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169B1 - 돔커버 지지대 - Google Patents

돔커버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169B1
KR101058169B1 KR1020100080490A KR20100080490A KR101058169B1 KR 101058169 B1 KR101058169 B1 KR 101058169B1 KR 1020100080490 A KR1020100080490 A KR 1020100080490A KR 20100080490 A KR20100080490 A KR 20100080490A KR 101058169 B1 KR101058169 B1 KR 101058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anel
support bar
support
dome cover
inclin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구현
Original Assignee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04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metal
    • E04H7/06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metal with vertical axis
    • E04H7/065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metal with vertical axis roof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름판과의 사이에 지붕패널이 위치되도록 상기 지붕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돔커버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본체와; 상기 지지대본체의 상하단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베이스 및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누름판과의 사이에 상기 지붕패널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경사지지바와; 상기 경사지지바의 단부영역에 상기 지붕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붕패널의 하부면과 면접촉되며 상기 지붕패널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지지바와 상기 보강돌기 사이의 절곡영역에는 상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보강돌기가 상기 지붕패널과 접촉되는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돔커버 지지대{DOM COVER SUPPORTER}
본 고안은 돔커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저장탱크에 사용되는 돔커버를 지지하는 돔커버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돔커버는 원유나 오일 등의 제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또는 기밀 및 내화학성을 갖는 저장탱크를 커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돔커버를 저장탱크의 상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돔커버를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돔커버 지지대가 요구된다.
도1은 종래 돔커버 지지대(1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돔커버 지지대(10)는 지지대본체(11)와 누름판(17)이 상하로 위치하고, 그 사이에 지붕패널(A)의 단부영역이 삽입된다. 이 때, 경사바(13)의 상면이 지붕패널(A)의 하단면을 지지하여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지붕패널(A)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였다.
그런데, 종래 돔커버 지지대(10)는 작업자가 지지대본체(11)와 누름판(17)을 결합시키기 위해 나사(15)를 삽입할 때 지붕패널(A) 위에 올라가서 작업을 해야했다. 이 때, 작업자의 체중에 대응하는 하중(P)이 지붕패널(A)에 인가되면 경사바(13)와 지붕패널(A) 사이의 접촉면적이 좁으므로 지붕패널(A)이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휘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휨상태가 장시간 지속될 경우 지붕패널(A) 자체에 휨변형이 발생되어 누름판(17)과 지붕패널(A) 사이에 틈새가 생기고, 생성된 틈새로 빗물 등이 투입되어 부식이 생성되고 지붕패널(A) 자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중(P)이 인가될 때 경사바(13)와 지붕패널(A)이 선접촉하게 되므로 접촉되는 영역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경우에 따라 경사바(13) 내부에 크랙이 발생되는 구조적인 취약이 초래될 수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를 개선하여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휨변형의 발생을 줄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지붕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돔커버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사바와 지붕패널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혀 경사바의 내구성을 높여 제품의 내구성과 수명을 늘릴 수 있는 돔커버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누름판과의 사이에 지붕패널이 위치되도록 상기 지붕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돔커버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돔커버 지지대는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본체와; 상기 지지대본체의 상하단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베이스 및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누름판과의 사이에 상기 지붕패널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경사지지바와; 상기 경사지지바의 단부영역에 상기 지붕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붕패널의 하부면과 면접촉되며 상기 지붕패널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지지바와 상기 보강돌기 사이의 절곡영역에는 상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보강돌기가 상기 지붕패널과 접촉되는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돔커버 지지대는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본체와; 상기 지지대본체의 상하단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베이스 및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누름판과의 사이에 상기 지붕패널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경사지지바와; 상기 경사지지바의 단부영역에 상기 지붕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붕패널의 하부면과 면접촉되며 상기 지붕패널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지지바와 상기 보강돌기 사이의 절곡영역에는 상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보강돌기가 일정높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변형공이 일정 직경 관통형성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돔커버 지지대는 경사지지바의 단부영역에 보강돌기를 일정길이 연장형성하여 지붕패널과 면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부에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지붕패널의 휨변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강돌기가 지붕패널과 면접촉하면서 응력집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지지대본체의 내구성을 유지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돔커버 지지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돔커버 지지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의 F-F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돔커버 지지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사지지바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경사지지바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돔커버 지지대(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F-F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돔커버 지지대(100)는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 지지대본체(120)와, 지지대본체(120)의 하부영역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해 지지대본체(120)를 지지하는 지지베이스(110)와, 지지대본체(120)의 상부영역에 결합되는 수평축(130)과, 수평축(130)에 일정 각도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지지바(14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돔커버 지지대(100)는 전체적으로 단면형상이“I"자 또는 ”H" 빔형상으로 구비되어 수직하중에 대해 강성을 갖도록 구비된다.
경사지지바(140)는 누름판(B)과의 사이에 지붕패널(A)의 단부영역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경사지지바(140)는 지붕패널(A) 단부영역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사각도를 갖도록 구비되어 지붕패널(A)의 판면을 밀착지지한다.
경사지지바(140)의 단부영역에는 지붕패널(A)의 하부면과 접촉되어 휨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돌기(141)가 일정길이(L) 연장형성된다. 보강돌기(141)는 지붕패널(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L) 연장형성되어 지붕패널(A)의 하부면과 일정영역 면접촉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나사(C)를 지지대본체(120)에 결합시키기 위해 지붕패널(A)의 상면에 올라서서 수직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보강돌기(141)가 지붕패널(A)의 하부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휨변형이 일정 부분 감소할 수 있다.
즉, 지붕패널(A) 선단부가 보강돌기(141)와 면접촉하면서 접촉영역이 넓어지므로 상대적으로 지붕패널(A) 자유단의 길이가 감소하고 자유단의 휨변형 변위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휨변형되는 정도가 종래 경사지지바에 비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지붕패널(A)의 하부면과 보강돌기(141)가 면접촉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하중이 분포하중으로 넓게 분산되므로 특정부분에 응력집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에 경사지지바(140)의 내구성이 장시간 유지되므로 장기간 안정적으로 지붕패널(A)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보강돌기(141)의 연장길이(L)는 지붕패널(A)의 길이와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지붕패널(A)의 축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 경우 보강돌기(141)의 연장길이(L)도 길게 구비되어 접촉면적을 넓히고, 지붕패널(A)의 축방향 길이가 짧을 경우 보강돌기의 연장길이(L)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지붕패널(A)의 두께가 얇을 경우 휨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높으므로 연장길이(L)를 길게 하여 접촉면적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지바(14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지바(140)는 보강돌기(141)의 연장길이(L)에 따라 지붕패널(A)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자유단의 변형폭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지붕패널(A)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사지지바(140a)는 하중이 인가될 때 지붕패널(A)과 함께 하부방향으로 변형된 후, 초기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되어 지붕패널(A)의 휨변형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사지지바(140a)는 보강돌기(141)가 절곡형성되는 절곡영역에 탄성변형홀(143)이 일정직경(r)으로 관통형성된다. 탄성변형홀(143)의 관통 직경(r)의 크기는 보강돌기(141)의 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탄성변형범위가 가장 큰 값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덧붙여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경사지지바(140b)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경사지지바(140b)는 제2실시예에 따른 경사지지바(140a)에서 탄성복귀력을 보다 높이기 위해 경사지지바(140b)와 보강돌기(141) 사이의 절곡영역에 탄성부재(145)를 구비하였다.
탄성부재(145)는 보강돌기(141)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비되며, 토션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하중이 인가되어 지붕패널(A)과 함께 보강돌기(141)가 휘어진 후 작업자의 작업이 완료되어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5)가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지붕패널(A)과 보강돌기(141)가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지붕패널(A)의 휨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45)는 경사지지바(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돔커버 지지대(100)를 이용한 돔커버 설치과정을 도2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지대본체(120)를 수직한 방향으로 기립시키고 지지베이스(110)를 지면 또는 고정부재(미도시)에 결합시켜 위치를 고정한다. 이 때, 복수개의 지지대본체(120)를 방사상으로 설치하고, 각 지지대본체(120)의 선단이 한 지점에서 만나도록 한다.
그리고, 경사지지바(140)의 상부에 지붕패널(A)을 배치하고, 개스켓(D)과 누름판(B)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붕패널(A)의 상면으로 올라가 나사(C)를 누름판(B)을 관통하여 나사삽입공(121)에 결합시킨다. 이 때, 작업자의 하중이 지붕패널(A)에 작용하면 보강돌기(141)가 지붕패널(A)의 하면과 면접촉하며 강도를 보강하여 지붕패널(A)의 휨변형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돔커버 지지대는 경사지지바의 단부영역에 보강돌기를 일정길이 연장형성하여 지붕패널과 면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부에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지붕패널의 휨변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강돌기가 지붕패널과 면접촉하면서 응력집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지지대본체의 내구성을 유지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돔커버 지지대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돔커버 지지대 110 : 지지베이스
120 : 지지대본체 130 : 수평축
131 : 나사삽입공 140 : 경사지지바
141 : 보강돌기

Claims (3)

  1. 누름판과의 사이에 지붕패널이 위치되도록 상기 지붕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돔커버 지지대에 있어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본체와;
    상기 지지대본체의 상하단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베이스 및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누름판과의 사이에 상기 지붕패널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경사지지바와;
    상기 경사지지바의 단부영역에 상기 지붕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붕패널의 하부면과 면접촉되며 상기 지붕패널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지지바와 상기 보강돌기 사이의 절곡영역에는 상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보강돌기가 상기 지붕패널과 접촉되는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커버 지지대.
  2. 누름판과의 사이에 지붕패널이 위치되도록 상기 지붕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돔커버 지지대에 있어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본체와;
    상기 지지대본체의 상하단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베이스 및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누름판과의 사이에 상기 지붕패널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경사지지바와;
    상기 경사지지바의 단부영역에 상기 지붕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붕패널의 하부면과 면접촉되며 상기 지붕패널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지지바와 상기 보강돌기 사이의 절곡영역에는 상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보강돌기가 일정높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변형공이 일정 직경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커버 지지대.
  3. 삭제
KR1020100080490A 2010-08-19 2010-08-19 돔커버 지지대 KR101058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490A KR101058169B1 (ko) 2010-08-19 2010-08-19 돔커버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490A KR101058169B1 (ko) 2010-08-19 2010-08-19 돔커버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169B1 true KR101058169B1 (ko) 2011-08-22

Family

ID=4493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490A KR101058169B1 (ko) 2010-08-19 2010-08-19 돔커버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1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665B1 (ko) * 2012-01-20 2012-08-07 주식회사 강산엔텍 저장조의 지붕 복합구조
KR101336722B1 (ko) * 2013-02-18 2013-12-03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돔 커버 지지대
KR101525366B1 (ko) * 2014-12-31 2015-06-09 이진관 돔 및 장방형 구조물 지붕의 악취방지 및 기체 휘산방지용 지지구조체
KR102494383B1 (ko) * 2022-10-12 2023-02-06 주식회사 엔비코 돔 및 장방형 지붕의 지지구조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665B1 (ko) * 2012-01-20 2012-08-07 주식회사 강산엔텍 저장조의 지붕 복합구조
KR101336722B1 (ko) * 2013-02-18 2013-12-03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돔 커버 지지대
DE102013109719B3 (de) * 2013-02-18 2014-06-26 World Bridge Industrial Co., Ltd. Domdeckelstützer
CN103991657A (zh) * 2013-02-18 2014-08-20 世界桥梁产业(株) 圆顶盖支架
WO2014126439A1 (ko) * 2013-02-18 2014-08-21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돔 커버 지지대
US8984843B2 (en) 2013-02-18 2015-03-24 Koo Hyun TAK Dome cover supporter
AU2013207633B2 (en) * 2013-02-18 2015-12-17 World Bridge Industrial Co. Ltd. Dome cover supporter
CN103991657B (zh) * 2013-02-18 2017-04-12 世界桥梁产业(株) 圆顶盖支架
KR101525366B1 (ko) * 2014-12-31 2015-06-09 이진관 돔 및 장방형 구조물 지붕의 악취방지 및 기체 휘산방지용 지지구조체
KR102494383B1 (ko) * 2022-10-12 2023-02-06 주식회사 엔비코 돔 및 장방형 지붕의 지지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722B1 (ko) 돔 커버 지지대
US8979052B2 (en) External material clamp and external material clamping structure
KR101058169B1 (ko) 돔커버 지지대
US8240096B2 (en) Bracket structure for increasing load-carrying capacity of concrete structure and enabling easy construction
CN1986290B (zh) 保险杠安装用托架
US20080217488A1 (en) Device for Retaining at Least One Elongate Object
US10407279B2 (en) Elevator guide rail attachment clip
CN102795528B (zh) 电梯轨道的支承结构
US20120080534A1 (en) Elastic clip for fixing railway rail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JP2014020058A (ja) 太陽光パネル架台
KR100899528B1 (ko) 스토퍼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KR200448119Y1 (ko) 커넥터하우징
JP5629793B2 (ja) サポート部材用の取り付け部材
CN220324103U (zh) 一种led显示屏电源安装结构及显示屏
KR102454078B1 (ko) 판형상체 지지 장치
CN216947921U (zh) 一种钢箱梁的滑枕结构
JP5587851B2 (ja) 壁パネルの固定金具
CN219123504U (zh) 固定钎及直击雷防护装置
JP4257914B2 (ja) 建築物における連結金具
KR20210138867A (ko)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
KR101634743B1 (ko) 방진기능을 갖는 시트 지지구조
US11435090B2 (en) Fastening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fastening system having a pullout guide and a side grid
JP2018123584A (ja) パネルフェンス及びこれが備えた金属パネル
EP2034095A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earth retaining wall
KR101206235B1 (ko) 바닥재용 마감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