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148B1 -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148B1
KR100664148B1 KR1020040076629A KR20040076629A KR100664148B1 KR 100664148 B1 KR100664148 B1 KR 100664148B1 KR 1020040076629 A KR1020040076629 A KR 1020040076629A KR 20040076629 A KR20040076629 A KR 20040076629A KR 100664148 B1 KR100664148 B1 KR 100664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vidual menu
menu
password
individua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714A (ko
Inventor
천병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4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 기능에 따른 메뉴별로 사용을 제한하는 개별 메뉴잠금 설정모드 실행시, 사용 제한을 등록하고자 선택된 개별 메뉴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한 개별 메뉴에 대해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제한하는 과정과; 상기 개별 메뉴잠금 설정모드 종료후, 개별 메뉴 선택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개별 메뉴 선택 대기중, 선택한 개별 메뉴가 사용제한되어 있는 개별 메뉴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제한된 개별 메뉴이면,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개별 메뉴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METHOD FOR LOCKING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을 보인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동일한 메뉴선상에 있는 기능들로 분류해서 접근 권한을 달리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개인적인 정보의 검색 및 이용을 제한 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타인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사생활 보호라는 측면과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그 비밀번호를 알고 있는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토 록 하는 기술을 이용하였다.
예컨대, 문자메시지 발신메뉴에 대해 사용제한을 하고자 할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의 일치여부에 따라 문자메시지 메뉴(문자메시지 발신 메뉴와 문자메시지 수신메뉴)를 사용제한한다.
따라서,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은 사용제한하고자 하는 해당 메뉴의 상위메뉴를 사용제한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와 타인의 사용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제한 하고자 하는 메뉴의 상위메뉴에 대해 사용제한하여 잠금기능을 수행하여 동일선상의 메뉴에 대해서도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메뉴까지도 사용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자주 사용하는 메뉴 이용시, 사용자는 매번 비빌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동일 메뉴선상에 위치한 하위메뉴들의 기능들을 개별적으로 사용제한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기능에 따른 메뉴별로 사용을 제한하는 개별 메뉴잠금 설정모드 실행시, 사용 제한을 등록하고자 선택된 개별 메뉴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한 개별 메뉴에 대해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제한하는 과정과; 상기 개별 메뉴잠금 설정모드 종료후, 개별 메뉴 선택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개별 메뉴 선택 대기중, 선택한 개별 메뉴가 사용제한되어 있는 개별 메뉴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제한된 개별 메뉴이면,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개별 메뉴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된 개별 기능에 대해 사용제한하는 과정은 비밀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대기중,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식한 개별 메뉴에 대해 사용제한하는 과정은, 비밀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대기중,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인식한 개별 메뉴에 대해 사용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11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개별 메뉴잠금 설정모드가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개별 메뉴잠금 설정모드가 실행되면, 개별 메뉴 선택을 대기하며 1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3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선택한 개별메뉴를 인식하고, 115단계로 진행하여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요구한다.
117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1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개별 메뉴에 따른 기능이 사용제한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메뉴중, 문자메시지 수신 메뉴에 대해서만 사용제한을 하고자 문자메시지 수신 메뉴 선택한후 기 설정된 비밀번호 '1234'를 입력하면, 문자메시지 수신 메뉴기능만이 사용제한되도록 설정된다. 그러므로, 문자메시지 발신 메뉴에 대해서는 사용제한 되도록 설정되지 않는다.
이후, 12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시도가 있을시, 123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선택한 개별 메뉴의 기능이 사용제한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선택한 개별 메뉴의 기능이 사용제한되었으면, 125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이에,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127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125단계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기 설정된 비밀번호이면, 해당 개별 메뉴에 대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이 제한된 문자메시지 수신메뉴를 사용하고자 문자메시지 수신 메뉴 선택한후, 기 설정된 비밀번호 '1234'를 입력하면, 사용제한된 문자메시지 수신 메뉴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문자메시지 메뉴중 문자메시지 수신 메뉴에 대해서만 사용자 인증과정을 통해 사용을 제한한다.
그러나,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125단계로 복귀하여 재차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게 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개별 메뉴잠금설정모드에 의해 개별 뉴를 사용제한하는 과정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상기 개별 메뉴잠금설정모드를 통해 설정된 개별 메뉴의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과정도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다만, 사용제한된 개별 메뉴의 제한된 사용을 해제하다는 것이 상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 메뉴선상에 위치한 하위메뉴들의 기능들을 개별적으로 사용제한 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메뉴에 대해서만 기능을 사용제한하므로, 효율적으로 사생활 보호와 타인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 제한된 개별 메뉴에 대해서만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과정을 수행하므로, 동일 메뉴선상에 위치한 메뉴들 사용시 수행되던 인증과정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각 기능에 따른 메뉴별로 사용을 제한하는 개별 메뉴잠금 설정모드 실행시,
    사용 제한을 등록하고자 선택된 개별 메뉴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한 개별 메뉴에 대해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제한하는 과정과;
    상기 개별 메뉴잠금 설정모드 종료후, 개별 메뉴 선택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개별 메뉴 선택 대기중, 선택한 개별 메뉴가 사용제한되어 있는 개별 메뉴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제한된 개별 메뉴이면,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개별 메뉴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메뉴잠금 설정모드를 통해 설정된 개별 메뉴의 사용제한 해제시,
    사용 제한을 해제하고자 선택된 개별 메뉴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한 개별 메뉴에 대해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한 개별 메뉴에 대해 사용제한하는 과정은,
    비밀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대기중,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인식한 개별 메뉴에 대해 사용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KR1020040076629A 2004-09-23 2004-09-23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KR10066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629A KR100664148B1 (ko) 2004-09-23 2004-09-23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629A KR100664148B1 (ko) 2004-09-23 2004-09-23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714A KR20060027714A (ko) 2006-03-28
KR100664148B1 true KR100664148B1 (ko) 2007-01-04

Family

ID=3713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629A KR100664148B1 (ko) 2004-09-23 2004-09-23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1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872B1 (ko) 2008-06-16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KR101380004B1 (ko) 2007-03-23 2014-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516B1 (ko) * 2006-05-12 2007-06-15 (주) 엘지텔레콤 휴대단말기에서 메뉴별 비밀번호를 이용한 접근 제한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004B1 (ko) 2007-03-23 2014-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방법
US8965543B2 (en) 2007-03-23 2015-02-2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using the same
KR101053872B1 (ko) 2008-06-16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US8265596B2 (en) 2008-06-16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714A (ko)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869B1 (ko) 생체인식 데이터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변조방지 저장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5154436B2 (ja) 無線認証
US88568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pplication permissions
EP1677261B1 (en) Security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device
CN103366107A (zh) 一种保护应用程序访问权限的方法、装置及手机
CN107622203A (zh) 敏感信息的保护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15117332A1 (zh) 一种usb调试模式接口启动的方法、装置及终端
EP19565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pplication permissions
CN107864144A (zh) 获取动态密码的方法及装置、计算机装置和存储介质
CN101247579A (zh) 一种通过蓝牙耳机锁定移动通信终端的方法
WO2017161735A1 (zh) 用户管理方法、用户管理系统和用户终端
JP2019518285A (ja) 情報セキュリティを強化する方法及び端末
CN103324874A (zh) 一种验证方法及一种电子设备
CN103886232B (zh) 一种终端的安全使用方法及终端
CN106790315A (zh) 一种权限管理方法及装置
US200500156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mobile device data and content security
JP5119801B2 (ja) 携帯情報端末、携帯情報端末認証方法、および携帯情報端末認証プログラム
KR10066414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CN105516500A (zh) 一种选择设备模式的方法及系统
US94739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privacy information
JP2009080561A (ja) 外部装置管理システム
KR101144450B1 (ko)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접근 제한 방법
CN107181595A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账户找回方法及找回装置
CN107154999B (zh) 终端及其基于环境信息的解锁方法、存储装置
WO2017000343A1 (zh) 一种指纹解锁的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