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925B1 - 와이어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925B1
KR101053925B1 KR1020090062866A KR20090062866A KR101053925B1 KR 101053925 B1 KR101053925 B1 KR 101053925B1 KR 1020090062866 A KR1020090062866 A KR 1020090062866A KR 20090062866 A KR20090062866 A KR 20090062866A KR 101053925 B1 KR101053925 B1 KR 10105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leaning
rollers
main bod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778A (ko
Inventor
김동환
김용우
방종현
지명구
이민서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0000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30
    • B08B1/2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교의 와이어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와이어의 표면을 청소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가 그 사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13)와, 상기 롤러를 구동시켜 롤러가 상기 와이어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지지되는 청소부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부는, 상기 본체부(10)에 결합하여 청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71, 81)와, 상기 지지부(71, 81)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40, 60)과, 상기 와이어에 접촉하여 와이어를 청소하는 청소 부재(50)와, 상기 청소 부재(50)를 구동시키는 청소 구동부(2)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40, 60)에는 상기 와이어가 지나갈 수 있는 와이어 통로(65, 125)가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청소, 롤러, 현수교

Description

와이어 청소 장치{Wire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현수교 등에 걸려 있는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를 청소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각 사이에 강선 등을 사용한 와이어를 설치하고, 그 와이어가 교각을 지지하는 형태의 현수교가 널리 건축되고 있다. 이 와이어는 시간이 지나면, 먼지나 이물질 등이 많이 들러 붙게 되고, 도색에도 금이 가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와이어를 타고 가면서 청소하거나 도색이 벗겨진 부분을 칠해야 하는데, 바람이 매우 센 다리에서 줄을 타고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많은 위험 문제와 비용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으로 와이어를 타고 다니면서 와이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에 대한 필요성은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현수교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와이어를 청소할 수 있는 와이어 청소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와이어를 청소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와이어를 타고 다니는 위험성을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수교의 와이어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와이어의 표면을 청소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있고, 상기 와이어 청소 장치는 상기 와이어가 그 사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13)와, 상기 롤러를 구동시켜 롤러가 상기 와이어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지지되는 청소부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부는, 상기 본체부(10)에 결합하여 청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71, 81)와, 상기 지지부(71, 81)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40, 60)과, 상기 와이어에 접촉하여 와이어를 청소하는 청소 부재(50)와, 상기 청소 부재(50)를 구동시키는 청소 구동부(2)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40, 60)에는 상기 와이어가 지나갈 수 있는 와이어 통로(45, 6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롤러가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위치를 수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수교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와이어를 청소할 수 있는 와이어 청소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와이어를 청소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와이어를 타고 다니는 위험성을 극복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청소 장치의 사시도가, 도 2에는 일부 절개 사시도가, 도 3에는 와이어 청소 장치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청소 로봇은, 본체부(10)와, 본체부(10) 위쪽에 제공되는 청소부를 포함한다.
본체부(10)에는, 한 쌍의 롤러(13)와, 구동부가 제공된다. 본체부(10)는 한쌍의 롤러(13)를 둘러싸는 상부(12), 4개의 측벽(20)을 포함한다.
본체부(10)의 형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와이어가 본체부(10)에 배치되는 과정을 청소부를 제외하고 본체부(10) 만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 쌍의 롤러(13) 사이에 현수교의 와이어가 배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상벽(12)의 한 면은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홈의 형태로 와이어 통로(125)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개방된 홈이 존재하는 방향의 측벽(20)은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어야 한다.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통로(125)에 삽입되면, 한 쌍의 롤러(13)가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켜야 한다. 롤러는 회전운동을 하면서 와이어를 타고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통로(125)에 나란하게 한 쌍의 롤러(13)가 배치된다. 한 쌍의 롤러(13)는 이동이 가능한 케이스(130)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케이스(130)는 핸들(30)에 연결되어 있다.
핸들(30)은 회전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130)를 와이어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와이어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작업을 완료한 후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스(130)를 와이어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와이어를 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핸들(30)을 돌려서 롤러(13)가 와이어를 압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핸들(30)을 돌리면 롤러(13)가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130)가 서로를 향해 이동되어, 롤러(13) 사이의 와이어를 롤러(13)가 압박하여 와이어가 고정된다. 케이스(130)의 이동은 볼 스크류 등과 같이 나사선을 따라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13)는 아령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 끝단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의 일측벽에는 슬롯(11)이 제공된다. 롤러(13)의 양 끝단의 돌출부가 슬롯(11)에 끼워지고, 롤러(13)는 본체부(1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11)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청소 장치가 와이어를 타고 움직이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부(10)의 상부에는 회전 구동부(100)가 제공된다. 회전 구동부(100)는 회전형 모터 등이 될 수 있다. 와이어를 와이어 통로(125)에 삽입한 후, 핸들(30)을 돌려서 한 쌍의 롤러(13) 사이에 와이어를 고정시킨 후에, 회전 구동부(100)를 작동시킨다. 이 회전 구동부(100)의 회전력은 풀리(101)를 통해 제1 축(103)을 회전시킨다. 제1 축(103)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부(10)의 내부에 존재하고 그 일부가 본체부(10)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에 제공되며, 회전 구동부(100)와 풀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제1 축(103)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 축(103)의 회전력은 제2 축(150)으로 전달된다. 제2 축(150)은 제1 축(103)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축(150)의 회전축은 롤러(13)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제2 축(150)은 롤러(13)의 한 쪽 끝단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2 축(150)이 회전운동을 하면, 이는 그대로 롤러(13)의 회전운동으로 전달된다.
다만, 제1 축(103)의 회전축과 제2 축(150)의 회전축이 서로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웜과 웜휠을 이용하거나 베벨기어 등을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힘의 방향을 전달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롤러(13)의 회전운동에 의해, 한 쌍의 롤러(13)와 그 사이의 와 이어와의 마찰력에 의해 와이어 청소 장치는 와이어를 타고 진행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청소부의 형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와이어가 청소부에 배치되는 과정을 본체부를 제외하고 청소부 만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청소부는, 본체부(10)의 상부에 지지되어 제공된다. 청소부는 두 개의 상판(40, 60)과, 와이어에 접촉하여 와이어를 청소하는 청소 부재(50)와, 청소 부재를 구동시키는 청소 구동부(2)를 포함한다.
두 개의 상판(40, 60)은 다수개의 지지부(81)로 상호 연결되어 지지된다. 두 개의 상판 중 아래쪽의 상판(40)은 역시 다수개의 지지부(71)를 통해 본체부(10)의 상부에 고정되어, 청소부가 지지된다. 상판(40, 60)은 첨부 도면에서는 두 개가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개수는 상관없으며, 필요에 따라서 한 개를 둘 수도, 세 개 이상을 둘 수도 있다.
두 개의 상판(40, 60)에는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와이어 통로(125)가 개방된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통로(45, 65)가 제공된다.
청소 부재(50)는 브러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종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청소 부재(50)는 청소부의 와이어 통로(45, 65)를 둘러싸는 형태로 다수개가 제공되며, 회전이 가능한 기다란 막대형에 브러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 부재(50)는 풀리(3, 4, 5)에 의해 청소 구동부(2)와 연결되어 있고, 청소 구동부(2)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회전을 하게 된다. 청소 구동부(2)는 풀리(3, 4, 5)에 의해 그 회전력을 청소 부재(50)로 전달하여 청소 부재(50)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를 청소할 수 있게 한다. 청소 부재(50)는 양 측이 두 개의 상판(40, 60)에 각각 회전가능한 형태로 제공된다.
청소 구동부(2)는 두 개의 상판 중에 위쪽의 상판(6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종합하면, 상기 본체부(10)에 포함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13)가 와이어를 잡고, 회전운동을 통하여 와이어를 따라 자동적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청소부에 포함되어 있는 청소 부재(50)는 청소 구동부(20)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회전하는 브러쉬를 통해 와이어에 있는 여러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10)에는 한 쌍의 롤러(13)를 한 쌍의 케이스(130)에 고정시키고, 핸들을 통해 한 쌍의 롤러(13)의 간격을 조절하게 하여 다양한 직경을 갖는 현수교의 와이어들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청소 장치가 사용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지며, 전술한 실시례 및/또는 첨부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 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청소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청소 장치의 저면도.

Claims (2)

  1. 현수교의 와이어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와이어의 표면을 청소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그 사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구동시켜 롤러가 상기 와이어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는 청소부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하여 청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과,
    상기 와이어에 접촉하여 와이어를 청소하는 청소 부재와,
    상기 청소 부재를 구동시키는 청소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에는 상기 와이어가 지나갈 수 있는 와이어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청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가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위치를 수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핸들을 더 포함하 는,
    와이어 청소 장치.
KR1020090062866A 2008-07-10 2009-07-10 와이어 청소 장치 KR101053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084 2008-07-10
KR20080067084 2008-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778A KR20100007778A (ko) 2010-01-22
KR101053925B1 true KR101053925B1 (ko) 2011-08-04

Family

ID=4181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866A KR101053925B1 (ko) 2008-07-10 2009-07-10 와이어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6016B (zh) * 2018-07-20 2023-05-23 河北工业大学 越障及跨相式10kV电网架空线路智能清洁机器人
CN109318104B (zh) * 2018-10-29 2024-03-12 浙江国自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电缆清扫机器人
CN109412074A (zh) * 2018-10-29 2019-03-01 浙江国自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高空线缆喷涂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821A (ja) 1997-02-26 1998-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吊橋ケーブルバンドの運搬架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821A (ja) 1997-02-26 1998-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吊橋ケーブルバンドの運搬架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778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90922A (zh) 一种建筑用钢筋打磨除锈设备
KR101053925B1 (ko) 와이어 청소 장치
KR20120042464A (ko) 파이프 녹 제거장치
CN104326184B (zh) 一种水泥圆筒库的清理装置
JP5756365B2 (ja) 研磨装置
JP2010517663A (ja) 外壁清掃用ロボット
JP6506324B2 (ja) 水平多関節型ロボットとその設置反転方法
JP2008249213A (ja) 筒体の内面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39045A (ko) 파이프 내면 코팅장치
JP2020138242A (ja) 山形鋼材の研磨装置
CN204094604U (zh) 一种全自动内孔抛光机
CN114034773B (zh) 一种可智能追溯数据的工件探伤装置及其探伤方法
JP2014014888A (ja) 面取り機
KR20150082839A (ko) 주행형 케이블 포설장치
CN109604269B (zh) 一种适用于管材内壁处理装置
KR200428294Y1 (ko) 무대 지지용 로프 안내활차
SE531249C2 (sv) Gängrensare
KR101383136B1 (ko) 바닥 타일 제거장치
CN112338266A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钢管切割设备
CN109392255A (zh) 一种pcb产品铜块棕化用加工治具及其存放车
KR101194762B1 (ko) 회전모듈, 이동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장치
CN203018349U (zh) 燃气pe管道电熔焊接接口清理器
CN108526891A (zh) 一种带清洗装置的钻铣床
CN114216966A (zh) 一种适用于起重机的超声检测辅助装置
KR20120104877A (ko) 파이프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