장치는, 상기 급수 배관의 수압을 측정하는 압력 트랜스미터와;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의 출력 신호 범위에 따라 입력 신호의 형태를 선택하고,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에서 측정된 상기 급수 배관의 수압을 전기적인 수압 신호로서 입력받는 입력 신호 선택부와; 상기 입력 신호 선택부로부터 상기 수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급수 배관에서 유지되어야 할 수압의 허용 범위와 압력 단위를 설정하고,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로부터의 디지털 수압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급수 배관의 수압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급수 배관의 수압이 상기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사용자가 상기 수압의 허용 범위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수압 신호를 받아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와;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 입력 신호 선택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제어부, 입력부, 표시부 및 경보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 패드(key pad)와, 상기 키 패드의 입력을 전기 신호로서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키 입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수압 신호를 받아서 표시용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구동 회로와, 상기 표시 구동 회로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 발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 신호를 받아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경보 구동 회로와, 상기 경보 구동 회로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하는 알람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입력 보호 회로와, 외부로부터 전력을 입력받아 스텝-다운(step-down)시켜, 상기 입력 신호 선택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제어부, 입력부, 표시부 및 경보 발생부에 제1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1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력을 스텝-업(step-up)시켜,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에 제2 전력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급수 배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동작 모드를, 초기값 설정을 위한 설정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 변환 단계와; 비밀번호를 입력 및 확인하는 비밀번호 확인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비밀번호 변경 단계와; 상기 급수 배관에서 유지되어야 할 수압의 허용 범위와 압력 단위를 설정하는 수압 설정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의 변경이 완료되었거나, 상기 수압의 범위 및 압력 단위의 설정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동작 모드로 돌아가는 설정 완료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설정 모드에서 소정 시간동안 입력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동작 모드로 돌아가는 자동 복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먼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급수 배관에서 유지되어야 할 수압의 허용 범위를 넓은 범위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압력 단위별로 선택하여 설정하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여러 곳의 운전실에서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다.
또한, 경보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장치의 고장이나 이상 동작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및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장치의 설치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 가압탱크에 설치된 종래의 수압 측정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 급수 배관에 직접 설치된 종래의 수압 측정 장치의 개략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설정 및 측정하는 수압 제어 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제어 장치에서, 표시 및 제어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도 5는 도 3의 수압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설정 및 측정하는 수압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a 및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압 제어 장치는 소방용 급수 배관(10)에 연결되어, 급수 배관(1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트랜스미터(50)와, 급수 배관(10)에서 유지되어야 할 수압의 허용 범위를 설정하고 압력 트랜스미터(50)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표시하는 표시 및 제어 시스템(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50)는 도 3a와 같이 급수 배관(10)에 가까이 설치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급수 라인을 연결하여 급수 배관(10)과는 멀리 떨어지고 표시 및 제어 시스템(60)과는 가까운 위치에 압력 트랜스미터(5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b의 경우가 국제 표준형이다.
한편, 도 4에 상기한 표시 및 제어 시스템(60)의 기능을 블록도로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및 제어 시스템(60)은 입력 신호 선택부(7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80), 제어부(90), 입력부(100), 표시부(110), 경보 발생부(120) 및 전원 공급부(1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입력 신호 선택부(70)는 압력 트랜스미터(50)의 출력 신호 범위에 따라 입력 신호의 형태를 선택한다. 압력 트랜스미터(50)는 4~20mA 혹은 1~5V의 범위의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입력 신호 선택부(70)에 입력한다.
입력 신호 선택부(70)는 압력 트랜스미터(70)로부터 받은 수압 신호를 그 출력 범위에 따라 선택한 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80)로 보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80)는 안티 앨리어싱(anti aliasing)을 위해 대역을 제한하는 저역통과 필터(LPF)(81)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82)로 구성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80)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수압 신호는 제어부(90)에 입력된다. 제어부(90)는 입력부(10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급수 배관(10)에서 유지되어야 할 수압의 허용 범위를 설정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80)로부터 받은 수압 신호를 표시부(110)로 보내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급수 배관(10)의 수압이 상기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제어부(90)에 입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압의 허용 범위를 제어부(90)에 입력하여 초기값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 패드(key pad)(101)와, 키 패드(101)의 입력을 전기 신호로서 제어부(90)에 전달하는 키 입력 회로(102)로 구성된다. 키 입력 회로(102)는 키의 채터링(chattering)을 방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키 패드(101)는 푸시 버튼(push-button)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설정(set) 키, 업(up) 키, 다운(down) 키, 다수의 숫자(number) 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110)는 제어부(90)로부터 상기 수압 신호를 받아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압 신호를 받아서 표시용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구동 회로(111)와, 상기 표시 구동 회로(111)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표시 소자(112)로 구성된다.
경보 발생부(120)는 제어부(90)로부터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서, 경보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제어부(90)로부터의 경보 신호를 받아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경보 구동 회로(121)와, 상기 경보 구동 회로(121)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알람 소자(122)로 구성된다.
전원 공급부(130)는 압력 트랜스미터(50)와 표시 및 제어 시스템(6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압력 트랜스미터(50)에는 제1 전력이 공급되고, 표시 및 제어 시스템(60)에는 제2 전력이 공급된다.
전원 공급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입력 보호 회로(131)와, 외부 전력을 스텝-다운(step-down)시켜 제1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부(132)와, 제1 전원 공급부(132)로부터의 전력을 스텝-업(step-up) 시켜 제2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부(133)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제어하는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내었다.
상기 수압 제어 장치는, 급수 배관(10)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동작 모드와, 초기값 설정을 위한 설정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동작 모드에 있는 장치를 설정 모드로 변환한다(단계 S100).
다음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수압 설정을 위한 단계로 진행한다(단계 S200). 비밀번호의 입력 범위는 적절히 설정될 수 있고(예를 들어, 0~99), 디폴트 값(예를 들어, 0)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만일, 비밀번호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비밀번호 확인 단계에서 비밀번호 변경 단계로 진행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한다(단계 S300).
수압 설정 단계에서는, 급수 배관(10)에서 유지되어야 할 수압의 허용 범위와 압력 단위를 설정한다(단계 S400). 수압의 허용 범위는, 예를 들어, 7[psi] 범위로 할 수 있으며, 최소 0[psi]에서 최대 300[psi]까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압력 단위는 psi, Kgf/cm2, MPa, bar 등의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비밀번호의 변경이 완료되었거나, 상기 수압 범위 및 압력 단위의 설정이 완료되었을 경우, 동작 모드로 돌아간다(단계 S500).
한편, 상기 설정 모드에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30초)동안 입력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동작 모드로 돌아가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급수 배관 20: 가압 탱크
30: 압력 게이지 40: 압력 스위치
50: 압력 트랜스미터 60: 표시 및 제어 시스템
70: 입력신호 선택부 8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90: 제어부 100: 입력부
110: 표시부 120: 경보 발생부
130: 전원 공급부

Claims (7)

  1.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설정 및 측정하는 수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배관의 수압을 측정하는 압력 트랜스미터와,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의 출력 신호 범위에 따라 입력 신호의 형태를 선택하고,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에서 측정된 상기 급수 배관의 수압을 전기적인 수압 신호로서 입력받는 입력 신호 선택부와,
    상기 입력 신호 선택부로부터 상기 수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급수 배관에서 유지되어야 할 수압의 허용 범위 및 압력 단위를 설정하고,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로부터의 디지털 수압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급수 배관의 수압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급수 배관의 수압이 상기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사용자가 상기 수압의 허용 범위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수압 신호를 받아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와,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 입력 신호 선택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제어부, 입력부, 표시부 및 경보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 패드(key pad)와,
    상기 키 패드의 입력을 전기 신호로서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키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수압 신호를 받아서 표시용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구동 회로와,
    상기 표시 구동 회로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 신호를 받아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경보 구동 회로와,
    상기 경보 구동 회로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하는 알람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입력 보호 회로와,
    외부로부터 전력을 입력받아 스텝-다운(step-down)시켜, 상기 입력 신호 선택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제어부, 입력부, 표시부 및 경보 발생부에 제1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1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력을 스텝-업(step-up)시켜, 상기 압력 트랜스미터에 제2 전력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압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배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동작 모드를, 초기값 설정을 위한 설정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 변환 단계와,
    비밀번호를 입력 및 확인하는 비밀번호 확인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비밀번호 변경 단계와,
    상기 급수 배관에서 유지되어야 할 수압의 허용 범위와 압력 단위를 설정하는 수압 설정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의 변경이 완료되었거나, 상기 수압의 범위 및 압력 단위의 설정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동작 모드로 돌아가는 설정 완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드에서 소정 시간동안 입력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동작 모드로 돌아가는 자동 복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방법.
KR1020110043164A 2011-05-06 2011-05-06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제어 방법 KR101065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164A KR101065629B1 (ko) 2011-05-06 2011-05-06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164A KR101065629B1 (ko) 2011-05-06 2011-05-06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629B1 true KR101065629B1 (ko) 2011-09-19

Family

ID=4495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164A KR101065629B1 (ko) 2011-05-06 2011-05-06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6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963A (ko) * 2014-12-11 2016-06-21 성진계장 주식회사 소방 탱크 압력을 이용한 펌프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192491B1 (ko) * 2020-06-02 2020-12-17 (주)드림엔지니어링 오작동 방지 구조를 갖는 압력 챔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449A (ja) * 1992-05-15 1993-12-03 Hochiki Corp 消火設備の自動点検装置
KR200396981Y1 (ko) 2005-07-07 2005-09-28 제이비엔텍 (주) 다기능 디지털 압력 측정 및 기록장치
KR100872045B1 (ko) 2008-06-27 2008-12-05 (주)코모스 휴대용 전자식 수압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449A (ja) * 1992-05-15 1993-12-03 Hochiki Corp 消火設備の自動点検装置
KR200396981Y1 (ko) 2005-07-07 2005-09-28 제이비엔텍 (주) 다기능 디지털 압력 측정 및 기록장치
KR100872045B1 (ko) 2008-06-27 2008-12-05 (주)코모스 휴대용 전자식 수압 측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963A (ko) * 2014-12-11 2016-06-21 성진계장 주식회사 소방 탱크 압력을 이용한 펌프 자동 제어 시스템
KR101648194B1 (ko) * 2014-12-11 2016-08-12 성진계장 주식회사 소방 탱크 압력을 이용한 펌프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192491B1 (ko) * 2020-06-02 2020-12-17 (주)드림엔지니어링 오작동 방지 구조를 갖는 압력 챔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6690B2 (en) Fire fighting systems and methods
US20060212134A1 (en) Smart-control PLC based touch screen driven remote control panel for BOP control unit
CN202196510U (zh) 具有可缩放的可调范围的变送器输出
KR100860613B1 (ko)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JP5580137B2 (ja) 自動弁装置
KR102121308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제어 시스템
JP2017091258A (ja) フィールド機器、フィールド機器システム、および診断方法
JP2017141771A (ja) 給水装置、及び、給水装置の制御方法
KR101065629B1 (ko)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제어 방법
KR101056063B1 (ko) 스포트를 이용한 수처리장 펌프실 감시제어 시스템
JP2005171788A (ja) ポンプ装置及びポンプ装置用携帯端末
JPH1046631A (ja) 移動作業機械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6282120B2 (ja) 自動弁装置点検システム
JP2018053887A (ja) 給水装置
JP6985865B2 (ja) 給水装置、および給水装置の試験運転方法
JP6845648B2 (ja) 給水装置
KR100984147B1 (ko) 계측(계장 및 원격) 제어 시스템
JP6282118B2 (ja) 自動弁装置点検システム
KR102155564B1 (ko) 에너지절약형 다수공장 에어콤프레서 원격 제어장치
JP2015130928A (ja) 自動弁装置点検システム
JP7007898B2 (ja) 消火栓装置
KR101206330B1 (ko) 자율형 포지셔너 및 이를 이용한 자기 동조형 스마트 밸브 제어시스템
JP6639339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6189756B2 (ja) 自動弁装置点検システム
JP2018119512A (ja) 給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