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881B1 - 내연 기관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881B1
KR101056881B1 KR1020097004975A KR20097004975A KR101056881B1 KR 101056881 B1 KR101056881 B1 KR 101056881B1 KR 1020097004975 A KR1020097004975 A KR 1020097004975A KR 20097004975 A KR20097004975 A KR 20097004975A KR 101056881 B1 KR101056881 B1 KR 101056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lift curv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376A (ko
Inventor
다니엘 보엠
마커스 로퍼러
시에그프라이드 섬서
Original Assignee
다임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임러 아게 filed Critical 다임러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4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6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br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4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using engine as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Supercharger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내연 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은 유입 밸브 및 유출 밸브(5, 7)에 따라 작동하는 캠축(camshaft, 23)을 가지며, 유입 밸브 및 유출 밸브(5, 7)의 리프트 커브(EV, AV)는 상기 캠축(23)의 캠(24, 25)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유출 밸브(7)에 따라 작동하는 추가 보조 캠은 상기 캠축(23)에 장착되어, 오프셋 보조 리프트 커브의 상태(phase-offset auxiliary lift curve, AVZ)는 유출 밸브(7) 상으로 가압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서 청구되는 특징에 따르는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
AT 408 129에는 충전 내연 기관(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이 공개되고, 상기 내연 기관의 배출 가스 터빈에는 터빈 도입 횡단면(turbine entry cross section)을 변경 가능하게 조절하기 위해 가변화 가능한 터빈 형상(turbine geometry)이 장착된다. 기관 제동 작동 중에 높은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가변화 가능한 터빈 형상이 횡단면을 감소시키는 적재 위치(stowage position)로 조절되고, 이는 높은 배출 가스 반대 압력의 증강(build-up)을 허용하며 상기 반대 압력에 대해 내연 기관의 실린더는 방출 작업(expulsion work)을 수행해야 한다. 제동력이 현재 구동 위치에서 요구되는 경우, AT 408129 B에 따라 상기 동력은 주로 엔진 제동을 통해 적용된다.
엔진이 작동되는 동안에, 상기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는 피스톤 운동에 의해 배출 트레인(exhaust train)으로 실린더의 내용물(content)을 방출하도록 하기 위해 개방 위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엔진 제동력(high engine braking power)이 발생되도록하며, 동시에 오랜 시간 동안 작동하는 내연 기관을 낮은 설계 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구현된다. 종속항은 유리한 실시예를 공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연 기관의 경우, 캠축(camshaft)에 장착된 보조 캠(auxiliary cam)이 존재하고, 상기 보조 캠은 유출밸브에 따라 작동하고 캠에 추가하여 제공되며, 상기 캠을 통해 유출밸브는 내연 기관의 규칙적인 작동으로 개방 위치로 설정된다. 상기 보조 캠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유출밸브의 보조 리프트 커브(auxiliary lift curve)는 기본 리프트 커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오프셋 상태(phase-offset)이고 상기 유입 밸브의 리프트 커브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른다.
일반적으로 작동하는 점화 구동 모드(fired driving mode)에 있어, 일반적으로 충전 교환(charge exchange)으로 리프팅(lifting)에 추가적인 상태에 있으며, 유출밸브의 리프팅 오프(lifting-off) 및 개방(opening)은 내부 배출 가스 재순환으로써 알려진 바와 달리 일정한 정도로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 배출 가스 재순환에서 개방 충전 교환 밸브에 의해 실린더를 거쳐 흡입관을 향해 배출 트레인으로부터 나오는 배출 가스의 부분적인 흐름(flow mass)이 재순환된다. 상기 배출 가스 재순환은 특히 부분적인 로드 작동(load operation)으로 수행되고 배출 가스 내 질소 산화물(nitrogen oxides, NOX)의 감소를 허용한다. 상기 내부 배출 가스 재순환은 재순환되는 배출 가스 흐름(exhaust gas mass flow)이 감소되도록 하거나 또는 적합한 경우 배출 트레인과 흡입관 사이 외부 재순환 라인으로 외부 배출 가스 재순환으로써 알려지는 바에 의해 완전히 조절되기도 한다.
또 한편으로, 엔진 제동 작동에 있어, 일반적인 충전 교환에 덧붙여 추가 상기 유출밸브의 리프트(lift)는 실린더의 제어 재충전(controlled recharging)을 위해 사용되고 엔진 제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 잘 알려진 표준 캠축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캠축은 가장 높은 엔진 제동력으로 유출밸브의 조절 메카니즘(adjustment mechanism)을 제어함에 있어 유리하다. 엔진 제동 작동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유출밸브의 진동(oscillation)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의 경우 상당하게 감소된다. 상기 유출밸브는 높은 압력과 가스의 높은 흐름 속도 상태로 제어된 방식으로 안내되어, 유출밸브의 제어되지 않은 리프팅 오프(lifting-off)를 배제하고 유출밸브에 따라 작동하는 높은 로드(high load)를 수반한다. 상기 유출밸브의 추가 제어 리프팅(lifting)은 오직 보조 리프트 커브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캠축에 보조 캠이 장착되어야 함으로 용이한 디자인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밸브의 보조 리프트 커브 폐쇄 운동은 적당한 시간에 유입 밸브의 리프트 커브 폐쇄 운동(closing moment) 이후 발생된다. 상기 유입 밸브 및 유출 밸브가 동시에 개방되는 경우, 지속적인 흐름 연결(continuous flow connection)은 실린더에 의해 배출 트레인(exhaust train)과 흡입관(intake tract) 사이에서 제공된다. 내부 배출 가스 재순환은 이러한 상태(phase)로 수행된다. 유출밸브의 보조 리프트 동안 유출밸브의 폐쇄 운동과 유입 밸브의 폐쇄 사이 짧은 상태(short phase)에서, 실린더 내 피스톤은 유입 행정(inlet stroke)으로부터 압축 행정(compression stroke)까지 변이(transition)로 하사점(bottom dead center)의 영역 내 위치되고, 이에 상기 실린더는 배출 트레인으로부터 배출 가스가 부분적으로 충진되고, 충진 정도(degree of filling)가 전체적으로 향상된다.
상기 유출밸브의 보조 리프트 커브 개방 지속 시간은 비록 30% 이상으로써 적절하지만, 유입 밸브의 개방 지속 시간 보다 유리하게 보다 짧으며, 일반적으로 정확히 똑 같지는 않지만 50% 이하이다. 추가적으로, 보조 리프트 커브의 리프트는 일반적으로 20% 이상은 아니지만, 유입 밸브 리프트의 10% 이상이라 하더라도 유입 밸브 리프트보다 더 작다. 보조 리프트 커브 동안 유출밸브의 짧아진 리프트와 짧아진 지속 시간은 이러한 상태로 완전히 폐쇄되는 유출밸브와 비교된 내연 기관의 규칙적인 점화 작동으로 예견되는 최소 제한으로 유도되지 않거나 또는 오직 최소 제한으로 유도된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밸브와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유출밸브와 같이 유출구(outlet)로부터 배출 트레인으로 개방 상태에서 방출하는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로 구성되는 추가적인 충전 교환 밸브(charge exchange valve)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밸브는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자체의 작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로틀 밸브는 엔진 제동 작동 중에 일정한 개방 위치가 되며 점화 작동(fired operation)에서 폐쇄된다.
바람직하고 추가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은 배출 터보차저(exhaust turbocharger)가 제공되고, 상기 배출 터보차저의 교환 가스 터빈(exhaust gas turbine)은 효과적인 터빈 도입 횡단면(turbine entry cross section)을 변경가능하게 조절하기 위해 가변화 가능한 터빈 형상(variable turbine geometry)이 장착된다. 높은 엔진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가변화 가능한 터빈 형상이 횡단면을 감소시키는 적재 위치(stowage position)로 전달되고, 이는 실린더 유출구와 배출 가스 터빈 사이에서 실린더의 배제(expulsion of the cylinder content)를 반대하는 높은 배출 가스 반대 압력(high exhaust gas counterpressure)이 형성된다.
추가적인 장정과 유리한 실시예는 추가적인 청구항으로부터 수반되는 도면의 설명으로 추론될 수 있으며,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출 터보 차저(turbocharger)를 갖는 내연 기관의 도식적인 도면을 도시하며, 밸브의 리프트 커브(lift curve)에 영향을 주는 캠축(camshaft)과 일체로 형성된 유입 밸브 및 유출 밸브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 중 어느 한 실 린더의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유출 밸브를 위한 추가적인 리프트 커브의 설명을 포함하는 유입 밸브 및 유출 밸브를 위한 리프트 커브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예를 들어 디젤 엔진(diesel engine) 또는 스파크 점화 엔진(spark ignition engine)인 내연 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을 도시한다. 상기 확대 도면은 내연 기관의 실린더(1)를 도시하고, 상기 실린더의 연소 챔버(9)는 유입 밸브(5)를 통해 유입 채널(4)로 흐름이 연결되고(flow-connected) 유출 밸브(7)를 통해 배출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6)로 흐름이 연결된다. 유입 채널(4)은 내연 기관의 흡입 관(intake tract, 20)과 관련되고, 반면 배출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6)는 내연 기관의 배출 라인(16)과 연결된다. 유입 밸브(5)가 개방될 때 실린더(1)의 연소 챔버로 유입 채널(4)을 통하여 연소 공기(combustion air)가 흐르고, 유출 밸브(7)가 개방될 때 연소 챔버 내 위치된 가스는 배출 매니폴드(6)를 통해 배출 라인(16) 또는 배출 트레인(exhaust train)으로 방출된다.
충전 교환 밸브(charge exchange valve, 5 및 7)를 제어하기 위한 캠축(23)이 제공되고, 상기 캠축 상에 캠(cam, 24 및 25)이 장착되며, 상기 캠축의 캠(24)은 유입 밸브(inlet valve, 5)와 결합되고 캠(25)은 유출 밸브(outlet valve, 7)와 결합한다. 캠(24 및 25)의 윤곽은 적합한 트랜스미션 부재(transmission member)의 보조로 충전 교환 밸브(charge exchange valve, 5 및 7)로 전달된다. 상기 밸브(5 및 7)의 리프트 커브(lift curve)는 캠 윤곽(cam contour)에 의해 형성된다. 캠축 종 방향 축에 대한 공전(revolution) 중에, 각각의 캠 윤곽은 각각의 밸브(5, 7) 상으로 리프트 커브를 발생시키기 위해 정밀 조사되어 이동된다.
추가적으로, 실린더(1) 상에 스로틀 밸브(28)가 장착되고, 상기 유출 밸브는 배출 라인(exhaust line, 16)으로 개방된다. 상기 스로틀 밸브(28)는 캠축(23)의 작동기(actuator, 29)를 통해 독립적으로 시동된다.
모든 충전 교환 밸브(5, 7 및 28)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 헤드(3) 내에 위치된다.
캠(25)에 덧붙여, 또한 추가 캠이 유출 밸브(7)와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캠(25)은 추가 캠을 가지고, 상기 추가 캠을 통해 추가 리프트 커브(lift curve)가 상기 유출 밸브(7) 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리프트 커브는 도 2에서 설명되고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연 기관은 배출 터보 차저(exhaust turbocharger, 2)가 장착되고, 상기 배출 터보 차저는 배출 라인(16) 내 배출 가스 터빈(exhaust gas turbine, 10)과 흡입 관(intake tract, 20) 내 압축기(compressor, 11)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가스 터빈(10)의 터빈 휠은 샤프트(12)를 통해 압축기(11)의 압축 휠(compressor wheel)로 회전식으로 커플 결합된다. 내연 기관의 작동 중에, 상승 압력(elevated pressure)으로 압축기 휠(compressor wheel)에 의해 압축되는 연소 공기(combustion air)은 압축기 유입부(compressor entry, 19)를 통해 환경으로부터 상기 압축기(11)로 공급된다. 압축 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는 압축기 유출구(outlet, 21)를 통해 압축기로부터 발생되고(issue) 흡입 관(20)을 통해 유입 채널(4)로 제공되며, 유입 채널로 유입 이전에 적절한 경우 공기 쿨러 내 냉각 작용이 수행된다.
배출 가스 측부에서, 상기 연소 챔버(9)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배출 라인(16)과 터빈 도입(turbine entry, 17)를 통하여 흐르며, 이에 터빈 휠(turbine wheel)을 구동한다. 스트레스가 경감된 가스(stress-relieved gas)는 터빈 출구(turbine exit, 18)를 경유하여 터빈으로부터 방출된다.
적당하게, 상기 배출 가스 터빈(10)은 최소 적재 위치(minimum stowage position)와 최대 개방 위치(maximum opening position) 사이에서 터빈 휠에 대해 효과적인 터빈 도입 횡단면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가변화 가능한 터빈의 형상(turbine geometry)이 제공된다. 상기 가변화 가능한 터빈의 형상이 터빈 도입 채널로 축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제동 방지재(braking baffle)로써 구현된다. 그러나, 터빈 도입 횡단면 내에 장착되고 조절 가능한 가이드 블레이드(guide blade)를 가지는 가이드 방지재(guide baffle)와 같은 실시예의 구현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배출 가스 터빈(exhaust gas turbine, 10)은 바이패스(bypass, 26)에 의해 브리지 연결되며(bridge), 바이패스 내 조절 가능한 바이패스 밸브(27)가 장착된다. 상기 바이패스(26)는 배출 가스 터빈(10)의 흐름에 따라(downstream) 배출 라인(16)으로부터 분기되고, 배출 가스 터빈의 흐름에 따라(downstream) 배출 라인을 향해 재차 개방된다. 작동기(14)는 바이패스 밸브(27)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공 된다.
추가적으로, 내연 기관은 배출 가스 재순환 수단(exhaust gas recirculation mean, 30)이 제공되고, 상기 배출 가스 재순환 수단은 상기 수단 내에 장착된 배출 가스 쿨러(exhaust gas cooler)와 조절 가능하고 방향이 일정한 셧-오프 밸브(shut-off valve, 33)를 갖는 재순환 라인(recirculation line, 31)을 포함한다. 재순환 라인(31)은 배출 가스 터빈(10)의 흐름 방향으로(downstream) 배출 라인(16)으로부터 이격되어 분기되고, 충전 공기 쿨러(charge air cooler, 34)의 흐름 방향으로(downstream) 흡입 관(intake tract, 20)으로 개방된다. 상기 배출 가스 재순환 수단(30)은 외부 배출 가스 재순환으로 알려지는 것이고, 상기 외부 배출 가스 재순환에서 배출 트레인으로부터 흡입관으로 재순환이 실린더 외측부에서 라인을 통해 수행된다. 또 한편으로 유입 밸브와 유출 밸브가 개방될 때 흐름이 실린더의 연소 챔버(9)를 통해 배출 라인(16)으로부터 흡입관(20)으로 직접 이동될 때, "내부 배출 가스 재순환(inner exhaust gas recirculation)"이 사용된다.
배울 가스 터빈(exhaust gas turbine, 10)의 흐름(downstream)으로, 조절 가능한 제동 플렙(brake flap, 35)이 배출 라인(16) 내에 장착된다. 제동 플렙(35)이 배출 가스 세척 수단(exhaust gas cleaning means, 36)의 흐름으로(upstream) 직접 위치된다.
내부 연소 엔진의 제 2 유닛 또는 내부 연소 엔진 내 작동기와 작동 부재는 작동 변수(operating variable)와 다양한 상태의 기능으로써 개방 루프와 폐쇄 루프 제어 유닛(15)으로부터 나오는 신호(signal)을 작동함으로써 조절된다. 이러한 상태와 작동 변수(operating)는 예를 들어 엔진 파라미터(engine parameter), 엔진 스피드(n), 유입 채널(4) 내 충전 압력(charge pressure, PL)과 터빈 도입(17)에서 터빈 도입 압력(PE)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파라미터와 영향을 주는 변수(influencing variable)는 구동자(driver)에 의해 형성되고 기계적인 휠 브레이크(mechanical wheel brake, PBr), 필요한 경우 핸드 브레이크(hand brake, PBr,H)로 공급되는 필요 제동력(braking power requirement, PBr)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구동 상태를 특징지으며, 필요한 경우 위험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험 신호(GS)와 구동 스피드(driving speed, v)의 변수가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충전 교환 밸브의 안전 점검이 블록(S)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오류 신호(F)가 오류의 경우에 나타난다. 전술된 모든 영향 변수(influencing variable) 또는 상태 및 작동 변수는 개방 루프와 폐쇄 루프 유닛으로 제공되어 프로세스 처리된다. 예를 들어 가변화 가능한 터빈 기하 도형적 형상(13)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신호,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 28)용 작동기(29), 배출 가스 재순환 수단(30)에 있어 바이패스 밸브(27)와 셧-오프 밸브(33)용 작동기(14)가 이러한 변수의 기능으로써 발생된다.
도 2는 각도로(in degree)로 설명된 크랭크 각도(crank angle)의 기능으로서 유입 밸브와 유출 밸브를 위한 리프트 커브(lift curve, AV 및 EV)를 갖는 다이어그램(diagram)을 도시한다. 대략 180°의 크랭크 각도와 360°의 크랭크 각도 사이의 방출 상태(expulsion phase)에서, 리프트 커브(AV)를 유출 밸브가 개방되며, 상 기 각도 범위는 방출 상태(expulsion phase)를 특징짓는다. 대략 360°(상사점(top dead center, TDC))와 540°사이 크랭크 각도에서, 리프트 커브(EV)를 갖는 유입 밸브는 개방 위치에 있으며, 상기 상태는 유입 상태로써 언급된다. 유입 밸브의 리프트 커브(EV)의 개방 지속 기간(opening duration)은
Figure 112009014456520-pct00001
에 의해 특징된다.
대략 유입 밸브의 리프트 커브(EV) 절반에 있어, 유출 밸브는 플로트 구성된(plotted) 리프트 커브(AVZ)에 따라 추가적으로 개방된다. 유출 밸브의 추가적인 리프트 커브(AVZ) 개방 지속시간(opening duration)은
Figure 112009014456520-pct00002
에 의해 특징되며, 이는 유입 밸브 리프트 커브(EV) 개방 지속시간
Figure 112009014456520-pct00003
의 30% 이상이며, 적합하게 50%이상이 되지 않는다. 보조 리프트 커브(AVZ)의 리프트 커브 높이(lift curve height)는 리프트 커브(AV 및 EV)의 레벨보다 훨씬 낮으며, 상기 보조 리프트 커브 AVZ의 리프트 HAV,Z는 유입 밸브의 리프트 HEV의 10%이지만, 20% 또는 30% 이상이 되지는 않는다. 유출 개방 운동(outlet open moment) 즉, 리프트 커브 AVZ의 시작은 유입 밸브의 리프트 커브(EV)의 피크(peak)와 대략 일치한다.

Claims (14)

  1. 유입 밸브(5)와 유출 밸브(7)의 리프트 커브(EV, AV)가 캠축(camshaft, 23)에서 캠(24, 25)의 형태에 의해 결정되고, 유입 밸브의 리프트 커브(EV)가 유출 밸브(7)의 리프트 커브(AV)에 대하여 오프셋 상태(phase-offset)가 되며, 실린더(1) 상에서 유입 개구부와 유출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유입 밸브(5) 및 유출 밸브(7)에 작용하는 캠축(camshaft, 23)을 갖는 내연 기관에 있어서,
    유출 밸브(7)에서 작동하는 추가 보조 캠은 상기 캠축(23)에 장착되고, 이에 따라 유입 밸브(5)의 리프트 커브(EV)와 횡단하는 오프셋 보조 리프트 커브의 상태(phase-offset auxiliary lift curve, AVZ)는 유출 밸브(7) 상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출 밸브(7)의 보조 리프트 커브(AVZ) 폐쇄 운동은 유입 밸브(5)의 리프트 커브(EV) 폐쇄 이후에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출 밸브(7)의 보조 리프트 커브(AVZ) 개방 지속시간(opening duration,
    Figure 112011039356361-pct00004
    )은 유입 밸브(5)의 리프트 커브(EV) 개방 지속시간(
    Figure 112011039356361-pct00005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4. 제 3 항에 있어서, 유출 밸브(7)의 보조 리프트 커브(AVZ) 개방 지속시간(opening duration,
    Figure 112009014459444-pct00012
    )은 유입 밸브(5)의 리프트 커브(EV) 개방 지속시간(
    Figure 112009014459444-pct00013
    )의 30% 초과(
    Figure 112009014459444-pct0001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입 밸브(5)의 리프트 커브(EV)는 보조 리프트 커브(AVZ)의 개방 운동에서 상기 리프트 커브의 피크(peak)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조 리프트 커브(AVZ)의 리프트(HAV,Z)는 유입 밸브(5)의 리프트(HEV)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7. 제 6 항에 있어서, 보조 리프트 커브(AVZ)의 리프트(HAV,Z)는 유입 밸브(5) 리프트(HEV)의 10% 초과(
    Figure 112009014459444-pct000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상에 장착되는 또 다른 유출밸브로서 조절 가능한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 2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밸브(28)는, 상기 스로틀 밸브와 연결되고 별도로 작동 가능한 작동기(29)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28)는 엔진 제동 단계에 있어서 일정한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밸브(7) 및 유출밸브에 흐름이 연결된 배출매니폴드(6)를 통해 상기 실린더(1)의 연소챔버(9)내에 위치한 가스가 배출라인(16)내부로 배출되고, 상기 유입밸브(5), 유입밸브에 흐름이 연결된 유입채널(4) 및 조절가능한 셧-오프 밸브(33)를 통해 상기 연소챔버(9)에 흡입관(20)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라인(16)과 상기 흡입관(20)사이에 상기 셧-오프 밸브(33)를 포함한 재순환라인(31)을 가진 배기가스 재순환 수단(30)이 배열되고,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수단이 상기 실린더(1)외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밸브(7) 및 유출밸브에 흐름이 연결된 배출매니폴드(6)를 통해 상기 실린더(1)의 연소챔버(9)내에 위치한 가스가 배출라인(16)내부로 배출되고, 상기 유입밸브(5) 및 유입밸브에 흐름이 연결된 유입채널(4)을 통해 연소챔버(9)에 흡입관(20)이 연결되며,
    상기 내연기관은 상기 배출라인(16)내에 배열된 배출가스 터빈(10) 및 상기 흡입관(20)내에 배열된 압축기(11)를 가진 배출터보차저(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3. 제 12 항에 있어서, 배출 가스 터빈(10)은 효과적인 터빈 도입 횡단면(turbine entry cross section)을 변경 가능하게 조절하기 위해, 가변화 가능한 터빈 형상(turbine geometry, 1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제동 플랩(brake flap, 35)이 배출 트레인 내에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KR1020097004975A 2006-08-10 2007-08-06 내연 기관 KR101056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7396A DE102006037396A1 (de) 2006-08-10 2006-08-10 Brennkraftmaschine
DE102006037396.0 2006-08-10
PCT/EP2007/006929 WO2008017440A1 (de) 2006-08-10 2007-08-06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376A KR20090040376A (ko) 2009-04-23
KR101056881B1 true KR101056881B1 (ko) 2011-08-12

Family

ID=3882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975A KR101056881B1 (ko) 2006-08-10 2007-08-06 내연 기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23559B2 (ko)
EP (1) EP2049774A1 (ko)
JP (1) JP2010500497A (ko)
KR (1) KR101056881B1 (ko)
CN (1) CN101501305B (ko)
DE (1) DE102006037396A1 (ko)
WO (1) WO2008017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8461A1 (en) * 2010-05-21 2011-11-23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Internal exhaust gas recirculation contro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T510236B1 (de) * 2010-07-26 2015-12-15 MAN Truck & Bus Österreich AG Verfahren zur motorbremsung
JP6011291B2 (ja) * 2012-12-05 2016-10-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102015110558B4 (de) * 2015-07-01 2022-10-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rennkraftmaschine
DE102015214616B4 (de) 2015-07-31 2018-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bgasturboaufgeladenen Brennkraftmaschine mit Teilabschaltung
SE541865C2 (en) * 2017-03-22 2020-01-02 Scania Cv Ab Four-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reto related vehicle and method
DE102017003081A1 (de) 2017-03-31 2018-10-04 Man Truck & Bus Ag Variabler Ventiltrieb mit Bremsnocken
KR102613450B1 (ko) 2018-10-02 2023-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1024186A1 (en) * 2019-08-05 2021-02-11 Jacobs Vehicles Systems, Inc. Combined positive power and cylinder deactivation operation with secondary valve ev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4254B1 (en) 1999-04-14 2002-03-12 Diesel Engine Retarders, Inc. Exhaust and intake rocker arm assemblies for modifying valve lift and timing during positive power
US20030221336A1 (en) 2002-05-29 2003-12-04 Nike, Inc. Material having compressible projections and footwear incorporating th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933A (ja) * 1984-07-18 1986-02-18 東洋ガラス株式会社 樹脂製パレツト
JPS61164409A (ja) * 1985-01-14 1986-07-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管路引込工法
JPS63146129A (ja) * 1986-12-09 1988-06-18 Nec Corp 部分パスリスト生成器
JPH06272623A (ja) * 1993-03-22 1994-09-27 Kanesaka Gijutsu Kenkyusho:Kk オットーサイク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方法
JP3228036B2 (ja) * 1994-12-16 2001-11-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弁開閉機構付きエンジン
DE19637999A1 (de) 1996-09-18 1998-03-19 Daimler Benz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otorbremse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IT1291490B1 (it) * 1997-02-04 1999-01-11 C R F Societa Consotile Per Az Motore pluricilindrico a ciclo diesel con valvole ad azionamento variabile
BR9815102A (pt) * 1997-11-21 2000-12-12 Diesel Engine Retarders Inc Motor de combustão interna.
JP2001098913A (ja) * 1999-10-04 2001-04-10 Hino Motors Ltd 圧縮圧開放型エンジンブレーキ
US6561745B2 (en) * 2001-07-25 2003-05-13 Timothy R. Rountree Hand truck for transporting floor sander
SE523849C2 (sv) * 2001-10-11 2004-05-25 Volvo Lastvagnar Ab Avgasventilmekanism i förbränningsmotor
EP1492946B1 (en) * 2002-04-08 2011-11-02 Jacobs Vehicle Systems, Inc. Compact lost motion system for variable valve actuation
AU2003303392A1 (en) * 2002-12-23 2004-07-22 Jacobs Vehicle Systems, Inc. Engine braking methods and apparatus
JP4119281B2 (ja) * 2003-02-28 2008-07-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還流装置
US6925976B2 (en) * 2003-03-06 2005-08-09 Jenara Enterprises Ltd. Modal variable valve actu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05065213A2 (en) * 2003-12-30 2005-07-21 Jacobs Vehicl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valve actuation
JP2005307898A (ja) * 2004-04-23 2005-11-04 Hino Motors Ltd 制動力増大機構
WO2006023375A2 (en) * 2004-08-17 2006-03-02 Jacobs Vehicle Systems, Inc. Combined exhaust restriction and variable valve actuation
CN100519996C (zh) * 2004-09-09 2009-07-29 沃尔沃拉斯特瓦格纳公司 用于内燃机的设备
US7484483B2 (en) * 2004-10-14 2009-02-03 Jacobs Vehicl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valve actua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06005336A1 (de) * 2006-02-07 2007-08-09 Daimlerchrysler Ag Brennkraftmas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4254B1 (en) 1999-04-14 2002-03-12 Diesel Engine Retarders, Inc. Exhaust and intake rocker arm assemblies for modifying valve lift and timing during positive power
US20030221336A1 (en) 2002-05-29 2003-12-04 Nike, Inc. Material having compressible projections and footwear incorporating th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73313A1 (en) 2009-07-09
EP2049774A1 (de) 2009-04-22
JP2010500497A (ja) 2010-01-07
WO2008017440A1 (de) 2008-02-14
CN101501305A (zh) 2009-08-05
KR20090040376A (ko) 2009-04-23
US7823559B2 (en) 2010-11-02
DE102006037396A1 (de) 2008-02-14
CN101501305B (zh)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881B1 (ko) 내연 기관
US20090038584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412963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a gas pressure container assigned to the cylind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ngine
US7409943B2 (en) Engine braking method for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900437B1 (ko) 연소 기관, 상기 연소 기관을 포함하는 차량 및 상기 연소 기관을 제어하는 방법
US61704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exhaust gas recircula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pplication to retarding and powering function
CN109790780B (zh) 内燃发动机和用于控制发动机的制动扭矩的方法
US8019527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ssocia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595610B1 (ko) 피스톤 엔진의 가스 교환 밸브를 위한 제어 장치
US8230837B2 (en) Valve drive train actuating device
EP2184452B1 (en) Diesel engine having a system for variable control of the intake valves and inner exhaust gas recirculation
CN104005838A (zh) 具有双通道涡轮的增压内燃发动机以及操作所述类型内燃发动机的方法
US10738717B2 (en) Method for brak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4675527A (zh) 用于运行内燃机的方法和装置
US6418720B1 (en) Method and a device for engine braking a four 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6551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nlet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60042105A (ko)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한 연소 엔진 제어 방법
KR101523414B1 (ko) 피스톤 엔진의 가스교환을 위한 제어장치
US1113692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reciprocating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7026679B2 (ja) トルクを増大させる装置を備える往復動内燃機関
JP3298452B2 (ja) エンジン補助ブレーキ装置
JP2018031331A (ja) 圧縮圧開放型エンジンブレーキの制動力調整装置
US2022041227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brakin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699781B2 (ja) エンジン補助ブレーキ装置
JPH022153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