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148B1 - 석재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석재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148B1
KR101064148B1 KR1020100098844A KR20100098844A KR101064148B1 KR 101064148 B1 KR101064148 B1 KR 101064148B1 KR 1020100098844 A KR1020100098844 A KR 1020100098844A KR 20100098844 A KR20100098844 A KR 20100098844A KR 101064148 B1 KR101064148 B1 KR 101064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plate
air
stone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철
Original Assignee
세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진산업 (주) filed Critical 세진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00098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 B28D1/2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without cutting edge, e.g. chise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3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to form contours, i.e. curved surfaces, irrespective of the method of working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에 의해 상하진동하여 석재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복수의 다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다듬가공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석재의 상부면을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반을 따라 회전하면서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가 석재의 상부면을 가공하는 과정 중에 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와 각각 연결된 공기주입호스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석재가공장치{PROCESSING DEVICE OF STONE}
본 발명은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에 의해 상하진동하여 석재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복수의 다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다듬가공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석재의 상부면을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반을 따라 회전하면서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가 석재의 상부면을 가공하는 과정 중에 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와 각각 연결된 공기주입호스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석재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또는 토목자재로 사용되는 석재는 화강암, 안산암, 감람석, 웅회암 등 여러 종류의 자연석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후, 이를 패널, 경계석, 블록, 조경용 블록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는데, 이렇게 다양하게 사용되는 석재는 원석을 각 사용처에 사용가능한 크기로 절단한 후, 외부로 노출된 표면을 연마디스크를 이용하여 연마 가공함으로써,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작업을 통해 표면으로 조면(粗面 : 물건의 거친면)을 가지도록 조면화하여, 각종 건축물의 인테리어 내장재나 바닥재 등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자는 정다듬가공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석재의 상부면을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는 석재가공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에 의해 상하진동하여 석재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복수의 다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다듬가공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석재의 상부면을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반을 따라 회전하면서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가 석재의 상부면을 가공하는 과정 중에 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와 각각 연결된 공기주입호스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석재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판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관통구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설치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반과; 상기 회전반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타측에 공기주입호스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는 헤드부재와, 상기 헤드부재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재의 공기주입구와 연통되는 일측 공기유입구 및 타측 공기유입구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내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와 타측 공기유입구를 개폐하고 하부면 일측에 일측에서 하부면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일측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면 타측에 타측에서 하부면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타측 경사면이 형성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반의 설치공내에 설치되고, 일측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타측 공기유입구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공급공이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 타측 공기유입구, 공기배출구 및 공기공급공를 각각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하단부가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 하측에 상단부가 수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몸체의 하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의해 상하진동하여 석재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타격부재로 구성되는 복수의 다듬부재와; 상기 회전반에 구비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측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통해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측 공기유입부재와, 상기 상측 공기유입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부의 하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봉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입호스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공기배출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측 공기유입부재로 구성되어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와 연결된 상기 공기주입호스의 꼬임을 방지하는 로터리 조인트;로 이루어지는 정다듬가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또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석재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정다듬가공부와; 상기 정다듬가공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정다듬가공부를 통해 가공하고자 하는 석재를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다듬가공부는 바닥판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관통구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설치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반과; 상기 회전반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타측에 공기주입호스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는 헤드부재와, 상기 헤드부재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재의 공기주입구와 연통되는 일측 공기유입구 및 타측 공기유입구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내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와 타측 공기유입구를 개폐하고 하부면 일측에 일측에서 하부면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일측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면 타측에 타측에서 하부면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타측 경사면이 형성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반의 설치공내에 설치되고, 일측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 내부에 상기 타측 공기유입구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공급공이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 타측 공기유입구, 공기배출구 및 공기공급공를 각각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하단부가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 하측에 상단부가 수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몸체의 하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의해 상하진동하여 석재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타격부재로 구성되는 복수의 다듬부재와; 상기 회전반에 구비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측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통해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측 공기유입부재와, 상기 상측 공기유입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부의 하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봉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입호스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공기배출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측 공기유입부재로 구성되어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와 연결된 상기 공기주입호스의 꼬임을 방지하는 로터리 조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에 2개 이상의 상기 정다듬가공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다듬가공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정다듬가공부의 몸체의 바닥판의 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부면에 안착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정다듬가공부의 몸체의 바닥판의 관통구 하측 내주연에 상기 관통구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안착판이 형성되고, 상기 정다듬가공부의 몸체의 바닥판의 관통구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의 안착홈에 하부면 테두리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의 관통구와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고정판이 구비되며, 상기 정다듬가공부의 회전반의 외주연에 상기 안착판에 안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정다듬가공부의 구동부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와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반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수용부재의 하측 내부에는 단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측이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의 삽입홈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타격부재의 상측은 단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내에 삽입되며, 상기 타격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단부가 상기 하부몸체의 하측 외주연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하회전이동하고, 하단부 내측에 상기 타격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단부 일측이 개방되는 지지대와; 상기 타격부재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과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 사이에 상기 타격부재를 감싼 상태로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정다듬가공부의 회전반의 설치공에 상기 설치공과 연통되고, 상기 다듬부재의 공기배출구와 대향되는 공기배출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재의 하부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각각 수평판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은 상기 헤드부재의 하부 전측 외주연 및 하부 후측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각각 수평연장되는 상부 수평판과;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 전측 외주연 및 상부 후측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각각 수평연장되는 하부 수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상기 하부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부 수평판과 하부 수평판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정다듬가공부의 회전반에 상기 설치공과 연통되고 상기 가이드봉을 내부에 수용하는 고정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수평판의 상부면과 상기 회전반의 하부면 사이 및 상기 상부 수평판의 하부면과 상기 회전반의 상부면 사이에 환형의 링부가 각각 구비되고, 환형의 상기 링부는 상기 하부 수평판의 상부면과 상기 회전반의 하부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몸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환형의 하부 링부와; 상기 상부 수평판의 하부면과 상기 회전반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환형의 상부 링부;로 구성되고, 환형의 상기 상부링부의 하부면과 상기 회전반의 상부면 사이에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를 감싼 상태로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 하측에 상단부가 수용되는 상측 타격부재와; 상기 상측 타격부재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부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타격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측 타격부재와; 상기 하측 타격부재의 나사공의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측 타격부재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에 상기 다듬부재내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상하이동부재 내부에 형성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제 1공기배출구와; 상기 상측 타격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제 2공기배출구와;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하측 타격부재의 일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제 3공기배출구와;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하부 타측에서 상기 하측 타격부재의 타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제 4공기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의해 상하진동하는 상기 타격부재를 시계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회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수용부재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 일측 상부와 내부 타측 상부에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기어의 기어치와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기어치 사이마다 형성되는 홈내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와; 상기 회전방지부재와 상기 기어치가 면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상기 기어치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하측 외주연에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반시계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하측이 개방된 경사홈과, 하측이 개방된 수직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기어의 내주연에 상기 경사홈내에 수용되는 상측돌기가 상기 회전기어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의 내주연에 상기 수직홈내에 수용되는 하측돌기가 상기 수용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에 의해 상하진동하여 석재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복수의 다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다듬가공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석재의 상부면을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반을 따라 회전하면서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가 석재의 상부면을 가공하는 과정 중에 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와 각각 연결된 공기주입호스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부에 의해 프레임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이송되는 석재의 상부면을 상기 정다듬가공부가 좌우이동부에 의해 좌우이동하면서 가공하기 때문에 석재의 상부면 전체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2개 이상의 상기 정다듬가공부가 구비됨에 따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석재의 상부면 전체를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높이조절부를 통해 석재의 상하두께에 따라 상기 정다듬가공부의 상하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정다듬가공부의 구동부가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와 축결합되고 회전반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와 함께 상기 회전반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다듬부재의 석재가공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회전반의 훼손시 몸체에서 상기 회전반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타격부재를 석재의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이격시킨 상태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로 인해 상기 정다듬가공부의 타격부재를 통한 석재의 가공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타격부재의 수명이 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격부재의 교체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반의 설치공에 상기 설치공과 연통되고 상기 다듬부재의 공기배출구와 대향되는 공기배출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다듬부재의 내부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홈을 지나 상기 회전반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몸체의 하부에 하부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의 가이드봉이 상기 회전반에 형성되는 고정홈의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반의 설치공내에서 상기 다듬부재가 회전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환형의 상부링부의 하부면과 상기 회전반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로 인해 상기 다듬부재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중에 상기 다듬부재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보다 용이하게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측 타격부재, 하측 타격부재 및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타격부재를 통해 석재의 상부면 전체를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타격부재에 상기 다듬부재내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다듬부재내로 유입된 공기가 보다 더욱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의해 상하진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타격부재가 회전하면서 석재의 상부면을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석재가공효율이 보다 더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석재가공장치의 정다듬가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회전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다듬부재의 단면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 - B선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4는 본 발명인 석재가공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 정다듬가공부, 좌우이동부 및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 C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고,
도 10은 프레임에 2개 이상의 정다듬가공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다듬부재의 단면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회전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회전부재의 평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석재가공장치의 정다듬가공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회전반(32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가공장치는 정다듬가공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다듬가공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310), 회전반(320), 구동부(330), 복수의 다듬부재(340), 지지봉(350) 및 로터리 조인트(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몸체(310)의 상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몸체(310)는 바닥판(311), 일측판(315), 타측판(316), 전측판(317) 및 후측판(31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11)의 중심부에는 관통구(312)가 형성된다.
상기 일측판(315)은 상기 바닥판(311)의 일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316)은 상기 바닥판(311)의 타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317)은 상기 바닥판(311)의 전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318)은 상기 바닥판(311)의 후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반(320)은 상기 몸체(310)의 관통구(312)내에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반(320) 중심부 주변에는 복수의 설치공(322)이 상기 회전반(32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몸체(310)내에 구비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반(320)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다듬부재(340)의 단면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 - B선에 따른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340)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헤드부재(341), 판부재(342), 개폐부재(343), 상부몸체(344), 상하이동부재(345), 수용부재(346), 하부몸체(347) 및 타격부재(348)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재(341)의 타측에는 공기주입호스(341b)의 일단부와 기밀하게 연결되는 공기주입구(341a)가 형성된다.
상기 판부재(342)의 상부에는 상기 헤드부재(341)가 결합된다.
상기 판부재(342)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헤드부재(341)의 의 공기주입구(341a)와 연통되는 일측 공기유입구(342a) 및 타측 공기유입구(34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342)는 상측 판부재(342c)와 하측 판부재(342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판부재(342c)의 상부에 상기 헤드부재(34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판부재(342d)는 상기 상측 판부재(342c)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는 일측 상부공기유입구(342a1)와, 일측 하부공기유입구(342a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상부공기유입구(342a1)는 상기 상측 판부재(342c)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하부공기유입구(342a2)는 상기 하부 판부재(342d)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공기유입구(342b)는 타측 상부공기유입구(342b1)와, 타측 하부공기유입구(342b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상부공기유입구(342b1)는 상기 상측 판부재(342c)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하부공기유입구(342b2)는 상기 하측 판부재(342d)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43)는 상기 판부재(342)의 내부 중심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43)는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의 일측 하부공기유입구(342a2)의 상측과 상기 타측 공기유입구(342b)의 타측 하부공기유입구(342b2)의 상측을 개폐하게 되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343)의 하부면 일측과 하부면 타측에는 각각 일측 경사면(343a)과 타측 경사면(343b)이 형성된다.
상기 일측 경사면(343a)은 상기 개폐부재(343)의 일측에서 상기 개폐부재(343)의 하부면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다.
상기 타측 경사면(343b)은 상기 개폐부재(343)의 타측에서 상기 개폐부재(343)의 하부면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다.
상기 상부몸체(344)는 상기 판부재(32)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반(320)의 설치공(322)내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몸체(344)의 일측 중심부에는 공기배출구(344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344)의 타측에는 상기 타측 공기유입구(342b)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공급공(344b)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공(344b)은 상기 상부몸체(344)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45)는 상기 상부몸체(344)의 내부에 수직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의 하단부는 상기 상부몸체(344)의 하측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45)는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 타측 공기유입구(342b), 공기배출구(344a) 및 공기공급공(344b)를 각각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상하이동한다.
상기 수용부재(346)의 내부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의 하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하부몸체(347)는 상기 수용부재(346)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344)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타격부재(348)의 상단부는 상기 수용부재(346)의 내부 하측에 수용된다.
상기 타격부재(348)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몸체(347)의 하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에 의해 상하진동하여 석재(도 4 내지 도 6의 5)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봉(350)은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반(320)의 중심부에 수직구비된다.
상기 회전반(320)의 중심부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32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공(3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350)은 리드스크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드스크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지지봉(350)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봉(350)의 하단부에 작업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회전반(320)의 중심부 상하부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는 너트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351)에 의해 상기 회전반(320)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터리 조인트(36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 공기유입부재(361)와 하측 공기유입부재(363)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 공기유입부재(361)는 상기 지지봉(350)의 상측 상부방향에 구비된다.
상기 상측 공기유입부재(361)의 일측에는 공기유입구(36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361a)는 공급호스(361b)를 통해 컴프레셔 등을 포함한 고압공기공급부(미도시)와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361a)를 통해 상기 고압공기공급부(미도시)부터 상기 상측 공기유입부재(36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하측 공기유입부재(363)는 상기 상측 공기유입부재(361)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부(361)의 하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봉(350)의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하측 공기유입부재(363)의 하측면에는 상기 공기주입호스(341b)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공기배출구(363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30)에 의해 상기 회전반(320)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상측 공기유입부재(361)를 제외한 상기 하측 공기유입부재(363)와 지지봉(350)은 상기 회전반(320)을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측 공기유입부재(363)가 상기 회전반(320)을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반(320)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으로 회전하는 과정 중에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340)와 연결된 상태인 상기 공기주입호스(341b)가 꼬이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343)가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의 일측 하부공기유입구(342a2)의 상측과 상기 타측 공기유입구(342b)의 타측 하부공기유입구(342b2)의 상측을 개폐하는 사항과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하이동에 관한 사항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343)의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일측 경사면(343a)으로 인해 상기 개폐부재(343)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일측 하부공기유입구(342a2)의 상측 사이에 일측 틈새(342a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343)의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타측 경사면(343b)으로 인해 상기 개폐부재(343)의 하부면 타측과 상기 타측 하부공기유입구(342b2)의 상측 사이에 타측 틈새((342b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호스(341b)를 통해 상기 헤드부재(341)내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는 상기 일측 틈새(342a3)와 상기 타측 틈새((342b3)를 통해 각각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내와 상기 타측 공기유입구(342b)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내로 유입되어 상기 상부몸체(344)내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재(345)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345)를 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타측 공기유입구(342b)내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344)의 공기공급공(344b)을 통해 상기 상부몸체(344)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상부몸체(344)의 공기배출구(344a)를 통해 상기 상부몸체(344)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45)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344)의 공기배출구(344a)보다 낮은 높이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내로 유입되어 상기 상부몸체(344)내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구(344a)를 통해 상기 상부몸체(344)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개폐부재(343)의 일측 경사면(343a)은 상기 일측 하부공기유입구(342a2)의 상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일측 하부공기유입구(342a2)의 상측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일측 하부공기유입구(342a2)의 상측이 폐쇄되면, 상기 공기공급공(344b)을 통해 상기 상부몸체(344)의 내부로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하강상태였던 상기 상하이동부재(345)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되고,
이때, 상기 상하이동부재(345)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344)의 공기배출구(344a)보다 높은 높이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공기공급공(344b)을 통해 상기 상부몸체(344)의 내부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구(344a)를 통해 상기 상부몸체(344)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344)의 공기배출구(344a)보다 높은 높이로 상승한 상기 상하이동부재(345)는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내로 유입되어 상기 상부몸체(344)내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에 의해 다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45)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하이동하면서 상기 타격부재(348)의 상측을 타격하여 상기 타격부재(348)를 상하진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에 의해 상하진동하여 석재(5)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정다듬가공부(30)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석재(5)의 상부면을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반(320)을 따라 회전하면서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340)가 석재(5)의 상부면을 가공하는 과정 중에 상기 로터리 조인트(360)에 의해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340)와 각각 연결된 상기 공기주입호스(341b)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도 4는 본 발명인 석재가공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10), 정다듬가공부(30), 좌우이동부(50) 및 이송부(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석재가공장치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정다듬가공부(30), 좌우이동부(50) 및 이송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일측 지지프레임(110), 타측 지지프레임(130) 및 상측 지지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지지프레임(110)과 타측 지지프레임(130)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150)은 상기 일측 지지프레임(110)의 상단부와 타측 지지프레임(130)의 상부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다듬가공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지지프레임(110)과 타측 지지프레임(130)의 상부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구비될 수 있는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150)의 전방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석재(5)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게 된다.
상기 정다듬가공부(30)는 앞서 상술하였음으로, 이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8의 C - C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이동부(5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정다듬가공부(30)를 좌우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좌우이동부(50)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이동몸체(510), 구동모터(520), 피니언기어(530) 및 렉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몸체(51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측 지지프레임(150)을 감싼 상태로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150)을 따라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몸체(510)의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상측 지지프레임(150)을 수용하는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수용공간(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몸체(510)의 전면에는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몸체(310)의 후측판(318)이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20)는 상기 좌우이동몸체(510)의 후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530)는 상기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의 하단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몸체(510)의 수용공간(511)의 후측 상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렉부(540)는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150)의 후측면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렉부(540)는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150)은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15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렉부(540)는 상기 피니언기어(530)와 치합될 수 있고, 이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렉부(540)와 치합된 상태인 상기 피니언기어(530)는 상기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을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정다듬가공부(3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부(7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지지프레임(110)과 타측 지지프레임(13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70)는 상기 정다듬가공부(30)를 통해 가공하고자 하는 석재를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70)는 일측 지지판(710), 타측 지지판(720), 복수의 공급롤러(730), 복수의 풀리(750) 또는 복수의 스프로켓(미도시), 벨트(770) 또는 체인(미도시) 및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지지판(710)과 타측 지지판(720)은 각각 상기 일측 지지프레임(110)과 타측 지지프레임(13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지지판(710)과 타측 지지판(720)은 상기 일측 지지판(710)의 하부면 전후측과 상기 타측 지지판(720)의 하부면 전후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다리부(711, 721)에 의해 지면의 상측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공급롤러(73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상기 일측 지지판(710)의 상부면과 상기 타측 지지판(720)의 상부면에 각각 베어링고정된 상태로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공급롤러(730)의 상부면에는 작업자에 의해 가공하고자 하는 석재가 수평안착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풀리(750) 또는 복수의 상기 스프로켓(미도시)는 상기 공급롤러(730)의 타단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벨트(770) 또는 체인(미도시) 중 상기 벨트(770)는 복수의 상기 풀리(750)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고, 상기 체인(미도시)은 상기 스프로켓(미도시)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미도시)는 복수의 상기 공급롤러(730)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미도시)가 복수의 상기 공급롤러(730) 중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복수의 풀리(750) 또는 복수의 스프로켓(미도시)과 상기 벨트(770) 또는 체인(미도시)에 을 통해 복수의 상기 공급롤러(730) 모두는 간헐적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7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이송되는 석재(5)의 상부면을 상기 정다듬가공부(30)가 상기 좌우이동부(50)에 의해 좌우이동하면서 가공하기 때문에 석재(5)의 상부면 전체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0은 프레임(10)에 2개 이상의 정다듬가공부(3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지지프레임(110)과 타측 지지프레임(130)의 상부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구비될 수 있는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150)을 감싼 상태인 상기 좌우이동몸체(510)의 전면에는 2개 이상의 상기 정다듬가공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에 2개 이상의 상기 정다듬가공부(30)가 구비됨에 따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석재(5)의 상부면 전체를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90)는 구동모터(910)와 리드스크류(9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50)의 좌우이동몸체(510)의 전측면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슬릿(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몸체(310)의 후측판(318)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이동부(50)의 좌우이동몸체(510)의 가이드슬릿(51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판(319)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910)는 상기 좌우이동몸체(510)의 전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920)는 상기 구동모터(910)의 구동축(911)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몸체(310)의 가이드판(319)과 수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910)의 구동축(911)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몸체(310)의 가이드판(319)은 상기 좌우이동몸체(510)의 가이드슬릿(512)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부(90)를 석재(5)의 상하두께에 따라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상하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몸체(310)의 바닥판(311)의 관통구(312)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판(311)의 관통구(312) 주변 상부면에 '┗'형상의 환형의 안착홈(313)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몸체(310)의 바닥판(311)의 관통구(312) 하측 내주연에는 상기 관통구(312)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형상의 환형의 안착판(3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몸체(310)의 바닥판(311)의 관통구(312)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311)의 안착홈(313)에는 환형의 고정판(370)의 하부면 테두리가 작업자에 의해 안착된 상태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70)의 중심부에는 상기 바닥판(311)의 관통구(312)와 연통되는 관통구(37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회전반(320)의 측면 외주연에는 상기 안착판(314)에 안착되는 기어치(3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구동부(33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압모터(331)와 피니언기어(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331)는 상기 몸체(310)의 타측판(316) 내주면 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333)는 상기 유압모터(331)의 축(331a)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333)는 상기 회전반(320)의 기어치(321)와 치합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333)와 상기 회전반(320)의 기어치(321)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310)의 바닥판(311)의 후단부 타측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피니언기어(333)가 수용되는 반원형상의 수용공(31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판(370)에는 상기 몸체(310)의 바닥판(311)의 수용공(311a)과 연통되고, 상기 회전반(320)의 기어치(321)를 일정부분을 노출시키는 반원형상의 수용공(3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압모터(331)의 축(331a)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피니언기어(333)는 상기 유압모터(331)의 축(331a)을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회전반(320)은 상기 피니언기어(333)를 통해 상기 유압모터(331)의 축(331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구동부(330)가 유압모터(331)와, 상기 유압모터(311)와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반(320)의 기어치(321)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340)와 함께 상기 회전반(320)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다듬부재(340)의 석재가공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회전반(320)의 훼손시 상기 몸체(310)에서 상기 회전반(320)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재(346)의 하측 내부에는 단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측이 개방된 삽입홈(34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재(348)의 후술할 상측 타격부재(348a)의 상측은 상기 수용부재(346)의 삽입홈(346a)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단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346a)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격부재(348)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0)는 지지대(101)와 지지링(103) 및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1)의 상단부는 상기 하부몸체(347)의 하측 외주연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작업자에 의해 상하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1)는 하단부 내측에 상기 타격부재(348)의 상측 타격부재(348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01)의 하단부는 일측이 개방된 'C'형상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지지링(103)은 상기 타격부재(348)의 상측 타격부재(348a)의 외주연에 수평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347)의 하부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05)는 상기 지지링(103)과 상기 지지대(101)의 하단부 사이에 상기 타격부재(348)의 상측 타격부재(348a)를 감싼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격부재(348)의 상측 타격부재(348a)를 석재(5)의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이격시킨 상태로 탄성지지하는 상기 지지부(100)로 인해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타격부재(348)를 통한 석재(5)의 가공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타격부재(348)의 수명이 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격부재(348)의 교체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회전반(320)의 설치공(322)에는 상기 설치공(322)과 연통되고 상기 다듬부재(340)의 공기배출구(344a)와 대향되는 공기배출홈(323)이 상기 회전반(3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325)을 향한 상태로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반(320)의 설치공(322)에 상기 설치공(322)과 연통되고 상기 다듬부재(340)의 공기배출구(344a)와 대향되는 공기배출홈(323)이 일정깊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다듬부재(340)의 내부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홈(323)을 지나 상기 회전반(320)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재(341)의 하부와 상기 하부몸체(347)의 상부에 각각 수평판(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120)은 상부 수평판(121)과 하부 수평판(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평판(121)은 상기 헤드부재(341)의 하부 전측 외주연 및 하부 후측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각각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평판(123)은 상기 하부몸체(347)의 상부 전측 외주연 및 상부 후측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각각 수평연장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344)의 하부에 상기 하부몸체(347)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40)는 가이드봉(141), 너트(1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141)은 상기 상부 수평판(121)과 하부 수평판(123)을 각각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143)는 상기 가이드봉(141)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회전반(320)에는 상기 설치공(322)과 연통되고 상기 가이드봉(141)을 내부에 수용하는 고정홈(32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344)의 하부에 상기 하부몸체(347)를 결합시키는 상기 결합부재(140)의 가이드봉(141)이 상기 회전반(320)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324)의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반(320)의 설치공(322)내에서 상기 다듬부재(340)가 회전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수평판(123)의 상부면과 상기 회전반(320)의 하부면 사이 및 상기 상부 수평판(121)의 하부면과 상기 회전반(320)의 상부면 사이에 환형의 링부(1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링부(160)는 환형의 하부 링부(161)와 환형의 상부 링부(163)로 구성될 수 있다.
환형의 하부 링부(161)는 상기 하부 수평판(123)의 상부면과 상기 회전반(320)의 하부면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하부 링부(161)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몸체(347)가 수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상부 링부(163)는 상기 상부 수평판(121)의 하부면과 상기 회전반(320)의 상부면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상부 링부(163)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몸체(344)가 수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상부링부(163)의 하부면과 상기 회전반(320)의 상부면 사이에 는 상기 상부몸체(344)의 상부를 감싼 상태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80);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상부링부(163)의 하부면과 상기 회전반(320)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부재(180)로 인해 상기 다듬부재(340)가 석재(5)를 가공하는 과정중에 상기 다듬부재(340)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보다 용이하게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격부재(348)는 상측 타격부재(348a), 하측 타격부재(348b) 및 고정볼트(348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 타격부재(348a)는 상기 수용부재(346)의 내부 하측에 상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타격부재(348b)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측 타격부재(348a)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48d)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타격부재(348b)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상기 삽입홈(348d)과 연통되는 나사공(348e)이 각각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타격부재(348b)의 하부면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단면형상이 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복수의 타격돌기(348f)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48c)는 상기 하측 타격부재(348b)의 나사공(348e)의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측 타격부재(348a)의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타격부재(348a), 하측 타격부재(348b) 및 고정볼트(348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타격부재(348)를 통해 석재(5)의 상부면 전체를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가공하여 조면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와 상기 타격부재(348)에 상기 다듬부재(340)내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9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구(190)는 제 1, 2, 3, 4공기배출구(191, 193, 195, 19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공기배출구(191)는 상기 상하이동부재(345) 내부에 상하측이 개방된 상태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공기배출구(193)는 상기 상측 타격부재(348a)의 내부에 상하측이 개방된 상태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공기배출구(195)는 상기 삽입홈(348d)과 연통되도록 상기 삽입홈(348d)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하측 타격부재(348b)의 일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공기배출구(197)는 상기 삽입홈(348d)과 연통되도록 상기 삽입홈(348d)의 하부 타측에서 상기 하측 타격부재(348b)의 타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와 상기 타격부재(348)에 상기 다듬부재(340)내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기 공기배출구(190)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다듬부재(140)내로 유입된 공기가 보다 더욱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1은 다듬부재(340)의 단면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회전부재(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회전부재(200)의 평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에 의해 상하진동하는 상기 타격부재(348)를 시계방향(도 13의 실선화살표 'O' 참조.)으로만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회전기어(210), 회전방지부재(230) 및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210)는 상기 수용부재(346)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몸체(347)의 상측 내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재(230)는 상기 하부몸체(347)의 내부 일측 상부와 내부 타측 상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30)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어(210)의 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기어치(211)와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기어치(211) 사이마다 형성되는 홈(213)내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기어(210)가 반시계방향((도 13의 실선화살표 'X' 참조.)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하부몸체(347)의 내부 일측 상부와 내부 타측 상부에 각각 수평구비되어 상기 회전방지부재(230)와 상기 기어치(211)가 면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재(230)를 상기 기어치(211)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의 하측 외주연에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반시계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하측이 개방된 경사홈(345a)과, 하측이 개방된 수직홈(345b)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210)의 내주연에는 상기 경사홈(345a)내에 수용되는 상측돌기(212)가 상기 회전기어(2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346)의 내주연에는 상기 수직홈(345b)내에 수용되는 하측돌기(349)가 상기 수용부재(346)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45)가 고압의 공기에 의해 하강할 시,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와 상기 수용부재(346)를 제외한 상기 회전기어(210)가 상기 경사홈(345a)에 의해 시계방향(도 13의 실선화살표 'O' 참조.)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하강한 상태인 상기 상하이동부재(345)가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승할 시,
상기 회전방지부재(230)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210)가 반시계방향(도 13의 실선화살표 'X' 참조.)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위치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기어(210)를 제외한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와 상기 수용부재(346) 및 상기 타격부재(348)는 상기 경사홈(345a)에 의해 반시계방향(도 13의 실선화살표 'X' 참조.)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에 의해 상하진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타격부재(348)가 회전하면서 석재의 상부면을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석재가공효율이 보다 더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10; 프레임, 30; 정다듬가공부,
50; 좌우이동부, 70; 이송부.

Claims (12)

  1. 바닥판(311)에 관통구(312)가 형성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관통구(312)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설치공(3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반(320)과;
    상기 회전반(3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30)와;
    타측에 공기주입호스(341b)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공기주입구(341a)가 형성되는 헤드부재(341)와, 상기 헤드부재(341)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재(341)의 공기주입구(341a)와 연통되는 일측 공기유입구(342a) 및 타측 공기유입구(342b)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판부재(342)와, 상기 판부재(342)의 내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와 타측 공기유입구(342b)를 개폐하고 하부면 일측에 일측에서 하부면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일측 경사면(343a)이 형성되고 하부면 타측에 타측에서 하부면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타측 경사면(343b)이 형성되는 개폐부재(343)와, 상기 판부재(342)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반(320)의 설치공(322)내에 설치되고, 일측에 공기배출구(344a)가 형성되며 타측 내부에 상기 타측 공기유입구(342b)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공급공(344b)이 형성되는 상부몸체(344)와, 상기 상부몸체(344)의 내부에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부몸체(344)의 하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 타측 공기유입구(342b), 공기배출구(344a) 및 공기공급공(344b)를 각각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345)와,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의 하단부가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재(346)와, 상기 수용부재(346)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344)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몸체(347)와, 상기 수용부재(346)의 내부 하측에 상단부가 수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몸체(347)의 하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에 의해 상하진동하여 석재(5)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타격부재(348)로 구성되는 복수의 다듬부재(340)와;
    상기 회전반(320)에 구비되는 지지봉(350)과;
    상기 지지봉(350)의 상측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361a)를 통해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측 공기유입부재(361)와, 상기 상측 공기유입부(361)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부(361)의 하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봉(35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입호스(341b)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공기배출구(363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측 공기유입부재(363)로 구성되어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340)와 연결된 상기 공기주입호스(341b)의 꼬임을 방지하는 로터리 조인트(360);로 이루어지는 정다듬가공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2.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석재(5)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정다듬가공부(30)와;
    상기 정다듬가공부(30)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50)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정다듬가공부(30)를 통해 가공하고자 하는 석재(5)를 상기 프레임(1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다듬가공부(30)는 바닥판(311)에 관통구(312)가 형성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관통구(312)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설치공(3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반(320)과;
    상기 회전반(3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30)와;
    타측에 공기주입호스(341b)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공기주입구(341a)가 형성되는 헤드부재(341)와, 상기 헤드부재(341)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재(341)의 공기주입구(341a)와 연통되는 일측 공기유입구(342a) 및 타측 공기유입구(342b)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판부재(342)와, 상기 판부재(342)의 내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와 타측 공기유입구(342b)를 개폐하고 하부면 일측에 일측에서 하부면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일측 경사면(343a)이 형성되고 하부면 타측에 타측에서 하부면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타측 경사면(343b)이 형성되는 개폐부재(343)와, 상기 판부재(342)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반(320)의 설치공(322)내에 설치되고, 일측에 공기배출구(344a)가 형성되며 타측 내부에 상기 타측 공기유입구(342b)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공급공(344b)이 형성되는 상부몸체(344)와, 상기 상부몸체(344)의 내부에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부몸체(344)의 하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공기유입구(342a), 타측 공기유입구(342b), 공기배출구(344a) 및 공기공급공(344b)를 각각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345)와,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의 하단부가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재(346)와, 상기 수용부재(346)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344)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몸체(347)와, 상기 수용부재(346)의 내부 하측에 상단부가 수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몸체(347)의 하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에 의해 상하진동하여 석재(5)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타격부재(348)로 구성되는 복수의 다듬부재(340)와;
    상기 회전반(320)에 구비되는 지지봉(350)과;
    상기 지지봉(350)의 상측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361a)를 통해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측 공기유입부재(361)와, 상기 상측 공기유입부(361)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부(361)의 하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봉(35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입호스(341b)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공기배출구(363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측 공기유입부재(363)로 구성되어 복수의 상기 다듬부재(340)와 연결된 상기 공기주입호스(341b)의 꼬임을 방지하는 로터리 조인트(3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 2개 이상의 상기 정다듬가공부(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몸체(310)의 바닥판(311)의 관통구(312)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판(311)의 상부면에 안착홈(313)이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몸체(310)의 바닥판(311)의 관통구(312) 하측 내주연에 상기 관통구(312)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안착판(314)이 형성되고,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몸체(310)의 바닥판(311)의 관통구(312)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311)의 안착홈(313)에 하부면 테두리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311)의 관통구(312)와 연통되는 관통구(371)가 형성되는 고정판(370)이 구비되며,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회전반(320)의 외주연에 상기 안착판(314)에 안착되는 기어치(321)가 형성되고,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구동부(330)는 상기 몸체(310)에 구비되는 유압모터(331)와; 상기 유압모터(331)와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반(320)의 기어치(321)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346)의 하측 내부에는 단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측이 개방된 삽입홈(346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346)의 삽입홈(346a)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타격부재(348)의 상측은 단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346a)내에 삽입되며,
    상기 타격부재(348)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10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100)는 상단부가 상기 하부몸체(347)의 하측 외주연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하회전이동하고, 하단부 내측에 상기 타격부재(348)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단부 일측이 개방되는 지지대(101)와;
    상기 타격부재(348)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지지링(103)과;
    상기 지지링(103)과 상기 지지대(101)의 하단부 사이에 상기 타격부재(348)를 감싼 상태로 구비되는 탄성부재(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회전반(320)의 설치공(322)에 상기 설치공(322)과 연통되고 상기 다듬부재(340)의 공기배출구(344a)와 대향되는 공기배출홈(323)이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341)의 하부와 상기 하부몸체(347)의 상부에 각각 수평판(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20)은 상기 헤드부재(341)의 하부 전측 외주연 및 하부 후측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각각 수평연장되는 상부 수평판(121)과;
    상기 하부몸체(347)의 상부 전측 외주연 및 상부 후측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각각 수평연장되는 하부 수평판(123);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44)의 하부에 상기 하부몸체(347)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40)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140)는 상기 상부 수평판(121)과 하부 수평판(123)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이드봉(141)과;
    상기 가이드봉(141)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43);로 구성되고,
    상기 정다듬가공부(30)의 회전반(320)에 상기 설치공(322)과 연통되고 상기 가이드봉(141)을 내부에 수용하는 고정홈(32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판(123)의 상부면과 상기 회전반(320)의 하부면 사이 및 상기 상부 수평판(121)의 하부면과 상기 회전반(320)의 상부면 사이에 환형의 링부(160)가 각각 구비되고,
    환형의 상기 링부(160)는 상기 하부 수평판(123)의 상부면과 상기 회전반(320)의 하부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몸체(347)가 내부에 수용되는 환형의 하부 링부(161)와;
    상기 상부 수평판(121)의 하부면과 상기 회전반(320)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344)가 내부에 수용되는 환형의 상부 링부(163);로 구성되고,
    환형의 상기 상부링부(163)의 하부면과 상기 회전반(320)의 상부면 사이에 상기 상부몸체(344)의 상부를 감싼 상태로 탄성부재(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348)는 상기 수용부재(346)의 내부 하측에 상단부가 수용되는 상측 타격부재(348a)와;
    상기 상측 타격부재(348a)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48d)이 상부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기 삽입홈(348d)과 연통되는 나사공(348e)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타격돌기(348f)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측 타격부재(348b)와;
    상기 하측 타격부재(348b)의 나사공(348e)의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측 타격부재(348a)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고정볼트(348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와 상기 타격부재(348)에 상기 다듬부재(340)내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9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190)는 상기 상하이동부재(345) 내부에 형성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제 1공기배출구(191)와;
    상기 상측 타격부재(348a)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제 2공기배출구(193)와;
    상기 삽입홈(348d)과 연통되도록 상기 삽입홈(348d)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하측 타격부재(348b)의 일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제 3공기배출구(195)와;
    상기 삽입홈(348d)과 연통되도록 상기 삽입홈(348d)의 하부 타측에서 상기 하측 타격부재(348b)의 타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제 4공기배출구(19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에 의해 상하진동하는 상기 타격부재(348)를 시계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0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수용부재(346)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몸체(347)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기어(210)와;
    상기 하부몸체(347)의 내부 일측 상부와 내부 타측 상부에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기어(210)의 기어치(211)와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기어치(211) 사이마다 형성되는 홈(213)내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기어(2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230)와;
    상기 회전방지부재(230)와 상기 기어치(211)가 면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재(230)를 상기 기어치(211)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250);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345)의 하측 외주연에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반시계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하측이 개방된 경사홈(345a)과, 하측이 개방된 수직홈(345b)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기어(210)의 내주연에 상기 경사홈(345a)내에 수용되는 상측돌기(212)가 상기 회전기어(2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346)의 내주연에 상기 수직홈(345b)내에 수용되는 하측돌기(349)가 상기 수용부재(346)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가공장치.
KR1020100098844A 2010-10-11 2010-10-11 석재가공장치 KR10106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844A KR101064148B1 (ko) 2010-10-11 2010-10-11 석재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844A KR101064148B1 (ko) 2010-10-11 2010-10-11 석재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148B1 true KR101064148B1 (ko) 2011-09-15

Family

ID=4495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844A KR101064148B1 (ko) 2010-10-11 2010-10-11 석재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1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92B1 (ko) * 2018-09-28 2019-08-28 오춘단 석재 가공장치
CN112622499A (zh) * 2020-12-09 2021-04-09 范永龙 一种数控石材雕刻机床
CN116900862A (zh) * 2023-09-07 2023-10-20 山东佰鑫达钢品科技有限公司 一种岩棉板边缘修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1652A (ja) 1986-04-09 1987-10-22 Nagase Iron Works Co Ltd 研摩機における砥石の加圧装置
KR950002923A (ko) * 1993-07-03 1995-02-16 박정곤 석재 자동 연마기
KR200339051Y1 (ko) 2003-10-14 2004-01-16 김금휴 도드락 표면가공기
KR200396390Y1 (ko) 2005-07-04 2005-09-21 주식회사 청석개발 공기압해머 일체형 지반 굴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1652A (ja) 1986-04-09 1987-10-22 Nagase Iron Works Co Ltd 研摩機における砥石の加圧装置
KR950002923A (ko) * 1993-07-03 1995-02-16 박정곤 석재 자동 연마기
KR200339051Y1 (ko) 2003-10-14 2004-01-16 김금휴 도드락 표면가공기
KR200396390Y1 (ko) 2005-07-04 2005-09-21 주식회사 청석개발 공기압해머 일체형 지반 굴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92B1 (ko) * 2018-09-28 2019-08-28 오춘단 석재 가공장치
CN112622499A (zh) * 2020-12-09 2021-04-09 范永龙 一种数控石材雕刻机床
CN116900862A (zh) * 2023-09-07 2023-10-20 山东佰鑫达钢品科技有限公司 一种岩棉板边缘修整装置
CN116900862B (zh) * 2023-09-07 2023-11-14 山东佰鑫达钢品科技有限公司 一种岩棉板边缘修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148B1 (ko) 석재가공장치
US8328603B2 (en) Apparatus for stress shot peening of coil spring
KR101249165B1 (ko) 진동시 풀림없는 정량 조절 장치
CN106112765A (zh) 一种金属表面处理装置
CN107319693A (zh) 一种自动制鞋机
CN214686028U (zh) 一种抛丸机
CN110841969B (zh) 人参清洗自动化设备
CN211756737U (zh) 一种建筑筛沙用抑尘机构
KR20140024165A (ko) 챔퍼밀
CN203045404U (zh) 一种机床的自动送料装置
KR101687966B1 (ko) 습식 블라스트 장치
CN208775664U (zh) 一种混凝土振动给料机
KR101169421B1 (ko) 벽돌 가공장치
KR100815871B1 (ko) 연속식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209440001U (zh) 一种新型履带式抛丸机
KR20080021857A (ko) 블럭 및 벽돌 연마가공장치
CN208800357U (zh) 自动筛分设备
CN110666611B (zh) 一种用于机加工零件表面处理的去毛刺装置
CN208288548U (zh) 一种用于纳米碳酸钙制备的清洗装置
JPH09167747A (ja) 基板処理装置
CN111905905A (zh) 一种用于工程垃圾处理设备
CN220512935U (zh) 一种牙模振荡器
CN106185378B (zh) 一种铺青机
CN217474368U (zh) 一种人造宝石清洗装置
CN220051352U (zh) 一种循环式流水线抛光设备的输送张紧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