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966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966B1
KR102070966B1 KR1020130004842A KR20130004842A KR102070966B1 KR 102070966 B1 KR102070966 B1 KR 102070966B1 KR 1020130004842 A KR1020130004842 A KR 1020130004842A KR 20130004842 A KR20130004842 A KR 20130004842A KR 102070966 B1 KR102070966 B1 KR 10207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unit
unit
image forming
main body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601A (ko
Inventor
윤환진
성정재
이완호
황정원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3000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966B1/ko
Priority to US14/142,034 priority patent/US9880516B2/en
Priority to EP14150220.3A priority patent/EP2757422B1/en
Priority to PCT/KR2014/000378 priority patent/WO2014112764A1/en
Priority to CN201410020208.XA priority patent/CN103926815B/zh
Publication of KR20140092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현상유닛을 포장하기 위한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현상유닛을 보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제1 현상유닛 수용부와 제2 현상유닛 수용부와, 제1 현상유닛 수용부 및 제2 현상유닛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한다. 현상유닛은 제1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될 때,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할 수 없도록 배치되고, 제2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될 때,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하는 현상유닛을 포장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적재 또는 급지하고 그 내부의 각종 부품을 지지하거나 구동하는 본체와, 본체에 장착되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유닛을 포장하는 방법으로, 본체와 현상유닛을 각각 별도의 포장박스로 포장하는 방법, 본체와 현상유닛을 하나의 포장박스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시키는 방법, 현상유닛을 본체의 현상위치에 장착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본체와 현상유닛을 각각 별도의 포장박스로 포장하는 방법의 경우, 현상유닛을 별도 포장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본체와 현상유닛을 하나의 포장박스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시키는 방법의 경우, 포장박스의 크기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현상유닛을 본체의 현상위치에 장착시키는 방법의 경우, 이송과정 등에서 현상유닛의 부품이 본체 내부의 부품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현상유닛을 포장하기 위한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현상유닛을 보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현상유닛 장착부;와,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에 장착되어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와 별도로 상기 현상유닛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현상유닛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최초 동작 수행 전에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에 보관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최초 동작 수행을 위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는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와 더 가깝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와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는 상기 본체의 전, 후 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와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 사이에는 광주사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은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에 수용, 배치될 때, 상기 감광체는 상기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 개구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를 덮는 제1 커버와, 상기 제2 개구를 덮는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를 덮는 제3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개구를 형성하는 전면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은 그 일측으로부터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결정돌기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은 그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홀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전면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유닛의 하단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유닛의 양 측면을 가이드하는 제 2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으로부터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면프레임과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후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결정돌기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위치결정돌기가 관통하여 상기 제2 결합홀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결합홀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에 수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유닛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상기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에 수용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현상유닛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1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이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와 이격되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수용하는 제1 현상유닛 수용부;와, 상기 현상유닛이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상유닛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상유닛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와 상기 제2 현상유닛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상유닛 수용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으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유닛과, 상기 토너유닛을 수용하는 토너유닛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현상유닛 수용부는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토너유닛 수용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 및 상기 후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제2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프레임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유닛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모두 수직한 제 3방향으로 상기 현상유닛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후면프레임과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이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수용하는 현상유닛 장착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와 별도로 상기 현상유닛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현상유닛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현상유닛이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위치와 별도로, 본체 내부에 현상유닛을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하여 현상유닛을 보관시킴으로써, 현상유닛을 포장하기 위한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현상유닛을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현상유닛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현상유닛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가 개방된 상태의 본체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현상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가이드부재 및 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3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f는 현상유닛을 제1 현상유닛 수용부로부터 분리하여 제2 현상유닛 수용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현상유닛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캐닝유닛(20)을 포함한다. 본체(10) 내부에는 인쇄매체(P)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급지유닛(30)과, 급지유닛(30)을 통해 공급된 인쇄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40)과, 현상유닛(40)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유닛(50)과, 현상유닛(40)의 감광체(42)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60)과, 인쇄매체(P)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70)과,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P)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80)을 포함한다.
급지유닛(30)은 인쇄매체(P)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것으로 본체(20)의 하부에 마련되어 현상유닛(40)쪽으로 인쇄매체(P)를 공급한다.
이러한 급지유닛(30)은 인쇄매체(P)를 저장하도록 본체(20)에 인출 가능한 카세트 타입의 급지트레이(31)와, 급지트레이(31)에 저장된 인쇄매체(P)를 낱장씩 픽업하여 현상유닛(4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급지트레이(31) 내에는 적재된 인쇄매체(P)를 이송부재(35) 쪽으로 안내하도록 일단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가압스프링(32)에 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3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재(35)는 녹업플레이트(33)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37)와, 픽업롤러(37)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P)를 현상유닛(40) 쪽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38)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유닛(4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41)과, 하우징(4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42)와, 토너유닛(50)으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스크류들(43a, 43b)과, 교반스크류들(43a, 43b)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감광체(42)로 공급하는 현상롤러(44)와, 감광체(42)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재(45)를 포함한다.
토너유닛(50)로부터 공급된 토너는 하우징(41)의 내부로 유입되어 교반스크류들(43a, 43b)에 의해 하우징(41)의 일측으로 교반, 이송되며, 교반되어 이송된 토너는 현상롤러(44)에 의해 감광체42)로 공급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토너유닛(50)은 현상유닛(40)과 결합되며, 인쇄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토너를 수용, 보관하고, 화상형성동작이 진행될 때 토너를 현상유닛(40)으로 공급한다.
광주사유닛(60)은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을 감광체(41)에 주사하여 감광체(4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정착유닛(70)은 인쇄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P)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이러한 정착유닛(70)은 가열원(72)이 내장된 가열부재(71)와, 인쇄매체(P)를 가열부재(71)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73)를 포함한다.
가열원(72)은 가열부재(71)를 가열하도록 히터, 발열램프 및 열선 등과 같은 발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재(71)는 가열원(72)이 내장된 롤러 타입으로 이루어지거나, 가열원(72)에 가열되는 벨트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롤러(73)는 가열부재(71)와 밀착되어 가압롤러(73)와 가열부재(71)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이 유지되도록 탄성부재(75)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가압롤러(73)는 필요에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착유닛(70)은 가열부재(71)와 가압롤러(73) 사이로 인쇄매체(P)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P)에 전사된 가시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가시화상이 인쇄매체(P)에 정착되게 한다.
배지유닛(80)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배지롤러(81)와 제2배지롤러(83)를 포함하여 정착유닛(70)을 통과한 인쇄매체(P)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한다.
이하에서 제1 방향은 화살표A가 가리키는 것과 같이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하고, 제2 방향은 화살표B가 가리키는 것과 같이 제1 방향과 수직하고, 본체의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하며, 제3 방향은 화살표C가 가리키는 것과 같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하고,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3은 현상유닛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가 개방된 상태의 본체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현상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는 현상유닛 보관부(110)와 현상유닛 장착부(120)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현상유닛 보관부(110)를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로 정의하고, 현상유닛 장착부(120)를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와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는 본체(10)의 전, 후 방향, 즉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와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는 광주사유닛(60)을 사이에 두고 광주사유닛(60)의 양측에 위치한다.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는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록매체(P)가 이송되는 경로(L)에 더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기록매체(P)가 이송되는 경로(L)는 급지트레이(31)에 수용된 기록매체(P)가 픽업롤러(37), 피드롤러(38), 감광체(42), 가열부재(71) 및 가압롤러(73), 제1배지롤러(81) 및 제2배지롤러(83)를 따라 이송되는 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는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너유닛(50)을 수용하는 토너유닛 수용부(130)에 더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현상유닛(40)은 제1 방향으로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와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현상유닛(40)은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될 때, 기록매체(P)가 이송되는 경로(L)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될 때, 기록매체(P)가 이송되는 경로(L)의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즉,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될 때,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할 수 없도록 배치되고,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될 때,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될 때, 현상유닛(40)의 감광체(42)는 기록매체(P)가 이송되는 경로(L)의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고, 이송되는 기록매체(P)에 정전잠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현상유닛(40)은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 개구(112)를 통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로 진입되거나,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 개구(122)를 통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로 진입되거나,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개구(112) 및 제2 개구(122)는 전면프레임(1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 개구(112) 및 제2 개구(122)는 각각 제1 커버(114, 도 10b 참조) 및 제2 커버(124, 도 10b 참조)에 의해 개방되거나 패쇄될 수 있으며, 제1 커버(114) 및 제2 커버(124)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3 커버(126)에 의해 덮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체(10) 내부에는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전면프레임(11) 및 후면프레임(12)과, 전면프레임(11) 및 후면프레임(12)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프레임(13)이 마련된다. 전면프레임(11), 후면프레임(12), 하부프레임(13)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프레임(11)은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 또는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된 현상유닛(4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결합홀들(11a, 11b, 11c, 11d)과,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 또는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된 현상유닛(40)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현상유닛(4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고정홀들(11e, 11f, 11g, 11h)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결합홀들(11a, 11b, 11c, 11d)과, 복수의 제2 고정홀들(11e, 11f, 11g, 11h)은 제1 개구(112) 및 제2 개구(122)와 인접한 위치에서 전면프레임(1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후면프레임(12)은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 또는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된 현상유닛(4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결합홀들(12a, 12b)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결합홀들(12a, 12b)은 후면프레임(1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현상유닛(40)은 그 일측(40a)으로부터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 또는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방향, 즉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위치결정돌기(45a, 45b)와, 일측(40a)과 반대되는 타측(40b)으로부터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 또는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방향, 즉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결정돌기(46)와, 일측(40a)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고정홀(47a, 47b)을 포함한다.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제1 위치결정돌기(45a, 45b)는 복수의 제1 결합홀들(11a, 11b)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결합홀들(11a, 11b)과 결합하여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제1 위치결정돌기(45a, 45b)는 복수의 제1 결합홀들(11c, 11d)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복수의 제1 결합홀들(11c, 11d)과 결합하여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제2 위치결정돌기(46)는 제2 결합홀(12a)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결합홀(12a)과 결합하여 복수의 제1 위치결정돌기(45a, 45b)와 함께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제2 위치결정돌기(46)는 제2 결합홀(12b)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제2 결합홀(12b)과 결합하여 복수의 제1 위치결정돌기(45a, 45b)와 함께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복수의 제1 고정홀들(47a, 47b)은 복수의 제1 위치결정돌기(45a, 45b) 및 제2 위치결정돌기(46)가 각각 복수의 제1 결합홀들(11a, 11b) 및 제2 결합홀(12a)에 결합된 상태, 즉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2 고정홀들(11e, 11f)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작업자는 복수의 제1 고정홀들(47a, 47b) 및 복수의 제2 고정홀들(11e, 11f)에 스크류(미도시) 등을 관통, 결합시킴으로써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고정홀들(47a, 47b)은 복수의 제1 위치결정돌기(45a, 45b) 및 제2 위치결정돌기(46)가 각각 복수의 제1 결합홀들(11c, 11d) 및 제2 결합홀(12b)에 결합된 상태, 즉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2 고정홀들(11g, 11h)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작업자는 복수의 제1 고정홀들(47a, 47b) 및 복수의 제2 고정홀들(11g, 11h)에 스크류(미도시) 등을 관통, 결합시킴으로써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제1 가이드부재 및 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3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3)에는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현상유닛(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141)와,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현상유닛(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142)가 마련된다. 제1 가이드부재(141)와 제2 가이드부재(142)는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광주사유닛(50)을 사이에 두고 제 2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1 가이드부재(141)는 현상유닛(40)의 하단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레일(141a)과, 제1 가이드레일(141a)의 양측에 배치되어 현상유닛(40)의 양 측면을 가이드하는 제 2가이드레일(141b)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레일(141a)은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과정 또는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현상유닛(40)이 본체(10)의 상,하 방향(제3 방향 및 제3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규제하고, 제 2가이드레일(141b)은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과정 또는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현상유닛(40)이 본체(10)의 좌,우 방향(제2 방향 및 제2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규제한다.
제2 가이드부재(142)는 현상유닛(40)의 하단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레일(142a)과, 제3 가이드레일(142a)의 양측에 배치되어 현상유닛(40)의 양 측면을 가이드하는 제 4가이드레일(142b)을 포함한다. 제3 가이드레일(142a)은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과정 또는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현상유닛(40)이 본체(10)의 상,하 방향(제3 방향 및 제3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규제하고, 제 4가이드레일(142b)은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과정 또는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현상유닛(40)이 본체(10)의 좌,우 방향(제2 방향 및 제2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규제한다.
후면프레임(12)의 내측에는 현상유닛(4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50)가 결합된다.
지지부재(150)는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장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현상유닛(40)의 타측(40b)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51)와, 제1 지지부(151)로부터 본체(10) 내측으로 돌출되어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장착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제3 방향)으로 현상유닛(40)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152)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151)는 제2 위치결정돌기(46)가 관통하여 제2 결합홀(12a)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결합홀(12a)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지지부(15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151a)을 포함한다.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 고정된 상태에서 흔들림 등에 의해 현상유닛(4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50)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현상유닛(40)을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로부터 분리하여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현상유닛을 제1 현상유닛 수용부로부터 분리하여 제2 현상유닛 수용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3 커버(126)를 회전시켜 제1 커버(114) 및 제2 커버(124)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 후, 제1 커버(114) 및 제2 커버(124)를 본체(10) 외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제1 개구(112) 및 제2 개구(122)가 개방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고정홀들(47a, 47b) 및 복수의 제2 고정홀들(11e, 11f)에 결합된 스크류(미도시)를 먼저 제거하여 현상유닛(40)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개방된 제1 개구(112)를 통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된 현상유닛(40)을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로부터 꺼낸다. 이 때, 복수의 제1 위치결정돌기(45a, 45b)는 복수의 제1 결합홀들(11a, 11b)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로부터 완전히 꺼낸 현상유닛(40)을 제2 개구(122)를 통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로 밀어 넣은 다음, 복수의 제1 위치결정돌기(45a, 45b)가 복수의 제1 결합홀들(11c, 11d)과 결합되도록 하고, 복수의 제1 고정홀들(47a, 47b) 및 복수의 제2 고정홀들(11g, 11h)에 스크류(미도시) 등을 관통, 결합시켜 현상유닛(40)이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14) 및 제2 커버(124)를 본체(10) 외면에 결합시켜 제1 개구(112) 및 제2 개구(122)가 패쇄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커버(126)를 회전시켜 제1 커버(114) 및 제2 커버(124)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현상유닛(40)을 제2 현상유닛 수용부(120)에 장착하는 과정을 마친다.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와 함께 현상유닛(40)을 이송하는 경우와 같이 현상유닛(40)이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 본체(10) 내부에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와 같은 별도의 공간에 현상유닛(40)을 수용시킴으로써, 현상유닛을 포장하기 위한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현상유닛(40)이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될 때, 본체(10) 내부의 다른 부품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제1 가이드부재(141) 및 지지부재(150)를 마련하여 제1 현상유닛 수용부(110)에 수용된 현상유닛(40)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현상유닛(40)을 이송하는 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의해 현상유닛(40)이 손상될 염려 없이 안정적으로 현상유닛(40)을 보관할 수 있다.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20: 스캐닝유닛, 30: 급지유닛,
40: 현상유닛, 50: 토너유닛,
60: 광주사유닛, 70: 정착유닛,
80: 배지유닛, 110: 제1 현상유닛 수용부,
120: 제2 현상유닛 수용부, 130: 토너유닛 수용부,
141: 제1 가이드부재, 142: 제2 가이드부재,
150: 지지부재.

Claims (27)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현상유닛 장착부;와,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에 장착되어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와 별도로 상기 현상유닛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현상유닛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외력에 의해 운송될 시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에 보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는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로부터 수동으로 분리될 시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는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와 더 가깝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와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는 상기 본체의 전, 후 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와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 사이에는 광주사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에 수용, 배치될 때, 상기 감광체는 상기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 개구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를 덮는 제1 커버와,
    상기 제2 개구를 덮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를 덮는 제3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개구를 형성하는 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그 일측으로부터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결정돌기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그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홀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전면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유닛의 하단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유닛의 양 측면을 가이드하는 제 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으로부터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면프레임과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후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결정돌기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결정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위치결정돌기가 관통하여 상기 제2 결합홀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결합홀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에 수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유닛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상기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에 수용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현상유닛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1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현상유닛이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와 이격되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수용하는 제1 현상유닛 수용부;와,
    상기 현상유닛이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상유닛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외력에 의해 운송될 시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로부터 수동으로 분리될 시 상기 제2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상유닛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와 상기 제2 현상유닛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상유닛 수용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으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유닛과, 상기 토너유닛을 수용하는 토너유닛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현상유닛 수용부는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토너유닛 수용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 및 상기 후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제1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제2 현상유닛 수용부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유닛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모두 수직한 제 3방향으로 상기 현상유닛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후면프레임과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현상유닛이 화상형성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현상유닛을 수용하는 현상유닛 장착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와 별도로 상기 현상유닛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현상유닛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외력에 의해 운송될 시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에 보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현상유닛 보관부로부터 수동으로 분리될 시 상기 현상유닛 장착부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30004842A 2013-01-16 2013-01-16 화상형성장치 KR10207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842A KR102070966B1 (ko) 2013-01-16 2013-01-16 화상형성장치
US14/142,034 US9880516B2 (en) 2013-01-16 2013-12-27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developing unit storage portion and a developing unit mounting portion
EP14150220.3A EP2757422B1 (en) 2013-01-16 2014-01-06 Image forming apparatus
PCT/KR2014/000378 WO2014112764A1 (en) 2013-01-16 2014-01-14 Image forming apparatus
CN201410020208.XA CN103926815B (zh) 2013-01-16 2014-01-16 图像形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842A KR102070966B1 (ko) 2013-01-16 2013-01-16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601A KR20140092601A (ko) 2014-07-24
KR102070966B1 true KR102070966B1 (ko) 2020-01-29

Family

ID=4988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842A KR102070966B1 (ko) 2013-01-16 2013-01-16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80516B2 (ko)
EP (1) EP2757422B1 (ko)
KR (1) KR102070966B1 (ko)
CN (1) CN103926815B (ko)
WO (1) WO2014112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455B1 (ko) * 2015-05-22 2021-02-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형성장치
JP7125007B2 (ja) * 2018-09-19 2022-08-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7471815B2 (ja) * 2019-12-25 2024-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8419A1 (en) 2002-08-07 2004-02-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upply device and method used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10222920A1 (en) 2010-03-15 2011-09-15 Kazuhiro Kobayashi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557A (ja) * 1996-02-14 1997-08-19 Minolta Co Ltd 現像装置
JP2002174937A (ja) 2000-12-07 2002-06-2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048631A (ja) * 2001-05-31 2003-02-21 Ricoh Co Ltd 多目的収納テーブル
US6832061B2 (en) * 2001-11-14 2004-12-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lectively lockable intermediate members for supporting developing and forming devices of same
JP4146128B2 (ja) 2002-01-17 2008-09-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6618564B2 (en) 2001-12-14 2003-09-09 Xerox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system with custom color printing
JP3941496B2 (ja) 2001-12-20 2007-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5031392A (ja) 2003-07-14 2005-02-03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83345B2 (ja) 2004-02-27 2010-06-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50427B2 (ja) * 2005-03-28 2012-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48530B2 (ja) * 2006-12-08 2008-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080056486A (ko) * 2006-12-18 2008-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7751747B2 (en) * 2007-06-20 2010-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 cartrid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924262B2 (ja) * 2007-07-23 2012-04-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回転型現像ユニットおよびトナー補給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8419A1 (en) 2002-08-07 2004-02-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upply device and method used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10222920A1 (en) 2010-03-15 2011-09-15 Kazuhiro Kobayashi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80516B2 (en) 2018-01-30
KR20140092601A (ko) 2014-07-24
US20140199095A1 (en) 2014-07-17
WO2014112764A1 (en) 2014-07-24
EP2757422A2 (en) 2014-07-23
CN103926815A (zh) 2014-07-16
EP2757422A3 (en) 2017-12-27
EP2757422B1 (en) 2018-12-19
CN103926815B (zh)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04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2824906B1 (en) Hinge uni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5138246A (ja) 画像形成装置
KR101772967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5948909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3012172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4228609A (ja) 画像形成装置
KR102070966B1 (ko) 화상형성장치
US8238783B2 (en) Multi-function printer
JP2006267620A (ja) 画像形成装置、引出カートリッジ、ローラユニット及び被記録媒体収容カートリッジ
JP2014194485A (ja) 画像形成装置
JP6541403B2 (ja) 画像形成装置
JP589496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US918273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placing toner from the main bod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93044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board to supply power to image forming unit and resin frame to support board
JP5045856B2 (ja) 画像形成装置
WO2015136950A1 (ja) 画像読取装置及び該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02891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224149A (ja) トナー容器
EP2482137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upport structure and housing for the exposure device
JP5538280B2 (ja) 給紙装置
US20070098439A1 (en) Image forming device
JP507767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130069003A (ko) 화상형성장치
JP2017193415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