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646B1 - 연소 장치 - Google Patents

연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646B1
KR101059646B1 KR1020100049059A KR20100049059A KR101059646B1 KR 101059646 B1 KR101059646 B1 KR 101059646B1 KR 1020100049059 A KR1020100049059 A KR 1020100049059A KR 20100049059 A KR20100049059 A KR 20100049059A KR 101059646 B1 KR101059646 B1 KR 101059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combustion
main
flam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150A (ko
Inventor
가즈야 기타무라
유사쿠 가와모토
Original Assignee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9/00Pilot flame igni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light-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파일럿 버너의 화염과, 메인 버너의 화염을 개별로 검출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한 연소 장치를 제공한다.
연소 장치(1)는 주(主) 연소용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노즐(6)과, 주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구(7)와, 공기 공급구(7)의 하류 측에서 지름을 확대해서, 주 연소용 공기의 기류의 바깥쪽에, 환상(環狀) 또는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된 파일럿 연소 공간(11)과, 파일럿 연소 공간(11)에 접선 방향으로 파일럿 공기 및 파일럿 연료를 불어넣어 파일럿 화염을 형성하는 파일럿 버너(5)와, 파일럿 버너(5)의 후단(後端)에 설치되고, 파일럿 공기의 유로(流路)로부터 파일럿 연소 공간(10)을 바라보아서, 파일럿 화염을 검출하는 파일럿 화염 센서(15)와, 파일럿 연소 공간(11)을 직시하지 않고, 공기 공급구(7)를 통해 주 연소용 연료가 연소해서 형성되는 메인 화염을 검출하는 메인 화염 센서(8)를 가진다.

Description

연소 장치{COMBUSTION DEVICE}
본 발명은 파일럿 버너(pilot burner)를 갖는 연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업 노(爐)에서는 안전을 위해, 버너가 연소하고 있는 것을 감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화염이 내는 자외선을 검출하는 자외선 화염 센서에 의해 연소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파일럿 버너로 메인 버너에 점화하는 연소 장치를 사용할 경우, 파일럿 버너가 연소 상태라면, 당연히 메인 버너도 연소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종래에는 파일럿 버너의 화염을 검출하는 센서만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08년에 개정된 JIS-B8415 "공업용 연소 노의 안전 통칙"에서는 파일럿 버너와 메인 버너의 연소 상태를 개별로 감시하는 것이 필수라고 되어 있다.
자외선 화염 센서는 검출 시야에 파일럿 버너의 화염과 메인 버너의 화염이 존재할 경우, 어느 화염인지를 판별할 수 없다. 그래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연소 장치에서는 파일럿 버너의 화염이 도달하지 않는, 연소 장치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노 내에서 메인 버너의 화염을 감시하기 위해, 노벽(爐壁)에 별도로 관통구멍을 만들어서 센서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버너 본체와 메인 버너용 센서와의 위치 관계가 현지 공사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신중한 시공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노의 연소 장치를 교환할 때, 새롭게 노체(爐體)에 관통구멍을 뚫을 필요가 있다.
또한, 파일럿 버너의 화염의 검출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파일럿 버너의 공기 유로(流路)의 후단(後端)에 검출구멍을 만들어서 자외선 화염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메인 버너의 연소 시에는 파일럿 버너용의 자외선 화염 센서가 메인 버너의 화염을 검출해버리기 때문에, 메인 버너가 연소하지 않을 때 외에는 파일럿 버너의 연소를 확인할 수 없어, 개정 JIS가 요구하는 개별 화염 감시를 만족하지 않는다.
일본국 특개소 62-153624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4-301370호 공보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파일럿 버너의 화염과, 메인 버너의 화염을 개별로 검출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한 연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소 장치는 주(主) 연소용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노즐과, 주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구와, 상기 공기 공급구의 하류 측에서 지름을 확대해서, 상기 주 연소용 공기의 기류의 바깥쪽으로, 환상(環狀) 또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된 파일럿 연소 공간과, 상기 파일럿 연소 공간에 접선 방향으로 파일럿 공기 및 파일럿 연료를 불어넣어 파일럿 화염을 형성하는 파일럿 버너와, 상기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직시(直視)하지 않고, 상기 파일럿 연소 공간을 바라보아서, 상기 파일럿 화염을 검출하는 파일럿 화염 센서와, 상기 파일럿 연소 공간을 직시하지 않고, 상기 주 연소용 연료가 연소해서 형성하는 메인 화염을 검출하는 메인 화염 센서를 갖추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일럿 버너의 화염을 주 연소용 공기의 기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파일럿 연소 공간에 환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파일럿 버너의 화염이 파일럿 연소 공간 내에 머문다. 이 때문에,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바라보는 메인 화염 센서가 파일럿 버너의 화염을 검지하지 않는다. 또한, 파일럿 화염 센서는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직시하지 않으므로, 메인 버너의 화염을 검지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화염 센서는 상기 파일럿 버너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파일럿 공기의 유로로부터 상기 파일럿 연소 공간을 바라보아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일럿 공기의 유로로부터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바라볼 수 없으므로, 파일럿 화염 센서가 메인 버너의 화염을 검지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염 센서는 상기 공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공기 공급구와 동일한 축 방향으로 상기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바라보아서 상기 메인 화염을 검출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메인 버너의 후단에 메인 화염 센서를 설치하기 때문에, 연소 장치 본체나 노체에 센서용 구멍을 만들 필요가 없어, 장치가 대형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기존 설비의 연소 장치와 부착 치수를 맞출 수 있어, 노체를 손질하지 않고, 연소 장치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연소 공간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 연소용 공기의 기류의 휩쓸림이 적고, 파일럿 버너의 화염을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로 밀려나오게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연소 공간의 하류 측에, 지름을 확대한 1차 연소 공간을 가져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1차 연소 공간에 있어서, 주 연소용 연료와 주 연소용 공기를 혼합해서 연소시킴으로써, 안정된 연소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염 센서는 상기 1차 연소 공간에 개구(開口)하는 관통구멍을 바라보아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메인 버너의 화염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액체 연료를 사용할 경우에도, 메인 화염 센서의 시야가 연료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 연소용 공기의 기류를 둘러싸는 파일럿 연소 공간을 만들고, 파일럿 버너의 화염을 환상으로 형성해서 파일럿 연소 공간 내에 머무르게 하기 때문에, 연소 장치의 내부 또는 근방에 있어서, 파일럿 버너의 화염을 오검출하지 않고, 메인 버너의 화염을 독립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연소 장치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소 장치의 A-A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연소 장치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연소 장치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연소 장치의 축의 직각 방향 단면도이다.
이제부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연소 장치(1)를 나타낸다. 연소 장치(1)는 노벽(2)에 만든 개구에 부착되며, 노 내에 화염을 형성한다. 연소 장치(1)는 노벽(2)에 고정된 장치 본체(3)에, 메인 버너(4)와 파일럿 버너(5)가 부착되어서 이루어진다.
메인 버너(4)는 주 연소용 연료(예를 들면, 천연 가스)를 공급하는 연료 노즐(6)과, 장치 본체(3)에 주 연소용 공기를 연료 노즐(6)을 따라 불어넣는 공기 공급구(7)와, 공기 공급구(7)를 통해 연료 노즐(6) 및 공기 공급구(7)와 동일한 축으로, 장치 본체(3) 내의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바라보는 메인 화염 센서(8)를 가진다. 메인 화염 센서(8)는 화염이 내는 특정한 파장의 자외선을 검출하는 자외선 화염 센서이다. 또한, 메인 화염 센서(8)는 메인 버너(4)의 후단에 설치된 관통구멍(9)으로부터, 도면 중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장치 본체(3) 및 노 내를 바라본다.
장치 본체(3)는 공기 공급구(7)로부터 불어 넣어진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둘러싸도록, 공기 공급구(7)의 하류 측의 지름을 확대해서 이루어지는 공기 공급구(7)와 동일한 축의 환상 홈(10)이 형성되어 있고, 환상 홈(10)은 주 연소용 공기의 기류의 바깥쪽에, 주 연소용 공기의 영향(공기의 휩쓸림)을 받지 않는 파일럿 연소 공간(11)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장치 본체(3)는 환상 홈(10)의 하류 측에,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다시 지름을 확대해서 이루어지는 1차 연소 공간(12)을 가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럿 버너(5)는 파일럿 공기의 유로를 구성하는 버너 본체(13) 내에, 파일럿 연료(예를 들면, 천연 가스)를 공급하는 연료 노즐(14)이 연신(延伸)되어 있고, 버너 본체(13)의 후단(後端)에 설치되며, 버너 본체(13) 내의 파일럿 공기의 유로를 통해 연료 노즐(14)과 평행하게 파일럿 연소 공간(11)을 바라보는 자외선 화염 센서인 파일럿 화염 센서(15)를 가진다.
파일럿 버너(5)는 환상 홈(10)의 바닥 벽을 따라, 파일럿 연료 및 파일럿 공기를 파일럿 연소 공간(11)에 접선 방향으로 불어넣어서, 파일럿 연소 공간(11) 내에, 환상 홈(10)의 바닥 벽을 따라 연신하는 환상의 화염을 형성한다. 여기서, 파일럿 버너(5)는, 형성되는 화염이 파일럿 연소 공간(11)으로부터 안쪽의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에 밀려나오지 않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메인 화염 센서(8)는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주 연소용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상류 측에서 바라보기 때문에, 주 연소용 공기와 주 연소용 연료가 혼합 연소해서 형성되는 화염의 장단(長短)에 관계없이, 형성된 화염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화염 센서(8)는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의 바깥쪽에 형성된 파일럿 연소 공간(11) 내를 바라볼 수 없다. 즉, 메인 화염 센서(8)는 파일럿 연소 공간(11)을 직시하지 않으므로, 메인 버너(4)의 화염을 검출할 수는 있지만, 파일럿 연소 공간(11) 내에 머무르는 파일럿 버너(5)의 화염을 검출하지 못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화염 센서(8)의 부착 위치를, 공기 공급구(7)의 축 둘레의 각도에 있어서, 파일럿 버너(5)의 화염의 하류 측(파일럿 버너(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되도록 하면, 가령, 파일럿 버너(5)의 화염이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에 밀려나왔다고 하더라도, 메인 화염 센서(8)가 실수로 파일럿 버너(5)의 화염을 검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파일럿 화염 센서(15)는 파일럿 버너(5)가 파일럿 연소 공간(11) 내에 형성하는 화염을 검출할 수 있지만,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바라볼 수 없으므로, 메인 버너(4)가 형성하는 화염을 검출하지 못한다.
이상과 같이, 연소 장치(1)에 있어서, 메인 화염 센서(8) 및 파일럿 화염 센서(15)는 연소 공기의 유로를 통해 화염을 검출하기 때문에, 메인 화염 센서(8) 및 파일럿 화염 센서(15)를 향해 화염으로부터 그을음 등이 흘러나오지 않는다. 이 때문에, 메인 화염 센서(8) 및 파일럿 화염 센서(15)의 시야가 그을음 등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메인 화염 센서(8) 및 파일럿 화염 센서(15) 또는 그 시야에 그을음 등이 부착되는 일이 적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간단하다.
또한, 이 연소 장치(1)는 메인 버너(4)의 화염을 검출하는 메인 화염 센서(8)를 위해, 노벽(2) 또는 장치 본체(3)에 구멍을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가 대형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연소 장치(1)는 기존의 노에 설치되어 있는 연소 장치와, 노체의 개구를 크게 하거나 다른 구멍을 뚫지 않고,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연소 장치(1)를 나타낸다. 또한, 이 이후에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연소 장치(1)에 있어서, 파일럿 연소 공간(11)은 U자형의 홈(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연소 장치(1)에서는 장치 본체(3)에, 1차 연소 공간(12)에 개구하는 관통구멍(9)이 설치되고, 메인 화염 센서(8)는 장치 본체(3)의 관통구멍(9)을 바라보아서 1차 연소 공간(12) 내의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감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주 연소용 연료로서 중유 등을 사용하였을 때, 제1실시형태와 같이 메인 버너(4)의 후단에 메인 화염 센서(8)를 설치하면, 액체의 주 연소용 연료가 메인 화염 센서(8)의 시야를 차단한다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10)을 U자형의, 열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모서리가 없는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장치 본체(3)에 열이력(熱履歷)에 의한 균열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에 비해서, 메인 버너(4)의 연료 노즐(6)이 길다. 이것은 본 실시형태의 연료 노즐(6)이, 선단이 밀봉되어, 주 연소용 연료를 지름 방향의 구멍으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주 연소용 연료와 주 연소용 공기가 혼합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 연소 장치(1)에서는 파일럿 버너(5)의 화염이 파일럿 연소 공간(11) 내에 머무르고, 1차 연소 공간(12)에 누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메인 화염 센서(8)는 1차 연소 공간(12) 내부 또는 연소 장치(1) 근방의 노 내를 감시해서, 메인 버너(4)의 연소의 유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연소 장치(1)도, 장치 본체(3)가 대형화되지 않고, 기존 설비의 연소 장치와 간단하게 바꿔 놓을 수 있다. 또한, 메인 화염 센서(8)로, 1차 연소 공간(12)의 내부 또는 연소 장치(1) 근방의 노 내를 감시하면 되기 때문에, 연소 장치(1)의 연소 용량을 줄였을 때(turndown)에도, 메인 버너(4)의 연소 상태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연소 장치(1)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일럿 연소 공간(11)은 장치 본체(3)의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불연속(스텝 모양)으로 급속히 확대함으로써 생긴, 주 연소용 공기가 휩쓸릴 수 없는 환상(環狀)의 영역이며, 1차 연소 공간(12)과 일체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파일럿 연소 공간(11)은 주 연소용 공기의 흐름을 환상(環狀) 또는 통상(筒狀)으로 둘러싸서, 내부의 가스가 주 연소용 공기의 기류에 끌려나오지 않는 공간이라면 좋다.
또한, 도 5에,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연소 장치(1)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본체(3)에, 파일럿 연소 공간(11)에 개구하는 관통구멍(16)이 형성되어 있고, 파일럿 화염 센서(15)는 관통구멍(16)을 바라보아서, 파일럿 연소 공간(11) 내에 형성되는 파일럿 버너(5)의 화염을 감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화염 센서(15)의 위치도, 파일럿 버너(5)의 후단에 한정되지 않지만, 파일럿 화염 센서(15)는 메인 버너(4)의 화염이 형성될 수 있는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직시하지 않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다.
1: 연소 장치 2: 노벽
3: 장치 본체 4: 메인 버너
5: 파일럿 버너 6: 연료 노즐
7: 공기 공급구 8: 메인 화염 센서
9: 관통구멍 10: 홈
11: 파일럿 연소 공간 12: 1차 연소 공간
13: 버너 본체 14: 연료 노즐
15: 파일럿 화염 센서 16: 관통구멍

Claims (6)

  1. 주 연소용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노즐과,
    주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구와,
    상기 공기 공급구의 하류 측에서 지름을 확대해서, 상기 주 연소용 공기의 기류의 바깥쪽에, 환상(環狀)의 홈 형상으로 형성된 파일럿 연소 공간과,
    상기 파일럿 연소 공간에, 접선 방향으로 파일럿 공기 및 파일럿 연료를 불어넣어 파일럿 화염을 형성하는 파일럿 버너와,
    상기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직시하지 않고, 상기 파일럿 연소 공간을 바라보아서, 상기 파일럿 화염을 검출하는 파일럿 화염 센서와,
    상기 파일럿 연소 공간을 직시하지 않고, 상기 주 연소용 연료가 연소해서 형성되는 메인 화염을 검출하는 메인 화염 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화염 센서는 상기 파일럿 버너 후단(後端)에 설치되고, 상기 파일럿 공기의 유로(流路)로부터 상기 파일럿 연소 공간을 바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염 센서는 상기 공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공기 공급구와 동일한 축 방향으로 상기 주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바라보아서 상기 메인 화염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연소 공간의 하류 측에, 지름을 확대한 1차 연소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염 센서는 상기 1차 연소 공간에 개구하는 관통구멍을 바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장치.
KR1020100049059A 2009-06-02 2010-05-26 연소 장치 KR101059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3050A JP4673419B2 (ja) 2009-06-02 2009-06-02 燃焼装置
JPJP-P-2009-133050 2009-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150A KR20100130150A (ko) 2010-12-10
KR101059646B1 true KR101059646B1 (ko) 2011-08-25

Family

ID=4326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059A KR101059646B1 (ko) 2009-06-02 2010-05-26 연소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73419B2 (ko)
KR (1) KR101059646B1 (ko)
CN (1) CN101907297B (ko)
TW (1) TWI4312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2549A1 (en) 2013-01-23 2014-07-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tank water heater systems
US20150277463A1 (en) 2014-03-25 2015-10-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ommunication, optimization and demand control for an appliance
US10670302B2 (en) 2014-03-25 2020-06-02 Ademco Inc. Pilot light control for an appliance
US9799201B2 (en) 2015-03-05 2017-10-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ater heater leak detection system
US9920930B2 (en) 2015-04-17 2018-03-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opile assembly with heat sink
US10132510B2 (en) 2015-12-09 2018-11-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approach for water heater comfort and efficiency improvement
CN106090998A (zh) * 2016-06-28 2016-11-09 无锡锡能锅炉有限公司 一种锅炉燃烧器的分散控制方法
CN106090999A (zh) * 2016-06-28 2016-11-09 无锡锡能锅炉有限公司 一种锅炉燃烧器的控制方法
US10119726B2 (en) 2016-10-06 2018-11-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ater heater status monitoring system
US10969143B2 (en) 2019-06-06 2021-04-06 Ademco Inc. Method for detecting a non-closing water heater main gas val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9634U (ko) 1985-03-08 1986-09-16
JP2001272010A (ja) 2000-03-29 2001-10-05 Sumikin Manegement Co Ltd パイロットバーナ
JP2007101155A (ja) 2005-10-07 2007-04-19 Asahi Tec Corp 熱風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3842A (en) * 1951-03-15 1955-11-15 Morgan Construction Co Regenerative furnace apparatus having flue gas separators
GB2182764B (en) * 1985-11-12 1989-10-04 British Gas Corp Operation of a pulse firred burner
JPH03170717A (ja) * 1989-11-30 1991-07-24 Toyota Motor Corp バーナの燃焼制御装置
CN2237784Y (zh) * 1995-07-14 1996-10-16 王毓奎 火焰喷射式点火装置
JP2004301370A (ja) * 2003-03-28 2004-10-28 Osaka Gas Co Ltd 火炎検知装置
CN200952727Y (zh) * 2006-09-15 2007-09-2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蓄热式燃烧器点火的点火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9634U (ko) 1985-03-08 1986-09-16
JP2001272010A (ja) 2000-03-29 2001-10-05 Sumikin Manegement Co Ltd パイロットバーナ
JP2007101155A (ja) 2005-10-07 2007-04-19 Asahi Tec Corp 熱風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43882A (en) 2010-12-16
JP4673419B2 (ja) 2011-04-20
CN101907297A (zh) 2010-12-08
TWI431223B (zh) 2014-03-21
KR20100130150A (ko) 2010-12-10
CN101907297B (zh) 2012-11-21
JP2010281472A (ja)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646B1 (ko) 연소 장치
US11242993B2 (en) Nozzle, burner, combustor, gas turbine, and gas turbine system
US6736635B1 (en) Combustor for exhaust gas treatment
EP1342954B1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n igniter within a liner port of a gas turbine engine
US20080268387A1 (en) Combustion equipment and burner combustion method
JP4246067B2 (ja) 燃料ランス
JP2008008611A (ja) ターボ機械の燃焼室のためのツイスト−ロック式の結合を備える構造
US11761383B2 (en) Burner with torch ignition mechanis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3270369A (zh) 带有燃料喷嘴的燃气轮机燃烧室,带有这种燃料喷嘴的燃烧器,以及燃料喷嘴
CN102927591A (zh) 用于监测燃烧器的系统和方法
EP2853813B1 (en) Burner head
KR101290082B1 (ko) 모자버너
US6840760B1 (en) Gas-assisted flare burner
US7618254B2 (en) Method for igniting a burner
JP2010230236A (ja) フレアチップ
JP5517886B2 (ja) 点火トーチ及び加圧型ガス化炉
US6981866B2 (en) Burner for a thermal post-combustion device
JP6124596B2 (ja) バーナノズル及び火炎検知構造
US20150099232A1 (en) Low NOx Burner with Low Pressure Drop
KR20110076634A (ko) 저열량 가스 연료의 공기연소버너
US11506381B2 (en) Plug-resistant burner tip and method
RU2003925C1 (ru) Оголовок факе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RU2193730C1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WO2004102071A1 (en) Burner
BR0300696B1 (pt) dispositivo anel para alterar a entrada de ar e a mistura ar-gás em toch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