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969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969B1
KR101054969B1 KR1020097012431A KR20097012431A KR101054969B1 KR 101054969 B1 KR101054969 B1 KR 101054969B1 KR 1020097012431 A KR1020097012431 A KR 1020097012431A KR 20097012431 A KR20097012431 A KR 20097012431A KR 101054969 B1 KR101054969 B1 KR 10105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main assembly
process cartridge
regulated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135A (ko
Inventor
가즈히꼬 간노
야스후미 요시노
가쯔히꼬 오바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1Rotational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고,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의 축방향으로 장착되고 감광 드럼 베어링(40a, 50a)은 하우징에 대해 위치 설정되는 기준 위치들이다. 카트리지는 장착 프로세스 중에 대략적으로 위치 설정하도록 두 개의 안내 부재(80, 81 + 29, 30)에 의해 안내된다. 카트리지가 최종 설치 위치에 근접할수록 압박 부재(83, 93)는 하우징 상의 대응하는 규제 부분(86, 96)을 향해 카트리지 상의 활주 표면(40h, 50h)을 압박한다. 활주 표면이 규제 부분을 지나 활주하면, 압박 부재는 베어링을 접촉하고 하우징의 V-형상 부분(82a, 92a) 안으로 이들을 압박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압박 부재, 감광 드럼 베어링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란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등과 같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란 전사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수단 즉, 대전 수단 및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이 일체로 배치되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란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현상 수단, 대전 수단 및 세척 수단과 같은 상술된 처리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일체식으로 배치된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란 적어도 처리 수단인 현상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 일체식으로 배치되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 중 하나를 채용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분야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및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처리 수단이 카트리지에 일체식으로 배치되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는 점으로 인해 오랫동안 채용되어 왔다. 또한,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성(operability)을 극적으로 개선하는 수리공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 스스로에 의해 유지 보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작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은, 화상 정보(pictorial imformation)로 변조되어 레이저, LED, 통상의 전광 등으로부터 투사된 광의 빔에 노광되어, 감광 드럼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된다. 그 후, 감광 드럼 상에 현상된 화상은 기록 매체로 전사되고, 화상이 기록 매체에 형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 다음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는 장치의 주 조립체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다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측 위치 설정 부분과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승된다. 이후,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지지 부재로부터의 간섭없이 주 조립체에 위치 설정된다.(일본 공개 특허 출원 평6-29998호)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과 장착 조작이 간단하고 쉽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 기술을 개량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주 조립체의 부재나 부재들에 대해서 덜 마찰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주 조립체의 부재나 부재들에 대해서 덜 접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작동성이 개선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안정적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 조립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 설정의 정확도가 개선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 조립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 설정의 정확도가 안정적으로 높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과,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과,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과,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과,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압박력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주 조립체에 진입할 때에,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1 카트리지측 피안내부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시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할 때에,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2 카트리지측 피안내부와,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될 때,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전진 방향에 대해 선단측에 설치된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될 때에,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전진 방향에 대해 말단측에 설치된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을 통과한 후에,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을 통과한 후에,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 부재의 상기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된 상태와 상기 압박 부재의 상기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주 조립체의 부재나 부재들에 대해서 덜 마찰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주 조립체의 부재나 부재들에 대해서 덜 규제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작동성이 개선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안정적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 조립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 설정의 정확도가 개선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 조립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 설정의 정확도가 안정적으로 높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제1 실시예의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위치에 있을 때의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과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압박 부분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 및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후방측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 및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전방측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후방 카트리지 압박 기구를 우측에서 본(주 조립체의 전방측에서 본) 평면도로서,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9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후방 카트리지 압박 기구를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카트리지의 선단측에서 본 평면도로서,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0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방 카트리지 압박 기구를 좌측에서 본(주 조립체의 전방측에서 본) 평면도로서,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방 카트리지 압박 기구를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카트리지의 말단측에서 본 평면도로서,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2는 카트리지의 장착 및 제거 중 힘이 가해지는 방향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기구 및 카트리지 압박 기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감광 드럼의 축선과 일치하는 수평 평면에서의 카트리지를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후방 카트리지 압박 기구를 우측에서 본(주 조립체의 전방측에서 본) 평면도로서,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7은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후방 카트리지 압박 기구를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카트리지의 선단측에서 본 평면도로서,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한다.
제1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로 지칭됨)와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로 지칭됨)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 구조)
우선, 이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0)는 4개의 카트리지 베이(22)(22a 내지 22d) 즉, 4개의 카트리지가 하나씩 장착될 수 있는 공간들을 갖는다(도 3). 4개의 카트리지 베이(22)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 하나의 직선 열로 나란히(평행하게) 배열된다. 각 카트리지 베이(22)(22a 내지 22d) 내의 카트리지(7)는 하나의 전자 사진 감광 드럼(1)(1a 내지 1d)을 갖는다.
전자 사진 감광 드럼(1)(이하, "감광 드럼"으로 지칭됨)은 구동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각 카트리지(7)는 다음에 기재되는 순서에 따라 감광 드럼(1)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감광 드럼(1)의 주연 표면의 인접부에 배치되는 후속하는 처리 수단들을 구비한다. 상기 처리 수단들은, 전사 후 감광 드럼(1)의 주연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이하, "토너"로 지칭될 수도 있다)를 제거하는 세척 수단(6)(6a 내지 6d)과, 감광 드럼(1)의 주연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롤러(2)(2a 내지 2d)와, 화상 정보로 변조된 레이저광의 빔을 발광하여 감광 드럼(1)의 주연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스캐너 유닛(3)과,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1)의 주연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유닛(4)(4a 내지 4d)과, 각각에 대해 컬러가 다른 감광 드럼 상의 4개의 토너 화상들이 순차적으로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5)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1), 세척 수단(6), 대전 롤러(2) 및 현상 유닛(4)은 사용자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100a)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프로세스 카트리지) 즉, 카트리지(7)의 형태로 일체화된다.
중간 전사 벨트(5)는 구동기 롤러(10) 및 인장 롤러(11) 둘레에 신장되어, 상기 롤러들에 의해 지지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100a)에는 중간 전사 벨트(5)가 형성하는 루프의 내향측에 배치된 제1 전사 롤러(12)(12a 내지 12d)가 제공된다. 제1 전사 롤러(12)는 감광 드럼(1)(1a 내지 1d)과 1대1로 대향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전사 바이어스가 바이어스 인가 수단(도시 생략)으로부터 전사 벨트(5)에 인가된다.
감광 드럼(1)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 후,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5)로 전사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4개의 토너 화상이 4개의 감광 드럼(1)에 하나씩 형성된다. 그 후, 4개의 감광 드럼(1)이 화살표(Q)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더 회전되고 중간 전사 벨트(5)가 화살표(R)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4개의 토너 화상은 제1 전사 롤러(12)에 인가된 양(positive)의 바이어스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 상에 순차적으로 층을 이루며 전사된다(1차 전사). 그 후, 중간 전사 벨트(5) 상의 상이한 컬러의 4개의 토너 화상이 제2 전사 부분(15)으로 반송된다.
한편, 상술된 화상 형성 작동이 진행됨과 동시에, 기록 매체의 시트(S)가 시트 급송 및 반송 장치(13),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17) 등에 의해 반송된다. 시트 급송 및 반송 장치(13)는 여러 시트(S)를 저장할 수 있는 시트 급송기 카세트(24)와, 시트(S)를 반송하는 시트 급송기 롤러(8)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100a)로 급송된 시트(S)를 더 반송하는 한 쌍의 시트 반송 롤러(16)를 구비한다. 도 1에서, 주 조립체(100a)는, 시트 급송기 카세트(24)가 주 조립체(100a)의 전방에서 주 조립체(100a)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시트 공급기 카세트(24) 내의 시트(S)는 시트 공급기 롤러(8)에 의해 압박 유지되어, 시트 분리기 패드(9)에 의해 하나씩 분리된 상태로(마찰식 시트 분리 방법) 시트 급송기 롤러(8)에 의해 주 조립체(100a)로 급송된다.
시트(S)는 시트 급송 장치(13)로부터 주 조립체(100a)로 급송된 후 레지스트 롤러(17) 쌍에 의해 제2 전사 부분(15)으로 반송된다. 제2 전사 부분(15)에서, 양의 바이어스가 제2 전사 롤러(18)에 인가되어, 시트(S)가 제2 전사 부분(15)을 통해 반송될 때 중간 전사 벨트(5) 상의 컬러가 상이한 4개의 토너 화상들이 시트(S)에 전사된다.
정착 수단인 정착 부분(14)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로서, 열과 압력을 가해 시트(S)에 토너 화상을 정착시킨다. 정착 벨트(14a)는 원통형이며, 벨트 안내 부재에 부착된 히터와 같은 발열 수단을 구비한 벨트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된다. 정착 벨트(14a) 및 가압 롤러(14b)는 소정량의 압력을 가하여 서로 압박 유지되어, 정착 닙을 형성한다.
토너 화상(미정착 토너 화상)을 화상 형성 부분으로부터 시트(S)에 전사한 후, 시트(S)는 정착 부분(14)으로 반송된 후, 정착 부분(14) 내의 정착 벨트(14a)와 가압 롤러(14b) 사이의 정착 닙을 통해 반송된다. 시트(S)가 정착 닙을 통해 반송될 때, 시트(S)와 시트 상의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시트 상의 미정착 토너 화상이 시트(S)에 정착된다. 그 후, 토너 화상이 정착된 시트(S)가 한 쌍의 시트 배출 롤러(19)에 의해 전달 트레이(20)로 배출된다.
한편, 토너 화상이 전사된 후 감광 드럼(1)의 주연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는 세척 수단(6)에 의해 제거된다. 그 후, 제거된 토너는 감광 부재 유닛(26)(26a 내지 26d) 내에 존재하는 회수 토너용 챔버로 회수된다.
토너 화상이 시트(S)에 전사(2차 전사)된 후 중간 전사 벨트(5)에 잔류하는 토너는 전사 벨트 세척 장치(23)에 의해 제거된다. 제거된 토너는 폐기 토너 통로(도시 생략)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의 후방 부분에 위치된 폐기 토너 용기(도시 생략)로 회수된다.
(카트리지)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상당량의 토너(t)가 존재하는 카트리지(7)의 단면도이다. 또한, 황색의 토너(t)가 존재하는 카트리지인 카트리지(7a)와, 마젠타색의 토너(t)가 존재하는 카트리지인 카트리지(7b)와, 시안색의 토너(t)가 존재하는 카트리지인 카트리지(7c)와, 흑색의 토너(t)가 존재하는 카트리지인 카트리지(7d)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각 카트리지(7)는 감광 부재 유닛(26)과 현상 유닛(4)으로 구성된다. 감광 부재 유닛(26)에는 감광 드럼(1), 대전 롤러(2)(대전 수단) 및 세척 부재(6)(세척 수단)가 제공된다. 현상 유닛(4)은 현상 롤러(25)를 구비한다.
감광 드럼(1)은 후술되는 한 쌍의 베어링을 개재하여 감광 부재 유닛(26)의 세척 수단 프레임(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화상 형성 작동시, 모터(도시 생략)로부터의 구동력을 감광 부재 유닛(26)으로 전달함으로써 감광 드럼(1)은 회전 구동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감광 드럼(1)의 주연 표면의 인접하게 대전 롤러(2)와 세척 수단(6)이 제공된다. 상술된 전사 잔류 토너가 세척 수단(6)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연 표면에서 제거되면, 제거된 토너는 제거된 토너를 위한 챔버(27a)로 낙하한다. 또한, 세척 수단 프레임(27)에는 한 쌍의 대전 롤러 베어링(28)이 제공되며, 이때 대전 롤러 베어링(28)은 감광 드럼(1)의 중심과 대전 롤 러(2)의 중심을 연결하는 양방향 화살표(D)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세척 수단 프레임(27)에 부착된다. 대전 롤러(2)의 샤프트(2j)는 대전 롤러 베어링(2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베어링(28)은 한 쌍의 대전 롤러 압박 부재(46)에 의해 감광 드럼(1)을 향해 압박 유지된다.
현상 유닛(4)은 현상 롤러(25)와 현상 수단 프레임(31)을 구비한다.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과 접촉하여 화살표(B)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 롤러(25)는 현상 수단 프레임(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현상 롤러(25)는 현상 수단 프레임(31)의 길이방향 단부에 부착된 한 쌍의 베어링 부재(32)(32R, 32L)에 의해 지지된다. 현상 유닛(4)에는 토너 공급 롤러(34) 및 현상 블레이드(35)가 제공된다. 토너 공급 롤러(34)는 현상 롤러(25)와 접촉하여 화살표(C)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 블레이드(35)는 현상 롤러(25)의 주연 표면상에 토너 층의 두께를 조절한다. 또한, 현상 유닛(4)은 토너를 교반하면서 현상 유닛(4)의 토너 저장 부분(31a) 내의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토너 반송 부재(36)를 구비한다. 토너 반송 부재(36)는 토너 저장 부분(31a) 내에 제공된다.
현상 유닛(4)은 감광 부재 유닛(26)에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한 쌍의 핀(37)(37R, 37L)이 각각 베어링(32R, 32L)의 구멍(32Rb, 32Lb)에 하나씩 끼워져서, 현상 유닛(4)은 핀(37)(37R, 37L)을 중심으로 감광 부재 유닛(26)에 대해 피벗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현상 유닛(4)은 가압 스프링(38)으로부터의 압력하에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서 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때, 현상 유닛(4)은 화살표(A)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핀(3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과 접촉시킨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수단의 구조)
다음으로,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하는 카트리지의 부분과,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부분의 구성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위치에 있을 때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100a)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즉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하게 화살표(F)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삽입되어, 카트리지(7)는 주 조립체(100a)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주 조립체(100a)는 주 조립체(100a)의 전방측에 제공된 커버(21)(전방 커버)를 구비한다. 전방 커버(21)는 개폐될 수 있다. 전방 커버(21)를 개방하면 카트리지(7)(7a 내지 7d)에 각각 대한 4개의 카트리지 베이(22)(22a 내지 22d)가 노출된다. 4개의 카트리지 베이(22)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 하나의 직선 열로 나란히(평행하게) 배열된다. 주 조립체(100a)에는 주 조립체(100a)의 제1 카트리지 안내부인 상부 카트리지 안내부(80)(80a 내지 80d)와, 주 조립체(100a)의 제2 카트리지 안내부인 하부 카트리지 안내부(81a 내지 81d)가 제공된다. 상부 카트리지 안내부(80) 및 하부 카트리지 안내부(81)는 4개의 카트리지 베이(2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되어, 주 조립체(100a)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각 카트리지(7)의 감광 부재 유닛(26)에는 카트리지(7)가 대응하는 카트리지 베이(22)에 장착되거나 또는 제거될 때 카트리지(7)를 안내하는 돌출부(29)(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제1 부분) 및 설형(tongue-like) 부분(30)(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제2 부분)이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카트리지(7)를 대응하는 카트리지 베이(22)에 장착하기 위해, 감광 부재 유닛(26)의 돌출부(29) 및 설형 부분(30)은 주 조립체(100a)의 카트리지 안내부(80, 81)에 끼워진 후, 카트리지(7)는 도면에서 화살표(F)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카트리지 베이에 삽입된다.
또한, 상술된 돌출부(29)[카트리지(7)를 안내하는 카트리지(7)의 제1 부분]는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선단 단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반면에, 설형 부분(30)[카트리지(7)를 안내하는 카트리지(7)의 제2 부분]은 카트리지(7)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어 선단 단부로부터 말단 단부까지 연장된다.
또한, 각 카트리지(7)에는 상술된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선단 및 말단 단부에 위치된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100a)에 대해 위치 설정하는] 한 쌍의 선단 단부측 및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 50a)이 제공된다.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100a)에 장착하는 동작은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에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면 종료된다. 또한, 구동력이 카트리지(7)로 전달될 때 발생하는 카트리지(7)의 회전을 제어할 목적으로, 카트리지(7)의 선단 단부에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한 샤프트(27b)(도 4)가 제공되는 반면에, 카트리지(7)의 말단 단부에는 단면이 U자형인 홈(27c)이 제공된다.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 내에 정확하게 위치되면, 샤프트(27b)는 단면이 긴 형태인 주 조립체(100a)의 구멍(82b)(도 5)에 끼워지고, 주 조립체(100a)의 샤프트(92c)는 카트리지의 홈(27c)에 끼워진다.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에 삽입될 때 전진하는 방향으로, [카트리지(7)를 안내하는] 카트리지의 돌출부(29)는 상술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7)의 선단 단부의 상부에 위치된다. 카트리지(7)의 설형 부분(30)은 카트리지(7)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어, 카트리지(7)의 선단 단부에서 카트리지(7)의 말단 단부로 연장된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형 부분(29, 30)은 감광 드럼(1)과 동일측에 제공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 내로 확실하게 전진하는 것이 보장된다.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100a) 내에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카트리지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한 구조 및 카트리지를 압박하기 위한 구조)
다음으로, 카트리지를 주 조립체(100a)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한 이 실시예의 구성과 카트리지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해 카트리지를 압박하는 구성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이다. 카트리지(7)에 제공된 감광 드럼(1)은 세척 수단 프레임(27)에 견고하게 각각 부착된 한 쌍의 베어링(40, 50)에 의해 샤프트(도시 생략)의 길이방향 단부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40)[감광 드럼(1)의 샤프트의 길이방향 단부들 중 하나를 지지하는 제1 베어링]은 후방측, 즉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100a) 내로 전진하게 되는 방향으로의 선단 단부측의 베어링이다. 베어링에는 베어링(40)의 주연 표면의 상부측의 두 부분인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40a1, 40a2)이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 및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1, 40a2)으로 구성된]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은 상술된 카트리지 전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선단 단부를 주 조립체(100a)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한다.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은 원호형(arcuate) 단면을 갖는다. 또한, 베어링(40), 즉 카트리지 베이의 제일 깊숙한 단부에 제공되게 될 베어링은 카트리지 전진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하류 단부에 위치된다(도 4). 또한, 카트리지(7)에는 카트리지 압박 부재(83)[가압 부재 또는 상향 푸싱 부재(pushing member)로 지칭될 수 있다]에 의해 카트리지(7)에 가해진 압력을 포획하는 압력 포획부(40b)가 제공되며, 이때 압력 포획부는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의 주연 표면의 바닥측의 일부분이다. 또한, 상술된 카트리지 전진 방향은 사용자가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100a)에 장착할 때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로 전진하는 방향이다.
또한, 상술된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40a1, 40a2)은 감광 드럼(1)의 축선(I)을 사이에 두도록 위치 설정된다(도 15). 즉, 카트리지(7)는 감광 드럼(1)의 축선(I)의 일측에 제공된 제1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1)과, 감광 드럼(1)의 축선(I)의 다른측에 제공된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2)을 구비한다. 제1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1)(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은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2)(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으로부터 상술된 축선(I)의 반대측에 위치된다(도 15). 상술된 압력 포획 부분(40b)은 카트리지 전진 방향으로 감광 드럼(1)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상술된 압박 부재(83)(가압 부재, 상향 푸싱 부재)에 의해 상향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J)[도 9의 (c)]에서 볼 때, 압력 포획 부분(40b)은 제1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1)과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2) 사이(대략 중간)에 위치된다. 따라서, 압력 포획 부분(40b)이 압박될 때,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은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주 조립체측의 제1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에 확실하게 압박되어, 주 조립체(100a)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에는 선단 단부측에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인 제1 및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1, 40a2)이 제공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의 카트리지 포획(압력 포획) 부분(82a)에 더욱 확실하게 압박되는 것이 보장된다. 하지만, 카트리지(7)의 선단 단부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의 개수는 카트리지가 적절하게 위치 설정되기만 한다면 하나일 수도 있다.
또한, 카트리지(7)에는 압박 부재(83)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푸싱 부재인 푸싱 부재(40c)가 제공된다. 상술된 카트리지 전진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의 카트리지(7)의 중심을 기준으로 푸싱 부분(40c)은 압력 포획 부분(40b)보다 카트리지(7)의 길이방향 단부벽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푸싱 부분(40c)은 카트리지 진행 방향으로의 카트리지(7)의 하류 단부벽으로부터 하류로 돌출하고, 상기 푸싱 부분의 단부 부분에는 하방으로 돌출한 돌출부(40d)가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푸싱 부분(40c)의 돌출부(40d)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완만하게 경사진 표면(40e, 40f) 즉, 상기 두 표면들의 교차점이 돌출부(40d)의 정점이 되도록 경사진 경사 표면을 하류 및 상류측 각각에 제공한다[돌출부(40d)].
또한, 베어링(40) 즉, 후방측 베어링에는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보다 더 상향 돌출된 제1 접촉 부분(40h)(카트리지의 제1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이 제공된다. 제1 접촉 부분(40h)은 상부 표면(단부 표면)에 걸쳐 편평하고, 제1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1)의 일단부와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2)의 타단부 사이에 제공된다. 즉, 제1 접촉 표면(40h)은 제1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1)과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2) 사이에 제공되고, 제1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1)은 제1 접촉 표면(40h)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2)은 제1 접촉 표면(40h)의 타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접촉 표면(40h)의 상부 표면보다 감광 드럼(1)의 축선에 더 근접한 표면(40g)이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제1 접촉 표면(40h)의 상류에 위치된다. 또한, 베어링(40) 즉, 후방 단부측 베어링에는 카트리지(7)의 길이방향으로 카트리지(7)를 정확하기 위치 설정하기 위한 표면인 접촉 표면(40i)이 제공된다. 또한,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에 장착될 때, 접촉 표면(40i)은 주 조립체(100a)의 후방 측방향 패널의 내향 표면과 접촉하여, 카트리지(7)가 카트리지(7)의 길이방향으로 정확한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보장한다.
다음으로, 베어링(50)[제2 베어링 즉,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감광 드럼(1)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명될 것이다. 베어링(50)은 전방측 즉, 상술된 카트리지 전진 방향으로 말단측에 제공된 베어링이다. 베어링(50), 즉 전방측 베어링에는 베어링(50)의 주연 표면의 상부측의 두 부분인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50a1, 50a2)이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50a1, 50a2)은 상술된 카트리지 전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전방 단부를 주 조립체(100a)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들은 원호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카트리지(7)에는 상향 당김 부재(93)(도 5)에 의해 카트리지(7)에 가해진 압력을 포획하는 상향 압력 포획 부분(50b)이 제공된다. 압력 포획 부분(50b)은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보다 베어링(50)의 축선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7)는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감광 드럼(1)의 길이방향 단부 부분들 중 하나를 지지하는 제1 베어링(40)을 갖는다. 접촉 표면(40h) 및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40a1, 40a2)은 제1 베어링(40)의 주연 표면의 일부이다. 또한, 카트리지(7)는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감광 드럼(1)의 다른 길이방향 단부를 지지하는 제2 베어링(50)을 갖는다. 접촉 부분(50h)(접촉 표면) 및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은 제2 베어링(50)의 주연 표면의 일부이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 설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 즉, 후방측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과 같이,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은 감광 드럼(1)의 축선의 일측에 제공된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1)]과, 감광 드럼(1)의 축선의 다른측에 제공된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제4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2)]을 구비한다.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1)(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은 제4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2)(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으로부터 상술된 축선(I)의 대향측에 제공된다(도 15). 상술된 압력 포획 부분(50b)은 카트리지 전진 방향으로 감광 드럼(1)의 하류측에 제공된다. 상향 압력이 상술된 상향 당김 부재(93)에 의해 가해지는 방향(K)[도 11의 (c)]에서 볼 때, 압력 포획 부재(50b)는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1)과 제4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2) 사이에 (대략 중간 지점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압력 포획 부분(50b)이 압박되면,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은 압력 포획 부분(92a)에 확실하게 압박되어, 주 조립체(100a)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에는 말단 단부측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으로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1) 및 제4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2)이 제공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는 주 조립체(100a)의 압력 포획 부분(92a)에 더욱 확실하게 압박될 수 있다. 하지만, 카트리지(7)의 말단 단부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의 개수는 카트리지가 적절하게 위치 설정될 수만 있다면 단지 하나일 수도 있다.
또한, 카트리지(7)에는 상향 당김 부재(93)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푸싱 부재인 푸싱 부재(50c)가 제공된다. 상술된 카트리지 전진 방향에 수평 및 수직인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중심을 기준으로 푸싱 부분(50c)은 압력 포획 부분(50b)보다 카트리지(7)의 길이방향 단부벽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푸싱 부분(50c)은 베어링(50)의 본체로부터 카트리지 전진 방향으로 하류로 돌출하고, 상기 푸싱 부분의 단부 부분에는 하방 돌출하는 돌출부(50d)가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돌출부(50d)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완만하게 경사진 표면(50e, 50f) 즉, 상기 표면들의 교차점이 돌출부(50d)[돌출부(50d)]의 정점인 방식으로 경사진 경사 표면을 하류 및 상류측 각각에 제공한다. 또한, 베어링(50) 즉, 전방측의 베어링에는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보다 더 상향 돌출된 제2 접촉 부분(50h)(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으로 작동하는 접촉 표면)가 제공된다. 제2 접촉 부분(50h)은 상부 표면(제2 접촉 표면)에 걸쳐 편평하고,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1)의 일단부와 제4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2)의 타단부 사이에 제공된다. 즉, 제2 접촉 표면(50h)은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1)과 제4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2) 사이에 제공되고, 제3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1)은 제2 접촉 표면(50h)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4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2)은 제2 접촉 표면(50h)의 타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접촉 부분(50h)의 상부 표면보다 감광 드럼(1)의 축선에 더 근접한 표면(50g)이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접촉 표면(50h)의 상류에 위치된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접촉 부분(40h)의 상부 표면(제1 접촉 영역)은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40a1, 40a2)과 다른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부 표면(제2 접촉 영역)은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50a1, 50a2)과 다른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상술된 카트리지 전진 방향으로, 제1 접촉 부분(40h)의 상부 표면(제1 접촉 영역)은 선단 단부측에 제공되고, 제2 접촉 부분(50h)의 상부 표면(제2 접촉 영역)은 말단 단부측에 제공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 설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접촉 표면(40h)의 상부 표면은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40a1, 40a2)의 일단부와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40a1, 40a2)의 타단부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 접촉 부분(50h)의 상부 표면(접촉 영역)은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50a1, 50a2)의 일단부와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의 타단부 사이에 제공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7)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a)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 설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다음으로, 주 조립체(100a)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의 구조와 주 조립 체(100a)의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100a)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의 구조와 주 조립체(100a)의 카트리지 압박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이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후방측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과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상세도로서, 이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전방측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과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상세도로서, 이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주 조립체(100a)에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선단 단부측에 제공된 후방 측방향 패널(82)과 말단 단부측에 제공된 전방 측방향 패널(92)이 제공된다. 측방향 패널(92)에는 카트리지(7)가 카트리지 베이(22)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구멍이 제공된다. 카트리지(7)는 상기 구멍을 통해 주 조립체(100a)에 삽입된다. 또한, 카트리지(7)는 상술된 카트리지 안내 상부 안내부(80)와 카트리지 안내 바닥 안내부(81)를 따라 화살표(F)의 방향으로 카트리지 베이(22)에 삽입된다(도 3).
측방향 플레이트(82)에는 2개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82a1, 82a2) 즉, 카트리지(7)가 장착되는 방향(전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한 주 조립체의 제1 부분이 제공된다. 또한, 측방향 플레이트(82)에는 압축 스프링(85)의 탄성(탄성력)에 의해 압력이 가해져서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을 향해 카트리지(7)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 부재(83)가 제공된다. 이러한 압박 부재(83)는 압축 스프링(85)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향 압박됨으로써 카트리지(7)가 상향 압박되도록 유지하는 상향 푸싱 부재로 기능한다.
압박 부재(83)는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 아래에 위치된다. 압박 부재는 측방향 플레이트(82)에 부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주 조립체의 측방향 플레이트(82) 즉, 후방측 측방향 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고정된 샤프트(84)는 축선이 압박 부재(83)의 피벗축과 일치하는 관통 구멍(83a)을 통해 삽입되어, 압박 부재(83)는 카트리지(7)를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 상에 압박 유지시키는 카트리지 압박 위치와, 카트리지(7)를 압박하지 않는 후퇴 위치와, 카트리지(7)의 경로에 잔류하는 대기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압박 부재(83)에는 압박 부재(83)가 카트리지 압박 위치에 있을 때 압박 부재(83)가 카트리지를 미는데 이용되는 카트리지 푸싱 부분(83b)이 제공된다. 카트리지 푸싱 부분(83b)은 카트리지(7)의 압력 포획 부분(40b)과 위치가 대응된다. 또한, 압박 부재(83)에는 압박 부재(83)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압력 포획 부분(83c)이 제공된다. 제1 압력 포획 부분(83c)은 카트리지(7)의 푸싱 부분(40c)과 위치가 대응된다. 제1 압력 포획 부분(83c)에는 상향 돌출부(83d)가 제공된다. 상향 돌출부(83d)에는 완만하게 경사진 표면(83e, 83f)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경사진 표면들은 각각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의 돌출부(83d)의 상류 표면 및 하류 표면이다. 표면(83e, 83f)은 두 표면 사이의 연결부가 돌출부(83d)의 정점이 되도록 경사진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압력 포획 부분(83c)은 카트리지 푸싱 부분(83b)보다 구멍(83a)의 축선으로부터 [구멍(83a)의 반경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된다. 즉, 압박 부재(83)의 길이방향으로, 구멍(83a)의 상술된 축선, 카트리지 압박 부분(83b) 및 압력 포획 부분(83c)은 기재된 순서로 위치 설정된다.
측방향 플레이트(82)에는 카트리지가 압박 부재(83)를 후퇴 위치로 밀 때 발생된 반력에 의해 카트리지(7)가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주 조립체의 제1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이 제공된다. 제1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은 수지로 형성되고 측방향 플레이트(82)의 2개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82a1, 82a2) 사이에 위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측방향 플레이트(92)에는 카트리지 삽입 구멍(92b)과, 주 조립체의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으로 기능하는 2개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92a1, 92a2)이 제공된다.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은 구멍(92b)의 내향 표면의 상부 부분의 두 부분이며,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카트리지(7)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한다. 또한, 측방향 플레이트(92) 즉, 주 조립체의 전방 측방향 플레이트에는 인장 스프링인 가압 스프링(95)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이 가해져서 카트리지(7)를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을 향해 위로 당기기 위한 카트리지 당김 부재(93)가 제공된다. 카트리지 당김 부재(93)는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 위쪽에 위치된다. 카트리지 당김 부재는 측방향 플레이트(92)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되고, 측방향 플레이트(92)에 견고하게 부착된 샤프트(94)는 카트리지 당김 부재(93)의 (축선이 회전 축인) 구멍(93a)에 삽입된다. 카트리지 당김 부재(93)는 측방향 플레이트(92)에 부착(지지)되어, 카트리지(7)를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에 압박 유지시키는 카트리지 압박 위치와, 카트리지(7)를 압박하지 않는 후퇴 위치와, 카트리지(7)의 경로에 잔류하는 대기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당김 부재(93)가 카트리지 당김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를 위로 당기기 위한 카트리지 당김 부분(93b)이 카트리지 당김 부재(93)에 제공된다. 카트리지 당김 부분(93b)은 카트리지(7)의 카트리지 당김력 포획 부분(50b)과 위치가 대응된다. 또한, 카트리지 당김 부재(93)에는 카트리지 당김 부재(93)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카트리지 포획 부분(93c)이 제공된다. 제2 카트리지 포획 부분(93c)은 카트리지(7)의 푸싱 부분(50c)과 위치가 대응된다. 제2 카트리지 포획 부분에는 완만하게 경사진 표면(93e, 93f)(도 10)을 갖는 상향 돌출부(93d)가 제공되고, 이들 경사진 표면들은 교차점이 상향 돌출부(93d)의 정점이 되도록 경사진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카트리지 포획 부분(93c)은 카트리지 당김 부분(93b)보다 구멍(93a)의 축선으로부터 더 외측에 위치된다. 즉, 카트리지 당김 부재(93)의 길이방향으로, 구멍(93a), 카트리지 당김 부분(93b) 및 카트리지 포획 부분(93c)은 기재된 순서대로 위치 설정된다. 또한, 측방향 플레이트(92) 즉, 주 조립체의 전방 측방향 플레이트에는 카트리지 당김 부재(93)가 후퇴 위치로 밀릴 때 발생하는 반력에 의해 카트리지(7)가 상향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제2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96)이 제공된다.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96)은 상술된 2개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92a1, 92a2)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선단 단부측에는 가압 부재(83)(압박 부재, 상향 푸싱 부재)가 카트리지 포획 부분(83a) 아래 위치되어 카트리지를 아래로부터 위로 압박함으로써, 카트리지(7)를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에 접촉시키는 반면에,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말단측에는 카트리지 당김 부재(93)(카트리지 압박 부재)가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 위에 위치 설정되어 위로부터 상방으로 카트리지(7)를 당김으로써,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위에 위치 설정된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과 접촉시킨다. 즉,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의 화상 형성 위치로 이동되면,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피압박 부분)은 카트리지 푸싱 부재(83)로부터의 상향력에 의해 압박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40a1, 40a2)(선단 단부측의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은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주 조립체의 제1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된다. 또한, 상향 당김력 포획 부분(50b)은 상향 당김 부재(93)로부터의 상향 당김력에 의해 밀리게 된다. 따라서, 제3 및 제4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50a1, 50a2)(말단 단부측의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은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92a1, 92a2)(주 조립체의 제2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면 측방향 플레이트(92) 즉, 주 조립체의 전방 측방향 플레이트에 카트리지(7)가 카트리지 베이(22)에 장착될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50) 즉,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에 인접한 베어링 중 하나의 베어링이 직접적으로 압박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50)에 의해 가해진 압력은 안정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7)는 정밀하게 위치 설정되고 정밀하게 위치 설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은 중간 전사 벨트(5)와 접촉하도록 정밀하게 배치되고 벨트(5)와 정밀하게 접촉을 유지한다.
또한,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즉, 카트리지 압박 부재(83)와 카트리지 당김 부재(93)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탄성적인 압박 부재로서 각각 선단 및 말단 단부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위치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상술된 효과는 얻어진다.
(카트리지의 장착 및 제거 중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작동)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카트리지(7)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고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거하는 도중의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a) 선단 단부 측 : 카트리지의 장착 및 제거 도중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작동
도 8은 주 조립체의 후방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전방측으로부터 도시된) 우측 평면도이다. 도 9는 주 조립체의 후방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후방측(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선단 단부측)의 평면도이다.
카트리지(7)는 상술된 바와 같이 화살표(F)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장착된다. 도 8의 (a) 및 도 9의 (a)를 참조하면, 카트리지(7)가 삽입될 때, 베어링(40), 즉 카트리지(7)의 후방 베어링의 푸싱 부분(40c)의 경사진 표면(40e)은 카트리지 포획 부분(83c)의 경사진 표면(83e)과 접촉한다(대기 위치). 그 후, 카트리지(7)가 더 삽입되면, 압박 부재(83)는 점진적으로 아래로 밀려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 부분(40c)의 돌출부(40d)가 카트리지 포획 부분(83c)의 돌출부(83d)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압박 부재(83)는 화살표(X)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후퇴된다(후퇴 위치).
더욱 구체적으로, 압박 부재(83)는 압박 부분(83b)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7)의 압력 포획 부분(40b)과 접촉하지 않는 후퇴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장착되는 동안, 압력 포획 부분(40b)에는 어떠한 압력도 가해지지 않는다. 카트리지(7)가 장착될 때 압박 부재(83)로부터 받는 압력은 구멍(83a)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푸싱 부분(40c)에 의해 무효화 된다. 즉, 카트리지(7)를 위로 밀도록 작용하는 힘에 대항하여 압박 부재(83)를 아래로 밀기 위해 필요한 힘의 양은 구멍(83a)의 축선으로부터 압력 포획 부분(40b)[푸싱 부분(83b)]까지의 거리와 구멍(83a)의 축선으로부터 푸싱 부분(40c)[압력 포획 부분(83c)]까지의 거리 사이의 비율만큼 감소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7)에 가해지는 하중(load)의 크기는 카트리지(7)가 압박 부재(83)로부터 받는 압력의 크기보다 상당히 작으며, 카트리지(7)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카트리지(7)가 압박 부재(83)로부터 받는 압력의 크기보다 상당히 작다.
또한, 카트리지(7)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7)에는 상향력, 즉 압박 부재(83)가 후퇴 위치로 되밀릴 때 발생되는 반력이 가해진다. 하지만, 접촉 표면(40h)은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 즉, 주 조립체의 제1 카트리지 접촉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7)의 상향 이동이 방지된다. 이때,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과 주 조립체 접촉 표면(40h)은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83)과 접촉함으로써 정확하게 위치설정되기 직전까지 서로에 대해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장착되는 동안, 더욱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7)가 압박 부재(83)로부터 상향 압력을 받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카트리지(7)가 정확하게 위치되기 직전까지,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 즉, 수지로 형성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규제 부분과 접촉 표면(40h)은 서로 활주하여,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은 얇은 시트의 강 등으로 형성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에 대해 마찰하지 않는다. 그 결과,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에 의해 마모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카트리지(7)가 더 삽입될 때, 카트리지 포획 부분(83c)은 푸싱 부분(40c)으로부터 결합 해제되어, 압박 부재(83)는 후퇴 위치로부터 압박 위치로 점진적으로 복귀한다. 그 후,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7)의 길이방향으로 카트리지(7)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접촉 표면(40i)이 측방향 플레이트(82), 즉 주 조립체의 후방 측방향 플레이트와 접촉하도록 충분히 깊게 삽입되어, 압박 부분(83b)은 도 8의 (c) 및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포획 부분(40b)과 접촉하고, 그로 인해 카트리지(7)는 화살표(J)에 의해 지시된 방향(도 9의 압박 방향)으로 압박된다(압박 위치). 이러한 프로세스 도중, 카트리지(7)의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은 주 조립체의 후방 측방향 플레이트(82)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과 접촉하여,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카트리지(7)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세스 도중,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은 접촉 표면(40h)으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소정 크기의 간극이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과 표면(40g)(리세스가 형성된 표면) 사이에 생성된다. 동시에, 카트리지 포획 부분(83c)은 푸싱 부분(40c)을 지나 이동하고, 소정 크기의 간극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83c)과 리세스가 형성된 표면(40j) 사이에 생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압박 기구는 압박 부재(83)가 대기 위치, 압박 위치 및 후퇴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대기 위치, 압박 위치 및 후퇴 위치는 상부로부터 바닥 방향으로 기재된 순서대로 위치된다. 따라서, 압박 부재(83)는 카트리지(7)에 충분한 양의 압력을 가한다.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100a)로부터 제거할 때, 상술된 카트리지 장착 작동이 반대로 수행된다. 카트리지(7)가 압박 부재(83)로부터 받는 압력은 카트리지(7)의 장착시와 같이, 압력 포획 부분(40b)보다 구멍(83a)(회전축)의 축선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푸싱 부분(40c)에 의해 제거된다. 그 결과,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를 제거하는 작동을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는 카트리지(7)의 장착시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카트리지(7)를 제거하는 작동에 필요한 힘의 크기보다 작다.
또한,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100a)에 장착하거나 또는 주 조립체(100a)로부터 제거할 때,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압박 부재(83)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압력 포획 부분(83c)의 돌출부(83d)에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상류측과 하류측 각각에 제공된 완만하게 경사진 표면이 제공된다. 또한, 푸싱 부분(40c)의 돌출부(40d)에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상류와 하류에 각각 제공된 완만하게 경사진 표면이 제공된다. 또한, 카트리지(7)가 장착될 때, 푸싱 부분(40c)의 경사진 표면(40e)은 압력 포획 부분(83c)의 경사진 표면(83e)과 접촉하는 반면에, 카트리지(7)가 제거될 때, 푸싱 부분(40c)의 경사진 표면(40f)은 압력 포획 부분(83c)의 경사진 표면(83f)과 접촉한다. 상술된 상태로 압박 부재(83)가 화살표(X)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즉,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 압박 기구는 압박 부재(83)가 이동하는 동안 카트리지(7)의 경사진 표면들이 주 조립체(100a)의 경사진 표면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는 장착될 때 주 조립체로 부드럽게 이동하고, 카트리지(7)는 제거될 때 주 조립체를 부드럽게 빠져나간다.
(b) 말단 단부측 : 카트리지의 장착 및 제거 도중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작동
도 10은 주 조립체의 전방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좌측 (전방측으로부터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1은 주 조립체의 전방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전방측(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말단 단부측)의 평면도이다.
카트리지(7)가 삽입되면, 베어링(50) 즉, 카트리지(7)의 전방 베어링의 푸싱 부분(50c)의 경사진 표면(50e)은 도 10의 (a) 및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93c)의 경사진 표면(93e)과 접촉한다(대기 위치). 그 후, 카트리지(7)가 더 삽입되면, 상향 당김 부재(93)는 점진적으로 아래로 밀려서, 푸싱 부분(50c)의 돌출부(50d)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93c)의 돌출부(93d)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상향 당김 부재(93c)는 화살표(Y)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후퇴된다(후퇴 위치). 더욱 구체적으로, 상향 당김 부재(93)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력 부여 부분(93b)이 카트리지(7)의 상향력 포획 부분(50b)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후퇴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장착되는 동안, 상향력 포획 부분(50b)에는 상향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카트리지(7)가 장착될 때 상향 당김 부재(93)로부터 받는 압력은 상향력 포획 부분(50b)보다 구멍(93a)의 축선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푸싱 부분(50c)에 의해 제거된다. 즉, 카트리지(7)를 위로 미는 작용을 하는 힘에 대항하여 상향 당김 부재(93)를 아래로 밀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는 구멍(93a)의 축선으로부터 상향력 포획 부분(50b)[상향 당김력 부여 부분(93b)]까지의 거리와 구멍(93a)의 축선으로부터 푸싱 부분(50c)[상향 당김 부재(93)]까지의 거리 사이의 비율과 동일한 크기만큼 감소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장착될 때 받게 되는 하중의 크기는 카트리지(7)가 상향 당김 부재(93)로부터 받는 압력의 크기보다 상당히 작고, 카트리지(7)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카트리지(7)가 상향 당김 부재(93)로부터 받는 힘의 크기보다 상당히 작다.
또한, 카트리지(7)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7)에는 상향력 즉, 상향 당김 부재(93)가 후퇴 위치로 아래로 눌릴 때 발생하는 반력이 가해진다. 하지만, 접촉 표면(50h)은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96) 즉, 주 조립체의 제2 카트리지 접촉 부분과 접촉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상향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96)과 주 조립체 접촉 표면(50h)은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과의 접촉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 되기 직전까지 서로 접촉을 유지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7)가 장착되는 동안, 더욱 구체적으로 카트리지(7)가 상향 당김 부재(93)로부터 상향력을 받기 시작하는 순간으로부터 카트리지(7)가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기 직전까지,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96) 즉, 수지로 형성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규제 부분과 카트리지 접촉 표면(50h)은 서로 활주하여,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은 얇은 시트의 강 등으로 형성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과 마찰하지 않는다. 따라서,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에 의해 마모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카트리지(7)가 더욱 삽입되면, 카트리지 포획 부분(93c)은 푸싱 부분(50c)으로부터 결합 해제되어, 상향 당김 부분(93)은 후퇴 위치로부터 상향 당김 위치로 점진적으로 복귀한다. 그 후,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7)의 길이방향으로 카트리지(7)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접촉 표면(50i)이 측방향 플레이트(82), 즉 주 조립체의 후방 측방향 플레이트와 접촉하도록 충분히 깊게 삽입되어, 상향 압박 부분(93b)은 도 10의 (c) 및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포획 부분(50b)과 접촉하고, 그로 인해 카트리지(7)는 화살표(K)에 의해 지시된 방향(도 11의 상향 당김 방향)으로 압박된다(압박 위치). 이러한 프로세스 도중, 카트리지(7)의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은 주 조립체의 전방 측방향 플레이트(92)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에 접촉하여, 카트리지(7)를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 설정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세스 도중,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96)은 접촉 표면(50h)으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소정량의 간극이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96)과 리세스가 형성된 표면(50g) 사이에 생성된다. 동시에, 카트리지 포획 부분(93c)은 푸싱 부분(50c)을 지나 이동하고, 소정량의 간극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93c)과 리세스가 형성된 표면(50j) 사이에 생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압박 기구는 상향 당김 부재(93)가 대기 위치, 상향 당김(압박) 위치 및 후퇴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대기 위치, 상향 당김(압박) 위치 및 후퇴 위치는 상부에서 바닥방향으로 기재된 순서대로 위치된다. 이와 같이, 상향 당김 부재(93)는 카트리지(7)를 당겨 올리기 위한 충분한 양의 압력을 카트리지(7)에 가한다.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100a)로부터 제거할 때, 상술된 카트리지 장착 작동이 반대로 수행된다. 카트리지(7)가 상향 당김 부재(93)로부터 받는 상향력은 카트리지(7)의 장착시와 같이, 상향력 포획 부분(50b)보다 구멍(93a)의 축선[당김 부재(93)의 회전축]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푸싱 부분(50c)에 의해 제거된다. 그 결과,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를 장착하는 동작에 필요한 힘의 크기가 종래 기술에 따라 카트리지(7)를 장착하는 동작에 필요한 힘의 크기보다 상당히 작은 것과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를 제거하는 작동에 필요한 힘의 크기는 종래 기술에 따라 카트리지(7)를 제거하는 작동에 필요한 힘의 크기보다 상당히 작다.
또한,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100a)에 장착하거나 또는 주 조립체(100a)로부터 제거할 때,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향 당김 부재(93)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압력 포획 부분(93c)의 돌출부(93d)에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상류측과 하류측 각각에 제공된 완만하게 경사진 표면이 제공된다. 또한, 푸싱 부분(50c)의 돌출부(50d)에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상류와 하류에 각각 제공된 완만하게 경사진 표면이 제공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장착될 때, 푸싱 부분(50c)의 경사진 표면(50e)은 압력 포획 부분(93c)의 경사진 표면(93e)과 접촉하는 반면에, 카트리지(7)가 제거될 때, 푸싱 부분(50c)의 경사진 표면(50f)이 압력 포획 부분(93c)의 경사진 표면(93f)과 접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향 당김 부재(93)가 화살표(Y)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즉,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 압박 기구는 상향 당김 부재(93)가 이동하는 동안 카트리지(7)의 경사진 표면들이 주 조립체(100a)의 경사진 표면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는 장착될 때 주 조립체로 부드럽게 이동하고, 카트리지(7)는 제거될 때 주 조립체로부터 부드럽게 빠져나간다.
또한, 카트리지(7)가 장착 또는 제거될 때,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작동은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선단 및 말단 단부측에서 대체로 동시에 발생한다. 또한, 압박 부재(83) 즉, 후방 압박 부재가 회전하는 방향은 압박 부재(93)(상향 당김 부재) 즉, 전방 압박 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2의 (a) 및 12의 (b)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선단 단부측에는, 구멍(83a)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과 일치하고 카트리지(7)가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이동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L)의 좌측에 제공되고, 압력 포획 부분(83c)은 선(L)의 우측에 제공된다. 반면에, 말단 단부측에는, 구멍(93a)의 축선이 상기 선(L)의 우측에 제공되고, 압력 포획 부분(93c)은 선(L)의 좌측에 제공되며, 선단 단부측의 압박 부분의 압력 포획 부분과 구멍 사이의 관계는 말단 단부측의 압박 부분의 압력 포획 부분과 구멍 사이의 관계와 반대가 된다.
즉, 주 조립체의 후방측에 제공된 압박 부재(83)는 후퇴 위치로 이동될 때 화살표(M)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에, 주 조립체의 전방측에 제공된 상향 당김 부재(93)는 후퇴 위치로 이동될 때 화살표(N)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7)가 장착 또는 제거될 때 푸싱 부분(40c, 50c)에 가해지는 압박 부재(83, 93) 즉, 주 조립체의 후방 및 전방측에 제공된 압박 부재로부터의 하중은 도 12의 (a) 및 도 12의 (b)에서 각각 화살표(P1) 및 화살표(P2)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하중의 방향(P1, P2)의 각도들은 카트리지가 밀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L)에 대해 미리 설정된다. 또한, 상술된 각도들은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의 방향(P1, P2) 즉, 카트리지(7)가 위로 밀리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L)을 기준으로 대체로 대칭이다. 따라서, 카트리지(7)는 장착 또는 제거될 때 자세가 안정하게 유지되어, 종래 기술에 따른 카트리지보다 작동성이 상당히 우수하게 된다.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7)는 주 조립체(100a)에 대해 장착 또는 제거될 때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에 대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실시예는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7)의 선단 단부측 및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이 주 조립체(100a)의 대응 부분(부재)와 마찰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에 장착될 때, 상술된 선단 단부측 및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이 주 조립체(100a)의 대응 부분(부재)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베어링(40, 50) 즉,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선단 단부측 및 말단 단부측의 베어링에는 역시 주연 표면의 일부인 선단 단부측 및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 50a)보다 위로 상향 돌출하는 접촉 부분(40h, 50h)이 제공된다. 이러한 접촉 부분(40h, 50h)은 상부 표면에 걸쳐 편평하고 카트리지(7)의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분의 일측과 다른측에 각각 위치된다.
카트리지(7)가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주 조립체(100a)로 삽입되면, 상향력 즉, 압박 부재(83) 즉, 카트리지 압박 후방 부재와 상향 당김 부재(93) 즉, 카트리지 압박 전방 부재가 후퇴 위치로 아래로 밀릴 때 발생하는 반력이 카트리지(7)에 가해진다. 이러한 프로세스 중, 접촉 부분(40h)(표면)은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 즉, 주 조립체의 제1 카트리지 접촉 부분과 접촉하고, 접촉 부분(50h)은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96) 즉, 주 조립체의 제2 카트리지 접촉 부분과 접촉한다. 그 결과, 카트리지(7)의 상향 이동이 방지된다.
이때, 카트리지 압박 기구는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 즉, 주 조립체의 후방측에 제공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과 접촉 부분(40h)(표면)은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과 접촉함으로써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기 바로 전까지 서로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96) 즉, 주 조립체의 전방측에 제공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과 접촉 부분(50h)(표면)은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50a)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92a)과 접촉함으로써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기 바로 전까지 서로 접촉을 유지한다.
그 결과, 카트리지(7)가 장착되는 도중, 더욱 구체적으로 카트리지(7)가 압박 부재(83)와 상향 당김 부재(93)로부터 상향력을 받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카트리지(7)가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기 바로 전까지,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 96) 즉, 수지로 형성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규제 부분과 카트리지 접촉 표면(40h, 50h)은 각각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 96) 상에서 활주하여, 후방측 및 전방측에 제공된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 96)은 얇은 시트의 강으로 형성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 92a)과 마찰하지 않는다. 그 결과, 선단 단부측 및 말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 50a)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 92a)에 의해 마모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압박 기구는 카트리지(7)가 압박 부재가 카트리지(7)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의 부분에서 더 먼 압박 부재의 지점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카트리지 압박력을 무효화하면서 장착 또는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7)를 장착 또는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카트리지(7)가 압박 부재로부터 받는 힘(압력)의 양에 비해 상당히 작다. 따라서, 카트리지(7) 즉,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를 이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하거나 또는 카트리지(7)를 이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트리지를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하거나 종래 기술에 따른 카트리지를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상당히 작다. 즉, 본 발명은 카트리지 장착과 관련하여 작동성이 상당히 개선된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100a)에 장착하거나 또는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100a)로부터 제거할 때,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재가 마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카트리지가 수평 직선열로 나란하게(평행하게) 배열되고 중간 전사 유닛이 카트리지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카트리지가 압박 부재에 의해 아래로부터 위로 압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 실시예는 화상 형성 장치 구조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은 중간 전사 유닛이 카트리지의 하부측에 제공되고 카트리지가 압박 부재(가압 부재)에 의해 위로부터 아래로 압박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감광 드럼(1)은, 카트리지(7)에 대해 하향 압력을 가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5)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카트리지가 아래로부터 압박되도록 구성된 본 실시예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카트리지를 정확한 위치에 압박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카트리지 자체 중량을 고려하여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를 정확한 위치에 압박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카트리지가 위로부터 압박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 에서 카트리지를 압박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보다 커야만 하며, 압박 부재를 아래로 미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도 그러하다. 따라서, 카트리지 압박 부재의 카트리지 압박 부분보다 카트리지 압박 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카트리지 압박 부재의 부분에 의해, 카트리지 압박 부재의 카트리지 압박 부분에 의해 카트리지에 가해지는 압력을 무효화하면서 카트리지가 장착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는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카트리지의 선단 단부측과 말단 단부측 모두에서 카트리지가 장착 또는 제거되는 도중 카트리지 압박 부재로(상향 당김 부재를 포함)부터의 힘이 압박 부재의 카트리지 압박 부분보다 압박 부재의 축선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카트리지 압박 부재의 부분에 의해 무효화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하나의 단부 즉,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선단 단부 또는 말단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만 카트리지 압박 부재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선단 단부 및 말단 단부 모두에 압박 부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선단 단부 또는 말단 단부 중 하나에만 카트리지 압박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보다 카트리지를 장착 또는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의 총량이 더 작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후방측의 카트리지 압박 부재와 전방측의 카트리지 압박 부재(카트리지 당김 부재)는 압박 부재로부터의 하중이 밀어 올려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이되도록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카트리지(7)를 장착 또는 제거할 때 카트리지(7)의 자세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효과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한편, 이 실시예는 상술된 제1 실시예와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 구조가 동일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동일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될 것이다. 또한, 상술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이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부재, 부분 등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된다.
도 13은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후방측의 카트리지 압박 부재와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선단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7)의 베어링에 카트리지(7)를 아래로 미는 푸싱 부분(83c)을 갖는 압박 부재(83)가 제공되도록 구성되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압박 부재를 아래로 미는 푸싱 부분이 현상 유닛의 일부로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현상 유닛(4)에는 압박 부재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박 부재 푸싱 부분(40c)이 제공된다. 푸싱 부분(140c)은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하류 단부로부터 하류로 돌출한다. 푸싱 부분(140c)의 단부 부분에는 하향 돌출된 돌출부(140d)가 제공된다. 돌출부(140d)에는 2개의 표면(140e, 140f)이 제공되고, 상기 두 표면은 두 표면의 교차점이 돌출부(140d)의 정점이 되도록 완만하게 경사진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푸싱 부분(140c)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압박 부재(183)(가압 부재)의 구멍(183a)(도 14)의 축선으로부터 압력 포획 부분(40b)의 반대측에 제공된다. 또한, 푸싱 부분(140c)은 압력 포획 부분(40b)보다 구멍(183a)의 축선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주 조립체(100a)에는 카트리지(7)를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압력 포획 부분)을 향해 압박하기 위한 카트리지 압박 부재(183)가 제공된다. 압박 부재(183)는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 아래 위치된다. 압박 부재(183)는 측방향 플레이트(82) 즉, 후방측 주 조립체의 측방향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측방향 플레이트(82)에 견고하게 부착된 샤프트(84)는 압박 부재(183)의 피벗축이 구멍(183a)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압박 부재(183)의 구멍(183a)을 통해 삽입된다. 또한, 압박 부재(183)는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에 카트리지(7)를 압박하는 카트리지 압박 위치와 카트리지(7)에 가해진 압력을 제거하도록 이동되는 후퇴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측방향 플레이트(8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압박 부재(183)가 압박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7)를 압박하는 압박 부분(183b)이 압박 부재(183)에 제공된다. 압박 부분(183b)은 카트리지(7)의 압력 포획 부분(40b)과 위치가 대응된다. 또한, 압박 부재(183)에는 압박 부재(183)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 포획 부분(183c)이 제공된다. 압력 포획 부 분(183c)은 카트리지(7)의 푸싱 부분(140c)과 위치가 대응된다.
압력 포획 부분(183c)에는 2개의 표면(183e, 183f)을 갖는 상향 돌출부(183d)가 제공된다. 표면(183e, 183f)은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각각 하류측과 상류측에 제공되며, 상기 두 표면들의 교차점이 돌출부(183d)의 정점이 되도록 완만하게 경사진다.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압력 포획 부분(183c)은 구멍(183a)의 축선으로부터 압박 부분(183b)의 반대측에 제공된다. 또한, 압력 포획 부분(183c)은 압박 부분(183b)보다 구멍(183a)의 축선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다.
다음으로,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될 때 발생하는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구성 요소의 이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 16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측에서 본) 좌측 평면도로서,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a)에 장착될 때 발생하는 카트리지 압박 부재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7은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선단 측으로부터 본 후방 카트리지 압박 기구의 평면도로서, 압박 부재의 작동을 도시한다.
카트리지(7)는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F)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장착된다. 도 16의 (a) 및 도 17의 (a)을 참조하면, 카트리지(7)가 삽입될 때 현상 유닛(4)의 푸싱 부분(140c)의 경사진 표면(140e)은 카트리지 포획 부분(183c)의 경사진 표면(183e)과 접촉한다(대기 위치). 그 후, 카트리지(7)가 더욱 삽입되면, 압박 부재(183)는 점진적으로 아래로 밀려서 푸싱 부분(140c)의 돌출부(140d)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183c)의 돌출부(183d)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압박 부재(183)는 화살표(T)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후퇴된다(후퇴 위치). 더욱 구체적으로, 압박 부재(183)는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부분(183b)이 카트리지(7)의 압력 포획 부분(140b)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후퇴 위치)로 후퇴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장착되는 동안, 압력 포획 부분(140b)에는 어떠한 압력도 가해지지 않는다. 카트리지(7)가 장착될 때 압박 부재(183)로부터 받는 압력은 구멍(183a)의 축선과 일치하는 압박 부재(183)의 회전축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푸싱 부분(140c)에 의해 무효화 된다. 즉, 카트리지(7)를 위로 밀도록 작용하는 힘에 대항하여 압박 부재를 아래로 미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구명(183a)의 축선으로부터 압력 포획 부분(140b)까지의 거리[푸싱 부분(183b)]와 구멍(183a)의 축선으로부터 푸싱 부분(140c)까지의 거리[압력 포획 부분(183c)] 사이의 비율만큼 감소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7)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는 압박 부재(183)로부터 카트리지(7)가 받는 압력의 크기보다 상당히 작고, 카트리지(7)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종래 기술에 따라 카트리지(7)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압력의 크기보다 상당히 작다.
또한, 카트리지(7)가 장착될 때 카트리지(7)에는 상향력 즉, 압박 부재(183)가 후퇴 위치로 아래로 밀릴 때 발생하는 반력이 가해진다. 하지만, 접촉 표면(40h)은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 즉, 주 조립체의 제1 카트리지 접촉 부분과 접촉한다. 그 결과, 카트리지(7)는 상향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과 카트리지(7)의 제2 주 조립체 접촉 표면(40h)은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압력 포획 부분)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과 접촉함으로써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기 바로 전까지 서로에 대해 접촉 유지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장착되는 동안, 더욱 구체적으로 카트리지(7)가 압박 부재(183)로부터 상향 압력을 받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카트리지(7)가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기 바로 전까지,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 즉, 수지로 형성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과 접촉 표면(40h)은 서로 활주하여, 압력 포획 부분(40a)(카트리지의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은 얇은 시트의 강 등으로 형성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에 대해 마찰하지 않는다. 따라서,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에 의해 마모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카트리지가 더욱 삽입되면, 카트리지 포획 부분(183c)은 푸싱 부분(140c)에서 결합 해제되어, 압박 부재(183)는 후퇴 위치로부터 압박 위치로 점진적으로 복귀한다. 그 후,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7)의 길이방향으로 카트리지(7)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접촉 표면(40i)이 측방향 플레이트(82), 즉 주 조립체의 후방 측방향 플레이트와 접촉하도록 충분히 깊게 삽입되고, 압박 부분(183b)은 도 16의 (c) 및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포획 부분(40b)과 접촉하고, 그로 인해 카트리지(7)는 화살표(S)로 지시된 방향(압박 방향)으로 압박된다(압박 위치). 이러한 프로세스 도중, 카트리지(7)의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40a)은 주 조립체의 후방 측방향 플레이트(82)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과 접촉하여, 카트리지(7)를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 설정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세스 중,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은 제2 접촉 표면(40h)에서 결합 해제되고, 소정 크기의 간극이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과 표면(40g)(리세스가 형성된 표면) 사이에 제공된다. 동시에, 카트리지 포획 부분(183c)은 푸싱 부분(140c)을 지나 이동하고, 소정 크기의 간극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183c)과 리세스가 형성된 표면(140j) 사이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압박 부재(183)는 카트리지(7)에 충분한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카트리지(7)를 주 조립체(100a)로부터 제거할 때, 상술된 카트리지 장착 작동이 반대로 수행된다. 카트리지(7)가 압박 부재(183)로부터 받는 상향력은 카트리지(7)의 장착시와 같이, 구멍(183a)의 축선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푸싱 부분(140c)에 의해 무효화 된다. 그 결과,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를 장착하는 동작에 필요한 힘의 크기가 종래 기술에 따라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동작에 필요한 힘의 크기보다 상당히 작은 것과 같이,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를 제거하는 작동을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는 종래 기술에 따라 카트리지(7)를 제거하는 작동에 필요한 힘의 크기보다 작다.
또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이 압력 포획 부분(40a)(카트리지의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에서 결합 해제되면,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은 제2 접촉 표면(40h)과 접촉한다. 또한, 카트리지(7)의 제거 도중에도, 수지로 형성된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이동 규제 부분(86)과 제2 접촉 표면(40h)은 서로에 대해 활주하여, 카트리지(7)가 압박 부재(183)에 의해 가해지는 상향력 하에 있는 한 압력 포획 부분(40a)이 주 조립체의 측방향 플레이트의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에 대해 마찰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압력 포획 부분(40a)(카트리지의 선단 단부측 위치 설정 부분)이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에 마찰될 때 카트리지 포획 부분(82a)에 의해 마모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후방 단부측과 위치가 대응되는 현상 유닛(4)의 부분에만 푸싱 부분이 제공된다. 하지만, 현상 유닛의 전방 단부에만 푸싱 부분이 제공될 수도 있다. 현상 유닛의 전방 단부에만 푸싱 부분을 제공하는 효과는 현상 유닛의 후방 단부에만 푸싱 부분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주 조립체의 부재나 부재들에 대해서 덜 마찰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주 조립체의 부재나 부재들에 대해서 덜 접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작동성이 개선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안정적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 조립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 설정의 정확도가 개선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 조립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 설정의 정확도가 안정적으로 높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후속하는 청구항의 범주 또는 개선점의 목적 내에 있는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을 커버하도록 의도되었다.

Claims (16)

  1.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과,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과,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과,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과,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제1 및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압박력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 부재를 구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주 조립체에 진입할 때에,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1 카트리지측 피안내부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시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할 때에,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2 카트리지측 피안내부와,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될 때,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전진 방향에 대해 선단측에 설치된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될 때에,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전진 방향에 대해 말단측에 설치된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을 통과한 후에,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을 통과한 후에,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 부재의 상기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된 상태와 상기 압박 부재의 상기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은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은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은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에서 병렬배치되고,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은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에서 병렬배치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하나의 축선 단부에서 지지하는 제1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은 상기 제1 베어링 부재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다른 축선 단부에서 지지하는 제2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은 상기 제2 베어링 부재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은 평탄한 형상이고,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은 원호 형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은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 위에 있고,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은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 위에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전진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안내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선단측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안내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선단측에서 말단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 상에 연장되고,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안내부와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안내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동일한 측에 배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진입 방향에 대해 선단측에 배치되는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압박하기 위한 밀어올림 부재와, 상기 진입 방향에 대해 말단측에 배치된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과,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과,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과, 당겨올림력에 의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압박하기 위한 당겨올림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시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주 조립체에 진입할 때에,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1 카트리지측 피안내부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시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주 조립체에 진입할 때에,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2 카트리지측 피안내부와,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밀어올림 부재의 밀어올림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될 때에,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전진 방향에 대해 선단측에 설치된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전진 방향에 대해 선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할 때에 상기 밀어올림 부재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밀어올림 부재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푸싱 부재와,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당겨올림 부재의 당겨올림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될 때에,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전진 방향에 대해 말단측에 설치된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말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할 때에, 상기 당겨올림 부재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당겨올림 부재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푸싱 부재와,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을 통과한 후에,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밀어올림력에 의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을 통과한 후에, 상기 당겨올림 부재의 당겨올림력에 의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밀어올림력에 의해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된 상태와, 상기 당겨올림 부재의 당겨올림력에 의해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은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은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은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에서 병렬배치되고,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은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에서 병렬배치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하나의 축선 단부에서 지지하는 제1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은 상기 제1 베어링 부재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다른 축선 단부에서 지지하는 제2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은 상기 제2 베어링 부재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은 평탄한 형상이고,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 및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은 원호 형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은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 위에 있고,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은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 위에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전진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안내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선단측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안내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선단측에서 말단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 상에 연장되고,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안내부와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안내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동일한 측에 배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착식으로 장착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a)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과,
    (b)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과,
    (c)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d)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e)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과,
    (f)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과,
    (g)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제1 및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압박력에 의해 압박하기 위한 압박 부재와,
    (h) 상기 제1 및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시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주 조립체에 진입할 때에,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1 카트리지측 피안내부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시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주 조립체에 진입할 때에,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2 카트리지측 피안내부와,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될 때에,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전진 방향에 대해 선단측에 설치된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될 때에,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전진 방향에 대해 말단측에 설치된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을 통과한 후에,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을 통과한 후에,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을 포함하고,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된 상태와, 압박 부재의 상기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6.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식으로 장착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a)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b)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와,
    (c)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주 조립체에 장착시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진하는 전진 방향에 대해 선단측에 배치된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과,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과, 밀어올림에 의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압박하기 위한 밀어올림 부재와,
    (d) 상기 전진 방향에 대해 말단측에 배치된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과,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과, 당겨올림력에 의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압박하기 위한 당겨올림 부재와,
    (e) 상기 제1 및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밀어올림 부재의 밀어올림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될 때에,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전진 방향에 대해 선단측에 설치된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전진 방향에 대해 선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할 때에 상기 밀어올림 부재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밀어올림 부재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푸싱 부재와,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당겨올림 부재의 당겨올림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될 때에,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전진 방향에 대해 말단측에 설치된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과,
    상기 말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할 때에, 상기 당겨올림 부재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당겨올림 부재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푸싱 부재와,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을 통과한 후에,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밀어올림력에 의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과,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주 조립체 내를 전진하는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규제 부분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규제 부분을 통과한 후에, 상기 당겨올림 부재의 당겨올림력에 의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밀어올림 부재의 밀어올림력에 의해 상기 제1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상기 제1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된 상태와, 상기 당겨올림 부재의 당겨올림력에 의해 상기 제2 카트리지측 피위치 설정 부분이 상기 제2 주 조립체측 위치 설정 부분에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7012431A 2006-12-08 2007-11-26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054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31309 2006-12-08
JP2006331309 2006-12-08
JP2007266399A JP4148530B2 (ja) 2006-12-08 2007-10-12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JP-P-2007-266399 2007-10-12
PCT/JP2007/073268 WO2008069156A1 (en) 2006-12-08 2007-11-26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135A KR20090080135A (ko) 2009-07-23
KR101054969B1 true KR101054969B1 (ko) 2011-08-05

Family

ID=3898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431A KR101054969B1 (ko) 2006-12-08 2007-11-26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7756441B2 (ko)
EP (1) EP2102715B1 (ko)
JP (1) JP4148530B2 (ko)
KR (1) KR101054969B1 (ko)
CN (2) CN102411296B (ko)
RU (2) RU2419822C2 (ko)
WO (1) WO2008069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8530B2 (ja) 2006-12-08 2008-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41865B2 (ja) 2006-12-08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968957B2 (ja) 2008-03-3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5127567B2 (ja) * 2008-05-27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701266B2 (ja) 2008-05-27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21573B2 (ja) * 2008-05-27 201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630932B2 (ja) * 2008-05-27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549426B2 (ja) 2008-09-29 2010-09-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49999B2 (ja) 2009-02-16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123348A (ja) * 2009-12-11 2011-06-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
JP5725338B2 (ja) * 2011-03-25 2015-05-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55679B2 (ja) 2011-12-27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74652A (ja) * 2012-02-23 2013-09-05 Canon Inc カートリッジ
CN110333649B (zh) 2012-06-15 2022-06-17 佳能株式会社 处理盒
JP5559922B2 (ja) * 2012-11-26 2014-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ユニット集合体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070966B1 (ko) * 2013-01-16 2020-01-2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형성장치
JP6338460B2 (ja) 2013-08-20 2018-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376749B2 (ja) 2013-12-06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448531B2 (en) * 2014-07-15 2016-09-20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JP6413435B2 (ja) * 2014-07-25 2018-10-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291992B1 (en) 2014-12-19 2016-03-22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for an imaging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85758B1 (en) * 2014-12-19 2016-03-15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between replaceable units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6671997B2 (ja) 2015-02-05 2020-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感光体ユニット、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598468B2 (ja) 2015-02-16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552212B2 (ja) 2015-02-16 2019-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512864B2 (ja) * 2015-02-27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9317004B1 (en) 2015-04-10 2016-04-19 Lexmark International, Inc. Handle and positioning stop assembly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6602126B2 (ja) * 2015-09-16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に用いられる部材
US9996052B2 (en) * 2016-02-10 2018-06-12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capable of being inserted in an apparatus main bod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00025336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충전부의 유입 셔터를 선택적으로 로킹하는 구조
KR102390146B1 (ko) * 2018-08-30 2022-04-2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본체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에 토너를 충전하는 구조
JP6642754B1 (ja) * 2019-02-28 2020-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A3079882A1 (en) 2019-05-01 2020-11-01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status of frequency-managed electric devices from frequency history
JP2022138657A (ja) * 2021-03-10 2022-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8329A (en) 1996-04-03 1998-12-0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ounting/dismounting mechanism
US20050220481A1 (en) 2004-02-20 2005-10-0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7744B (en) * 1982-08-17 1986-07-02 Canon Kk Multicolour printing
JPH0629998B2 (ja) 1983-07-05 1994-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GB2132942B (en) 1982-09-30 1987-07-29 Canon Kk Detachable parts of image-forming apparatus
JPH06186791A (ja) 1992-12-21 1994-07-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298728B2 (ja) * 1993-11-12 2002-07-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416485B2 (ja) 1996-09-30 2003-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312197A (ja) 2000-04-28 2001-11-09 Katsuragawa Electric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301456B1 (en) 2000-09-22 2001-10-09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 cartridge in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673793B2 (ja) 2003-08-29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292332A (ja) * 2004-03-31 2005-10-20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3962734B2 (ja) * 2004-08-31 2007-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本体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取り外し可能に装着する装着機構
JP4742562B2 (ja) * 2004-10-19 2011-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148530B2 (ja) * 2006-12-08 2008-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029998B2 (ja) 2013-02-19 2016-11-24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グリセロール廃液からのエタノール生産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8329A (en) 1996-04-03 1998-12-0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ounting/dismounting mechanism
US20050220481A1 (en) 2004-02-20 2005-10-0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48530B2 (ja) 2008-09-10
CN101479670A (zh) 2009-07-08
CN102411296B (zh) 2014-07-23
EP2102715A1 (en) 2009-09-23
RU2009126152A (ru) 2011-01-20
RU2419822C2 (ru) 2011-05-27
US7756441B2 (en) 2010-07-13
RU2519854C2 (ru) 2014-06-20
WO2008069156A1 (en) 2008-06-12
US8155557B2 (en) 2012-04-10
RU2011103939A (ru) 2012-08-10
KR20090080135A (ko) 2009-07-23
EP2102715B1 (en) 2017-06-28
US9310762B2 (en) 2016-04-12
US8494410B2 (en) 2013-07-23
US20140314445A1 (en) 2014-10-23
US20120163861A1 (en) 2012-06-28
US20130343780A1 (en) 2013-12-26
US8805237B2 (en) 2014-08-12
US20100158565A1 (en) 2010-06-24
US20080138106A1 (en) 2008-06-12
CN102411296A (zh) 2012-04-11
CN101479670B (zh) 2011-12-14
JP2008165189A (ja)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969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05242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11754970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a protrusion with a surface configured to receive a force to move a frame of the process cartridge
RU2442205C2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ртридж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JP4971832B2 (ja) 画像形成装置
JP5451030B2 (ja) 画像形成装置
CN110941167B (zh) 成像设备和显影盒
JP552809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82135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32445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3240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