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315B1 -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315B1
KR101057315B1 KR1020100014302A KR20100014302A KR101057315B1 KR 101057315 B1 KR101057315 B1 KR 101057315B1 KR 1020100014302 A KR1020100014302 A KR 1020100014302A KR 20100014302 A KR20100014302 A KR 20100014302A KR 101057315 B1 KR101057315 B1 KR 101057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wooden column
fixture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유)메리츠이엔지
유한회사 형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메리츠이엔지, 유한회사 형후 filed Critical (유)메리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0001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76Clamping poles or posts on a stu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4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는 아랫면에 결속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측방향으로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목재 기둥과; 상기 결속홈과 결합하는 결속판과, 상기 결속판을 중심으로 상기 목재 기둥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속판과 좌우로 평행하게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좌우 측판과, 상기 좌우 측판을 연결하며 중앙에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속판과 좌우 측판 사이에 스페이서가 부착된 하판과, 상기 통기구와 연통하게 수직으로 고정된 통기관이 구비된 고정구와; 상기 통기관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콘트리트 양생하여 형성하는 주춧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배수와 통기가 원활하여 목재의 부패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목재 기둥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Structure for erecting and fixing wooden column}
본 발명은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자, 파고라 등 목재로 건축되는 간이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는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단지, 공원, 놀이터, 주택 단지 등에는 휴식 공간으로 정자나 파고라 등 목재로 건축되는 간이 건축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간이 건축물들은 주로 지반에 콘크리트 재질의 주춧대를 설치하고 이에 목재 기둥을 세워 설치하게 된다.
목재 기둥을 직접 주춧대 위에 설치하게 되면 빗물이 주춧대와 목재 사이에 스며들어가 고이게 되어 목재가 썩고 변색되어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수명도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습도의 변화로 목재 기둥이 수축과 팽창을 하다보면 뒤틀림이 발생하여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목재 기둥이 흔들리거나 건축물 자체가 붕괴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춧대와의 지지부에서 목재의 부패를 억제할 수 있는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재 기둥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는, 아랫면에 결속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측방향으로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목재 기둥과; 상기 결속홈과 결합하는 결속판과, 상기 결속판을 중심으로 상기 목재 기둥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속판과 좌우로 평행하게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좌우 측판과, 상기 좌우 측판을 연결하며 중앙에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속판과 좌우 측판 사이에 스페이서가 부착된 하판과, 상기 통기구와 연통하게 수직으로 고정된 통기관이 구비된 고정구와; 상기 통기관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콘트리트 양생하여 형성하는 주춧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합성 수지재로 일체로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목재 기둥과 상기 고정구 사이에는 숯과 황토를 포함하는 충진제를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와 통기가 원활하여 목재의 부패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 기둥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에 적용된 고정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가 적용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를 이루는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2는 그 분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는 목재 기둥(10)과, 상기 목재 기둥(10)이 결합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구(20)와, 상기 고정구(20)를 견고히 지지하도록 지반에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형성하는 주춧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목재 기둥(10)은 아랫면에 결속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측방향으로 볼트(B)가 관통하는 관통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홈(11)은 간편하게 톱질하여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이며, 관통구(12)는 드릴 또는 슬로터로 뚫을 수 있다.
상기 고정구(20)는 결속판(21), 좌우 측판(22,23), 스페이서(24), 하판(27), 통기관(25)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 측판(22,23)과 하판(27)은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시켜 형성한 것으로 하판(27)에는 그 중앙에 통기구(26)가 뚫려 있으며, 이 통기구(26)에 통기관(25)의 일단이 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재질의 고정구(20)를 사용하고 고정구(20)의 각 부분을 용접하여 결합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 결속판(21)은 상기 목재 기둥(10)의 결속홈(11)과 결합하여 온습도의 변화에 따라 목재가 팽창 수축함에 따라 뒤틀리는 것을 단단히 잡아주어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결속홈(11)의 깊이보다는 낮게 형성하여 결합시 목재 기둥(10)이 다음에 설명할 스페이서(24) 위에 얹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기와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좌우 측판(22,23)은 상기 결속판(21)을 중심으로 상기 목재 기둥(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속판(21)과 좌우로 평행하게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목재 기둥(10)의 관통구(12)에 대응하는 볼트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판(27)은 상기 좌우 측판(22,23)을 연결하며 중앙에 통기구(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속판(21)과 좌우 측판(22,23) 사이에 스페이서(2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24)는 소정 두께의 금속판을 가늘게 잘라 상기 하판(27) 위에 용접하여 고정한 것으로 결합된 목재 기둥(10)의 하단 면이 이격되어 놓이도록 함으로써 통기와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24)의 상단면에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목재 기둥(10)의 하단 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기관(25)은 상기 통기구(26)와 연통하게 수직으로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목재 기둥(10)의 하단과 통기관(25) 사이에 통기와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주춧대(30)는 상기 통기관(25)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콘트리트 양생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통기관(25)의 끝단은 콘크리트로 막지 않고 지반 속으로 박혀 통기와 배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에 기초하여 목재 기둥(10)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목재 기둥(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목재 기둥(10)이 고정 결합되는 고정구(20)를 지반에 단단해 고정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소정 깊이로 구덩이를 파고, 상기 고정구(20)의 통기관(31)을 땅속에 박아 넣어 고정한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상기 통기관(31) 주위를 중심으로 부워 넣은 후 충분히 건조시킨다.
콘크리트가 충분히 건조되면, 목재 기둥(10)을 상기 고정구(20)에 맞추어 넣고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목재 기둥(10)을 상기 고정구(20)에 맞추어 넣기 전이나 후에 목재 기둥(10)의 하단부나 상기 고정구(20)의 안쪽면에 항균 살균 기능이 있는 숯이나 황토를 함유한 충진제(F)를 바르거나 충진하면 목재의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된다.
상기 충진제(F)는 황토와 숯가루에 게르마나이트 등을 섞어 물로 반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하판(27) 쪽은 두껍게 바르고 측판(22,23) 쪽은 얇게 바르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가 적용된 사용 상태도로서, 마루를 시공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아래로 시공된 주춧대(30)에 통기관(25)을 포함한 고정구(20)가 고정되어 있고, 고정구(20)에 목재 기둥(10)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는 정자, 파고라, 공원 건축물, 원두막 등의 간이 건축물은 물론 일반구조물의 목재 기둥을 세우는데 사용할 수 있다.
10: 목재 기둥 11: 결속홈
12: 볼트관통구 20: 고정구
21: 결속판 22,23: 측판
24: 스페이서 25: 통기관
26: 관통구 27: 하판
30: 주춧대 31: 통기관 결합구
F: 충진제

Claims (4)

  1. 아랫면에 결속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측방향으로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목재 기둥과;
    상기 결속홈과 결합하는 결속판과, 상기 결속판을 중심으로 상기 목재 기둥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속판과 좌우로 평행하게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좌우 측판과, 상기 좌우 측판을 연결하며 중앙에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속판과 좌우 측판 사이에 스페이서가 부착된 하판과, 상기 통기구와 연통하게 수직으로 고정된 통기관이 구비된 고정구와;
    상기 통기관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콘트리트 양생하여 형성하는 주춧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금속 재질인 것과,
    상기 고정구는 합성 수지재로 일체로 성형한 것이고,
    상기 목재 기둥과 상기 고정구 사이에는 충진제가 충진되고,
    상기 충진제는 황토와 숯가루에 게르마나이트를 섞어 물로 반죽한 것으로, 하판 쪽은 두껍게 바르고 측판 쪽은 얇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14302A 2010-02-17 2010-02-17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 KR101057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302A KR101057315B1 (ko) 2010-02-17 2010-02-17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302A KR101057315B1 (ko) 2010-02-17 2010-02-17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315B1 true KR101057315B1 (ko) 2011-08-17

Family

ID=4493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302A KR101057315B1 (ko) 2010-02-17 2010-02-17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3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6215A (zh) * 2018-10-18 2019-02-01 苏州昆仑绿建木结构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既有建筑木柱置换用连接构件及其使用方法
KR20200121063A (ko) * 2019-04-15 2020-10-23 이남희 목재부재용 브라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537Y1 (ko) * 2002-05-14 2002-08-13 주재영 시설물의 목재기둥 보호대
KR200322223Y1 (ko) * 2003-04-25 2003-08-06 정양기 조합시설물용 목재기둥의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537Y1 (ko) * 2002-05-14 2002-08-13 주재영 시설물의 목재기둥 보호대
KR200322223Y1 (ko) * 2003-04-25 2003-08-06 정양기 조합시설물용 목재기둥의 고정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6215A (zh) * 2018-10-18 2019-02-01 苏州昆仑绿建木结构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既有建筑木柱置换用连接构件及其使用方法
KR20200121063A (ko) * 2019-04-15 2020-10-23 이남희 목재부재용 브라켓
KR102229408B1 (ko) * 2019-04-15 2021-03-17 이남희 목재부재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9803A (zh) 一种用于砌体结构的构造柱以及其制备方法和专用预制节
KR101574253B1 (ko)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083670B1 (ko)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저류조용 벽체구조
JP2008231904A (ja) 高床式建築物の基礎・基礎柱・土台の施工法
KR20230090300A (ko) Pc패널을 이용한 기초 트윈 월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057315B1 (ko) 목재 기둥의 고정 구조
JP2013083104A (ja) 合成床構造及び耐火構造物並びに合成床構造の構築方法
KR101220811B1 (ko)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CA2804702A1 (en) A fence post assembly
KR101516585B1 (ko) 기초석과 기둥의 고정구조체
KR20170081836A (ko) 친환경 거푸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의 시공 방법
KR102255652B1 (ko)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200387408Y1 (ko) 조립식 연속 기초 블록
KR101677467B1 (ko) 건축골격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2172651B1 (ko) 간이 수영장 건설공법
KR101265100B1 (ko) 조립식 시설의 친환경 바닥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7224527A (ja) コンクリート床形成方法
KR101162152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U2010257353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anchor bolt installation jig
KR101201917B1 (ko) 패널, 이 패널을 이용한 펜스, 이 펜스 시공방법, 이 펜스를 이용한 혼합토 성토구조물 시공방법
JP2002070035A (ja) 布基礎用型枠
JP2004060310A (ja) 耐震コアに依る木造耐震建築
KR101174665B1 (ko) 개량형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JP2008223461A (ja) 高床式建築物の基礎・基礎柱・土台の施工法
JP7216369B2 (ja) 木造耐震シェルター及び耐震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