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130B1 - 광학적 정보기록매체 및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학적 정보기록매체 및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130B1
KR101055130B1 KR1020067000317A KR20067000317A KR101055130B1 KR 101055130 B1 KR101055130 B1 KR 101055130B1 KR 1020067000317 A KR1020067000317 A KR 1020067000317A KR 20067000317 A KR20067000317 A KR 20067000317A KR 101055130 B1 KR101055130 B1 KR 101055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optical information
groove
ratio
informa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270A (ko
Inventor
도미하루 호사카
히데오 구사다
나오야스 미야가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2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only, e.g. ablativ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11B7/24079Width or dept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11B7/268Post-production operations, e.g. initialising phase-change recording layers, checking for def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복수의 선속도로 기록가능한 랜드·그루브 기록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저선속도로 기록 재생했을 때의 재생신호의 지터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랜드ㆍ그루브 구조를 가지며, 복수의 선속도로 기록가능한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기록가능한 최대 선속도(SH)와 최소 선속도(SL)의 비(SH/SL)의 값이 2∼3을 만족하고, 미기록 상태에서의 그루브로부터의 반사광량(RG)과 랜드로부터의 반사광량(RL)의 비(RG/RL)의 값을 1.08 이상 1.19 이하로 한다.

Description

광학적 정보기록매체 및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Reproducing System}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광학적 정보기록매체 및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도 정보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대용량의 정보를 기록 재생할 수 있는 매체로서 광디스크나 광카드, 혹은 광테이프 등의 광기록매체가 제안되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광디스크가 대용량 기록매체로서 주목받고 있다. 예컨대, 광디스크의 하나로 상변화형 디스크가 있다.
상변화형 디스크에의 기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행해진다. 기록층의 융점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레이저(이 때의 파워를 기록 파워라 함)를 조사하여 기록층을 용융한다. 레이저가 통과하면, 용융된 영역은 급랭되어 비정질 상태가 되고 마크가 형성된다. 또한, 기록층의 결정화 온도 이상이고 융점 이하의 온도가 되는 레이저(이 때의 파워를 소거 파워라 함)를 조사하면, 기록층은 결정 상태가 되어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이러한 마크와 스페이스를 형성해 감으로써 상변화형 디스크에는 기록 패턴이 형성, 즉 기록이 행해진다.
한편, 기록이 이루어진 상변화형 디스크로부터의 재생은, 결정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마크 및 스페이스로부터의 반사광량의 차이를 4분할 디텍터로 검출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상변화형 디스크로부터 검출된 재생신호의 품질을 나타내기 위한 특성으로는 지터가 사용된다. 랜드ㆍ그루브 기록의 상변화형 디스크에서의 그루브 및 랜드로부터의 재생신호의 지터는, 기판의 홈깊이나 홈폭, 디스크의 사용재료나 구성, 나아가 초기화 조건 등의 디스크 전체로서의 광학적인 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통상, 랜드ㆍ그루브 기록의 상변화형 디스크에 있어서는, 동일면내에서 트랙 피치(그루브간 혹은 랜드간의 피치를 말함)가 일정하다. 따라서, 상변화형 디스크의 그루브와 랜드의 광학적인 상태는, 미기록 상태의 매체에 레이저를 조사했을 때의 그루브로부터의 반사광량(RG)과 랜드로부터의 반사광량(RL)의 비(RG/RL; 이후 반사광량비(RG/RL)라 함)로서 나타낼 수 있다. 또, 랜드ㆍ그루브 기록의 상변화형 디스크는, 기록시의 열이 그루브에 들어차기 쉽기 때문에, 반사광량비(RG/RL)의 값을 1보다 약간 큰 값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한편, 그루브에만 기록을 행하는 상변화형 디스크에 있어서는, 그루브폭이 랜드폭보다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도 있다. 또, 사용자 영역의 외주에 형성된 리드인, 리드아웃 영역의 랜드폭을, 사용자 영역의 랜드폭보다 넓게 하고 있는 예도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종래, 상품화되어 있는 랜드ㆍ그루브 기록의 상변화형 디스크로서, 저(低)선속도 기록 전용의 상변화형 기록매체가 있다. 또한, 디스크의 고밀도화에 따라 단시간에 기록을 행하기 위해, 종래의 선속도에서 그 1.5배의 선속도까지의 기록에 대응한 상변화형 디스크가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다. 이들 디스크에 있어서는, 모 두 반사광량비(RG/RL)의 값이 1.05정도로 양호한 지터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더욱 고(高)선속도이며 또한 복수의 선속도에서의 기록에 대응한 상변화형 디스크도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공개특허 평10-172183호 공보
일반적으로, 고선속도로 기록가능한 상변화형 디스크에서는, 단시간에 기록이 행해지므로, 기록시의 레이저에 의한 발열을 기록층내에 충분하게 전달시킬 필요가 있어, 저선속도 기록 전용 디스크에 비해 열이 도피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와 같은 고선속도로 기록가능한 상변화형 디스크를 저선속도로 기록한 경우, 랜드와 달리 그루브는 양측에 있는 벽면 때문에 더욱 열이 들어차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저선속도 기록 전용 디스크와 비교하면, 더욱 열이 도피하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레이저가 통과하더라도 용융된 영역이 급랭되지 않아, 기록 마크 길이가 불안정해지고, 재생시에 있어서 특히 그루브의 지터가 악화된다.
예컨대, 반사광량비(RG/RL)의 값이 1.05정도이며, 또한 기록가능한 최대 선속도(SH)와 최소 선속도(SL)의 비(SH/SL; 이후, 선속도비(SH/SL)라 함)의 값을 2이상으로 한 상변화형 디스크를 최소 선속도(SL)로 기록 재생한 경우, 종래의 상기 상품화되어 있는 상변화형 디스크보다 재생신호의 지터가 악화된다.
본 발명은, 이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한, 복수의 선속도로 기록가능한 랜드ㆍ그루브 기록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 및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랜드·그루브 구조를 가지며, 복수의 선속도로 기록가능한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로서, 기록가능한 최대 선속도(SH)와 최소 선속도(SL)의 비(SH/SL)의 값이 2∼3을 만족하고, 미기록 상태에서의 그루브로부터의 반사광량(RG)과 랜드로부터의 반사광량(RL)의 비(RG/RL)의 값이 1.08 이상 1.1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그루브의 재생신호의 지터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는, 그루브의 반값 홈폭(WG)과 트랙 피치(TP)의 비(WG/TP)의 값이 0.50<(WG/TP)<0.60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판의 홈폭의 영향을 억제하여, 그루브의 재생신호의 지터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은, 복수의 선속도로 기록가능하며, 광원의 파장이 660±10nm, NA가 0.6±0.01의 광학적 수단을 구비하고, 기록가능한 최대 선속도(SH)와 최소 선속도(SL)의 비(SH/SL)의 값이 2∼3에 있어서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랜드와 그루브의 광학적 상태를 규정함으로써, 랜드ㆍ그루브 구조를 가지며, 또한 복수의 선속도로 기록가능한 랜드·그루브 기록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에 대하여 저선속도로 기록을 행할 때에도, 기록층에 열이 들어차는 것이 억제되어 안정된 기록 마크가 형성되고, 재생시의 지터 악화가 억제되어 양호한 재생신호의 지터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의 모식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에 대한 그루브의 재생신호의 지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에 대한 랜드의 재생신호의 지터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기판
2 그루브
3 랜드
4 하측 유전체층
5 기록층
6 상측 유전체층
7 광흡수층
8 반사층
9 접착층
10 기판
11 광디스크
12 모터
13 시스템 제어회로
14 변조 및 기록펄스 생성회로
15 레이저 구동회로
16 파워 조정회로
17 광헤드
18 재생신호처리 및 복조회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의 모식적 단면도를 나타낸다. 1은 기판이고, 2 및 3은 각각 기판(1)에 형성된 그루브 및 랜드, 4는 하측 유전체층, 5는 기록층, 6은 상측 유전체층, 7은 광흡수층, 8은 반사층, 9는 기판(10)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착층이며, 기판(1)위에 순차 적층되어 있다.
기록가능한 선속도가 8.2m/sec∼24.6m/sec인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를, 선속도 8.2m/sec로 기록 재생하면, 반사광량비(RG/RL)의 값에 대한 그루브 및 랜드의 재생신호의 지터는 각각 도 3 및 도 4가 된다. 도 3은, 선속도비(SH/SL)의 값이 2∼3에 있어서, 재생신호의 지터가 급격하게 악화될 때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이 가장 큰 경우를 나타내고, 도 4는, 선속도비(SH/SL)의 값이 2∼3에 있어서, 재생신호의 지터가 급격하게 악화될 때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이 가장 작은 경우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매체를 드라이브나 레코더 등의 기록재생장치에서 실제로 사용하면, 기록 재생했을 때의 재생신호의 지터가 13%를 초과하는 경우에 재생신호의 에러가 증가해 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이들 기록재생장치에는 성능에 편차가 있기 때문에, 기록 재생했을 때의 재생신호의 지터는 장치에 따라 다소 다른 값이 된다. 따라서, 실제 사용시의 재생신호의 지터는 상기를 고려하여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루브의 경우, 도 3에 있어서, 반사광량비(RG/RL)의 값이 1.08보다 작아지면 레이저로 기록할 때 열이 들어차는 것에 의한 영향이 커져, 형성된 기록 마크 길이가 불안정해진다. 그 때문에, 지터가 10%를 초과하여 급격하게 악화된다. 즉, 종래의 선속도비(SH/SL)의 값이 1.5이하인 매체에 대하여, 반사광량비(RG/RL)의 값을 1.08 이상으로 하여 광학적으로 그루브를 랜드보다 유리하게 함으로써, 재생신호의 지터가 낮게 억제된다. 또, 랜드의 경우, 도 4에 있어서, 반사광량비(RG/RL)의 값이 1.19보다 커지면 기록 마크의 폭보다 랜드폭이 좁아져, 재생시의 출력이 감소하여 지터가 10%를 초과하여 급격하게 악화된다. 특히, 반복하여 기록하면 홈에지부는 변형 등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그 부분의 기록 마크가 소거되기 어려워져 지터가 급격하게 악화된다. 이상으로부터, 선속도비(SH/SL)의 값이 2∼3이며, 복수의 선속도로 기록가능한 랜드ㆍ그루브 기록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에서의 재생신호의 지터의 악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반사광량비(RG/RL)의 값을 1.08 이상 1.19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생신호의 지터에 여유를 두어 9% 이하로 했을 때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으로서 1.10 이상 1.1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선속도비(SH/SL)의 값은 2∼5의 범위가 적합하지만, 2 ∼4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3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록재생장치에의 서보신호로는, 래디얼 푸시풀신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래디얼 푸시풀신호는, 광헤드로부터 매체의 홈폭보다 큰 스폿직경의 레이저를 매체에 조사하여, 그 반사광량을 4분할 디텍터의 차(差)신호로서 검출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에 의해, 광헤드를 랜드 혹은 그루브 위에 안정적으로 주행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그루브 위를 광헤드가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매체로부터의 반사광량은 그루브와 그에 인접하는 양측의 랜드의 일부로부터의 반사광량의 합으로서 검출된다. 따라서, 광헤드의 개구수(이하, NA)가 변하면 조사된 레이저의 스폿직경이 변하여 반사광량이 변화된다. NA는, 중심값에 대하여 ±0.01의 범위이면 매체로부터의 반사광량에 큰 변화는 없다. 특히,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의 기록 재생에는, NA가 0.6정도인 광헤드가 사용된다. 따라서, 매체로부터의 반사광량을 잘 재현하여 검출하기 위해서는, NA가 0.6±0.01인 범위의 광학적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는, 사용되는 재료나 구성에 따라 굴절율이 달라진다. 또한, 굴절율은 매체에 조사되는 빛의 파장에 의해서도 변화된다. 광헤드의 광원의 파장은, 중심값에 대하여 ±10nm정도의 범위이면 굴절율에 대한 영향은 작고, 매체로부터의 반사광량에 큰 변화는 없다. 특히,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의 기록 재생에는, 광원의 파장이 660nm정도인 광헤드가 사용된다. 따라서, 매체로부터의 반사광량을 잘 재현하여 검출하기 위해서는, 광원의 파장이 660±10nm의 범위인 광학적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상변화형이 기록 마크의 확대가 작고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영향이 작기 때문에 랜드·그루브 기록에 적합하고, 또한 반복 기록에 우수하다. 또한, 상변화형 기록매체는, 그것에 사용되는 재료의 조합이 넓고 용이하여, 여러가지 기록 선속도에 적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선속도로 기록가능한 랜드ㆍ그루브 기록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에 대하여, 상변화에 의해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량은, 그것에 사용되는 기판의 홈폭에 영향을 받는다. 통상, 이 종류의 매체는, 트랙 피치(그루브간 혹은 랜드간의 피치를 말함)가 일정하기 때문에, 기판의 홈폭은 그루브 반값 홈폭(WG)과 트랙 피치(TP)의 비(WG/TP; 이후 그루브폭비(WG/TP))로서 나타낼 수 있다. 그루브폭비(WG/TP)가 0.50보다 작아지면, 상기와 같이 기록시에 그루브에 열이 들어차는 것이 커져 재생신호의 지터가 악화된다. 또한, 그루브폭비(WG/TP)가 0.60보다 커지면, 상기와 같이 랜드로부터의 재생신호출력이 감소하여 재생신호의 지터가 악화된다. 따라서, 기판의 그루브폭비(WG/TP)는 0.50<(WG/TP)<0.6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0.51<(WG/TP)<0.58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1<(WG/TP)<0.56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량은, 그것에 사용되는 기판의 홈깊이에 영향을 받는다. 홈깊이가 40nm보다 작아지면, 래디얼 푸시풀신호가 작아져 기록재생장치에서의 서보 특성이 불안정해진다. 또한, 홈깊이가 65nm보다 커지면 매체로 서의 반사율이 저하되어 재생신호품질이 악화된다. 따라서, 기판의 홈깊이는 40nm∼65n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45nm∼60n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7∼58nm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의 홈깊이 및 홈폭은, 기판을 성형하기 위한 스탬퍼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단, 기판의 홈깊이 및 홈폭은, 전사율이나 성형 수축률에 의해 변화된다. 따라서, 스탬퍼의 홈깊이 및 홈폭은, 그것을 예상한 값으로 설정하면 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스탬퍼는, 포토레지스트의 두께의 조정과, 포토레지스트를 노광하기 위한 레이저의 조사 파워의 조정을 행함으로써,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선속도비(SH/SL)의 값이 2∼3이며 기록 재생이 가능한 시스템에서, 11은 랜드와 그루브에 기록가능한 선속도비(SH/SL)의 값이 2∼3이고, 또한 반사광량비(RG/RL)의 값이 1.08∼1.19의 범위인 광디스크이며, 모터(12)로부터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소정의 선속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13은, 기록재생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회로이다. 기록되는 데이터는, 변조 및 기록펄스 생성회로(14)에서 기록 부호화되어, 기록 부호의 길이에 대응한 기록펄스로서 레이저 구동회로(15)에 들어간다. 이 기록펄스를, 파워 조정회로(16)에서 설정된 기록 파워 및 소거 파워로 광원의 파장이 660±10nm, NA가 0.6±0.01인 광헤드(17)로부터 레이저를 광디스크(11)에 조사하여 기록이 행해진다. 또, 광디스크(11)로부터의 재생은, 광헤드(17)에서 광디스크(11)로부터의 반사광량을 검출하여, 재생신호 처리 및 복조회로(18)에서 파형 처리되어 복조되어 재생정보가 얻어진다.
<실시예>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이하에 서술한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기판(1)에 있어서, 홈깊이는 56nm, 트랙 피치(그루브간 혹은 랜드간)는 1.23㎛, 그루브폭비(WG/TP)의 값은 0.52이다. 또한, 기판(1)은 두께 0.6mm의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다. 이 기판(1)위에, 두께 130nm의 ZnS-SiO2로 이루어지는 하측 유전체층(4), 두께 8.5nm의 Ge-Bi-Sb-Te로 이루어지는 기록층(5), 두께 40nm의 ZnS-SiO2로 이루어지는 상측 유전체층(6), 두께 25nm의 Si-Cr로 이루어지는 광흡수층(7), 두께 100nm의 Ag-Pd-Cu로 이루어지는 반사층(8)이,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순차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위에, 자외선 경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9)에서, 두께 0.6mm의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기판(10)을 접합하여, 기록가능한 선속도가 8.2m/sec∼16.4m/sec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그 후, 파장 780nm로 1200mW의 레이저를 기판(1)측으로부터 조사하여 초기화를 행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10이었다.
(실시예 2)
홈깊이는 55nm, 그루브폭비(WG/TP)의 값은 0.53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를 행하여 기록 가능한 선속도가 8.2m/sec∼16.4m/sec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14이었다.
(실시예 3)
홈깊이는 48nm, 그루브폭비(WG/TP)의 값이 0.55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를 행하여 기록가능한 선속도가 8.2m/sec∼16.4m/sec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17이었다.
(실시예 4)
홈깊이는 50nm, 그루브폭비(WG/TP)의 값이 0.53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를 행하여 기록가능한 선속도가 8.2m/sec∼20.5m/sec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12이었다.
(실시예 5)
홈깊이는 52nm, 그루브폭비(WG/TP)의 값이 0.54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를 행하여 기록가능한 선속도가 8.2m/sec∼24.6m/sec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16이었다.
(실시예 6)
홈깊이는 54nm, 그루브폭비(WG/TP)의 값이 0.52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를 행하여 기록 가능한 선속도가 8.2m/sec∼24.6m/sec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08이었다.
(실시예 7)
홈깊이는 50nm, 그루브폭비(WG/TP)의 값이 0.55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를 행하여 기록가능한 선속도가 8.2m/sec∼24.6m/sec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19이었다
<비교예>
상기와 비교하기 위해 하기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비교예 1)
홈깊이는 54nm, 그루브폭비(WG/TP)의 값이 0.51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를 행하여 기록가능한 선속도가 8.2m/sec∼16.4m/sec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04이었다.
(비교예 2)
홈깊이는 49nm, 그루브폭비(WG/TP)의 값이 0.56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를 행하여 기록가능한 선속도가 8.2m/sec∼20.5m/sec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23였다.
(비교예 3)
홈깊이는 53nm, 그루브폭비(WG/TP)의 값이 0.51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기록층(5)으로서 두께 8.5nm의 Ge-Sb-Te, 흡수층으로서 두께 25nm의 Ge-Cr를 사용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를 행하여 기록가능한 선속도가 8.2m/sec 전용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03이었다.
(비교예 4)
홈깊이는 51nm, 그루브폭비(WG/TP)의 값이 0.52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기록층(5)으로서 두께 8.5nm의 Ge-Sn-Sb-Te, 흡수층으로서 두께 25nm의 Ge-Cr를 사용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를 행하여 기록가능한 선속도가 8.2m/sec∼12.3m/sec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06이었다.
(비교예 5)
홈깊이는 54nm, 그루브폭비(WG/TP)의 값이 0.53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기판을 사용하고, 또한 비교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를 행하여 기록가능한 선속도가 8.2m/sec∼12.3m/sec인 상변화형 디스크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디스크의 반사광량비(RG/RL)의 값은 1.11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디스크에 있어서, 최소 선속도로 정보를 기록 재생했을 때의 재생신호의 지터를 측정하였다. 또, 기록은 최단 부호길이가 3T(1T는 17.13ns), 최장 부호길이가 11T인 멀티펄스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1트랙에 관해 10회 반복 기록하여 연속 5트랙 기록하고, 5트랙의 중앙의 랜드 및 그루브의 재생 신호의 지터를 측정하였다. 이 때, 디스크에의 기록 재생에는, 파장이 660nm, 개구수(NA)가 0.6인 광피크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록 파워 및 소거 파워는 각 디스크의 재생신호의 지터가 최소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이상의 조건을 이용하여,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에 관해, 선속도비(SH/SL)의 값, 반사광량비(RG/RL)의 값 및 재생신호의 지터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선속도 반사광량비 지터(%)
SH/SL RG/RL 그루브 랜드
실시예1 2.0 1.10 8.9 8.2
실시예2 2.0 1.14 8.6 8.4
실시예3 2.0 1.17 8.4 8.7
실시예4 2.5 1.12 8.6 8.3
실시예5 3.0 1.16 8.5 8.7
실시예6 3.0 1.08 9.6 8.2
실시예7 3.0 1.19 8.4 9.9
비교예1 2.0 1.04 12.8 8.0
비교예2 2.5 1.23 8.4 21.0
비교예3 1.0 1.03 8.3 8.3
비교예4 1.5 1.06 8.3 8.2
비교예5 1.5 1.11 8.0 8.1
표 1에서, 선속도비(SH/SL)의 값이 1.5이하인 디스크는, 반사광량비(RG/RL)의 값의 재생신호의 지터에 대한 영향이 작고, 반사광량비(RG/RL)의 값이 작아도 양호한 지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선속도비(SH/SL)의 값이 2이상이 되면 재생신호의 지터는 반사광량비(RG/RL)의 값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예 1∼7의 디스크를 기록 재생한 결과, 상기와 같이 양호한 재생신호의 지터가 얻어졌다.
(기타 실시형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이며 본 발명을 구속하는 것은 아니고, 하기에 나타낸 부재나 막형성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1)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 수지,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그 경우 레이저광의 파장에 대하여 거의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10)으로는,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로서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것이라면 그 재료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기판(1)과 동일한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하측 유전체층(4) 및 상측 유전체층(6)으로는, 레이저광의 파장에 대하여 거의 투명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Si, Ge, Sn, Zn, Ti, Zr, Al 등의 산화물, W, Al, Sn, Cr, Mo, Si, Ge, In, Ga 등의 질화물, Zn, Cd 등의 황화물, Mg, Ca, La 등의 희토류의 플루오르화물을 단일체 혹은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하측 유전체층(4)과 상측 유전체층(6)은, 필요에 따라 동일한 재료·조성의 것, 혹은 상이한 재료·조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기록층(5)으로는, 광학정수, 결정화 속도, 열전도율, 내구성 등의 문제로 인해, Ge, Te에 대하여, Bi, Sb, Sn, In, Ga, Ag, Au, Zn, Cu, Cr 등의 금속, 반금속, 혹은 반도체 원소, 또한 O, N, S, C, B, F 등의 비금속 원소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원소를 필요에 따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흡수층(7)으로는, 굴절율이 크고 적절히 빛을 흡수하는 재료·조성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Si, W, Ge, Nb, Cr, Y, Mo, Zr 등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반사층(8)으로는, 빛의 흡수가 적고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Au, Ag, Al, Pt, Ni, Cu, Cr, Ti 등에서 선택된 금속, 혹은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기타,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에 기록시의 기록층의 결정화를 제어하기 위한 계면층을 형성해도 된다. 통상, 계면층은 기록층의 양측에 형성되고, Si, Ge를 주성분으로 한 질화물, 혹은 Si, Ga, W, Zr, Y, Nb, Zn, Al, Mo, In, Cr 등의 각 원소의 화합물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가 사용된다.
상기 각 박막은,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플레이팅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9)으로는,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스핀코트법 등에 의해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는, 기록층으로서 상변화 재료, 광자기 재료 혹은 색소 재료 등을 사용한 광디스크, 광카드, 광테이프 등에 유용하다. 또한, 기록 마크와 스페이스에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매체라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은, 상기 매체를 기록 재생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로서,
    랜드 및 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랜드 및 그루브 양자의 트랙에 정보가 기록되고, 복수의 선속도로 기록이 가능한, 랜드·그루브 구조를 포함하며,
    기록가능한 최대 선속도와 기록가능한 최소 선속도의 비가 2∼3의 값을 갖고,
    미기록 상태에서 그루브로부터 반사된 광량과 미기록 상태에서 랜드로부터 반사된 광량의 비가 1.08 이상 1.19 이하의 값이고,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이 상기 랜드·그루브 구조에서의 상변화를 이용하여 행해지고,
    그루브의 반값 폭과 트랙 피치의 비가 0.5 초과 및 0.6 미만이고,
    그루브의 깊이는 40∼65nm 인, 광학적 정보기록매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로부터 반사된 광량 및 상기 랜드로부터 반사된 광량이, 광원이 660±10nm의 파장과 0.6±0.01의 개구수를 갖는 광학적 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광학적 정보기록매체.
  3. 청구항 1에 따르는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를 기록 재생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및 재생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선속도로 기록가능하고,
    광원이 660±10nm의 파장과 0.6±0.01의 개구수를 갖는 광학적 수단을 포함하고,
    기록가능한 최대 선속도와 기록가능한 최소 선속도의 비가 2∼3의 값일 때에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광학적 정보 기록 및 재생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67000317A 2004-06-24 2005-05-16 광학적 정보기록매체 및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 KR101055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6071 2004-06-24
JPJP-P-2004-00186071 2004-06-24
PCT/JP2005/008850 WO2006001131A1 (ja) 2004-06-24 2005-05-16 光学的情報記録媒体および光学的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270A KR20070028270A (ko) 2007-03-12
KR101055130B1 true KR101055130B1 (ko) 2011-08-08

Family

ID=3578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317A KR101055130B1 (ko) 2004-06-24 2005-05-16 광학적 정보기록매체 및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36295B2 (ko)
EP (1) EP1760700A4 (ko)
JP (1) JP4468951B2 (ko)
KR (1) KR101055130B1 (ko)
CN (1) CN100407298C (ko)
TW (1) TW200601292A (ko)
WO (1) WO20060011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47799T1 (de) 2007-02-05 2009-11-15 Research In Motion Ltd Multimodus-empfänger mit adaptiver modusauswahl
JP5834554B2 (ja) * 2011-07-07 2015-12-24 ソニー株式会社 光記録媒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958A (ja) * 1998-09-09 2001-02-27 Mitsubishi Chemicals Corp 光学的情報記録用媒体及び光記録方法
JP2002056576A (ja) * 2000-08-04 2002-02-22 Toray Ind Inc 光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5425A (ja) 1995-05-18 1996-11-29 Nippondenso Co Ltd 光情報記録媒体
JPH09231615A (ja) * 1996-02-29 1997-09-05 Nikon Corp 光ディスク及びその記録方法
US6407979B1 (en) * 1995-12-05 2002-06-18 Nikon Corporation High density optical disk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H10172183A (ja) 1996-12-11 1998-06-26 Hitachi Maxell Ltd 光記録媒体
WO1998048417A1 (fr) 1997-04-24 1998-10-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et substrat correspondant
EP1047056B1 (en) 1998-09-09 2011-02-23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thod
JP4265002B2 (ja) * 1998-10-02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光情報記録装置及び光情報記録方法
JP2004095034A (ja) * 2002-08-30 2004-03-25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958A (ja) * 1998-09-09 2001-02-27 Mitsubishi Chemicals Corp 光学的情報記録用媒体及び光記録方法
JP2002056576A (ja) * 2000-08-04 2002-02-22 Toray Ind Inc 光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36295B2 (en) 2009-12-22
US20060182010A1 (en) 2006-08-17
JP4468951B2 (ja) 2010-05-26
WO2006001131A1 (ja) 2006-01-05
KR20070028270A (ko) 2007-03-12
CN1806277A (zh) 2006-07-19
JPWO2006001131A1 (ja) 2008-04-17
EP1760700A1 (en) 2007-03-07
TW200601292A (en) 2006-01-01
CN100407298C (zh) 2008-07-30
EP1760700A4 (en)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011B1 (ko) 정보 기록 매체 및 정보 기록 장치
US5493561A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thereof
US7502295B2 (en)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7532554B2 (en)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JP2004039146A (ja) 光記録媒体
US6660356B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information thereon
KR100336308B1 (ko) 광학정보기록매체의 기록 재생방법 및 광학정보기록매체
JP2001243655A (ja) 光学的情報記録媒体とその製造方法、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KR101055130B1 (ko) 광학적 정보기록매체 및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시스템
KR100578008B1 (ko)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와 그 제조 방법, 이 매체를 이용한정보의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US7566523B2 (en) Optical information-recording media and optical information-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2002190139A (ja) 光記録媒体
JP3954438B2 (ja) 光記録媒体への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及び光記録媒体
JPWO2006025162A1 (ja) 光学的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47053A (ja) 光記録媒体へのデータの記録方法、光記録媒体へのデータの記録装置および光記録媒体
JP3830045B2 (ja) 光学的情報記録媒体および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4135361B2 (ja) 光記録方法
KR100917195B1 (ko) 상변화 광디스크의 기록방법
JPH02178086A (ja) 光記録媒体
KR20040111623A (ko) 광기록 매체에의 데이터의 기록 방법, 광기록 매체에의데이터의 기록 장치 및 광기록 매체
JPH08138246A (ja) 光ディスク
JP2004158167A (ja) 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録媒体へのデータ記録方法
JP2003136840A (ja) 光情報記録媒体
JP2005293844A (ja) 光記録媒体への情報記録方法、光記録媒体への情報記録装置および光記録媒体
JP2005293845A (ja) 光記録媒体への情報記録方法、光記録媒体への情報記録装置および光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