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872B1 -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872B1
KR101053872B1 KR1020080056367A KR20080056367A KR101053872B1 KR 101053872 B1 KR101053872 B1 KR 101053872B1 KR 1020080056367 A KR1020080056367 A KR 1020080056367A KR 20080056367 A KR20080056367 A KR 20080056367A KR 101053872 B1 KR101053872 B1 KR 10105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functi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hortcut key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648A (ko
Inventor
신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6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872B1/ko
Priority to US12/466,028 priority patent/US8265596B2/en
Publication of KR2009013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개인정보 보호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가 미리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리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보호기능 설정 메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개인정보에 보호기능을 설정하고, 설정된 보호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기능을 실행하면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들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기능 단축키를 등록하는 과정은 보호기능 단축키 설정메뉴가 선택되면,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하고, 보호기능 단축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종래의 비밀번호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설정하지 않고도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타인에게 단말기 대여 시 개인정보를 삭제하지 않고도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개인정보, 보호방법, 보호기능 단축키, 비밀번호, 잠금 기능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기능 단축키를 이용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 및 데이터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단말기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개인정보(전화번호부, 메시지, 통화기록, 사진, 동영상, 일정관리, 메모장 등)를 저장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단말기 사용자들은 단말기를 조작하여 쉽게 저장된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의 가능성이 높으며,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기능은 단말기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 되었다.
종래에는 개인정보 보호하는 기능으로 비밀번호를 이용한 잠금기능이 사용되었다. 단말기 사용자는 개인정보에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잠금기능을 설정하며, 잠금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를 확인하려면 반드시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타인은 개인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 서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3G 단말기가 보급되고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단말기를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쓰는 경우가 빈번해졌다. 이러한 경우 타인에게 단말기 대여 시 단말기를 대여 받은 타인은 잠금 기능이 설정된 핸드폰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대여하기 전 단말기 사용자가 잠금 기능을 해제하여 타인에게 단말기를 대여한다면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에 잠금 기능이 설정된 경우, 단말기를 대여 받은 타인은 대여 받은 이후의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으며, 대여하기 전 단말기 사용자가 잠금 기능을 해제하여 단말기를 대여한 경우에는 대여하기 전 단말기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말기 대여 시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삭제해야만 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단말기에는 한 번에 한 개의 비밀번호만을 등록할 수 있고, 잠금 기능 설정 시 등록된 한 개의 비밀번호만을 사용하므로, 비밀번호가 노출되는 경우, 잠금 기능이 설정된 모든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타인이 단말기에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으며, 비밀번호는 일반적으로 4자리 숫자 열에 불과하므로 개인정보가 완벽히 보호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비밀번호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들을 보호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음을 감추어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들을 보호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 타인에게 단말기 대여할 때 발생되는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삭제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가 미리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리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개인정보에 보호기능을 설정하고, 설정된 보호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호기능을 실행하면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들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보호기능 단축키를 등록하는 과정은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가 선택되면,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하고, 보호기능 단축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단 축키 등록하는 과정은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가 선택된 후,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하고, 비밀번호 입력창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가 보호기능이 설정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된 키가 보호기능이 설정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보호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기능을 실행하면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들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은 보호기능 단축키 보호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호기능 단축키 보호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는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가 선택되면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하고, 보호기능 단축키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개인정보에 보호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단축키 보호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는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가 선택된 후,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하고, 비밀번호 입력창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개인정보 및 개인정보 보호기능 실행을 위한 보호기능 단축키가 저장되는 저장부, 보호기능 단축키를 등록하고, 개인정보 보호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보호기능 실행상태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보호기능 단축키를 이용하여 보호기능을 실행하면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타인이 단말기에 보호기능이 설정되었음을 인식하지 못하며, 종래의 비밀번호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타인에게 단말기 대여 시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삭제해야하는 번거로움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기능 단축키'는 보호기능 설정 및 실행을 위한 단축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단축키'가 입력되면 보호기능 설정메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바로 보호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기능 단축키는 숫자열 또는 문자열이 될 수 있으며 숫자열과 문자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단축키는 복수개가 설정될 수 있으며, 보호기능 단축키별로 각각 다른 보호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기능 설정 메뉴'는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보호기능 설정 메뉴'에는 보호기능이 설정되는 개인정보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설정 메뉴'에는 보호기능 단축키 삭제 기능, 통합 보호기능 단축키 삭제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는 전화번호부, 메시지, 통화기록, 사진, 동영상, 일정관리 등 '개인정보'들이 표시되어 있으며, 보호기능 단축키 삭제 및 통합 보호기능 단축키 설정 기능도 하위메뉴로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는 단말기에 포함된 일반 메뉴 또는 그 하위 메뉴가 될 수 있으며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을 위한 메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이 일반메뉴 중의 하나인 '사용 환경 설정' 메뉴의 하위메뉴로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이 선택되면 도 3b와 같이 비밀번호 입력창이 표시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도 3c과 같이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이 표시되며, 보호기능 단축키를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RF부(11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한다.
표시부(130)은 LCD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 보호 기능 설정메뉴, 비밀번호 입력창,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170)가 개인정보 보호기능을 실행하면 표시부(130)는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는 표시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40)는 전화번호부, 메시지 등 개인정보, 비밀번호, 보호기능 단축키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력부(150)는 숫자 및 문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50)는 개인정보의 선택, 비밀번호 및 보호기능 단축키의 입력을 위한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 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입력부(15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을 인식할 수 있으며 입력된 키가 미리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보호기능이 실행중인 상태에서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에 있어서,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S210단계에서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메뉴가 선택된 경우 표시부(130)는 S220단계에서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한다. 도 3a는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가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3b는 비밀번호 입력창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제어부(170)는 S230단계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인식하면, S240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와 등록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입력된 비밀번호와 등록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표시부(130)는 S250단계에서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한다. 도 3c은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제어부(170)는 S260단계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를 인식하면 S270단계에서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를 저장부(140)에 등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기능 단축키는 숫자열 또는 문자열이 될 수 있으며 숫자열과 문자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S240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와 저장부(140)에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130)는 S220단계에서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에있어서, 보호기능 설정 및 실행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70)는 S410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을 인식하면, S420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미리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된 키가 미리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S430단계에서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표시부(130)는 S440단계에서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나타낸다. 보호기능 설정 메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에는 전화번호부, 메시지, 통화기록, 사진, 동영상, 일정관리, 부가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서비스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휴대폰 결제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기능 설정메뉴는 보호기능 단축키 삭제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보호기능 단축키들에 설정된 보호기능들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통합 보호기능 단축키 설정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b는 '보호기능 단축키 삭제'가 선택된 경우, 삭제 여부의 선택을 요구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화면에서 'YES'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를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c는 '통합 보호기능 단축키 설정'이 선택된 경우,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 키들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화면에서 표시부(130)가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들을 표시하면, 통합 보호기능 단축키로 설정되는 보호기능 단축키들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5c는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들 중 '*1231' 과 '#12345#'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두 개의 보호기능 단축키가 선택되면 선택된 두 개의 보호기능 단축키에 설정된 보호기능들이 S410단계에서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S410단계에서 보호기능 단축키 '#12#'가 입력된 경우, 보호기능 단축키 '#12#'에는 '*1231' 과 '#12345#'에 설정된 보호기능들이 동시에 설정된다.
보호기능 설정 메뉴가 표시되면 S45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입력부(15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선택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되는 개인정보는 복수개가 될 수 있다. 개인정보로서 전화번호부가 선택되는 경우 이름단위 또는 그룹단위로 전화번호가 선택될 수 있다. 메시지 또는 통화기록이 선택되는 경우,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각각의 이름단위로 메시지 또는 통화기록이 선택될 수 있으며, 각각의 메시지 또는 각각의 통화기록이 특정되어 선택될 수도 있다. 개인정보로서 사진, 동영상, 일정관리, 부가 서비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저장된 사진들, 동영상들, 일정들, 부가 서비스들 중 각각의 사진, 동영상, 일정, 부가서비스가 특정되어 선택될 수 있다.
도 5d및 도 5e는 개인정보 중 전화번호부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5d는 이름단위로 선택되는 경우로서 '김민정'과 '김철수'와 관련된 전화번호가 선택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e는 본 발명의 실 시예그룹단위로 선택되는 경우로서 그룹들 중 '동아리' 와 '직장'과 관련된 전화번호가 선택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f 및 도 5g는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5f는 이름단위로 메시지가 선택되는 경우로서 '김민정'과 '김철수'와 관련된 메시지가 선택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저장된 메시지들 중에서 특정 메시지가 선택되는 경우로서 '2번 메시지' 및 '4번 메시지'가 선택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h는 개인정보로서 사진/동영상이 선택된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사진들 또는 모든 동영상 중에서 특정 사진 또는 특정 동영상이 선택될 수 있다. 도 5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위 두 개의 사진 또는 동영상이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i는 개인정보로서 일정관리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관리에서는 날짜별로 보호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도 5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008년 5월 15일 및 20일이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개인정보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S460단계에서 선택된 개인정보에 보호기능을 설정하며 S470단계에서 설정된 보호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가 보호기능을 실행하면 표시부(130)는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S430단계에서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표시 부(130)는 S431단계에서 보호기능 실행, 보호 기능 해제, 보호 기능 재설정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를 표시한다. 도 5j는 보호기능 실행, 보호기능 해제, 보호기능 재설정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실행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S470단계에서 보호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170)가 보호기능을 실행하면 S480단계에서 표시부(130)는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보호기능 해제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S432단계에서 보호기능을 해제한다. 제어부(170)가 보호기능을 해제하면 S433단계에서 표시부(130)는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를 표시한다. 보호기능 재설정이 선택되는 경우 표시부(130)는 S440단계에서 보호기능 설정메뉴를 표시하고, 제어부(170)는 보호기능 설정과정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에 있어서 보호기능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S61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가 선택되면 표시부(130)는 S620단계에서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한다. 도 3a는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가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3b는 비밀번호 입력창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S630단계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S640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와 저장부(140)에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된 비밀번호와 저장부(140)에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표시부(130)는 S650단계에서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한다. 도 3c는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S660단계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보호기능 단축키가 입력되면, S670단계에서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표시부(130)는 S680단계에서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기능 설정메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에는 전화번호부, 메시지, 통화기록, 사진, 동영상, 일정관리, 부가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부가서비스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휴대폰 결제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기능 설정메뉴는 보호기능 단축키 삭제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보호기능 단축키들에 설정된 보호기능들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통합 보호기능 단축키 설정 메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S690단계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선택되면, S691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선택된 개인정보에 보호기능을 설정한다.
S640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와 저장부(140)에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130)는 S620단계에서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한다.
S670단계에서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표시부(130)는 S671단계에서 보호기능 재설정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재설정이 선택된 경우에는 표시부(130)는 S680단계에서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 만약 보호기능 재설정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설정된 보호기능을 유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기능에 있어서, 보호기능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S710단계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S720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보호기능이 설정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된 키가 보호기능이 설정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S730단계에서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설정된 보호기능이 실행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이 해제상태인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S740단계에서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설정된 보호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가 보호기능을 실행하면 표시부(130)는 보호기능 설정 알림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보호기능을 실행하면 S750단계에서 표시부(130)는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이 실행상태인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S731단계에서 실행상태인 보호기능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가 보호기능을 해제하면 표시부(130)는 보호기능 해제 알림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보호기능을 해제하면 S732단계에서 표시부(130)는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를 표시한다. 단말기 사용자는 보호기능 단축키를 입력하여 보호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기능 해제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기능 실행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8a는 보호기능 해제상태에서 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메시지들을 표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설정 메뉴에서 '메세지'를 선택하고, '김철수'와 관련된 메세지에 보호기능을 설정하여 이를 실행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철수'와 관련된 메시지는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김철수'와 관련된 메세지에 보호기능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메시지 보호기능이 해제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철수'와 관련된 메시지가 다시 표시부에 표시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방법에서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메뉴가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메뉴가 선택된 경우,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메뉴가 선택된 경우,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방법에서 보호기능 설정및 실행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기능 설정메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단축키 삭제'가 선택된 경우, 삭제여부의 선택을 요구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합 보호기능 단축키 설정'이 선택된 경우,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들이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로서 전화번호부가 선택된 경우 이름단위로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로서 전화번호부가 선택된 경우 그룹단위로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로서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 이름단위로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로서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 메시지 단위로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로서 사진/동영상이 선택된 경우, 특정 사진 또는 특정 동영상이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로서 일정관리가 선택된 경우, 날짜별로 일정이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j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실행, 보호기능 해제 및 보호기능 재설정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방법에서 보호기능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기능에서 보호기능 실행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해제상태에서 단말기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기능 실행상태에서 단말기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1)

  1.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에 있어서,
    보호기능 단축키를 등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가 상기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보호기능 설정 메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개인정보에 보호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보호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보호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를 등록하는 단계는,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가 선택되면,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에 보호기능 단축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가 선택된 후,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 입력창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미리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인 경우,
    상기 미리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된 경우,
    보호기능 실행, 보호기능 해제 및 보호기능 재설정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기능 실행이 선택되면, 미리 설정된 보호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보호기능 해제가 선택되면, 미리 설정된 보호기능을 해제하며, 상기 보호기능 재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7.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에 있어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가 보호기능이 설정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키가 보호기능이 설정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보호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는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가 선택되면,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에 보호기능 단축키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기능 설정 메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개인정보에 보호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 등록 메뉴가 선택된 후,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 입력창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가 상기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 입력창에 보호기능 단축키가 입력되는 단계 이후,
    상기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보호기능이 설정된 경우,
    보호기능 재설정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기능 재설정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보호기능이 설정된 보호기능 단축키인 경우,
    상기 보호기능이 실행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기능이 실행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보호기능을 해제하며, 상기 보호기능이 해제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보호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14.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전화번호부, 메시지, 통화기록, 사진, 동영상, 일정관리, 부가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이 설정되는 개인정보로서 상기 전화번호부가 선택되는 경우, 이름단위 또는 그룹단위로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이 설정되는 개인정보로서 상기 메시지 또는 통화기록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단위로 메시지 또는 통화기록을 선택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이 설정되는 개인정보로서 메시지, 통화기록, 사진, 동영상, 일정관리, 부가 서비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저장된 메시지들, 통화기록들, 사진들, 동영상들, 일정관리들, 부가 서비스들 중 각각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적어도 하나의 통화기록, 적어도 하나의 사진,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적어도 하나의 일정,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를 선택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1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 설정 메뉴는 보호기능 단축키 삭제 메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 삭제 메뉴는 보호기능 단축키 삭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1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는 복수개가 설정되며, 보호기능 단축키별로 각각 다른 보호기능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 설정 메뉴는 통합 보호기능 단축키를 설정하는 메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보호기능 단축키는 복수개의 보호기능 단축키들에 설정된 보호기 능들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21. 개인정보 보호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개인정보 및 개인정보 보호기능 실행을 위한 보호기능 단축키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보호기능 단축키를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가 상기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등록된 보호기능 단축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보호기능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보호기능 설정 메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개인정보에 보호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보호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개인정보 보호기능 실행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보호기능이 설정된 개인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80056367A 2008-06-16 2008-06-16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KR101053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367A KR101053872B1 (ko) 2008-06-16 2008-06-16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US12/466,028 US8265596B2 (en) 2008-06-16 2009-05-14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367A KR101053872B1 (ko) 2008-06-16 2008-06-16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648A KR20090130648A (ko) 2009-12-24
KR101053872B1 true KR101053872B1 (ko) 2011-08-03

Family

ID=4141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367A KR101053872B1 (ko) 2008-06-16 2008-06-16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65596B2 (ko)
KR (1) KR101053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905B1 (ko) * 2009-07-20 2011-04-04 주식회사 팬택 부가서비스 제어메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306973B2 (ja) * 2009-11-27 2013-10-0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認証システム及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DE102010037280A1 (de) * 2010-09-02 2012-03-08 Bernhard Heeg Endbenutze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rieb hierfür
JP2012109724A (ja) * 2010-11-16 2012-06-07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2098380A (zh) * 2010-12-22 2011-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在移动终端中自定义快捷方式的方法和装置
FR2984049B1 (fr) * 2011-12-12 2014-06-20 Oberthur Technologies Restriction d'acces aux ressources d'un terminal
US9473936B2 (en) * 2012-11-29 2016-10-18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privacy information
US9195388B2 (en) 2013-03-15 2015-11-24 Apple Inc. Specifying applications to share in a shared access mode
KR102160767B1 (ko) * 2013-06-20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를 감지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CN106506786A (zh) * 2016-12-27 2017-03-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保护用户隐私信息的终端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640A (ko) * 2004-12-02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기기의 메뉴 구성방법
KR100664148B1 (ko) 2004-09-23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KR20070062636A (ko) * 2005-12-13 2007-06-1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기능별 비밀번호 설정 방법
KR20070071389A (ko) * 2005-12-30 2007-07-04 엘지노텔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보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1540B1 (en) * 1998-01-07 2001-03-13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interface components for in-dash automotive accessories
US20030035870A1 (en) * 2000-01-07 2003-02-20 E. Michael Ackley, Jr. Method to print multicolor images on edible pieces
US7395089B1 (en) * 2001-06-11 2008-07-01 Palm, Inc Integrat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device
JP2003006168A (ja) * 2001-06-25 2003-01-10 Ntt Docomo Inc 移動端末認証方法及び移動端末
AU2003287727A1 (en) * 2002-11-13 2004-06-03 Ackley Machine Corporation Laser unit, inspection unit, method for inspecting pellet-shaped articles and pharmaceutical article
WO2004089010A1 (en) * 2003-03-28 2004-10-14 Wildseed, Ltd. A wireless mobile phone with authenticated mode of operation including photo based authentication
CA2527836C (en) * 2003-05-30 2011-02-15 Privaris, Inc. An in-circuit security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use of sensitive data
KR100557132B1 (ko) * 2003-10-0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US7248867B2 (en) * 2004-09-28 2007-07-24 Nokia Corporation Locking/unlock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63438B1 (ko) * 2004-11-25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무선 인터넷 콘텐츠에 접속하는 방법
JP2006303701A (ja) * 2005-04-18 2006-11-02 Fujitsu Ltd 電子機器、その動作抑止制御方法及び動作抑止制御プログラム
US7684791B2 (en) * 2005-06-13 2010-03-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ple keyboard context sensitivity for application usage
US7304570B2 (en) * 2005-08-10 2007-12-04 Scenera Technologie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context-based, hierarchical security for a mobile device
JP4291828B2 (ja) * 2006-03-28 2009-07-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個人情報保護方法及びモバイル端末
JP4177858B2 (ja) * 2006-05-18 2008-11-05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指紋認証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860534A1 (en) * 2006-05-22 2007-11-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nu display method thereof
US20080133327A1 (en) * 2006-09-14 2008-06-05 Shah Ullah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ing content played on mobile devices
US20080259036A1 (en) * 2007-04-20 2008-10-23 Jeffry Mixdorf Ergonomic key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148B1 (ko) 2004-09-23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KR20060061640A (ko) * 2004-12-02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기기의 메뉴 구성방법
KR20070062636A (ko) * 2005-12-13 2007-06-1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기능별 비밀번호 설정 방법
KR20070071389A (ko) * 2005-12-30 2007-07-04 엘지노텔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보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65596B2 (en) 2012-09-11
KR20090130648A (ko) 2009-12-24
US20090311991A1 (en)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872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US8463253B2 (en) Flexible lifestyle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US82503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elayed user authentication
JP5980496B2 (ja)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アクセスポイント接続装置及びその方法
JP4165452B2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情報管理方法
CN107133498B (zh) 一种隐私应用管理方法和装置及移动终端
CN107395880B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7038358B (zh) 一种自启动处理方法和装置及移动终端
CN101507246A (zh) 无线通信终端上的数据私有性
JP4564829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3085053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KR101910664B1 (ko)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데이터 보호방법
KR20070071389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보호 방법
JP2010045454A (ja) 携帯電話機
CN107133531B (zh) 应用锁的使用提醒方法和装置
EP2321951B1 (en) System for advertising integration with auxiliary interface
JP4893732B2 (ja) 通信装置及び回路装置
KR101254798B1 (ko)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관련 항목을 숨기는방법 및 장치
KR100601404B1 (ko) 무단 사용 억제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14053778A (ja) 携帯端末、ならびに携帯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87676B1 (ko) 휴대형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및 출력 방법
KR1007941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
JP2004166158A (ja) 移動携帯端末
CN114817906A (zh) 应用程序的权限管理方法和电子设备
KR20030048196A (ko) 단전문 메시지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