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305B1 -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305B1
KR101058305B1 KR1020090087882A KR20090087882A KR101058305B1 KR 101058305 B1 KR101058305 B1 KR 101058305B1 KR 1020090087882 A KR1020090087882 A KR 1020090087882A KR 20090087882 A KR20090087882 A KR 20090087882A KR 101058305 B1 KR101058305 B1 KR 101058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headword
dictionary
order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590A (ko
Inventor
가츠시 히라노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6Indexing structures
    • G06F16/319Inverted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표제어 일람모드에서, 사전으로부터 판독된 각 표제어가 그 언어에 따른 소정의 문자순(abc순 또는 50음순)으로 소트되어 표제어 일람표시(18a)로서 표시되는 동시에, 상하 커서 키에 의해 상단 또는 하단에 있는 표제어가 선택표제어로서 설정되고, 좌우 커서 키에 의해 해당 선택표제어의 n번째의 문자에 커서(Cu)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하 페이지 이동 키가 조작되면, 커서(Cu)가 위치하는 n번째의 문자에 있어서 그 문자종류가 다른 문자가 되는 상단 또는 하단방향에 있는 최초의 표제어가 새로운 선택표제어로서 설정되며, 커서(Cu)가 새로 바뀌어 붙여져 표시된다. 역/결정 키가 조작되면, 선택표제어의 설명정보가 사전으로부터 판독되어 표시부(18)에 전개 표시된다.
표제어, 사전콘텐츠, 사전기능, 전자장치, 기록매체, 터치패널

Description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ELECTRONIC APPARATUS WITH DICTIONARY FUNC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사전콘텐츠를 탑재하고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및 컴퓨터시스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에 대한 일련의 처리절차를 수용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전장치는, 히라가나나 알파벳의 문자입력 키를 배치한 키보드를 구비하고, 소망의 표제어를 검색할 때에는, 사용자는 검색대상이 되는 표제어의 문자열의 읽기를 문자입력 키에 의해 입력한다. 이에 따라 입력된 검색대상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표제어가 검색되어 표시되고, 결정 키를 조작하는 것으로 해당 검색된 표제어의 설명정보가 판독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자사전장치에서는, (1) 검색대상이 되는 표제어의 문자열의 읽기에 대응시킨 문자입력 키의 조작이 번거롭다, (2) 문자입력 키를 배치한 키보드를 익숙하게 다룰 수 없는 사용자도 있다, (3) 키보드를 구비할 필요로부터 장치 본체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50음순이나 알파벳순으로 한 표제어의 인덱스로부터 소망의 범위를 펜 터치함으로써, 그 터치 위치에 대응한 표제어의 일람을 표시시키도록 한, 전자사전이 고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07-23046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 표제어의 인덱스를 펜 터치해서 대응하는 표제어 일람을 표시시키도록 한 종래의 전자사전에서는, 키보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번거로운 키 조작도 필요 없지만, 펜 터치를 인식하는 디바이스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키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직감적으로 소망의 표제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및 컴퓨터시스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에 대한 일련의 처리절차를 수용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소정의 문자순에 따른 복수의 표제어와, 각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사전기억수단과, 제 1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사전기억수단에 의해 기억된 임의의 표제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제 2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제어 내의 임의의 1문자를 지정해서 식별 표시시키는 식별표시수단과, 제 3 방향지시 키가 입력되면, 해당 제 3 방향지시 키에 의해 지시된 방향이고, 또한 그때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의 문자가 해당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와 다른 종류의 문자가 되는 최초의 표제어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재선택하는 재선택수단과, 선택된 표제어 및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하는 사전표시수단을 구비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위한 일련의 명령군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소정의 문자순에 따른 복수의 표제어와, 각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대응지어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명령군과, 제 1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임의의 표제어를 선택시키는 명령군과, 제 2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선택된 표제어 내의 임의의 1문자를 지정시켜서 표시부에 식별 표시시키는 명령군과, 제 3 방향지시 키가 조작되면, 해당 제 3 방향지시 키에 의해 지시된 방향이고, 또한 그때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의 문자가 해당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와 다른 종류의 문자가 되는 최초의 표제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재선택시키는 명령군과, 선택된 표제어 및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명령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제 1∼제 3 방향지시 키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 유닛과, 소정의 문자순에 따른 복수의 표제어와, 각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임의의 표제어를 선택하며, 제 2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선택된 표제어 내의 임의의 1문자를 지정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식별 표시 제어하고, 제 3 방향지시 키가 입력되면, 해당 제 3 방향지시 키에 의해 지시된 방향이고, 또한 그때 식별 표시 제어하고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의 문자가 해당 식별 표시 제어하고 있는 문자와 다른 종류의 문자가 되는 최초의 표제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재선택하며, 선택된 표제어 및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 제어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키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직감적으로 소망의 표제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및 컴퓨터시스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에 대한 일련의 처리절차를 수용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전자사전장치(10)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는, 이하에 설명하는 전자사전 전용의 휴대 기기(전자사전장치(10))로서 구성되던지, 사전기능을 구비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C(personal computer), 휴대전화, 전자북, 휴대게임기 등으로서 구성된다.
이 전자사전장치(10)는 각종의 기억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또는, 전송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그 판독한 프로그램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되는 컴퓨터에 의 해서 구성된다. 그 전자회로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가 구비된다.
CPU(11)는, 주기억장치(플래시메모리, 12) 내에 미리 기억된 장치제어프로그램, ROM카드 등의 외부기억매체(13)로부터 기억매체 읽고 쓰기부(14)를 통하여 상기 주기억장치(12)에 판독된 장치제어프로그램, 또는, 인터넷(N)상의 Web서버(이 경우는 프로그램서버, 20)로부터 통신제어부(15)를 통하여 상기 주기억장치(12)에 판독된 장치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RAM(16)을 작업용 메모리로서 회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주기억장치(12)에 기억된 장치제어프로그램은 입력부(17)로부터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입력신호, 통신제어부(15)를 통하여 접속되는 인터넷(N)상의 각 Web서버(20)…와의 통신신호, 또는, 기억매체 읽고 쓰기부(14)를 통하여 외부 접속되는 EEPROM, RAM, ROM 등의 메모리ㆍ카드(기억매체, 13)와의 접속통신신호에 따라서 기동된다.
상기 CPU(11)에는 상기 주기억장치(12), 기억매체 읽고 쓰기부(14), 통신제어부(15), RAM(16), 입력부(17) 및 표시부(18) 등이 접속된다.
주기억장치(12)에는 장치제어프로그램으로서 해당 전자사전장치(10)의 전체의 동작을 담당하는 시스템프로그램 및 통신제어부(15)를 통하여 인터넷(N)상의 각 Web서버(20)…나 도시하지 않는 사용자 PC(Personal Computer) 등과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통신프로그램이 기억된다. 또, 주기억장치(12)에는 검색문자열의 키 입력에 따라서 표제어를 검색하는 모드(표제어 검색모드), 또는 표제어 일람으로부터 커서 키 입력에 따라서 표제어를 검색하는 모드(표제어 일람모드)를 선택하여 표제 어를 검색하는 처리, 선택표제어에 대응한 역어ㆍ의미내용ㆍ예문(용례) 등의 각종 설명정보의 판독표시처리 등, 동일 주기억장치(12) 내에 기억된 사전데이터베이스(12b)에 의거하는 검색처리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처리프로그램(12a)이 기억된다.
상기 사전데이터베이스(12b)가 갖는 복수 종류의 사전콘텐츠(12b1, 12b2,…)로서는, 예를 들면 「국어사전」 「영일사전」 「일영사전」 「한자사전」 「4자숙어사전」 「백과사전」 등이 있으며, 종류가 다른 사전데이터가 미리, 혹은 다운로드되어 복수 종류 기억된다.
각 사전콘텐츠(12b1, 12b2,…)는 각각의 언어에 따른 소정의 순번으로 배열된 표제어(W), 각 표제어(W)에 대응지어진 해당 표제어의 역어ㆍ의미내용ㆍ예문(용례) 등의 설명정보(D)를 갖는다.
또, 상기 사전데이터베이스(12b)가 갖는 표제어 일람리스트(선두문자부터 소트, 12Lh)는 각 사전콘텐츠(12b1, 12b2,…)마다 그 모든 표제어(W…)를 선두의 문자부터 소정의 문자순(50음순, 알파벳순 등)으로 소트한 것이다. 또 표제어 일람리스트(말미문자부터 소트, 12Le)는 각 사전콘텐츠(12b1, 12b2,…)마다 그 모든 표제어(W…)를 말미의 문자부터 소정의 문자순으로 소트한 것이다.
RAM(16)은 표시부(18)의 표시화면에 대응한 표시데이터의 기억영역을 갖는다. 그 표시화면에 표시해야 할 데이터가 비트맵의 패턴 데이터로서 전개 기억되는 표시메모리, 상기 각종 처리프로그램(12a)에 따라서 입력부(17)에 의해 사용자 입력된 문자ㆍ숫자ㆍ기호 등의 입력데이터가 기억 홀딩되는 입력문자메모리, 사전 검색처리된 표제어나 설명정보가 기억되는 검색결과메모리, 상기 각종 처리프로그램(12a)에 따라 CPU(11)에 입출력되는 여러 가지의 데이터가 필요에 따라서 기억되는 작업메모리 외에, 상기 표제어 검색의 처리에 동반하여 현재 선택중인 표제어가 기억되는 선택표제어정보메모리(16a), 해당 선택표제어정보메모리(16a)에 기억된 현재 선택중인 표제어에 있어서 커서(Cu, 도 5 참조)가 선두의 문자로부터 몇 번째 (n)의 문자에 위치할지가 기억되는 커서위치정보메모리(16b) 등이 구비된다.
입력부(17)에는 사전 키(17a), 커서 키(17b), 페이지 이동 키(17c), 역/결정 키(17d), 문자입력 키(17e), 터치패널(17f) 등이 구비된다.
표시부(18)에는 상기 사전검색처리의 과정에 있어서, 표제어 일람표시(18a), 해당 표제어 일람표시(18a) 내에서의 선택중인 표제어(W)와 그 사전정보(D)를 미리보기로 하여 표시하는 사전정보미리보기표시(18b), 그리고 선택 결정된 표제어의 설명정보를 전체화면에 전개해서 표시하는 표제어 전개표시(18c)가 실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전자사전장치(10)에 의한 커서 키 조작을 주체로 한 사전검색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부(17)의 메뉴 키가 조작되면, 사전데이터베이스(12b)에 기억되어 있는 각 사전콘텐츠(12b1, 12b2,…) 중에서 검색대상의 사전을 선택하기 위한 사전선택화면이 표시부(18)에 표시된다(스텝S1).
이 사전선택화면에 있어서, 검색대상의 사전(예를 들면 「영일사전」)이 커서 키(17b)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또는 사전 키(17a)의 조작에 의해 직접 검색대상의 사전이 선택되면)(스텝S2(YES)),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색문자 열의 키 입력에 따라서 소망의 표제어를 검색하는 「표제어 검색모드」인지, 또는 표제어 일람으로부터 커서 키(17b)의 입력에 따라서 소망의 표제어를 검색하는 「표제어 일람모드」인지의 어느 쪽인가의 검색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표제어 검색방법 선택화면(18G)이 표시부(18)에 표시된다(스텝S3).
이 표제어 검색방법 선택화면(18G)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표제어 일람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스텝S4(YES)), 우선,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색대상으로서 선택한 사전의 언어에 따른 소정의 문자순(영어계 사전의 경우는 알파벳순서, 일본어계 사전의 경우는 50음순 등)으로 그 선두문자부터 차례로 소트된 표제어가, 상기 사전데이터베이스(12) 내의 표제어 일람리스트(선두문자부터 소트, 12Lh)로부터 판독되고, 선두문자위치(자리수)를 맞춘 표제어 일람표시(18a)로서 표시부(18)에 표시된다. 이때, 표제어 일람표시(18a)의 초기상태에서는, 선두의 표제어 「abate」가 선택표제어로 되어 그 선두문자 「a」에 커서 (Cu)가 표시된다. 이 선택표제어의 선두문자를 1번째로 하여 커서(Cu)가 몇 번째(n)의 문자에 위치할지는, RAM(16) 내의 커서위치정보메모리(16b)에서 기억 관리된다(스텝S5).
또한, 상기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8)에서는 표제어 일람표시(18a)와 함께, 커서(Cu)가 위치하는 선택표제어 「abate」와 그 설명정보가 사전정보미리보기표시(18b)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도 5의 (B)에 나타낸 표제어 일람표시(18a)에 있어서, 오른쪽 커서 키[→](17b)가 조작되면(스텝S6(YES)), 현재 커서(Cu)가 위치하는 문자 「a 」의 오른쪽 옆에 문자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된다(스텝S7).
여기에서, 현재 커서(Cu)가 위치하는 문자 「a」의 오른쪽 옆에 문자 「b」가 있다고 판단되면(스텝S7(YES)),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오른쪽 옆의 문자 「b」에 커서(Cu)가 이동되어 표시된다(스텝S8).
한편, 상기 도 5의 (B)에 있어서의 표제어 일람표시(18a)에 있어서, 예를 들면 그 선택표제어 「abate」의 말미문자 「e」에 커서(Cu)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n=5)에서, 오른쪽 커서 키[→](17b)가 조작되면(스텝S6(YES)), 해당 커서(Cu)가 위치하는 문자 「e」의 오른쪽 옆에 문자는 없다고 판단된다(스텝S7(NO)). 이 경우, 선택표제어 「abate」보다 아래에 존재하는 각 표제어 중, n+1(=5+1)번째의 문자가 존재하는 최초의 표제어 「ability」가 새로운 선택표제어로 설정되고, 해당 선택표제어 「ability」의 n+1(=6)번째의 문자 「t」에 커서(Cu)가 표시된다(스텝S9).
또, 상기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표제어 「abate」의 2번째의 문자 「b」에 커서(Cu)가 이동된 표제어 일람표시(18a)에 있어서, 아래 페이지 이동 키[↓](17c)가 조작되면(스텝S17(YES)), 해당 선택표제어 「abate」에 대해서 페이지 이동 키(17c)가 지시한 아래 방향에 있는 표제어 중, 도 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번째 (2번째)의 문자가 상기 커서(Cu)가 위치하는 문자 「b」와 다른 종류의 문자(이 경우는 「c」)가 되는 최초의 표제어 「accept」가 새로운 선택표제어로 설정되고, 이 새로운 선택표제어 「accept」의 n번째의 문자 「c」에 커서(Cu)가 표시된다(스텝S18).
또한, 위 페이지 이동 키[↑](17c)가 조작된 경우에도(스텝S17(YES)), 상기와 똑같이 현재의 선택표제어에 대해서 페이지 이동 키(17c)가 지시한 위 방향에 있는 표제어 중, 커서(Cu)가 위치하는 n번째의 문자가 다른 종류의 문자가 되는 최초의 표제어가 새로운 선택표제어로 설정되고, 이 새로운 선택표제어의 n번째의 문자에 커서(Cu)가 표시된다(스텝S18).
또, 상기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표제어 「abate」의 2번째의 문자 「b」에 커서(Cu)가 이동된 표제어 일람표시(18a)에 있어서, 아래 커서 키[↓](17b)가 조작되면(스텝S15(YES)), 도 5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선택표제어 「abate」에 대해서 커서 키(17b)가 지시한 아래 방향에 있는 다음의 표제어 「ability」가 새로운 선택표제어로 설정되고, 이 새로운 선택표제어의 n번째 (2번째)의 문자 「b」에 커서(Cu)가 표시된다(스텝S16).
그 반대로, 상기 도 5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표제어 「ability」의 2번째의 문자 「b」에 커서(Cu)가 이동된 표제어 일람표시(18a)에 있어서, 위 커서 키[↑](17b)가 조작되면(스텝S15(YES)),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선택표제어 「ability」에 대해서 커서 키(17b)가 지시한 위 방향에 있는 다음의 표제어 「abate」가 새로운 선택표제어로 설정되고, 이 새로운 선택표제어의 n번째 (2번째)의 문자 「b」에 커서(Cu)가 표시된다(스텝S16).
또, 상기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표제어 「abate」의 2번째의 문자 「b」에 커서(Cu)가 이동된 표제어 일람표시(18a)에 있어서, 왼쪽 커서 키[←](17b)가 조작되면(스텝S10(YES)), 현재 커서(Cu)가 위치하는 문자 「b」의 왼 쪽 옆에 문자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된다(스텝S11).
여기에서, 현재 커서(Cu)가 위치하는 문자 「b」의 왼쪽 옆에 문자 「a」가 있다고 판단되면(스텝S11(YES)),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왼쪽 옆의 문자 「a」에 커서(Cu)가 이동되어 표시된다(스텝S12).
또, 상기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표제어 「abate」의 선두의 문자 「a」에 커서(Cu)가 위치하는 표제어 일람표시(18a)의 상태에서, 왼쪽 커서 키[←](17b)가 조작되면(스텝S10(YES)), 해당 커서(Cu)가 위치하는 문자 「a」의 왼쪽 옆에 문자는 없다고 판단된다(스텝S11(NO)). 이 경우에는, 도 5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말미문자부터 차례로 소정의 문자순으로 소트된 표제어가, 상기 사전데이터베이스(12) 내의 표제어 일람리스트(말미문자부터 소트, 12Le)로부터 판독되고, 말미문자위치(자리수)를 맞춘 역순(逆順)상태의 표제어 일람표시(18a) 「BAA」 「CAA」 「NCAA」…로서 표시부(18)에 갱신 표시된다. 이때, 커서위치정보메모리(16b)에서 기억 관리되는 커서(Cu)의 위치(n)는 선택표제어의 말미문자를 1번째로 하여 좌우 바꿔 읽어져서 기억 관리되므로, 동일 선택표제어 「BAA」의 말미문자 「A」를 1번째로 하여 커서(Cu)가 표시된다(스텝S13).
또한, 상기 도 5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순상태로서 좌우가 바꿔 읽어져 있는 선택표제어 「BAA」의 말미문자 「A」에 커서(Cu)가 위치하고 있는 표제어 일람표시(18a)상태에서, 오른쪽 커서 키[→](17b)가 조작되면, 좌우의 바꿔 읽기에 의해 스텝S10에서는 (YES), 스텝S11에서는 (NO), 즉 해당 커서(Cu)가 위치하는 문자 「A」의 오른쪽 옆에 문자는 없다고 판단된다. 그러면 이 좌우가 바꿔 읽어 져 있는 상태에서는, 재차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두문자부터 차례로 소정의 문자순으로 소트된 표제어가, 상기 사전데이터베이스(12) 내의 표제어 일람리스트(선두문자부터 소트, 12Lh)로부터 판독되고, 선두문자위치(자리수)를 맞춘 통상의 표제어 일람표시(18a) 「abate」 「ability」 「abolish」…로서 표시부(18)에 갱신 표시된다(스텝S13). 이때, 커서위치정보메모리(16b)에서 기억 관리되는 커서(Cu)의 위치(n)도, 상기 역순에 의한 좌우의 바꿔 읽기가 해제되는 것으로 선택표제어의 선두문자를 1번째로 하여 기억 관리되므로, 동일 선택표제어 「abate」의 선두문자 「a」를 1번째로 해서 커서(Cu)가 표시된다.
또, 상기 도 5의 (C)∼(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지 이동 키(17c)의 조작에 따라서 커서(Cu)가 위치하는 문자가 다른 종류의 문자가 되는 아래 방향 또는 위 방향의 최초의 표제어를 새로운 선택표제어로서 스킵(skip) 검색하는 상태에 있어도(스텝S17→S18), 해당 커서(Cu)가 위치하는 문자의 종류를, 예를 들면 「c」∼「x」까지 대폭으로 스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현재의 선택표제어로 소망의 표제어와 그 문자종류가 다른 n번째의 문자에 커서(Cu)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17)의 문자 키(17e)를 조작하던지 또는 터치패널(17f)을 필기 조작하여 소망의 문자종류 「x」를 직접 입력한다(스텝S19(YES)).
그러면, 도 5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1번째(1번째)까지의 문자는 현재의 선택표제어와 같으며, n번째(2번째)의 문자가 상기 직접 입력된 문자「x」가 되는 최상단의 표제어「ax, axe」가 새로운 선택표제어로 설정되고, 해당 n번째의 문자「x」에 커서(Cu)가 표시된다(스텝S20).
이와 같이, 문자 키(17a)나 터치패널(17f)을 이용해서 소망의 문자종류를 직접 입력하는 것으로, 커서 키(17b) 및 페이지 이동 키(17c)를 원칙 사용한 표제어 검색처리를 더욱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것뿐만 아니라, 터치패널(17f)을 이용하는 것으로, 문자 키(17e)라면 복수회의 키 입력이 필요하게 되는 한자나 한글문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스텝S1∼S20에 있어서의 표제어 검색처리에 따라 소망의 표제어가 검색되어 선택표제어로서 설정된 상태에서, 역/결정 키(17d)가 조작되면(스텝S21(YES)), 해당 선택표제어의 설명정보가 검색대상의 사전데이터(12bn)로부터 판독되고, 표제어 전개표시(18c)로서 표시부(18)의 전체화면에 전개되어 표시된다(스텝S22).
따라서, 상기 구성의 전자사전장치(10)에 의한 커서 키 조작을 주체로 한 사전검색기능에 따르면, 표제어 일람모드에 의해, 검색대상의 사전데이터(12bn)로부터 판독된 각 표제어가 그 언어에 따른 소정의 문자순(알파벳순 또는 50음순)으로 소트되어 표제어 일람표시(18a)로서 표시되는 동시에, 상하 커서 키(17b)에 의해 상단 또는 하단에 있는 표제어가 선택표제어로서 설정되고, 좌우 커서 키(17b)에 의해 해당 선택표제어의 n번째의 문자에 커서(Cu)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하 페이지 이동 키(17c)가 조작되면, 커서(Cu)가 위치하는 n번째의 문자에 있어서 그 문자종류가 다른 문자가 되는 상단 또는 하단 방향에 있는 최초의 표제어가 새로운 선택표제어로서 설정되어 커서(Cu)가 새로 바뀌어 붙여져 표시된다. 그리고, 소망의 표제어에 커서(Cu)가 표시된 선택표제어의 설정상태에서, 역/결정 키(17d)가 조작 되면, 해당 선택표제어의 설명정보가 사전데이터(12bn)로부터 판독되어 표제어 전개표시(18c)로서 표시부(18)에 표시된다. 이로 인해, 커서 키(17b) 및 페이지 이동 키(17c)를 조합 조작하는 것만으로, 매우 간단하게 소망의 표제어를 선택해서 그 사전정보를 검색 표시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전자사전장치(10)에 의한 커서 키 조작을 주체로 한 사전검색기능에 따르면, 표제어 일람모드에 의한 사전검색처리의 상태에서, 문자 키(17e)에 의한 문자입력 또는 터치패널(17f)에 의한 필기문자입력이 이루어지면, 현재의 선택표제어로 커서(Cu)가 위치하는 문자가 해당 입력된 문자에 직접 치환된 표제어가 새로운 선택표제어로서 설정되어 커서(Cu)가 새로 바뀌어 붙여져 표시된다. 이로 인해, 현재 표시부(18)에 표시되어 있는 표제어 일람표시(18a)에 있어서, 그 커서(Cu)에 의해 식별 표시된 선택표제어에 대해, 소망의 표제어가 소정의 문자순으로 꽤 떨어진 곳에 있는 경우라도, 해당 소망의 표제어의 근처까지 단번에 선택표제어를 스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표제어에 있어서의 커서(Cu)의 표시위치가 그 가장 좌측의 선두문자에 있는 상태에서, 왼쪽 커서 키(17b)가 조작된 경우에는, 말미문자부터 차례로 소정의 문자순으로 소트된 표제어가, 역순상태의 표제어 일람표시(18a)로서 표시부(18)에 갱신 표시되고, 상기 통상상태에서의 표제어 일람(18a)에 대해 좌우 커서 키(17b)를 바꿔 읽은 똑같은 표제어 검색이 이루어지므로, 커서 키(17b) 및 페이지 이동 키(17c)를 조합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소망의 표제어를 다용한 형태로 재빠르게 선택해서 그 사전정보를 검색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재한 전자사전장치(10)에 의한 각 처리의 수법, 즉, 도 2∼도 4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사전검색처리(그 1)∼(그 3) 등의 각 수법은, 어느 것이나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메모리ㆍ카드 (ROM카드, RAM카드 등), 자기디스크(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디스크(CD-ROM, DVD 등), 반도체메모리 등의 외부기억매체(13)에 격납해서 배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전데이터베이스(12b)를 갖는 전자장치(10)의 컴퓨터는, 이 외부기억매체 (1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기억장치(12)에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프로그램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커서 키 조작을 주체로 한 사전검색기능을 실현하고, 상기한 수법에 의한 똑같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수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데이터는, 프로그램코드의 형태로서 네트워크(N)상을 전송시킬 수 있고, 이 프로그램데이터를 네트워크(N)에 접속된 사전데이터베이스(12b)를 갖는 전자장치(10)의 컴퓨터에 통신제어부(15)에 의해서 받아들이는 것으로, 상기한 커서 키 조작을 주체로 한 사전검색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는 여러 가지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요건에 있어서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의 발명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체 구성요건으로부터 몇 개의 구성요건이 삭제되거나, 몇 개의 구성요건이 다른 형태로 해서 조합되어도 발명이 해결 하려고 하는 과제의 란에서 서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발명의 효과의 란에서 서술되어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이 구성요건이 삭제되거나 조합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전자사전장치(10)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전자사전장치(10)의 사전검색처리(그 1)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상기 전자사전장치(10)의 사전검색처리(그 2)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상기 전자사전장치(10)의 사전검색처리(그 3)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상기 전자사전장치(10)의 사전검색처리에 동반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한 표제어 검색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자사전장치 11: CPU
12: 주기억장치 12a: 각종 처리프로그램
12b: 사전데이터베이스 12bn: 사전콘텐츠
12Lh: 표제어 일람리스트(선두문자부터 소트)
12Le: 표제어 일람리스트(말미문자부터 소트)
13: 외부기억매체 14: 기억매체 읽고 쓰기부
15: 통신제어부 16: RAM
16a: 선택표제어정보메모리 16b: 커서위치정보메모리
17: 입력부 17a: 사전 키
17b: 커서 키 17c: 페이지 이동 키
17d: 역/결정 키 17e: 문자 키
17f: 터치패널 18: 표시부
18a: 표제어 일람표시 18b: 사전정보미리보기표시
18c: 표제어 전개표시 18G: 표제어 검색방법 선택화면
20: Web서버 N: 통신네트워크(인터넷)
Cu: 커서

Claims (17)

  1. 소정의 문자순에 따른 복수의 표제어와, 각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사전기억수단과,
    제 1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사전기억수단에 의해 기억된 임의의 표제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제 2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제어 내의 임의의 1문자를 지정해서 식별 표시시키는 식별표시수단과,
    제 3 방향지시 키가 입력되면, 해당 제 3 방향지시 키에 의해 지시된 방향이고, 또한 그때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의 문자가 해당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와 다른 종류의 문자가 되는 최초의 표제어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재선택하는 재선택수단과,
    선택된 표제어 및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하는 사전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된 표제어를 포함하는 소정수의 표제어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일람 표시하는 일람표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수단과,
    상기 문자입력수단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면, 그때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전까지의 문자가 상기 선택된 표제어의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서 전까지의 문자와 일치하고, 또한 해당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의 문자가 상기 문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문자가 되는 표제어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재선택하는 제 2 재선택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제어를 말미문자부터 선두문자 순의 우선도로 상기 소정의 문자순에 따라서 기억하는 역순리스트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제어 내의 선두문자가 식별 표시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지시 키에 의해 왼쪽방향이 지시되면, 해당 표제어의 말미문자에 식별 표시되는 문자를 이동하는 식별표시이동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일람표시수단은,
    상기 식별표시이동수단에 의해 표제어의 말미문자에 식별 표시가 이동하면, 상기 선택된 표제어를 포함하는 소정수의 표제어를 상기 역순리스트로부터 판독하여 일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문자순은 알파벳순 또는 일본어의 50음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문자순은 알파벳순 또는 일본어의 50음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제어를 말미문자부터 선두문자 순의 우선도로 소정의 문자순에 따라서 기억하는 역순리스트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제어 내의 선두문자가 식별 표시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지시 키에 의해 왼쪽방향이 지시되면, 해당 표제어의 말미문자에 식별 표시되는 문자를 이동하는 식별표시이동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일람표시수단은,
    상기 식별표시이동수단에 의해 표제어의 말미문자에 식별 표시가 이동하면, 상기 선택된 표제어를 포함하는 소정수의 표제어를 상기 역순리스트로부터 판독하여 일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문자순은 알파벳순 또는 일본어의 50음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수단과,
    상기 문자입력수단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면, 그때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전까지의 문자가 상기 선택된 표제어의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서 전까지의 문자와 일치하고, 또한 해당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의 문자가 상기 문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문자가 되는 표제어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재선택하는 제 2 재선택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제어를 말미문자부터 선두문자 순의 우선도로 상기 소정의 문자순에 따라서 기억하는 역순리스트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제어 내의 선두문자가 식별 표시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지시 키에 의해 왼쪽방향이 지시되면, 해당 표제어의 말미문자에 식별 표시되는 문자를 이동하는 식별표시이동수단과,
    상기 식별표시이동수단에 의해 표제어의 말미문자에 식별 표시가 이동하면, 상기 선택된 표제어를 포함하는 소정수의 표제어를 상기 역순리스트로부터 판독하여 일람 표시하는 역순 일람표시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문자순은 알파벳순 또는 일본어의 50음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문자순은 알파벳순 또는 일본어의 50음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문자순은 알파벳순 또는 일본어의 50음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15.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위한 일련의 명령군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소정의 문자순에 따른 복수의 표제어와, 각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대응지어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명령군과,
    제 1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임의의 표제어를 선택시키는 명령군과,
    제 2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선택된 표제어 내의 임의의 1문자를 지정시켜서 표시부에 식별 표시시키는 명령군과,
    제 3 방향지시 키가 조작되면, 해당 제 3 방향지시 키에 의해 지시된 방향이고, 또한 그때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의 문자가 해당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와 다른 종류의 문자가 되는 최초의 표제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재선택시키는 명령군과,
    선택된 표제어 및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명령군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문자를 입력시키는 명령군과,
    문자가 입력되면, 그때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전까지의 문자가 상기 선택된 표제어의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서 전까지의 문자와 일치하고, 또한 해당 식별 표시되어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의 문자가 입력된 문자가 되는 표제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재선택시키는 명령군을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7. 제 1∼제 3 방향지시 키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 유닛과,
    소정의 문자순에 따른 복수의 표제어와, 각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임의의 표제어를 선택하며,
    제 2 방향지시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선택된 표제어 내의 임의의 1문자를 지정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식별 표시 제어하고,
    제 3 방향지시 키가 입력되면, 해당 제 3 방향지시 키에 의해 지시된 방향이고, 또한 그때 식별 표시 제어하고 있는 문자에 상당하는 위치의 문자가 해당 식별 표시 제어하고 있는 문자와 다른 종류의 문자가 되는 최초의 표제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재선택하며,
    선택된 표제어 및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사전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KR1020090087882A 2008-09-26 2009-09-17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KR101058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49155A JP4535186B2 (ja) 2008-09-26 2008-09-26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08-249155 2008-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90A KR20100035590A (ko) 2010-04-05
KR101058305B1 true KR101058305B1 (ko) 2011-08-22

Family

ID=4204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882A KR101058305B1 (ko) 2008-09-26 2009-09-17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083104A1 (ko)
JP (1) JP4535186B2 (ko)
KR (1) KR101058305B1 (ko)
CN (1) CN1016853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35802B1 (en) * 2011-06-16 2016-08-10 GN Netcom A/S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arranging text items in a predefined order
US9639526B2 (en) * 2014-01-10 2017-05-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language translation of web con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987A (ja) 2005-09-30 2007-04-12 Casio Comput Co Ltd 辞書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辞書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7094547A (ja) 2005-09-27 2007-04-12 Casio Comput Co Ltd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4041A (en) * 1988-02-02 1993-06-29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ictionary for outputting words in the opposite order in which they are searched
US6370282B1 (en) * 1999-03-03 2002-04-09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advanced text editing in a portable digital electronic device using a button interface
EP1213643A1 (en) * 2000-12-05 2002-06-12 Inventec Appliances Corp. Intelligent dictionary input method
FI20010616A (fi) * 2001-03-26 2002-09-27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tietyn kohdan löytämiseksi indeksoidusta muistista
JP4313013B2 (ja) * 2002-09-18 2009-08-12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その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3826883B2 (ja) * 2002-12-26 2006-09-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576462B1 (en) * 2002-12-26 2008-03-05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dictionary with example sentences
JP4213570B2 (ja) * 2003-11-20 2009-01-21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107147B2 (en) * 2004-09-14 2006-09-12 Alpine Electronics, Inc Data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key filtering function for entering data in navigation system
US9606634B2 (en) * 2005-05-18 2017-03-28 Nokia Technologies Oy Device incorporating improved text input mechanism
JP2007193438A (ja) * 2006-01-17 2007-08-02 Casio Comput Co Ltd 電子辞書装置及び検索制御プログラム
JP4905022B2 (ja) * 2006-09-25 2012-03-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0454310C (zh) * 2006-12-22 2009-01-21 新诺亚舟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手持学习终端的跨词典查询方法
JP5141047B2 (ja) * 2007-03-02 2013-02-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5320925B2 (ja) * 2008-09-18 2013-10-2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装置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547A (ja) 2005-09-27 2007-04-12 Casio Comput Co Ltd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94987A (ja) 2005-09-30 2007-04-12 Casio Comput Co Ltd 辞書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辞書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5375B (zh) 2013-06-05
KR20100035590A (ko) 2010-04-05
US20100083104A1 (en) 2010-04-01
CN101685375A (zh) 2010-03-31
JP4535186B2 (ja) 2010-09-01
JP2010079735A (ja)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3711B2 (ja) 電子辞書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59970B1 (ko) 전자 사전 장치 및 검색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122692B1 (ko) 텍스트 표시 장치 및 텍스트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965714B1 (ko)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KR101090658B1 (ko)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JP2009059140A (ja) 電子辞書、電子辞書の検索方法及び電子辞書の検索プログラム
KR101058305B1 (ko)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KR101239577B1 (ko) 전자사전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192460B1 (ko) 전자사전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JP2011159066A (ja) 電子辞書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154436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5903902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990419B (zh) 电子辞典装置、电子辞典的检索方法
JP2008077615A (ja)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487614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117310A (ja) 辞書検索装置および辞書検索処理プログラム
JP2010015515A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
JP5278377B2 (ja) 電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989894B (zh)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和记录有程序的记录介质
JP5440229B2 (ja) 電子辞書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733380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202187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460343B2 (ja) 学習装置、学習帳表示方法及び学習帳表示プログラム
JP3466124B2 (ja) 電子辞書
JP5357066B2 (ja) 学習装置、学習帳登録方法及び学習帳登録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