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655B1 -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655B1
KR101055655B1 KR1020090029094A KR20090029094A KR101055655B1 KR 101055655 B1 KR101055655 B1 KR 101055655B1 KR 1020090029094 A KR1020090029094 A KR 1020090029094A KR 20090029094 A KR20090029094 A KR 20090029094A KR 101055655 B1 KR101055655 B1 KR 101055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frame
connection plate
floor structur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653A (ko
Inventor
김재기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65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0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10Tr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객실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서로 평평하도록 측부가 맞닿게 배치되는 복수의 합판; 복수의 상기 합판이 맞닿은 이음부 하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철도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합판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제1수용홈의 깊이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수용홈 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연결플레이트; 상기 합판의 이음부 상면에 형성된 제2수용홈 내에 위치되는 제2연결플레이트;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 상기 합판,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합판의 이음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 및 상기 합판 및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의 상면에 평평하게 구비되는 바닥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한 합판이 하나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되, 제1ㆍ제2연결플레이트가 합판의 이음부의 상ㆍ하측을 가압하는 형태로 견고하게 연결 고정되어 합판 이음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철도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다수개의 보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프레임부에 있어서, 보강프레임이 인접한 보강프레임과 합판의 하측 중심부에서 결합되어 취약한 보강프레임의 연결 부분이 합판 중심부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보강프레임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내구성 향상으로 인해, 승객의 하중 또는 열팽창ㆍ수축에 의해 합판 이음부 상측 또는 보강프레임부 연결 부분 상측의 바닥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철도차량, 플로팅 플로어, 바닥, 합판

Description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Floating floor structure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판 이음부 및 보강프레임의 연결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바닥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플로어는 철도차량 차체의 언더 프레임 상면에 장착되어 객실의 바닥을 이루는 것으로서, 크게 유니텍스 형태와 플로팅 플로어 형태가 있다. 여기서, 유니텍스 형태는 열팽창 및 열수축에 대한 대응성이 미흡하여, 열팽창 및 열수축의 폭이 큰 알루미늄 차량의 경우, 주로 플로팅 플로어 형태가 적용된다.
이러한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는, 기본적으로 복수의 합판이 평평하게 배치 및 연결되고, 그 합판의 상면에 바닥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에 있어서 합판(10)의 이음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는, 합판(10)의 일측에 합판(10)의 절반 두께로 상측 단(11, 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같은 두께로 하측 단(12)이 형성되어, 합판(10)의 상측 단(11)이 인접한 다른 합판(10)의 하측 단(12)과 접촉되면서, 두 합판(10)의 상면은 평평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렇게 상측 단(11)과 하측 단(12)이 접촉되는 합판(10) 이음부 하측에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인 지지프레임(20)이 철도차량의 폭 방향으로 위치되고, 리벳(30)이 합판(10)의 상측 단(11), 인접한 다른 합판(10)의 하측 단(12) 및 지지프레임(2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리벳(30)에 의해 인접한 두 개의 합판(10)과 지지프레임(20)이 고정된다.
상기 합판(10)의 상면에는 일정한 두께로 평평하게 바닥재(40)가 구비되고, 지지프레임(20)의 하면에는 차체의 언더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질의 탄성체(5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는, 인접한 두 개의 합판(10)이 그 두께의 절반으로 형성되는 상측 단(11)과 하측 단(12)을 통해 철도차량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구비되는 리벳(30)으로 고정되므로, 굽힘 하중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즉, 철도차량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기준으로, 인접한 두 개의 합판(10)의 상측 단(11)과 하측 단(12)이 하나의 리벳(30)으로 한 점 고정되므로, 굽힘 하중에 취약하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합판(10)에 굽힘 하중으로 전달되는 승객의 하중으로 인 해, 합판(10)의 이음부가 변형되고, 이러한 합판(10) 이음부의 변형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구비된 바닥재(40)에 합판(10) 이음부를 따라 균열(CR)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는, 지지프레임(20)의 하면에 구비된 탄성체(50)에 의해 진동 전달이 저감될 수 있으나, 이러한 연질의 탄성체(50)는 그 연성으로 인해 지지프레임(20)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므로, 승객의 하중이 커지면 지지프레임(20)에 과도한 처짐이 발생하여, 바닥재(400)에 균열(CR)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는, 철도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 외에 철도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보강프레임부는 다수개의 보강프레임(60)이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다수개의 보강프레임(60)은 그 연결 부분이 합판(10)의 이음부와 일치되도록 연결 설치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합판(10)의 이음부의 내구성 약화로 인해, 동일한 곳에 위치한 보강프레임(60)의 연결 부분도 취약해지며, 이로 인해 균열(CR) 발생을 비롯한 바닥재(40)의 손상이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는, 합판(10)의 이음부와 보강프레임(60)의 연결 부분의 내구성이 낮아, 바닥재(40)의 손상이 빈번하고, 바닥재(40)의 손상된 균열(CR)을 통해 수분이 유입될 경우, 그 하측의 지지프레임(20), 보강프레임(60), 언더 프레임 등의 부식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손상된 바닥재(40)의 유지 보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며, 유지 보수를 하더라도 이러한 바닥재(40)의 손상은 반복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합판의 이음부 및 보강프레임의 연결 부분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승객 하중이 강하게 인가되거나 구성요소들이 열팽창ㆍ수축되더라도 합판의 이음부 및 보강프레임의 향상된 내구성에 의해 합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바닥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는, 철도차량의 객실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서로 평평하도록 측부가 맞닿게 배치되는 복수의 합판; 복수의 상기 합판이 맞닿은 이음부 하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철도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합판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제1수용홈의 깊이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수용홈 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연결플레이트; 상기 합판의 이음부 상면에 형성된 제2수용홈 내에 위치되는 제2연결플레이트;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 상기 합판,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합판의 이음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 및 상기 합판 및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의 상면에 평평하게 구비되는 바닥재;를 포함한다.
상기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나사로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가 상기 합판 및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합판의 이음부가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수직으로 한 쌍의 지지벽이 구비되어 그 내부 공간이 제1ㆍ제2ㆍ제3중공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를 상기 제1수용홈 내에 고정하는 리벳은 중심에 위치한 상기 제2중공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상기 합판을 고정하도록 양측에 위치한 상기 제1ㆍ제3중공부로 각각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그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하는 경질탄성체; 및 상기 경질탄성체의 하면에 구비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연질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는, 상기 철도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합판의 하측에 배치 고정되며, 상기 합판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보강프레임이 연결되어 각각 이루어지는 복수의 보강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프레임이 인접된 다른 상기 보강프레임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합판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에 의하면, 인접한 합판이 하나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제1ㆍ제2연결플레이트가 합판의 이음부의 상ㆍ하측을 가압하는 형태로 견고하게 연결 고정되어 합판 이음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프레임부를 이루는 보강프레임이 인접한 보강프레임과 합판의 하측 중심부에서 결합되어, 취약한 보강프레임의 연결 부분이 합판 중심부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보강프레임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내구성 향상으로 인해, 승객의 하중 또는 구성요소들의 열팽창ㆍ수축에 의해 합판 이음부 상측 또는 보강프레임 연결 부분 상측의 바닥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보강프레임부의 일부 하면에 경질의 탄성체가 구비되어 승객의 하중에 의한 지지프레임 및 보강프레임부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지지프레임 및 보강프레임부의 과도한 처짐에 의해 그 상측의 바닥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재에 형성된 균열을 통한 수분 유입으로 플로팅 플로어가 부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바닥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바닥재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의 빈도를 줄여, 유지 보수에 필요한 비용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 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의 구성, 작용효과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00), 제1연결플레이트(200), 복수의 합판(300), 제2연결플레이트(400), 다수개의 고정부재(500), 복수의 보조프레임(600), 복수의 보강프레임부(700) 및 바닥재(8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프레임(100)은 그 단면이 직사각 형상인 프레임으로 구비되고, 철도차량의 폭 방향으로 합판(30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합판(300)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복수의 지지프레임(100) 상면에는 전면(全面)에 걸쳐서 소정의 깊이를 갖는 제1수용홈(110)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수용홈(110)에는 제1연결플레이트(200)가 위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그 내부 공간이 제1ㆍ제2ㆍ제3중공부(E-1, E-2, E-3)의 세 공간으로 구분되도록 수직으로 한 쌍의 지지벽(12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한 쌍의 지지벽(120)은 지지프레임(100)의 상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100)의 단면 형상은, 내부에 하나의 중공부를 갖는 세 개의 프레임이 일체를 이루도록 평행하게 연결된 형 상과 유사하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프레임(100)의 하면에는 객실 내 승객 하중에 의한 지지프레임(100)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하는 연성이 약한 경질탄성체(140)가 구비되고, 이러한 경질탄성체(140)의 하면에는 차체의 언더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성이 강한 연질탄성체(150)가 구비된다.
대개 진동 흡수를 위해 이러한 지지프레임(100)의 하면에는 연질탄성체(150)만을 두텁게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두께의 일부에 해당하는 층을 경질탄성체(140)로 구비함으로써, 지지프레임(100)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합판(300)의 상면에 구비되는 바닥재(800)에 지지프레임(100)의 과도한 처짐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200)는 제1수용홈(110)의 크기 및 깊이에 대응되는 크기 및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홈(110)의 내부에 리벳(R)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벳(R)은 지지프레임(100)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2중공부(E-2)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합판(300)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이 서로 평평하도록 측부가 맞닿게 철도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합판(300)이 서로 맞닿은 이음부(D-1) 하측에 복수의 지지프레임(100)이 각각 위치되도록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합판(300)이 인접한 다른 합판(300)과 맞닿는 양측부에는 소정의 동일한 깊이로 단(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단으로 인해 복수의 합판(300)이 서로 맞닿는 이음부(D-1) 상면에는 제2수용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400)는 이러한 제2수용홈(310)의 크기 및 깊이에 대응되는 크기 및 두께로 이루어지고, 제2수용홈(3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부재(500)는 제2연결플레이트(400), 합판(300), 제1연결플레이트(200) 및 지지프레임(100)을 순서대로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합판(300)의 이음부(D-1)를 고정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로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연결플레이트(400)에는 수직으로 관통되고 나사의 머리부에 대응되도록 테이퍼 형상을 갖는 테이퍼홀(410)이 다수개 형성되고, 합판(300)의 제2수용홈(310)의 바닥면에는 이러한 테이퍼홀(410)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200)에는 이러한 관통홀(320)에 대응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재(500) 외주면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홀(21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나사홀(210)에 대응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홀(130)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0)는 전술된 테이퍼홀(410) 및 관통홀(320)에 삽입 관통되어 지지프레임(100)의 양측에 위치되는 제1ㆍ제3중공부(E-1, E-3) 내로 돌출되도록 나사홀(210) 및 체결홀(13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테이퍼홀(410)은 고정부재(500)인 나사의 머리부가 걸릴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되므로, 고정부재(500)를 나사홀(210) 및 체결홀(130)에 체 결함에 따라, 합판(300)은 상측으로 제2연결플레이트(400), 하측으로 제1연결플레이트(20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그 이음부(D-1)가 고정부재(500)에 의해 고정된다.
즉, 인접한 한 쌍의 합판(300)은, 그 측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하나의 공통된 제1ㆍ제2연결플레이트(200, 400) 및 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됨으로써, 합판(300) 간의 연결은 매우 견고해진다.
이때,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200)는 나사홀(210)을 통해 실질적으로 고정부재(500)에 대한 너트 역할을 하게 되므로, 내구성이 높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볍지만 내구성이 약한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 나사홀(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400)는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철도차량을 경량화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ㆍ제2연결플레이트(200, 40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 및 알루미늄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체결홀(130)의 내주면에도 고정부재(5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부재(500)가 나사홀(210)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홀(130)에도 체결되도록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100)의 상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단순한 관통홀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보조프레임(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의 폭 방향으로 지지프레임(100)에 평행하게 복수의 지지프레임(100)의 사이마다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보조프레임(600)은 합판(300)의 중심부 하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보조프레임(600)은 객실 내 승객 하중에 따른 합판(300) 중심부의 처짐을 방지하고, 지지프레임(100)을 보조하여 철도차량의 폭 방향으로 플로팅 플로어 구조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보강프레임부(700)는 지지프레임(100) 및 보조프레임(600)과 직각을 이루도록 철도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폭 방향을 따라 합판(300)의 하측에 배치 고정된다. 상기 보강프레임부(700)는 철도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매우 긴 길이를 갖는데, 이러한 긴 길이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일체로 제작하는 것은 난해하고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상기 보강프레임부(700)는 다수개의 보강프레임(710)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강프레임(710)은 합판(30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710)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 부분(D-2)은 합판(300)의 중심부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보강프레임부(700)에 있어서, 보강프레임(710)의 연결 부분(D-2)은 그 강성에 있어 취약하기 마련인데, 그 연결 부분(D-2)을 합판(300)의 중심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보강프레임부(700)의 약한 부분은 합판(300)에 의해 보강되고, 합판(300)의 약한 부분(이음부(D-1))은 보강프레임부(700)에 의해 서로 보 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수개의 보강프레임(710)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사와 나사홀, 볼트와 너트 체결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된 보조프레임(600) 및 보강프레임부(700)의 하면에는 차체의 언더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연성이 강한 탄성체가 구비되는데, 선택적으로 그 일부에는 상술한 지지프레임(100)과 같이 보조프레임(600)이나 보강프레임부(700)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성이 약한 경질의 탄성체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닥재(800)는 합판(300) 및 제2연결플레이트(400)의 상면에 평평하게 구비되고 수분의 침투도 차단함으로써, 합판(300) 및 제2연결플레이트(400)를 물리적으로 보호하고, 수분에 의한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재(800)는 철도차량의 객실 바닥면을 이루어 승객들과 직접 접촉되는 부재이므로, 승객들의 미끄러짐도 방지할 수 있는 수지 재질 등으로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는, 인접한 합판(300)이 하나의 지지프레임(100), 제1ㆍ제2연결플레이트(200, 400)에 각각 별도의 고정부재(500)를 통해 고정되고, 제1ㆍ제2연결플레이트(200, 400)가 합판(300)의 이음부(D-1)의 상ㆍ하측을 가압하는 형태로 견고하게 연결 고정되어, 합 판 이음부(D-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지프레임(100)의 하면에 구비된 경질탄성체(140)에 의해 지지프레임(100)의 과도한 처짐이 방지되므로, 합판(300) 및 제2연결플레이트(400)의 상면에 구비되는 바닥재(800)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의 도 1에 도시한 A-A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에 균열이 발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를 부분 절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B-B의 단면을 바닥재가 구비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의 도 5에 도시한 C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지프레임 110 : 제1수용홈
120 : 지지벽 130 : 체결홀
140 : 경질탄성체 150 : 연질탄성체
200 : 제1연결플레이트 210 : 나사홀
300 : 합판 310 : 제2수용홈
320 : 관통홀 400 : 제2연결플레이트
410 : 테이퍼홀 500 : 고정부재
600 : 보조프레임 700 : 보강프레임부
710 : 보강프레임 800 : 바닥재
D-1 : 합판의 이음부 D-2 : 보강프레임의 연결 부분
E-1 : 제1중공부 E-2 : 제2중공부
E-3 : 제3중공부 R : 리벳

Claims (6)

  1. 철도차량의 객실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 구조에 있어서,
    상면이 서로 평평하도록 측부가 맞닿게 배치되는 복수의 합판;
    복수의 상기 합판이 맞닿은 이음부 하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철도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합판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제1수용홈의 깊이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수용홈 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연결플레이트;
    상기 합판의 이음부 상면에 형성된 제2수용홈 내에 위치되는 제2연결플레이트;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 상기 합판,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합판의 이음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 및
    상기 합판 및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의 상면에 평평하게 구비되는 바닥재;
    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나사로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가 상기 합판 및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합판의 이음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수직으로 한 쌍의 지지벽이 구비되어 그 내부 공간이 제1ㆍ제2ㆍ제3중공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를 상기 제1수용홈 내에 고정하는 리벳은 중심에 위치한 상기 제2중공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상기 합판을 고정하도록 양측에 위치한 상기 제1ㆍ제3중공부로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그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하는 경질탄성체; 및
    상기 경질탄성체의 하면에 구비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연질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합판의 하측에 배치 고정되며, 상기 합판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보강프레임이 연결되어 각각 이루어지는 복수의 보강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프레임이 인접된 다른 상기 보강프레임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합판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KR1020090029094A 2009-04-03 2009-04-03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KR101055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094A KR101055655B1 (ko) 2009-04-03 2009-04-03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094A KR101055655B1 (ko) 2009-04-03 2009-04-03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653A KR20100110653A (ko) 2010-10-13
KR101055655B1 true KR101055655B1 (ko) 2011-08-09

Family

ID=4313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094A KR101055655B1 (ko) 2009-04-03 2009-04-03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2394B (zh) * 2010-12-24 2012-10-31 南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铁路客车模块化地板安装方法
CN102092395B (zh) * 2010-12-24 2012-10-31 南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用于铁路客车的模块化地板
CN102514633B (zh) * 2011-12-27 2013-04-10 常熟华东汽车有限公司 拼接式车厢板结构
CN112460113B (zh) * 2019-09-09 2024-09-17 宾科精密部件(中国)有限公司 用于多个板材连接用的连接机构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259A (ja) 1998-03-30 1999-10-12 Kawasaki Heavy Ind Ltd 床板接合部の床板と床板受の連結構造
KR20010001668U (ko) * 1999-06-30 2001-01-26 추호석 철도차량의 바닥골조
KR100852643B1 (ko) * 2007-06-29 2008-08-18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바닥 합판 이음구조
KR200449063Y1 (ko) * 2008-03-17 2010-06-10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상 구조의 보드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259A (ja) 1998-03-30 1999-10-12 Kawasaki Heavy Ind Ltd 床板接合部の床板と床板受の連結構造
KR20010001668U (ko) * 1999-06-30 2001-01-26 추호석 철도차량의 바닥골조
KR100852643B1 (ko) * 2007-06-29 2008-08-18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바닥 합판 이음구조
KR200449063Y1 (ko) * 2008-03-17 2010-06-10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상 구조의 보드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653A (ko)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1548B2 (ja) 鉄道車両
KR101055655B1 (ko) 철도차량용 플로팅 플로어 구조
US7438001B2 (en) Car body structure
CN101273207B (zh) 将轻质板体固定在支座上的固定装置
US9533692B2 (en) Floor structure of railcar and railcar including same
JP4845020B2 (ja) バンパ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244496A1 (en) Underframe for motor vehicle
JP6830323B2 (ja) 制振材の固定方法
US9108648B2 (en) Supporting device for a rail vehicle floor
JP2015091690A (ja) 車両用外装ビ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211139319U (zh) 一种用于支撑地板的弹性支撑结构
KR101147317B1 (ko) 철도차량용 허니콤 바닥구조체
KR200449063Y1 (ko) 철도차량 상 구조의 보드 연결 구조
KR20090012740U (ko) H형강과 t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CN220447982U (zh) 用于交通工具的地板结构和交通工具
US1244806A (en) Railway-car end construction.
US20220153514A1 (en) Profile for a container,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rofile, base structure for a container and container
CN107554253B (zh) 车门防撞梁装置及具有它的车辆
KR20200060136A (ko) 고강도강 적용 고두께 경량 크로스 멤버
KR20240011953A (ko) 철도차량용 패널
JP2021138315A (ja) 軌条車両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02491B1 (ko) 건설 구조물의 거푸집용 합성폼
CN112874638A (zh) 厢体地板
CN114852112A (zh) 一种轨道车辆设备舱底板及轨道车辆设备舱底板架构
JP3750614B2 (ja) パネ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