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324B1 -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324B1
KR101063324B1 KR1020110050328A KR20110050328A KR101063324B1 KR 101063324 B1 KR101063324 B1 KR 101063324B1 KR 1020110050328 A KR1020110050328 A KR 1020110050328A KR 20110050328 A KR20110050328 A KR 20110050328A KR 101063324 B1 KR101063324 B1 KR 101063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tunnel
emergency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박병재
권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1005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을 제공한다. 제공된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은 터널로 진입하는 도로의 인접한 일측에 상기 도로와 연결되도록 시공된 유도로; 상기 터널의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로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이루어진 진입공간; 상기 유도로 바닥면에 앵커볼트를 통해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부에 연장바가 마련 지주; 상기 유도로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탄성관이 상기 지주와 볼트체결되고, 상기 탄성관의 외면에 한 쌍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관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관이 상기 탄성관과 볼트체결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내면과 외면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연결되는 걸림편과 가이드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관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반응프레임이 상기 가이드관의 외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반응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연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응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유도로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동작날개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동작날개 중 서로 대향을 이루는 동작날개에 상기 2조 1쌍의 반응프레임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된 차량진입감지부; 상기 연장바의 외면에 벨트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반응프레임을 따라 회전하는 동작날개에 의해 on/off동작하는 스위치부; 상기 진입공간을 밝힐 수 있도록 상기 진입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 동작시 점등하고, off 동작시 소등하는 조명램프; 상기 진입공간에 차량의 진입여부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바에 설치되며,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 동작시 점멸동작을 반복하고, off 동작시 소등하는 비상램프 및 상기 진입공간에 진입한 차량의 탑승자가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진입공간의 외측에 저수탱크가 매설되며, 상기 저수탱크에 상기 진입공간 측으로 향하는 급수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급수배관의 일측에 급수밸브가 설치된 급수시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긴급을 요하는 비상차량의 빠른 출동 및 비상차량 운전자가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The vehicle to be established is sour at the tunnel}
본 발명은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상에 설치된 터널에 별도의 진입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진입공간에 비상차량이 대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상에서 긴급을 요하는 사고가 발생시 상기 공간부에 대기하고 있던 비상차량이 빠르게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발생한 사고에 대해 효율적으로 초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비상차량의 운전자가 진입공간 내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차량의 운전자가 상시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여 사고 발생시 그에 대한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시공되는 고속도로나 국도, 철로 등의 건설에는 평지뿐만 아니라 산악지역을 거치는 경우가 많고, 특히 산악지역이 많은 경우에는 자연환경적인 문제나 시공비용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산악을 절개하지 않고 터널 등을 굴착하여 도로를 개설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터널은 굴착시공되는 터널은 발파 등에 의해 굴착된 터널의 암벽면에 쇼트크리트를 시공한 후 락볼트 등을 매립하고 쇼트크리트의 표면에 다시 방수공사를 하고 라이닝 콘크리트층을 타설함으로써 터널 시공을 완료한다.
한편, 이렇게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정비불량으로 인한 고장사고가 발생하거나, 응급환자가 발생하여 급히 이송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환자이송차량 또는 구난차량이 상시 대기하고 있다. 특히, 고속도로의 경우 한번 진입하면 타지역으로의 이동이 쉽지 않기 때문에 환자이송차량 또는 구난차량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그러나 종래 도로 특히, 고속도로에는 환자이송차량 또는 구난차량과 같은 비상차량이 대기할 만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위험을 무릅쓰고 갓길에서 대기함으로써, 차량충돌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고 발생지점으로 긴급하게 이동하지 못하여 사고대처능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에 시공된 터널의 일측에 비상차량이 상시 대기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마련함으로써, 도로상에서 긴급을 요하는 사고가 발생시 상기 공간부에 대기하고 있던 비상차량이 빠르게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발생한 사고에 대해 효율적으로 초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비상차량이 대기하는 공간에 조명시설과 급수시설을 설치하여 비상차량의 운전자가 진입공간 내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차량의 운전자가 상시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여 사고 발생시 그에 대한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터널로 진입하는 도로의 인접한 일측에 상기 도로와 연결되도록 시공된 유도로;
상기 터널의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로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이루어진 진입공간;
상기 유도로 바닥면에 앵커볼트를 통해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부에 연장바가 마련 지주;
상기 유도로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탄성관이 상기 지주와 볼트체결되고, 상기 탄성관의 외면에 한 쌍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관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관이 상기 탄성관과 볼트체결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내면과 외면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연결되는 걸림편과 가이드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관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반응프레임이 상기 가이드관의 외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반응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연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응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유도로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동작날개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동작날개 중 서로 대향을 이루는 동작날개에 상기 2조 1쌍의 반응프레임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된 차량진입감지부;
상기 연장바의 외면에 벨트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반응프레임을 따라 회전하는 동작날개에 의해 on/off동작하는 스위치부;
상기 진입공간을 밝힐 수 있도록 상기 진입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 동작시 점등하고, off 동작시 소등하는 조명램프;
상기 진입공간에 차량의 진입여부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바에 설치되며,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 동작시 점멸동작을 반복하고, off 동작시 소등하는 비상램프 및
상기 진입공간에 진입한 차량의 탑승자가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진입공간의 외측에 저수탱크가 매설되며, 상기 저수탱크에 상기 진입공간 측으로 향하는 급수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급수배관의 일측에 급수밸브가 설치된 급수시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동작날개의 외면에는 차량과의 접촉시 차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쿠션고무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상에서 긴급을 요하는 사고가 발생시 상기 공간부에 대기하고 있던 비상차량이 빠르게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발생한 사고에 대해 효율적으로 초기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차량의 운전자가 충분한 휴식을 통해 상시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여 사고 발생시 그에 대한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을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중 차량진입감지부와 급수시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으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스위치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을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100)은 터널(1)로 진입하는 도로(2)의 인접한 일측에 시공된 유도로(110)와, 상기 터널(1)의 인접한 일측에 형성된 진입공간(120)과, 상기 유도로(11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 연장바(131)가 구비된 지주(130)와, 상기 지주(130)에 설치된 차량진입감지부(140)와, 상기 연장바(131)에 설치된 스위치부(150)와, 상기 진입공간(120)의 천정에 설치된 조명램프(160)과 상기 연장바(131)의 상부에 설치된 비상램프(170) 및 상기 진입공간(120)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급수시설(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유도로(110)는 도로(2)를 따라 주행하는 비상차량이 상기 진입공간(120)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유도로(110)는 터널(1)로 진입하는 도로(2)의 인접한 일측에 상기 도로(2)와 연결되도록 시공된다.
한편, 상기 진입공간(120)은 비상차량이 정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진입공간(120)은 상기 터널(1)의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로(110)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지주(130)는 상기 차량진입감지부(140)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부재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지주(130)는 상기 유도로(110) 바닥면에 앵커볼트를 통해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부에 연장바(131)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차량진입감지부(140)는 상기 진입공간(120)으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차량진입감지부(140)는 상기 유도로(110)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130)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130)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탄성관(141)이 상기 지주(130)와 볼트체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관(141)의 외면에 한 쌍의 삽입홈(1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관(141)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관(143)이 상기 탄성관(141)과 볼트체결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143)의 내면에 상기 삽입홈(142)에 삽입연결되는 걸림편(144)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관(143)의 외면에 가이드돌기(145)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143)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반응프레임(146)이 상기 가이드관(143)의 외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반응프레임(146)은 그 내측에 상기 가이드돌기(145)가 삽입연결되는 가이드홈(147)이 형성되고, 상기 반응프레임(146)의 외측에 상기 유도로(110)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동작날개(148)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동작날개(148) 중 서로 대향을 이루는 동작날개(148)에 상기 2조 1쌍의 반응프레임(146)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날개(148)의 외면에는 차량과의 접촉시 차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쿠션고무(149)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150)는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시 상기 조명램프(160)와 비상램프(170)를 동작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150)는 상기 연장바(131)의 외면에 벨트(153)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반응프레임(146)을 따라 회전하는 동작날개(148)에 의해 on/off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동작날개(148)와 접촉을 이루는 버튼(151)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조명램프(160)는 상기 진입공간(120)을 밝히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조명램프(160)는 상기 진입공간(1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 동작시 점등하고, off 동작시 소등한다.
한편, 상기 비상램프(170)는 상기 진입공간(120)에 차량의 진입시 이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비상램프(170)는 상기 연장바(131)에 설치되며, 스위치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 동작시 점멸동작을 반복하고, off 동작시 소등한다.
한편, 상기 급수시설(180)은 상기 진입공간(120)에 진입한 차량의 탑승자가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급수시설(180)은 상기 진입공간(120)의 외측에 저수탱크(181)가 매설되며, 상기 저수탱크(181)에 상기 진입공간(120) 측으로 향하는 급수배관(183)이 설치되며, 상기 급수배관(183)의 일측에 급수밸브(185)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은 도로에 시공된 터널의 일측에 비상차량이 상시 대기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마련함으로써, 도로상에서 긴급을 요하는 사고가 발생시 비상차량이 빠르게 사고 현장으로 출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시공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중 차량진입감지부와 급수시설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으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스위치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100)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터널(1)의 인접한 일측에 진입공간(120)을 형성하고, 상기 터널(1)로 진입하는 도로(2)의 인접한 일측에 상기 진입공간(120) 측으로 연결된 유도로(110)를 형성하다.
이후, 상기 진입공간(120) 내의 바닥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지주(130)를 설치하고, 상기 진입공간(120)의 인접한 일측에 저수탱크(181)를 매설하고, 상기 저수탱크(181)에 상기 진입공간(120) 측으로 향하는 급수배관(183)을 설치한다.
이후, 상기 지주(130)에 차량진입감지부(14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차량진입감지부(140)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탄성관(141)을 지주(130)의 양측에 위치시킨 후,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지주(130)에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관(141)은 지주의 외면에 고정된다.
이후, 상기 탄성관(141)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관(143)을 위치시킨 후,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관(141)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걸림편(144)은 상기 탄성관(141)의 삽입홈(142)에 삽입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관(143)은 탄성관(141)의 외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걸림편(144)은 상기 가이드관(143)이 탄성관(141)의 외면에서 회전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가이드관(143)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반응프레임(146)을 위치시킨 후, 서로 대향된 위치에 있는 동작날개(148)를 볼트체결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47)에는 가이드돌기(145)가 삽입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 반응프레임(146)는 가이드관(143)의 외측에서 가이드돌기(145)를 따라 자유회전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후, 상기 동작날개(148)의 외면에 쿠션고무(149)를 부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진입공간(120) 측으로 차량이 동작날개와 접촉시 차량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운전미숙으로 상기 반응프레임(146)에 차량이 충돌시 상기 탄성관(141)이 그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연장바(131)의 외면에 벨트(153)를 이용하여 스위치부(150)를 고정한다.
이후, 상기 진입공간(120)의 상부에 조명램프(160)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연장바(131)에 비상램프(17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150)와 조명램프(160) 및 비상램프(17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급수배관(183)에 급수밸브(185)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185)를 통해 상기 저수탱크(181) 내의 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공관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대기 구조물(100)의 동작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유도로(110)를 통해 진입공간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진입하는 차량에 동작날개(148)가 접촉하여 상기 동작날개(148)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이렇게 회전운동하는 동작날개(148)가 스위치부(150)의 버튼(151)과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부(150)를 on의 상태로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50)가 on동작하면, 상기 조명램프(160)가 진입공간(120)을 밝힘과 동시에 상기 비상램프(170)가 점멸동작하여 외부에 차량의 진입사실을 알리게 된다.
또한, 진입공간(120)내의 차량이 진입공간(120)에서 빠져나오면, 상기 진입공간(120)에서 빠져나오는 차량에 상기 동작날개(148)가 접촉하여 상기 동작날개(14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이렇게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동작날개(148)가 스위치부(150)의 버튼(151)과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부(150)를 off의 상태로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50)가 off동작하면, 상기 조명램프(160)와 비상램프(170)가 소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은 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도로상에서 긴급을 요하는 사고가 발생시 상기 공간부에 대기하고 있던 비상차량이 빠르게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발생한 사고에 대해 효율적으로 초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비상차량의 운전자가 진입공간 내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차량의 운전자가 상시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여 사고 발생시 그에 대한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 : 터널 2 : 도로 110 : 유도로
120 : 진입공간 130 : 지주 131 : 연장바
140 : 차량진입감지부 141 : 탄성관 142 : 삽입홈
142 : 가이드관 144 : 걸림편 145 : 가이드돌기
146 : 반응프레임 147 : 가이드홈 148 : 동작날개
149 : 쿠션고무 150 : 스위치부 160 : 조명램프
170 : 비상램프 180 : 급수시설 158 : 급수밸브

Claims (2)

  1. 터널(1)로 진입하는 도로(2)의 인접한 일측에 상기 도로(2)와 연결되도록 시공된 유도로(110)와 상기 터널(1)의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로(110)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이루어진 진입공간(120)이 구비된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100)은
    상기 유도로(110) 바닥면에 앵커볼트를 통해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부에 연장바(131)가 마련 지주(130)와
    상기 유도로(110)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130)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130)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탄성관(141)이 상기 지주(130)와 볼트체결되고, 상기 탄성관(141)의 외면에 한 쌍의 삽입홈(142)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관(141)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관(143)이 상기 탄성관(141)과 볼트체결되고, 상기 가이드관(143)의 내면과 외면에 상기 삽입홈(142)에 삽입연결되는 걸림편(144)과 가이드돌기(145)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관(143)의 외면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반응프레임(146)이 상기 가이드관(143)의 외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반응프레임(146)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돌기(145)가 삽입연결되는 가이드홈(147)이 형성되고, 상기 반응프레임(146)의 외측에 상기 유도로(110)를 따라 진입하는 차량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동작날개(148)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동작날개(148) 중 서로 대향을 이루는 동작날개(148)에 상기 2조 1쌍의 반응프레임(146)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된 차량진입감지부(140)와
    상기 연장바(131)의 외면에 벨트(153)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반응프레임(146)을 따라 회전하는 동작날개(148)에 의해 on/off동작하는 스위치부(150)와
    상기 진입공간(120)을 밝힐 수 있도록 상기 진입공간(1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 동작시 점등하고, off 동작시 소등하는 조명램프(160)와
    상기 진입공간(120)에 차량의 진입여부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바(131)에 설치되며, 스위치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 동작시 점멸동작을 반복하고, off 동작시 소등하는 비상램프(170) 및
    상기 진입공간(120)에 진입한 차량의 탑승자가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진입공간(120)의 외측에 저수탱크(181)가 매설되며, 상기 저수탱크(181)에 상기 진입공간(120) 측으로 향하는 급수배관(183)이 설치되며, 상기 급수배관(183)의 일측에 급수밸브(185)가 설치된 급수시설(18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2. 삭제
KR1020110050328A 2011-05-26 2011-05-26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KR101063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328A KR101063324B1 (ko) 2011-05-26 2011-05-26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328A KR101063324B1 (ko) 2011-05-26 2011-05-26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324B1 true KR101063324B1 (ko) 2011-09-07

Family

ID=4495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328A KR101063324B1 (ko) 2011-05-26 2011-05-26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504B1 (ko) * 2016-06-23 2017-02-27 주식회사 와캔 터널형 졸음쉼터
CN117307239A (zh) * 2023-11-29 2023-12-29 泰兴市华诚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救生舱的供风装置以及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618B1 (ko) 2006-04-17 2006-10-04 (주)경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의 주차장 주차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618B1 (ko) 2006-04-17 2006-10-04 (주)경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의 주차장 주차확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504B1 (ko) * 2016-06-23 2017-02-27 주식회사 와캔 터널형 졸음쉼터
CN117307239A (zh) * 2023-11-29 2023-12-29 泰兴市华诚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救生舱的供风装置以及使用方法
CN117307239B (zh) * 2023-11-29 2024-01-30 泰兴市华诚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救生舱的供风装置以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965B2 (en) Impact absorption facility for road
CN100506622C (zh) 单轨车辆
KR101083318B1 (ko) 자동난간
BR112017007759B1 (pt) Estrutura de suporte para um sistema de transportador, montagem de estrutura de suporte e montagem de transportador
TW201604055A (zh) 管道交通系統用運輸管道
CN103850204A (zh) 一种活动隔离栏和应用该装置的交通疏导系统
KR101063324B1 (ko) 도로의 터널 전방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구조물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KR101563933B1 (ko) 도로 또는 교량 가장자리용 보도 확장장치와 그 시공방법
CN105270119A (zh) 可路面及轨道两用行走式行车机构
KR20180103741A (ko) 보행자 안전난간 및 주행차량 추락방지 기능을 겸비한 투명 경량형 캔틸레버 방풍벽
JP2005200844A (ja) 自走式トンネル内作業用台車
KR102284931B1 (ko) 보행자 보호용 안전 볼라드 시스템
CN208040316U (zh) 一种胶带输送机上方移动式可伸缩钻机平台
KR20110087877A (ko) 가설 인도 및 자전거 도로 겸용 지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설 인도
KR100769226B1 (ko)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
KR100467087B1 (ko) 건축단지용 낙석방지시설
CN205445620U (zh) 一种用于副井井口的可推移式行人平台
KR200252869Y1 (ko) 고속도로의 비상용 중앙 분리대 구조
KR102428416B1 (ko) 추가 굴착을 하지 않고 상부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는 소형차 전용 지하도로 구조
CN214883168U (zh) 一种公路桥梁隧道口的夜间提示装置
KR100612856B1 (ko) 옹벽용 완충구조
CN201826231U (zh) 公交车辆拼装式立交桥
CZ16758U1 (cs) Přenosná modulárně sestavitelná bariéra pro zabránění nebo zpomalení průjezdu vozidel
KR101137916B1 (ko) 도로용 원형 경광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