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178B1 -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178B1
KR101054178B1 KR1020100093401A KR20100093401A KR101054178B1 KR 101054178 B1 KR101054178 B1 KR 101054178B1 KR 1020100093401 A KR1020100093401 A KR 1020100093401A KR 20100093401 A KR20100093401 A KR 20100093401A KR 101054178 B1 KR101054178 B1 KR 10105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over
display
cover memb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문
Original Assignee
정승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문 filed Critical 정승문
Priority to KR1020100093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조명 제공과 방향유도등의 표시를 동시에 겸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장 내에 한 번의 설치로 실내 조명과 방향유도표시를 하나의 조명원으로 동시에 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단순화와 비용 저감, 그리고 주차장 내부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빛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소자를 구비하는 조명모듈;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모듈을 덮으며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투과시켜 외부에 조명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명커버; 상기 몸체부와 상기 조명커버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투과시켜 방향 유도를 위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향표시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LIGHT DEVICE WITH GUIDING WAY}
본 발명은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주차장 등에서 조명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주차장에 주차하려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방향유도등의 역할도 겸용하는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주차장 등에는 실내 조명을 제공하도록 천정매입등 등의 형태로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차량이 주차장의 일정 영역에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하거나 특정 방향으로는 진입을 금지하는 안내판 내지는 방향유도등이 적절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주차장의 곳곳에 조명장치와 각종 방향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조명장치와 방향유도등을 각각 따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전기 배선이 복잡해지고 조명원을 각각 따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복잡하고 비용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명장치와 방향유도등이 각각 따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조명장치와 방향유도등을 각각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하나의 장치에서 실내 공간의 조명 제공과 방향유도등의 표시를 동시에 겸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장 내에 한 번의 설치로 실내 조명과 방향유도표시를 하나의 조명원으로 동시에 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단순화와 비용 저감, 그리고 주차장 내부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빛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소자를 구비하는 조명모듈;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모듈을 덮으며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투과시켜 외부에 조명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명커버; 상기 몸체부와 상기 조명커버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투과시켜 방향 유도를 위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향표시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표시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되는 상향화살표시, 하향화살표시, 좌측화살표시, 우측화살표시 및 엑스자표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표시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특정 방향표시형상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방향표시홈과, 상기 방향표시홈을 덮어서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방향표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표시커버는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어 투과되는 빛이 특정 색을 갖도록 특정 색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표시커버는 상기 커버부재 일면에 접착되거나 소정의 고정구조에 의해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표시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재질로써 이중사출되어 형성되는 방향표시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빛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소자를 구비하는 조명모듈;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모듈을 덮으며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투과시켜 외부에 조명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명커버; 상기 몸체부와 상기 조명커버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투과시켜 방향 유도를 위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향표시부를 특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방향표시변경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표시변경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방향표시부를 구비하는 방향표시회전부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표시회전부재은,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방향표시부를 구비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에 결합하며 상기 조명모듈의 빛이 상기 방향표시부로 전달되도록 홈부를 형성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부와, 상기 개구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 중 다른 한 쪽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마찰을 일으키는 복수개의 마찰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개구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 중 다른 한 쪽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안착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표시변경수단은, 상기 방향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향표시부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향표시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표시결합부재는, 상기 방향표시부가 마련되는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커버부재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커버부재 중 다른 한 쪽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는 조명장치와 방향유도등을 각각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하나의 장치에서 실내 공간의 조명 제공과 방향유도등의 표시를 동시에 겸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장 내에 한 번의 설치로 실내 조명과 방향유도표시를 하나의 조명원으로 동시에 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단순화와 비용 저감, 그리고 주차장 내부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의 (a) 및 (b)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의 일 예에 관한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향표시회전부재와 커버부재의 개구부 사이의 결합관계에 관한 다양한 예를 도 7의 (a), (b) 및 (c)에서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의 일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는 조명장치 본체(100), 지지부재(200) 및 방향표시수단(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명장치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와 조명커버(120), 그리고 커버부재(3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10)는 조명 제공을 위한 조명모듈(130)과 전원공급장치(미도시) 등을 수용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는 조명모듈(130)이 안착되는 안착부(111)와, 상기 안착부(111)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조명모듈(130)의 빛을 모아주는 제1가이드판(112) 및 제2가이드판(113)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에는 도면상으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되며, 몸체부(110)의 상단에 마련되는 몸체결합부(114, 115)에 상기한 지지부재(200)가 결합된다.
즉 지지부재(200)의 제1지지판(210)과 제2지지판(2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지지결합부(211, 222)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의 몸체결합부(114, 115)에 각각 결합하면서 상기 제1지지판(210), 제2지지판(220) 및 몸체부(110)의 상단으로 둘러싸인 소정 공간의 공간부(S)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S)에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수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00)의 지지결합부(211, 222)와 상기 몸체부(110)의 몸체결합부(114, 115)는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몸체부(11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부재인데, 그 상단에 천정 등에 구비되는 특정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조(23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10)의 안착부(111)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조명모듈(130)은 상기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131)과, 상기 기판(131)에 실장되어 빛을 제공하는 조명소자(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소자(132)는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LED소자가 소정의 간격으로 기판(131) 상에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조명모듈(130)을 LED 소자를 기반으로한 모듈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광등 등의 여하한 형태의 조명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조명커버(120)가 결합되어 상기 조명모듈(130)을 덮으며 상기 조명모듈(130)에서 제공되는 빛을 투과시켜 외부로 조명이 제공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커버(120)는 그 양단에 각각 제1결합부(121) 및 제2결합부(122)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제1가이드판(112)의 단부에 상기 제1결합부(121)에 대응되는 제1커버결합부(112a)가 마련되고 제2가이드판(113)의 단부에 상기 제2결합부(122)에 대응되는 제2커버결합부(113a)가 마련되어, 상기 제1커버결합부(112a) 및 제2커버결합부(113a)에 상기 제1결합부(121) 및 제2결합부(122)가 각각 결합하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와 조명커버(12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몸체부(110)의 양 측면은 개구된 상태가 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양 측면의 개구된 부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10)가 각각 결합된다. 즉 상기 몸체부(110)와 조명커버(120)의 일측에 상기 커버부재(310)가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10)에는 방향표시수단(320)이 구비되어 상기 조명모듈(130)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투과시켜 방향 유도를 위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의 (a)에서는 상기한 방향표시수단(320)의 일 예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도 2 및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표시수단은 커버부재(310)에 특정 방향표시형상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방향표시홈(321)과, 상기 방향표시홈(321)을 덮어서 상기 조명모듈(130)로부터 제공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방향표시커버(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모듈(130)로부터 제공되는 빛은 조명커버(120)를 투과하여 외부로 조명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방향표시커버(322)를 투과하여 방향표시홈(321)을 통해 외부로 조명이 비추어지면서 상기 방향표시홈(321)의 형상에 따른 방향표시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방향표시홈(321)은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의 방향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향화살표시, 하향화살표시, 좌측화살표시 및 우측화살표시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진입 금지를 안내하기 위한 엑스자표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표시커버(322)를 투과하여 상기 방향표시홈(321)을 통해 외부로 제공되는 방향표시 조명이 운전자의 눈에 잘 띄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방향표시커버(322)는 특정 색을 가진 조명이 제공되도록 특정 색성분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써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방향표시수단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10)에 이중사출되어 상기 커버부재(3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방향표시투과부(323)를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향표시투과부(323)도 특정 색성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질로써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의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방향표시수단의 방향표시는 특정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향표시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10)에 방향표시회전부재(330)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방향표시회전부재(330) 상에 방향표시부(320)가 구비되도록 하여 방향 표시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는 상기한 방향표시회전부재와 커버부재(310)의 결합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10)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311)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311)에 상기 방향표시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방향표시회전부재는 상기 개구부(311)를 덮으며 방향표시부(320)를 구비하는 회전몸체(330)와, 상기 회전몸체(33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311)에 결합하며 상기 조명모듈(130)의 빛이 상기 방향표시부(320)로 전달되도록 홈부(332)를 형성하는 회전지지부(3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몸체(330)는 커버부재(310)의 개구부(311) 주변에 단차를 이루며 움푹들어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315)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몸체(330)가 단차부(315)에 안착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표시부(320)에 관하여 도 5에서는 방향표시홈(321)과 방향표시커버(322)로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사출에 의해 방향표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회전몸체(330)에 방향표시부가 이중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5의 II-II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데, 회전몸체(330)가 커버부재(310)에 대해 적절한 마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회전지지부(331)와 개구부(311)는 서로 아무런 걸림 구조 없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방향표시회전부재의 회전지지부(331)는 개구부(311)와 서로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방향표시회전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지지부(331) 및 개구부(311)는 서로 면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개구부(311)에 형성된 마찰돌기부(312)에 회전지지부(331)의 돌기부(333)가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방향표시회전부재가 회전할 때 회전지지부(331)의 돌기부(333)와 개구부(311)의 마찰돌기부(312)가 서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6의 (c)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개구부(311)에 형성된 고정홈(313)에 회전지지부(331)의 고정돌기(334)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방향표시회전부재를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지지부(331)의 고정돌기(334)가 개구부(311)와 마찰을 일으키다가 고정홈(313)에 맞물리면서 회전이 정지 또는 일시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313)과 고정돌기(334)는 개구부(311) 및 회전지지부(331) 중 어느 한 쪽과 다른 한 쪽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6의 (a) 내지 (c)에 각각 도시된 예에 따른 방향표시회전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의 결합관계로 말미암아 방향표시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고 그 변경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 겸용 조명장치의 커버부재 쪽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 겸용 조명장치는 커버부재(310)에 방향표시부(320)가 형성된 방향표시결합부재가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방향표시결합부재를 커버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방향표시결합부재를 분리하여 원하는 방향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로 다시 결합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예를 설명하면, 방향표시결합부재는 전체 몸체를 형성하며 방향표시부(320)를 구비하는 결합몸체(340)와, 상기 결합몸체(340)의 일면에 구비되어 커버부재(310)의 개구부(311) 주변에 형성되는 결합홀(314)에 결합되는 결합돌부(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몸체(340)를 어느 방향이든 원하는 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기 위해 상기 결합홀(314)은 개구부(311) 주변에 상하좌우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합몸체(340)에 형성된 결합돌부(342)도 상기 결합홀(314)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향표시결합부재를 다른 방향표시로 위치 변경시킨 상태에서 다시 결합시키더라도 결합홀(314)과 결합돌부(342)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몸체(340)의 일면에는 상기 개구부(311)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결합부(341)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도면상으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끼움결합부(341)는 빛이 방향표시부(320)로 전달되도록 개구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311) 주변에 형성된 단차부(315)에 상기 결합몸체(340)가 묻히도록 하여 커버부재(310)와 결합몸체(340)가 거의 동일한 면을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가 사용된 일 예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표시수단을 구비한 복수개의 조명장치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장치(100-1)의 제1방향표시수단(320-1)은 좌측방향표시를 나타내고 있고, 제2 조명장치(100-2)의 제2방향표시수단(320-2)은 진입금지를 알리는 엑스자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조명장치의 방향표시에 따라 운전자는 '직진 진입금지' 및 '좌측으로 우회'라는 표시로 인식하여 자신의 차량을 표시된 방향에 따라 진행시킴으로써 안전한 주차를 위한 방향 유도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110:몸체부, 120:조명커버
130:조명모듈, 200:지지부재
210:제1지지판, 220:제2지지판
310:커버부재, 320:방향표시수단
330:회전몸체, 340:결합몸체

Claims (6)

  1.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빛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소자를 구비하는 조명모듈;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모듈을 덮으며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투과시켜 외부에 조명이 제공되도록 하는 조명커버;
    상기 몸체부와 상기 조명커버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투과시켜 방향 유도를 위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향표시수단;
    을 포함하는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되는 상향화살표시, 하향화살표시, 좌측화살표시, 우측화살표시 및 엑스자표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특정 방향표시형상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방향표시홈과,
    상기 방향표시홈을 덮어서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방향표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커버는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어 투과되는 빛이 특정 색을 갖도록 특정 색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커버는 상기 커버부재 일면에 접착되거나 소정의 고정구조에 의해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재질로써 이중사출되어 형성되는 방향표시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KR1020100093401A 2010-09-27 2010-09-27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KR10105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401A KR101054178B1 (ko) 2010-09-27 2010-09-27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401A KR101054178B1 (ko) 2010-09-27 2010-09-27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107A Division KR100997850B1 (ko) 2010-05-28 2010-05-28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178B1 true KR101054178B1 (ko) 2011-08-03

Family

ID=4493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401A KR101054178B1 (ko) 2010-09-27 2010-09-27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30B1 (ko) 2013-05-09 2013-09-17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측면표시수단이 구비된 재생용 주차장 등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21U (ko) * 1989-06-14 1991-01-28
JP2005142060A (ja) 2003-11-07 2005-06-02 Ichikoh Ind Ltd 補助信号灯具
KR200415033Y1 (ko) 2006-02-16 2006-04-26 주식회사 위쥬테크 고휘도 엘이디 주차유도 전광판
JP3150320U (ja) * 2008-11-10 2009-05-07 連展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ラ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21U (ko) * 1989-06-14 1991-01-28
JP2005142060A (ja) 2003-11-07 2005-06-02 Ichikoh Ind Ltd 補助信号灯具
KR200415033Y1 (ko) 2006-02-16 2006-04-26 주식회사 위쥬테크 고휘도 엘이디 주차유도 전광판
JP3150320U (ja) * 2008-11-10 2009-05-07 連展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ラ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30B1 (ko) 2013-05-09 2013-09-17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측면표시수단이 구비된 재생용 주차장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66631T3 (es) Dispositivo de circulación de aire
CN102811885B (zh) 发光的汽车水杯座组件
JP6427125B2 (ja) 車内照明装置
JP2010537885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アセンブリ
CN102085827A (zh) 车辆用照明装置
US7654717B2 (en) Fiber optically illuminated surface
KR100997850B1 (ko)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KR101054178B1 (ko) 방향유도 겸용 조명장치
US20190178480A1 (en) Lighting device
CN106195789A (zh) 一种无边框式线条灯
CN103900007B (zh) 用于电动停车制动器开关的照明系统
JP2009096388A (ja) 車両用室内照明器具及び車両用室内照明構造
KR200460629Y1 (ko) 컬러 조명장치
JP3434290B1 (ja) 道路標示装置
KR10146808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CN209356707U (zh) 导光结构及具有导光结构的发光垫
KR20140002548U (ko) 외부장식조명을 가진 광고장치
KR101178991B1 (ko) 스위치 장치
JP2012126339A (ja) エンブレム
JP4708281B2 (ja) 車内用インジケータの照明装置
KR100966785B1 (ko) 퍼즐 조립식 시그널 표시장치
JP4717023B2 (ja) 照明装置
CN206330053U (zh) 感应灯
JP7164229B1 (ja) 建物外壁の照明構造
KR1008404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led 모듈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