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613B1 -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613B1
KR100860613B1 KR1020080015941A KR20080015941A KR100860613B1 KR 100860613 B1 KR100860613 B1 KR 100860613B1 KR 1020080015941 A KR1020080015941 A KR 1020080015941A KR 20080015941 A KR20080015941 A KR 20080015941A KR 100860613 B1 KR100860613 B1 KR 100860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troller
reducing valve
pressure
pressure reducing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정호영
안원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080015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2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supply for industr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5Arrangement of devices for control of pressure or flow rat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발명은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관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를 컨트롤하는 구조에 있어서, 관체에 설치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와; 상기 감압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감압밸브를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로 회전하여 작동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연결되어 전동기를 컨트롤 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감압밸브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계와; 상기 감압밸브와 유량계 간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측정센서와; 상기 감압밸브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지고, 감압밸브에서 토출되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측정센서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감압밸브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조작부가 설치된 필드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외부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유,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메인 컨트롤러의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유, 무선으로 전송하는 유, 무선 통신모듈과; 상기 유,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의 신호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유,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여 감압밸브를 구동시켜 압력을 조절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서버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에 관한것이다.
유수율, 컨트롤러, 감압밸브, 원격제어, 다단감압

Description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Supervisory Remote Control System for Rate of Water Supply}
발명은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관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를 컨트롤하는 구조에 있어서, 관체에 설치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와; 상기 감압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감압밸브를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로 회전하여 작동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연결되어 전동기를 컨트롤 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감압밸브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계와; 상기 감압밸브와 유량계 간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측정센서와; 상기 감압밸브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지고, 감압밸브에서 토출되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측정센서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감압밸브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조작부가 설치된 필드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외부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유,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메인 컨트롤러의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유, 무선으로 전송하는 유, 무선 통신모듈과; 상기 유,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의 신호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유,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여 감압밸브를 구동시켜 압력을 조절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서버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방안으로 감압밸브의 사용하여 상수도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는 관내의 압력을 낮추어 누수를 방지하는 방법이 일반화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관체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는 하나의 설정값을 가지며, 설정값을 바꾸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수동 조작을 통해 설정값을 바꾸거나 간단하게 타이머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설정값이 바뀌도록 동작하는 2단 감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이머 장치를 통한 감압밸브의 제어 방법은 갑작스런 사용량 변화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사람이 직접 조절볼트를 돌려 감압밸브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압력을 변경하고자 할때 마다 사람이 직접 설치현장으로 이동하여 조작해야 하므로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관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를 컨트롤하는 구조에 있어서, 관체에 설치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와; 상기 감압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감압밸브를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로 회전하여 작동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연결되어 전동기를 컨트롤 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감압밸브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계와; 상기 감압밸브와 유량계 간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측정센서와; 상기 감압밸브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지고, 감압밸브에서 토출되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측정센서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감압밸브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조작부가 설치된 필드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외부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유,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메인 컨트롤러의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유, 무선으로 전송하는 유, 무선 통신모듈과; 상기 유,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의 신호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유,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여 감압밸브를 구동시켜 압력을 조절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서버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감압밸브에 메인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입력되어진 스케줄에 의해 감압밸브가 자동 조정되어 필요한 시간에 필요한 만큼의 수압을 유지함으로 인하여 유수율 증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관체에 접근하지 않아도 필드 컨트롤러나 휴대용 단말기 또는 원거리의 통제실에서 제어신호로 관체 내부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수도 관로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필요에 따른 혹은 유사시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를 컨트롤하는 구조에 있어서, 관체에 설치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50)와; 상기 감압밸브(50)에 연결되어 상기 감압밸브(50)를 메인 컨트롤러(10)의 제어신호로 회전하여 작동시키는 전동기(30)와; 상기 전동기(30)에 연결되어 전동기(30)를 컨트롤 하는 메인 컨트롤러(10)와; 상기 감압밸브(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계(51)와; 상기 감압밸브(50)와 유량계 간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측정센서(95)와; 상기 감압밸브(5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와 케이블로 연결되어지고, 감압밸브(50)에서 토출되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측정센서(9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감압밸브(50)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조작부가 설치된 필드 컨트롤러(2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와 연결되어 외부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유,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메인 컨트롤러(10)의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유, 무선으로 전송하는 유, 무선 통신모듈(100)과; 상기 유, 무선 통신모듈(100)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10)의 신호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로 유, 무선 통신모듈(100)을 통해 전송하여 감압밸브(50)를 구동시켜 압력을 조절하는 휴대용 단말기(70) 및 서버(8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전동기(30)와 감압밸브(50) 간에는 유성감속기(40)가 설치되어 전동기(30)의 회전을 기어비로 감속시켜 감압밸브(50)가 천천히 구동되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는 설정되어진 시간에 따라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의 동작 신호로 감압밸브(50)가 자동으로 동작되어 관체 내부의 압력이 다단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모듈(100)을 통해 외부의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70)에서 스케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되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 연결되어지는 필드 컨트롤러(20)를 통해 감압밸브를 직접 컨트롤 하는 방법 또는 유, 무선 통신모듈(10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70)와 원거리 서버(80)에서 원격 제어는 방법 중 어느 한가지를 선택하여 제어하거나 동시에 두가지 방법으로 제어를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드 컨트롤러(20)는 사용자가 지닌 휴대용 단말기(70) 또는 노트북등의 휴대용 기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필드 컨트롤러(20)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계(51)의 관체 내부에 발전기(61)가 설치되어 흐르는 물을 통해 발전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60)에 상기 발전기(60)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방전되어지면 상기 전원공급장치(60)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7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70)와, 원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한 서버(8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말기(70)는 사용자가 사용할때 휴대용 단말기(70) 또는 서버(80)중 어느 한가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 또는 모두 사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50)를 관체와 관체 간에 설치하고, 상기 감압밸브(50)의 상측에 전동기(30)를 설치하여 회전력으로 감압밸브(50)를 조종하며, 상기 전동기(30)의 회전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0)가 전동기(30)와 연결되어지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와 연결되어 상기 감압밸브(50)의 양측의 압력을 측정하여 메인 컨트롤러(10)에 전송하는 제1 압력측정센서(95)와 제2 압력측정센서(90)가 감압밸브(50)의 양측에 설치되어지며, 상기 감압밸브(50)의 일측에 감압밸브(50)측으로 유동되어지는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계(51)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감압밸브(50)를 조작할 수 있는 필드 컨트롤러(20)가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와 연결되어지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60)가 메인 컨트롤러(10)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의 현재 정보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단말기(70)나 서버(8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가 단말기(70)나 서버(80)를 통해서 내리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메인 컨트롤러(10)에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모듈(100)이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의 현재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유,무선으로 유,무선 통신모듈(100)에 전송하여 근거리 혹은 원거리에 위치한 감압밸브(50)를 조종하는 단말기(70)와 서버(80)로 이루어진다.
이때, 감압밸브(50)의 제어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70)와 원거리에서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서버(80)로 나누어지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70)와 서버(80)는 유,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여 휴대용 단말기(70)에서 필요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거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8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현재위 치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의 감압밸브(50)를 컨트롤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기(30)와 감압밸브(50) 간에는 전동기(30)의 회전을 기어비로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감압밸브(50)가 천천히 구동되어지도록 하는 유성감속기(40)가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압력감압밸브 조종용 컨트롤 시스템 의 전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컨트롤러 20 : 필드컨트롤러
30 : 전동기 40 : 유성감속기
50 : 감압밸브 60 : 전원공급장치
70 : 휴대용 단말기 80 : 서버
90 : 제2 압력측정센서 95 : 제1 압력측정센서
100 : 유, 무선 통신모듈

Claims (4)

  1. 관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를 컨트롤하는 구조에 있어서,
    관체에 설치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50)와;
    상기 감압밸브(50)에 연결되어 상기 감압밸브(50)를 메인 컨트롤러(10)의 제어신호로 회전하여 작동시키는 전동기(30)와;
    상기 전동기(30)에 연결되어 전동기(30)를 컨트롤 하는 메인 컨트롤러(10)와;
    상기 감압밸브(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계(51)와;
    상기 감압밸브(50)와 유량계 간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측정센서(95)와;
    상기 감압밸브(5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와 케이블로 연결되어지고, 감압밸브(50)에서 토출되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측정센서(9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감압밸브(50)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조작부가 설치된 필드 컨트롤러(2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와 연결되어 외부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유,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메인 컨트롤러(10)의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유, 무선으로 전송하는 유, 무선 통신모듈(100)과;
    상기 유, 무선 통신모듈(100)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10)의 신호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로 유, 무선 통신모듈(100)을 통해 전송하여 감압밸브(50)를 구동시켜 압력을 조절하는 휴대용 단말기(70) 및 서버(8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는 설정되어진 시간에 따라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의 동작 신호로 감압밸브(50)가 자동으로 동작되어 관체 내부의 압력이 다단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모듈(100)을 통해 외부의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70)에서 스케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 연결되어지는 필드 컨트롤러(20)를 통해 감압밸브를 직접 컨트롤 하는 방법 또는 유, 무선 통신모듈(10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70)와 원거리 서버(80)에서 원격 제어는 방법 중 어느 한가지를 선택하여 제어하거나 동시에 두가지 방법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51)의 관체 내부에 발전기(61)가 설치되어 흐르는 물을 통해 발전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60)에 상기 발전기(60)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방전되어지면 상기 전원공급장치(60)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KR1020080015941A 2008-02-21 2008-02-21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KR100860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941A KR100860613B1 (ko) 2008-02-21 2008-02-21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941A KR100860613B1 (ko) 2008-02-21 2008-02-21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613B1 true KR100860613B1 (ko) 2008-09-29

Family

ID=4002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941A KR100860613B1 (ko) 2008-02-21 2008-02-21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61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995B1 (ko) * 2009-10-08 2010-07-23 김태곤 상수도 블럭별 자동감압 관리장치
KR101126146B1 (ko) * 2011-09-28 2012-03-22 주식회사 문아이앤시 수처리설비 원방 감시제어 시스템의 감압밸브 구동장치
KR101195231B1 (ko) 2010-10-21 2012-10-29 한국수자원공사 이동식 감압밸브 성능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시스템
KR101341600B1 (ko) * 2013-04-19 2013-12-13 김진택 유량검출기능을 내장한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65775B1 (ko) * 2014-05-29 2014-12-01 삼오전기주식회사 상하수도 관로의 원격제어 감시시스템
KR101534321B1 (ko) * 2014-05-30 2015-07-06 인프리콘주식회사 모바일 환경으로 확장 가능한 통합형 원방감시 제어시스템
CN105178392A (zh) * 2015-09-10 2015-12-23 重庆和航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公司 消防给水系统管道关闭或堵塞监控方法及系统
KR101853325B1 (ko) * 2016-04-01 2018-05-10 주식회사 코젠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제어 밸브 시스템
CN108411981A (zh) * 2018-04-24 2018-08-17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供水系统中可视化管路自动报警与控制系统
KR102104210B1 (ko) 2019-10-17 2020-04-23 장현실 상수도관의 운영관리 및 제어시스템
CN112922091A (zh) * 2021-01-25 2021-06-08 沪航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流量监测功能的消防栓
KR20230001762U (ko) 2023-07-25 2023-09-05 고기창 태양전지와 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밸브 자동 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69A (ko) * 1999-10-08 2000-01-15 김홍겸 통합 원격 유량 및 수위 감시 제어 장치
JP2002340632A (ja) * 2001-05-15 2002-11-27 Tlv Co Ltd 流量計
KR20050026445A (ko) * 2005-02-14 2005-03-15 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상수도 자동 압력 및 현장 음 전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69A (ko) * 1999-10-08 2000-01-15 김홍겸 통합 원격 유량 및 수위 감시 제어 장치
JP2002340632A (ja) * 2001-05-15 2002-11-27 Tlv Co Ltd 流量計
KR20050026445A (ko) * 2005-02-14 2005-03-15 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상수도 자동 압력 및 현장 음 전송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995B1 (ko) * 2009-10-08 2010-07-23 김태곤 상수도 블럭별 자동감압 관리장치
KR101195231B1 (ko) 2010-10-21 2012-10-29 한국수자원공사 이동식 감압밸브 성능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시스템
KR101126146B1 (ko) * 2011-09-28 2012-03-22 주식회사 문아이앤시 수처리설비 원방 감시제어 시스템의 감압밸브 구동장치
KR101341600B1 (ko) * 2013-04-19 2013-12-13 김진택 유량검출기능을 내장한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65775B1 (ko) * 2014-05-29 2014-12-01 삼오전기주식회사 상하수도 관로의 원격제어 감시시스템
KR101534321B1 (ko) * 2014-05-30 2015-07-06 인프리콘주식회사 모바일 환경으로 확장 가능한 통합형 원방감시 제어시스템
CN105178392A (zh) * 2015-09-10 2015-12-23 重庆和航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公司 消防给水系统管道关闭或堵塞监控方法及系统
KR101853325B1 (ko) * 2016-04-01 2018-05-10 주식회사 코젠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제어 밸브 시스템
CN108411981A (zh) * 2018-04-24 2018-08-17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供水系统中可视化管路自动报警与控制系统
KR102104210B1 (ko) 2019-10-17 2020-04-23 장현실 상수도관의 운영관리 및 제어시스템
CN112922091A (zh) * 2021-01-25 2021-06-08 沪航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流量监测功能的消防栓
KR20230001762U (ko) 2023-07-25 2023-09-05 고기창 태양전지와 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밸브 자동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613B1 (ko) 상수도 관로의 유수율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JP4824435B2 (ja) 地下水位低下工法
US10962133B2 (en) Universal automated regulator valve with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CN107656499A (zh) 一种远程自动供灰控制系统
JP5563975B2 (ja) 流体調整のための制御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EP1982149B1 (en) Manual powered process transmitter
TW200745804A (en) Pressure regulation in remote zones
CN107780885B (zh) 一种智能开关井的方法和装置
CN101825189A (zh) 一种电子恒温水龙头装置
CN202171052U (zh) 用于阀门电动执行器的智能控制器
KR102074198B1 (ko) 전력변환 무선 제어 기술을 적용한 배관용 동파방지 열선 장치
KR101041999B1 (ko) 난방 및 온수용 보일러의 무선온도제어장치
JPH11287818A (ja) 水力発電式無線水センサー
KR101534321B1 (ko) 모바일 환경으로 확장 가능한 통합형 원방감시 제어시스템
US20080288129A1 (en) Vehicle Control System
CN206017941U (zh) 一种智慧型压差调节阀
CN110678612A (zh) 用于淋浴节水的自动化设备
CN203066168U (zh) 一种用于燃气热水器测试的数控供水装置
CN206595754U (zh) 远程流量控制系统
KR101206330B1 (ko) 자율형 포지셔너 및 이를 이용한 자기 동조형 스마트 밸브 제어시스템
CN207281618U (zh) 可自发电的水流恒温电控装置
CN207780618U (zh) 一种减压阀压力智能调节装置
KR101065629B1 (ko) 소방용 급수 배관의 수압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제어 방법
JP4697452B2 (ja) 広域分散用水分配管理システム
KR100513150B1 (ko) 무선 송수신 난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