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504B1 -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504B1
KR101058504B1 KR1020110012522A KR20110012522A KR101058504B1 KR 101058504 B1 KR101058504 B1 KR 101058504B1 KR 1020110012522 A KR1020110012522 A KR 1020110012522A KR 20110012522 A KR20110012522 A KR 20110012522A KR 101058504 B1 KR101058504 B1 KR 10105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ase
intaglio
display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동헌
Original Assignee
진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동헌 filed Critical 진동헌
Priority to KR102011001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3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press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6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relating to melt (thermal) mass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각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어 입체감을 갖는 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적으로 입체감 제공과 함께 대량 생산성 확보 및 원목무늬 등 보다 미려하고 다양한 장식 무늬의 구현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하여 전사방식에 의하여 베이스의 평편부 뿐 아니라 음각 표시부에도 장식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표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표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은 단계; 및 (b) 전사방식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의 평편부에 색상 또는 문양을 형성하여 제1장식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차례로 거쳐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SIGN}
본 발명은 음각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어 입체감을 갖는 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적으로 입체감 제공과 함께 대량 생산성 확보 및 원목무늬 등 보다 미려하고 다양한 장식 무늬의 구현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하여 전사방식에 의하여 베이스의 평편부 뿐 아니라 음각 표시부에도 장식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표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표지에 관한 것이다.
간판, 아파트 현관문의 호수 표지판, 화장실 등의 각종 안내판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표지(sign)는 통상 주문에 의하여 소량 생산되거나,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미시오'나 '당기시오'(이상 출입문에 부착), 남녀 화장실 안내판 등은 문구점 등에 전시되어 소비자가 필요에 따라 구매하여 이형지를 제거하고 필요한 장소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 표지는 대부분 인쇄에 의하여 안내문구나 숫자, 각종 기호가 표시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평면적이므로 입체감이 없어 보다 다양한 미감 제공에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 인쇄가 아닌 전사방식을 이용한 표지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 제0571090호(2006년04월07일) [명찰의 제조방법] 및 특허 제0997521호(2010년11월24일) [명찰의 제조방법]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단순히 전사방식에 의하여 명찰에 맞는 문구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어서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는 기술과는 거리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입체감 부여, 대량 생산성 확보 및 원목무늬 등 보다 미려하고 다양한 장식 무늬의 구현을 위하여 음각 표시부가 구비된 베이스의 평편부에 전사방식을 채용하여 제1장식부를 구현한 표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표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전사, 인쇄 또는 증착을 통하여 음각 표시부에 색상 또는 문양을 형성하여 제2장식부를 구현함으로써 베이스의 평편부에 구비된 제1장식부와 구별되고 돋보이는 제2장식부를 얻을 수 있는 표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베이스에 음각 표시부를 형성함에 있어 사출 또는 압출 성형 방법을 채용하여 대량생산성 및 단가경쟁력을 확보한 표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은
(a)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음각 형태인 표시부와 평편부가 구비된 베이스의 제조단계; 및
(b) 전사방식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의 평편부에 색상 또는 문양을 형성하여 제1장식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차례로 거쳐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에서
(c) 상기 음각 표시부에 색상 또는 문양을 형성하여 제2장식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거치며,
상기 (c)단계는 전사, 인쇄 또는 증착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a)단계는 사출 또는 압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표지는 베이스의 평편부에 전사방식을 채용하여 제1장식부를 구현하여 기본적으로 입체감 부여, 대량 생산성 확보 및 원목무늬 등 보다 미려하고 다양한 장식 무늬의 구현이 가능하며, 또 전사, 인쇄 또는 증착을 통하여 음각 표시부에 색상 또는 문양을 형성하여 제2장식부를 구현함으로써 베이스의 평편부에 구비된 제1장식부와 구별되고 돋보이는 제2장식부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베이스에 음각 표시부를 형성함에 있어 사출 또는 압출 성형 방법을 채용하여 대량생산성 및 단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을 위한 베이스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표지에 대한 도면.
도 2a, 도 2b, 도2c는 각각 전사방식에 의하여 제1 및 제2 장식부가 얻어지는 공정과 관련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은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음각 형태인 표시부(B1)와 평편부(B2)가 구비된 베이스(B)의 제조를 위하여 (a)단계를 거치게 된다.
도 1 [A]의 사시도에서, 음각 표시부(B1)에 형성된 문자, 숫자 및 각종 기호는 국가별, 시대별로 사용되거나 사용되었던 것은 물론, 새롭게 약속되거나 규정된 것들을 포괄하는, 각종 안내, 정보제공, 경고 등을 위한 임의의 표시체계를 의미한다.
상기 (a)단계는 사출 또는 압출에 의하여 이루어져서 대량생산성 및 단가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는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재생 또는 재활용 수지 포함)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사출방식은 공지의 방법과 같이 금형(또는 다양한 형틀)을 사용하며, 압출방식은 특히 음각 표시부에 상응하는 돌출부가 구비된 드럼을 이용한 공지의 롤 압출기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만약, 베이스의 표시부가 양각의 것이라면 인쇄 또는 증착방식으로 양각부나 평편부에 색상 또는 문양을 형성하는 것이 무난할 뿐,
전사방식을 채용한다면 돌출된 양각부로 인하여 평편부와 전사지가 들떠
특히 평편부에 전사방식으로 색상 또는 문양을 형성하는 경우 불량발생률이 크게 증가되며, 상품성도 없게 될 수밖에 없으며,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 심지어는 양각부에도 양산성 및 상품성을 갖는 품질의 색상이나 문양을 전사 형성하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도 1 [A]에서, 베이스(B)는 음각 표시부(B1) 외의 부분에 해당하는 평편부(B2) 및 양단의 걸림부(B3)를 갖는데,
도 2a와 같이 상기 걸림부(B3)는 전사, 특히 열전사 공법을 위하여 롤러(R)를 통과하는 경우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수단(C)의 걸림브라켓(C1)에 결합되어 보다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함은 물론,
최종 표지(S)를 출입문 등에 부착하는 경우 이 양 걸림부(B3)를 압지하는 브라켓이나 프레임을 채용하여 표지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으로 전사방식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B)의 평편부(B2)에 색상 또는 문양을 형성하여 제1장식부(D1)를 형성하는 (b)단계를 거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a)단계' 및 '(b)단계'와 '(a)단계' 및 '(c)단계'는 각각 제조 공정상 선후 관계에 있으나, '(b)단계' 및 '(c)단계'는 공정상의 선후 관계와는 관련이 없다.
제1장식부(D1)는 도 1 [B] 및 도 2a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이형지(P)에 의하여 보호되고 제1전사부(T1)를 갖는 전사지를
이송수단(C)의 걸림브라켓(C1)에 걸림부(B3)가 결합되어 고정된 베이스(B) 위에 배열하고,
이송에 따라 가압 및 가열된 열전사롤러(R)를 통과하면서 전사지의 색상 또는 문양이 베이스(B)의 평편부(B2) 전사되어 형성된다.
전사지의 문양은 원목무늬 등 자연 소재를 모방한 것이거나, 각종 명화, 파노라마 타입으로 변화하는 색상 등 다양한 것이 선택될 수 있으며,
전사지의 문양 및 색상은 주된 정보를 나타내는 음각 표시부(B1)의 시인성을 해치지 않고, 가급적 돋보이게 하는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지에서 베이스(B)로 전사된 제1전사부(T1)는 도 2a의 우측 일점 쇄선 원 내의 확대도면에서와 같이,
베이스(B)의 음각 표시부(B1) 저면에는 부착되지 않을 정도의 압력으로 전사롤러(R)가 가압되며,
음각 표시부(B1)에 위치한 제1전사부(T1)의 제거부(T1b)는 이형지(P)의 제거와 함께 부분적으로 제거되고, 나머지는 브러시나 에어제트 등을 이용하여 분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B)의 평편부(B2)에는 최종적으로 제1전사부 중 잔류부(T1a)가 남게 된다.
또 도 2a의 우측 일점 쇄선 원 내의 확대도에서, 음각 표시부(B1) 및 평편부(B2) 사이의 경계부위가 가능한 직각부(B1b)를 구성하여 제거부(T1b)의 분리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점에서 도 1 [C] 및 도 2b와 도 2c의 경우와 대비된다.
또 도 2a의 상부 일점 쇄선 원 내의 확대도 및 도 1 [B]와 같이, 음각 표시부에 색상 또는 문양을 형성하여 제2장식부를 형성하는 (c)단계를 거쳐 색상 또는 문양을 역시 음각 표시부(B1)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한 주된 정보를 나타내는 음각 표시부를 상대적으로 돋보이게 하고, 입체감을 강화하며, 미려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의 상부 일점 쇄선 원 내의 확대도 및 도 1 [B]에서, 특히 음각 표시부(B1)에 도입되는 제2장식부(D2)는 인쇄 또는 증착에 의하여 구현되며, 이 경우 (b)단계 후 (c)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b와 같이, 필요에 따라 베이스(B)의 평편부(B2)뿐 아니라 음각 표시부(B1)에도 전사방식으로 한꺼번에 제1 및 제2 장식부(D1)(D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사롤러(R)의 하방 가압력은 상대적으로 커서, 탄성을 갖는 롤러(R)의 표면이 변형되면서 베이스(B)의 음각 표시부(B1) 내면까지 접촉하는 형태로 파고들면서
전사지의 제1전사부(T1)를 하부로 가압 밀착시켜 전사가 진행되게 되어
최종적으로 이형지(P)를 제거하면 베이스(B)의 평편부(B2)는 물론 음각 표시부(B1)에도 제1전사부(T1)가 남게 된다.
이때 도 2a에서와 달리, 도 2b의 형태에서는(상부 일점 쇄선 원 내 참조) 음각 표시부(B1) 및 평편부(B2) 사이의 경계부위가 가능한 완만한 경사부(B1a)를 이루어 전체적으로 전사지의 전사부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 특히 열전사를 통하여 얻어진 베이스(B)의 평편부(B2)와 음각 표시부(B1)의 제1 및 제2 장식부(D1)(D2)는 동일한 문양이나 색상을 갖거나,
전사지의 제조에 따라서는 한 번에 전사가 이루어져도 평편부(B2)와 음각 표시부(B1)의 제1 및 제2 장식부(D1)(D2)는 색상이나 문양의 차이에 의하여 서로 구별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b의 상태로 공정이 종결되어 최종 표지가 완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전사공정을 더 거쳐 도 2c 및 도 1 [C]의 공법 및 표지((S)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장식부(D1) 및 제2장식부(D2)는 각각 베이스의 평편부(B2) 및 음각 표시부(B1)에 형성되는 베이스 자체의 색상 외의 색상이나 문양을 의미한다.
또 제1 및 제2 전사부와 관련하여, 도 1 [A], 도 2a 및 도 2b에서 제1전사부(T1)는 단순히 도 2c 및 도 1 [C]와 관련하여 상호 무관한 제2전사부(T2)와의 구별을 위한 의미이다.
이와 달리(무관하게) 도 2c 및 도 1 [C]에서의 제1전사부(T1)는 평편부(B2)에 최종적으로 남아(노출되어) 제1장식부(D1)를 형성하는 전사부를 의미하고,
제2전사부(T2)는 도 2b 및 도 2c에서와 같이 제1전사부 보다 먼저 전사가 이루어지나 최종적으로 평편부(B2)의 것은 가려지고 음각 표시부(B1)의 것만 노출되는 전사부를 의미하는 것이어서, 전사순서와는 무관한 지칭이다.
도 2c를 살펴보면, 도 2b와 같은 공정을 거친 상태에서, 베이스(B)의 평편부(B2) 및 음각 표시부(B1)를 전체적으로 덮는 제2전사부(T2) 위로 다른 전사지를 위치시키고,
도 2b에서보다는 낮은 압력을 가하여 전사롤러(R)에 의하여 제1전사부(T1)가 전사되도록 하여, 제1전사부는 음각 표시부(B1) 위의 제2전사부(최종적으로 노출부(T2a)를 형성함)와는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도 2b의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확대단면도에서와 같이, 역시 음각 표시부(B1) 위의 제1전사부(T1)의 제거부(T1b)를 제거하면, 제1전사부(T1)의 잔류부(T1a)는 평편부(B2)를 덮고 노출된다.
따라서 제1전사부(T1)의 잔류부(T1a)는 제1장식부(D1)를 형성하고,
그 밑에는 제2전사부(T2)의 가려져 차폐부(T2b)를 형성하며, 음각 표시부(B1)에 부착된 제2전사부(T2)는 노출부(T2a)를 형성하여 음각 표시부(B2)의 정보를 현출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베이스의 소재, 구체적인 열전사 공법을 위한 온도 및 압력, 전사지의 제조방법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공정과 특정 형상을 갖는 표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표지 B: 베이스
B1: 음각 표시부 B1: 평판부
B3: 걸림부 D1,D2: 장식부
T1,T2: 전사부 C: 이송수단
R: 전사롤러

Claims (4)

  1. (a)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음각 형태인 표시부(B1)와 평편부(B2)가 구비된 베이스(B)의 제조단계;
    (b) 전사방식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B)의 평편부(B2)에 색상 또는 문양을 형성하여 제1장식부(D1)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음각 표시부(B1)에 색상 또는 문양을 형성하여 제2장식부(D2)를 형성하는 단계를 차례를 거쳐 이루어지되,
    상기 (c)단계는 (b)단계 보다 먼저 진행되고, 제2장식부(D2)는 전사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c)단계에서
    전사를 위한 전사롤러(R)의 하방 가압력은 (b)단계 보다 (c)단계가 상대적으로 더 커서 탄성을 갖는 전사롤러(R)의 표면이 변형되면서 베이스(B)의 음각 표시부(B1) 내면까지 접촉하는 형태로 파고들면서 전사지의 제2전사부(T2)를 하부로 가압 밀착시켜 전사가 진행되게 되어 최종적으로 이형지(P)를 제거하면 베이스(B)의 평편부(B2) 및 음각 표시부(B1)에 제2전사부(T2)를 구성하는 노출부(T2a)가 남게 되고,

    상기 (b)단계에서
    베이스(B)의 평편부(B2) 및 음각 표시부(B1)를 전체적으로 덮는 제2전사부(T2) 위로 다른 전사지를 위치시키고,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가하여 전사롤러(R)에 의하여 제1전사부(T1)가 전사되도록 하여, 제1전사부는 음각 표시부(B1) 위의 제2전사부의 노출부(T2a)와 부착되지 않도록 하며, 음각 표시부(B1) 위의 제1전사부(T1)의 제거부(T1b)를 제거하면 제1전사부(T1)의 잔류부(T1a)는 평편부(B2)를 덮고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베이스(B)는 음각 표시부(B1) 및 평편부(B2) 사이의 경계부위가 완만한 경사부(B1a)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사출 또는 압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되는 베이스(B)는 양단의 걸림부(B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KR1020110012522A 2011-02-11 2011-02-11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KR10105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522A KR101058504B1 (ko) 2011-02-11 2011-02-11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522A KR101058504B1 (ko) 2011-02-11 2011-02-11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504B1 true KR101058504B1 (ko) 2011-08-23

Family

ID=4493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522A KR101058504B1 (ko) 2011-02-11 2011-02-11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50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5329B2 (en) Method for decorating plastic parts
CN105659309B (zh) 用于装饰瓶子的标签、瓶子以及加工这种标签的方法
KR101347187B1 (ko) 발광 버튼키의 제조방법
CN104520119B (zh) 用于转移压印膜的装饰部段的方法
CN103171230A (zh) 功能性保护贴的制造方法
JP4833772B2 (ja) 装飾パネル
CN110267790A (zh) 生产具有经装饰表面的塑料成型件的方法和具有经装饰表面的塑料成型件
JP5750747B1 (ja) 微細線模様の成形方法
CN102529189A (zh) 模内装饰成型膜以及具有纹路的外观件的制作方法
TWI469883B (zh) 部分消光硬塗膜轉印片及其製造方法
JP2006187938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成形品
KR101058504B1 (ko) 음각 표시부를 구비한 표지의 제조방법
JP2006305898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成形品
JP2009083203A (ja) 合成樹脂製加飾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加飾方法
KR102033683B1 (ko) 두께감 및 메탈감을 갖는 고광택 문양 구현이 가능한 데코필름 제조방법 및 그 데코필름
CN102529190A (zh) 外观件的装饰膜以及具有纹路的外观件的制作方法
KR100952994B1 (ko) 입체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입체시트
JP2011224803A (ja) 印刷シート、印刷シート中間体及び印刷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070336B1 (ko) Uv몰딩에 의한 패턴층을 구비한 가식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가식시트
CN204143766U (zh) 一种刮开式3d数码防伪标识
KR101325963B1 (ko) 수지성형 조각장식을 갖는 차량용 계기명판 제조방법
CN109856717A (zh) 一种用于防水拉链的3d光栅标签的生产工艺
JP2001130195A (ja) エンブレ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99697A (ja) 金属彫刻様鋳出し外観を有する小形装飾部材の製造方法
EP3047966B1 (en) Decorated lamina of an adhesive unit and decoration process of said lam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