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542B1 - 보수 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수 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542B1
KR101064542B1 KR1020110027834A KR20110027834A KR101064542B1 KR 101064542 B1 KR101064542 B1 KR 101064542B1 KR 1020110027834 A KR1020110027834 A KR 1020110027834A KR 20110027834 A KR20110027834 A KR 20110027834A KR 101064542 B1 KR101064542 B1 KR 10106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ater
inverting
sewage pipe
i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현
은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봉화라이너
봉화토건 합자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봉화라이너, 봉화토건 합자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봉화라이너
Priority to KR102011002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being turned inside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48Preparation of th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48Preparation of the surfaces
    • B29C2063/483Preparation of the surfaces by applying a liquid
    • B29C2063/485Preparation of the surfaces by applying a liquid the liquid being an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Abstract

본 발명은 반전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수 상하수관의 반전작업공간을 굴삭기로 굴착하여 확보한 후 반전기를 권양기로 인양하여 반전작업공간에 직접 안착하여 반전튜브의 반전시 반전튜브의 노출구간을 현저히 단축함으로써 증기압을 종래의 3배 차이가 나는 0.8kg/cm2 이상을 가압하게 되어 전체적인 반전작업의 속도를 제고시키게 되고 반전튜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손실이 없게 되고 반전작업 전에 접착용 프라이머 도포장치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게 되어 반전튜브가 상하수관에 접착되는 접착력을 높이게 됨으로써 반전작업의 전체적 작업량 및 작업환경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보수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수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및 방법{The Reversing Device And Method For Reversing Tube Of The Water Pipe Approach}
본 발명은 상하수관 보수 공사시에 굴착기를 이용하여 보수관 양끝 지점에 반전기가 수용될 정도로 굴착하여 반전작업공간을 확보한 후 권양기를 이용하여 반전기를 반전작업공간에 인양하여 안착한 후 상하수관 직경과 일치하게 되는 보수관경구를 반전기 입구에 볼팅으로 체결한 후 상기 보수관경구의 걸림구에 새들의 걸착홈을 걸착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새들의 다른 일측은 상하수관에 끼워진 막이부재의 걸림구에 새들의 걸착홈이 걸착된 상태로 새들을 볼팅으로 체결하게 한 후 증기열풍을 가하여 반전튜브가 반전기를 통하여 상하수관 내로 반전될 시 0.8kg/cm2 이상의 압력으로 반전이 되고 상기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새들에 안착결합된 기밀용패킹이 구성되고 상기 압력에 기밀용패킹이 견딜 수 있는 이유는 반전튜브의 반전거리를 현저히 단축하였기 때문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반전튜브의 반전거리를 단축하므로 기존 압력의 3배 이상의 증기압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전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게 되고 프라이머 도포를 반전 사전에 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반전튜브의 상하수관 접착력이 제고되며 전체적인 작업량과 반전 작업의 까다로움을 수월히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한 보수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보수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출원인이 선출원한 등록된 등록특허 10-0589854에서와 같이, 비굴착식 보수공사에서 튜브를 상하수배관에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수단으로서 노후된 하수배관은 지면을 굴착하여 하수배관을 교체하는 방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현재는 하수배관을 굴착하지 않고 보수하는 방법이 주였기 때문에 상기 하수배관(2)에 튜브(1)를 삽입하기 위해선 반드시 맨홀(3)을 통과해야 하나 상기 하수배관(2)에 연결된 맨홀(3)은 통로가 직각으로 절곡된 바, 상기 튜브(1)는 상기 하수배관(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맨홀(3)의 턱(3a)과, 하수배관 (2)의 입구(2a)에 걸리게 된다. 상기 튜브(1)가 상기 턱(3a)과 입구(2a)에 걸리게 되면 튜브(1)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튜브(1)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도 한쪽으로 몰리게 되어 추후에 열에 의해 경화된다 하더라도 굴곡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안출된 것으로, 액체상태의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튜브를 보다 안전하게 맨홀을 통해 하수배관에 삽입할 수 있는 튜브삽입기구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반전작업시 외부에서 반전을 하게 되는 한계에서 자유로워질 수가 없게 되고 이로써 반전구간이 길어 외부 위험에 노출되고 반전작업에 있어서도 크게 개선되는 효과는 기대하기가 어려운게 사실이다.
또한, 상기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10-0870169에서와 같이, 튜브 라이너의 반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260081호에는 유도튜브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증기열의 손실을 줄여 증기 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 하고, 반전튜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하수도관 및 산업용 배관 보수용으로 차량에 탑재된 공기압 분리형 반전장치가 제시되 바 있지만 비교적 구조가 크고 복잡하여서 제작비용이 많이 들었었고, 협소한 장소에서의 시공이 매우 곤란하였고, 튜브, 압축공기 및 증기의 낭비(손실)도 많은 문제점이 있어 반전될 튜브 라이너의 직경에 맞게 반전부를 교체함으로써 튜브 라이너의 직경에 관계 없이 반전 가능하고, 롤러에 감겨진 롤 형태 및 파렛트에 지그재그로 포개어진 적층 형태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는 튜브 라이너의 반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하였지만 반전작업이 외부 밖에서부터 이뤄진다는 한계에서는 자유롭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튜브의 적층 형태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는 기술적 구성만을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도록 선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전작업을 상하수관 보수 공간에서 직접할 수 있도록 반전기 자체를 반전작업공간에 수용하여 튜브가 노출되는 반전구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전체적 반전작업을 수월히 진행하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수관 보수 공사시에 굴착기를 이용하여 보수관 구간의 양단 지점에 반전기가 수용될 정도로 굴착하여 반전작업공간확보와, 권양기를 이용하여 반전기를 반전작업공간에 인양하여 안착하는 것과, 상하수관 직경과 일치하게 되는 보수관경구를 반전기 입구에 볼팅으로 체결하는 것과, 상기 보수관경구의 걸림구에 새들의 걸착홈을 걸착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과, 새들의 다른 일측은 상하수관에 끼워진 막이부재의 걸림구에 새들의 걸착홈이 걸착되도록 하는 것과, 새들을 볼팅으로 체결하게 한 후 증기열풍을 가하여 반전튜브가 반전기를 통하여 상하수관 내로 반전하고 열경화시 0.8kg/cm2 이상의 압력으로 반전 및 경화가 되도록 하고 상기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새들에 안착결합된 기밀용패킹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압력에 기밀용패킹이 견딜 수 있는 이유로 반전튜브의 반전노출거리를 현저히 단축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반전튜브의 반전시 반전노출거리를 단축하므로 기존 압력의 3배 이상의 증기압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전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게 되고 프라이머 도포를 반전 사전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이로써 반전튜브의 상하수관 접착력이 제고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작업량과 반전 작업의 까다로움을 수월히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반전기를 상하수관 보수구간의 양끝 지점에 확보된 반전작업공간에 반전기 자체를 권양기로 인양하여 안착시킨 상태에서 반전을 이루도록 하여 반전노출구간을 현저히 단축시킴으로써 반전작업의 전체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하도록 하는데에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반전진행도.
도 4는 본 발명의 반전완료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반전완료 상세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수공사가 필요한 상하수관(19)에 있어서, 굴삭기를 이용하여 반전기(1)가 수용될 정도의 반전작업공간을 굴착한 후 권양기(18)로 반전기(1)를 인양하여 보수작업공간에 수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용된 반전기(1)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기(1) 내부로는 볼베어링(11)을 장착형성되고 상기 볼베어링(11) 중심으로 회동축(10)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10)에 반전튜브(8)를 권취한 권취부재(9)가 삽입수용된다.
상기 반전튜브(8)는 반전기(1) 내에서 권취형이나 지그재그 형의 적층형으로 안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반전튜브(8)를 권취하게 되는 권취부재(9)는 롤러형이지만, 상기 롤러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반전튜브(8)가 적층형으로 안착될 수 있게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10-0870169에서와 같이, 튜브 라이너의 반전 장치 및 방법에 기술된 기술적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반전기(1)는 권취부재(9)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힌지(21)로 개구되는 구성이 되고 또한 압축공기 및 증기열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2a)가 형성된다.
상기 반전기(1)에는 반전튜브(8)가 반전이 되는 입구(2)가 형성되는데 상기 입구(2)에는 보수관경구(3)가 볼팅으로 체결된다.
상기 보수관경구(3)는 상하수관 직경과 일치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다양하여 보수공사시 상하수관 직경과 일치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보수관경구(3)에는 걸림구(4)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4)에는 새들(5)이 체결됨에 있어서 새들(5)의 걸착홈(6)이 걸림구(4)에 결착되는 상태로 새들(5)이 볼팅체결된다.
상기 새들(5)에는 기밀용패킹(7)이 안착결합되어 있어 반전시 증기열의 압력을 0.8kg/cm2 이상의 압력을 견디게 된다.
상기 0.8kg/cm2 이상의 압력을 견디는 이유로는 반전시 반전튜브의 반전노출구간이 현저히 단축되기 때문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새들(5)의 다른 일측은 반전 출발점이 되는 상하수관(19)에 끼워진 채로 상하수관(19)을 막고 있는 연결구(17)와 결착됨에 있어서도 연결구(17)에도 보수관경구(3)의 걸림구(4)와 동일한 걸림구(4)가 형성됨으로써 새들(5)의 다른 일측 걸착홈(6)이 걸림 상태로 체결이 이뤄진다.
상기와 같이 결착구성이 이뤄지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전기(1)로부터 반전튜브(8)가 반전되면서 상하수관(19)으로 반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상하수관(19) 내의 반전튜브(8) 반전 방향 앞으로는 접착용 프라이머 도포장치(5)가 앞서 진행되면서 프라이머 접착제를 상하수관(19)의 내주면에 도포하게 되어 반전튜브(8)의 상하수관(19) 접착력을 제고하게 된다.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튜브(8)의 반전이 종료되는 상하수관(19)에는 증기압에 견딜 수 있도록 상하수관(19)을 차폐하게 되는 막이부재(16)가 구성되고 상기 막이부재(16)에는 증기열배출구(16a)와 응축수배출구(1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막이부재(16)의 맞은편 상하수관(19)에는 단수마개(14)로 차폐하게 되는 상하수관(19)으로서 보강튜브가 반전되는 상하수관(19)이 아닌 단수를 목적으로 보강튜브가 반전되는 상하수관(19)의 인접된 상하수관(19)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차폐한 후 막이부재(16)와 단수마개(14)를 동바리(13)로 볼팅 체결함으로써 증기압을 견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반전기(1)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수 상하수관(19)의 반전작업공간을 굴삭기로 굴착하여 확보한 후 반전기(1)를 권양기(18)로 인양하여 반전작업공간에 직접 안착하여 반전튜브(8)의 반전시 반전구간을 현저히 단축함으로써 증기압을 종래의 3배 차이가 나는 0.8kg/cm2 이상을 가압하게 되어 전체적인 반전작업의 속도를 제고시키게 되고 반전튜브(8)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손실이 없게 되고 반전작업 전에 접착용 프라이머 도포장치(15)로 접착제를 튜브 반전을 위하여 보수가 필요한 상하수관(19)의 내경에 도포할 수 있게 되어 반전튜브(8)가 상하수관(19)에 접착되는 접착력을 높이게 됨으로써 반전작업의 전체적 작업량 및 작업환경을 수월하게 제공함으로 개선이 되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반전기 2 : 입구
2a: 주입구 2b: 걸착고리
3 : 보수관경구 4 : 걸림구
5 : 새들 6 : 걸착홈
7 : 기밀용패킹
8 : 반전튜브 9 : 권취부재
10: 회동축 11: 볼베어링
12: 흙막이 13: 동바리
14 : 단수마개 15: 접착용 프라이머
16 : 막이부재 16a: 증기열배출구
16b: 응축수배출구 17 : 연결구
18 : 권양기 19 : 상하수관
20 : 체결구 21 : 힌지

Claims (5)

  1. 보수가 필요한 상하수관의 튜브 반전을 위한 반전장치에 있어서,
    상하수관 보수 구간의 양끝지점을 굴착기로 굴착하여 반전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반전작업환경을 형성토록 한 것과; 상기 반전작업환경에 반전기를 인양하여 안착시키게 되는 권양기와; 상기 권양기로부터 인양되어 반전작업환경에 안착되는 반전기와; 상기 반전기 입구에 볼팅으로 체결되어 보수 상하수관 직경 크기에 따라 일치 조절이 되는 보수관경구와; 상기 보수관경구에 볼팅으로 체결장착되는 새들과; 상기 새들의 다른 일측과 반전의 출발점인 상하수관과 연결하게 되는 연결구와; 상기 상하수관으로 반전되는 반전튜브의 종료지점에서 증기압에 견딜 수 있게 막이부재와 튜브 반전이 종료되는 상하수관에서 인접된 상하수관의 단수를 위하여 차폐하게 되는 단수마개 사이에 결착연결되는 동바리와; 반전진행시에 반전튜브에 앞서 접착제를 튜브 반전을 위하여 보수가 필요한 상하수관의 내경에 도포하게 되는 접착용 프라이머 도포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새들과 보수관경구와 연결구는 걸림구와 걸착홈이 서로 결착되도록 하여 결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새들에는 증기압에 견딜 수 있게 기밀용패킹이 결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4. 상하수관 보수 구간의 양끝지점을 굴착기로 굴착하여 반전작업환경을 형성토록 하는 단계와; 반전기를 권양기로 인양하여 상기 반전작업환경에 안착시키게 되는 단계와; 상기 안착된 반전기의 입구와 상하수관을 보수관경구, 새들, 연결구로 결착구성하여 반전구간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반전 직전에 접착용 프라이머도포장치로 접착제를 튜브반전을 위한 보수가 필요한 상하수관 내경에 도포하는 단계와; 반전튜브가 상하수관 내경에서 반전되는 단계와; 반전튜브의 반전종료시 증기압의 압력에 상하수관 단부가 차폐되어 지탱될 수 있도록 막이부재와 튜브 반전이 종료되는 상하수관에서 인접된 상하수관의 단수를 위하여 차폐하게 되는 단수마개를 동바리로 연결하게 되는 상하수관의 차폐연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반전튜브가 반전되는 단계에서는
    반전튜브의 열경화 진행시 0.8kg/cm2 이상의 증기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방법.
KR1020110027834A 2011-03-28 2011-03-28 보수 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및 방법 KR10106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834A KR101064542B1 (ko) 2011-03-28 2011-03-28 보수 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834A KR101064542B1 (ko) 2011-03-28 2011-03-28 보수 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542B1 true KR101064542B1 (ko) 2011-09-14

Family

ID=4495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834A KR101064542B1 (ko) 2011-03-28 2011-03-28 보수 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5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4729A (ja) * 1987-12-11 1989-06-16 Osaka Bosui Constr Co Ltd 管内面の硬質チューブライニング工法
JPH0596621A (ja) * 1992-02-24 1993-04-20 Ashimori Ind Co Ltd 管路の内張り方法
KR20060046295A (ko) * 2004-10-29 2006-05-17 유겐가이샤 요코시마 관 라이닝재의 밀폐용기 및 그 관 라이닝재의 반전방법
KR20070098221A (ko) * 2006-03-31 2007-10-05 주식회사 나스텍엔지니어링 상수도용 수지 도포 튜브 라이닝 비굴착 갱생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4729A (ja) * 1987-12-11 1989-06-16 Osaka Bosui Constr Co Ltd 管内面の硬質チューブライニング工法
JPH0596621A (ja) * 1992-02-24 1993-04-20 Ashimori Ind Co Ltd 管路の内張り方法
KR20060046295A (ko) * 2004-10-29 2006-05-17 유겐가이샤 요코시마 관 라이닝재의 밀폐용기 및 그 관 라이닝재의 반전방법
KR20070098221A (ko) * 2006-03-31 2007-10-05 주식회사 나스텍엔지니어링 상수도용 수지 도포 튜브 라이닝 비굴착 갱생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1155B (zh) 一种盾构机同步注浆管路系统及具有该系统的盾构机
CN112780496A (zh) 塔筒、塔筒的自提升方法和自提升设备
CN102345465A (zh) 盾构到达箍紧密封装置
KR101064542B1 (ko) 보수 상하수관 근접부에서의 튜브반전을 위한 반전장치 및 방법
JP5474550B2 (ja) 現場硬化ライナーを反転させるための再利用可能な反転スリーブアセンブリ
KR101316027B1 (ko) 비굴착공법용 보수튜브의 견인장치
CN104534205A (zh) 一种柔性承插接口铸铁排水管用防脱卡箍
CN112555522A (zh) 一种钢承口复合钢筋混凝土内衬玻璃钢排水管及制备方法
CN104176621B (zh) 建筑模块的快速起吊系统
CN203866853U (zh) 用于海上风电的桩与套筒灌浆连接结构
CN201786039U (zh) 海洋钢质平台水下灌浆加固装置
CN204437536U (zh) 一种柔性承插接口铸铁排水管用防脱卡箍
KR100760292B1 (ko) 하수관로 비굴착 지수 및 보강공법
CN111764420A (zh) 一种深基坑自防水穿底板钢管降水管井封堵施工方法
CN209873807U (zh) 一种深基坑工程地下承插混凝土管的悬吊结构
KR20090104989A (ko) 상하수도 관로 비굴착 장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상하수도 관로 보수공법
CN201196300Y (zh) 预制圆柱形钢筋骨架混凝土管廊
CN210887253U (zh) 一种用于取水隧道进水口的水下预应力钢围堰装置
CN107152026B (zh) 一种钢管桩用的压浆管架及其布设方法
JP4545042B2 (ja) 既設管の更生方法
CN219058303U (zh) 快速吊运承插式柔性接头钢承口排水管的夹具
CN215292524U (zh) 便于管口快速安装和重复利用的注浆管
CN216379764U (zh) 一种供水管道安装就位滑动支架
CN220366118U (zh) 一种非开挖排水管道注浆修复装置
CN213805525U (zh) 一种地下连续墙断墙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