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676B1 - 휴대형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및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및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676B1
KR101387676B1 KR1020070090543A KR20070090543A KR101387676B1 KR 101387676 B1 KR101387676 B1 KR 101387676B1 KR 1020070090543 A KR1020070090543 A KR 1020070090543A KR 20070090543 A KR20070090543 A KR 20070090543A KR 101387676 B1 KR101387676 B1 KR 101387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ecret
user
stor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584A (ko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90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6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형 단말기,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방법 및 메시지 출력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방법은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밀 메시지인 경우 일반 메시지 수신함과는 다른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다른 영역에 저장된 비밀 메시지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경우에만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남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비밀 메시지를 일반메시지와는 별도로 저장하며, 비밀 메시지는 사용자에게만 출력되므로,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다.
프라이버시, private, 비밀 메시지, 메시지 저장, 메시지 열람

Description

휴대형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및 출력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message and displaying message at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방법 및 메시지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밀 메시지의 경우 별도의 폴더에 저장하여 타인에게는 비밀 메시지를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방법 및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본적인 서비스 이외에도 부가적인 서비스가 많이 제공되고 있다.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스케줄 관리 및 음악청취 기능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 기능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 중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는 가장 일반화 되어 있으며 보편화된 기능으로서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상대방과 손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고, 또한 연인이나 친구들 사이에서 음성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사항을 전달할 수도 있어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관련된 기술이 발전하면서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내역이 실시간으로 메시지로 전송되는 서비스가 제공되기도 한다.
종래에는 연인으로부터 온 메시지, 자신이 사용한 카드내역과 같이 남에게 보이고 싶지 않은 메시지의 경우 각 메시지마다 잠금 기능을 설정하여 사생활을 보호하였다. 즉, 자신의 단말기의 수신된 메시지 중 비밀로 하고 싶은 메시지에는 각 메시지마다 비밀번호를 걸어놓는 등의 메시지 잠금을 설정하여 타인이 볼 수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도 타인은 메시지의 내용을 볼 수 없을 뿐, 해당 메시지가 잠금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임은 알 수 있으므로 이 메시지는 사용자의 사생활이 담긴 메시지임을 직감하고 어떤 비밀 메시지인지 궁금증을 유발시켜 단말기의 사용자는 남에게는 숨기고 싶은 자신만의 사생활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장된 메시지 중 개인 데이터가 있는 경우 타인이 접근하여 데이터를 훼손시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지를 판단하여, 비밀 메시지인 경우 일반 메시지와는 다른 영역에 메시지를 저장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비밀 메시지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경우에만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개인 데이터를 타인이 훼손할 수 없도록 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메시지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인증에 의해서만 접근 가능한 영역에 상기 메시지가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비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은, 미리 저장된 비밀 메시지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자정보가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비밀 메시지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시 지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발신자 단말기 고유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미리 저장된 발신자 정보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발신자 정보가 상응하는 경우는 상기 입력된 발신자 전화번호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 전화번호가 동일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출력이 요청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 상기 인증에 성공한 경우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 상기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출력되는 메시지는 오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가 동일한지를 비교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요청 받는 단계는, 일반 메시지가 저장된 영역으 로의 접근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와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제공하여 요청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요청 받는 단계는,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의 입력 신호를 통해 요청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휴대형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비밀 메시지가 저장되는 비밀 메시지 저장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밀 판단부;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비밀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 상기 비밀 메시지 저장부에 상기 비밀 메시지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비밀 메시지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발신자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발신자 단말기 고유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비밀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밀 메시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가 메시지를 저장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메시지를 저장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인증에 의해서만 접근 가능한 영역에 상기 메시지가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가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출력이 요청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 상기 인증에 성공한 경우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밀 메시지 로 판단되는 경우 별도의 폴더에 저장되므로, 사용자는 본인의 사생활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밀 메시지가 저장된 폴더는 사용자 인증을 거치거나 사용자만 알고 있는 메뉴 내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타인이 비밀 메시지가 저장된 폴더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 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밀 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메시지 수신부(110), 비밀 판단부(120), 비밀 메시지 저장부(130), 발신자 정보 저장부(140), 인증 수행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비밀 판단부(120) 및 인증 수행부(150)가 제어부(160)와 독립된 구성 요소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비밀 판단부(120) 및 인증 수행부(150)는 제어부(160)의 일 구성 요소일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에 의해 비밀 메시지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 휴대용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일반 메시지가 저장되는 저장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메시지 수신부(110)는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메시지 및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수신한다. 메시지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발신자 정보를 비밀 판단부(120)로 제공하고,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비밀 판단부(120)는 비밀 메시지임을 판단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아 발신자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자 정보와 메시지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비밀 판단부(120)는 메시지 수신부(110)에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동작 개시될 수 있으며, 비밀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를 참조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저장부에 저장되는 시점에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동작 종료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 정보는 비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신자 정보는 예를 들어 발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발신자 단말기 고유번호 등의 판단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신자 정보에 포함되는 판단 요소의 정보들은 다양하게 변경, 가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비밀 판단부(120)는 발신자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발신자 정보와 새로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에 대한 판단 정보를 제어부(160)로 출력함으로써, 제어부(160)가 수신된 메시지를 비밀 메시지 저장부(130)로 저장하는 것과 같은 처리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비밀 판단부(120)가 메시지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와 발신자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판단에 의해 판단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발신자 정보가 발신자의 전화번호이고, 발신자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비밀 메시지로 판단하기 위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010-1234-1234라고 가정한다. 즉, 010-1234-1234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는 비밀 메시지로 판단하는 경우라 가정한다.
이 경우 비밀 판단부(120)는 메시지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자 전화번호가 010-1234-1234인 경우에는 비밀 메시지로 판단하게 되고, 그 이외의 전화번호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일반 메시지로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제어부(160)로 입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반 메시지는 비밀 메시지와 대응되는 개념의 메시지로서 비밀 메시지가 아닌 메시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비밀 판단부(120)에서 판단 결과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에는 일반 메시지가 저장되는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저장되도록 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비밀 메시지 저장부(130)에는 비밀 판단부(120)에서 판단 결과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에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비밀 메시지 저장부(130)는 일반 메시지가 저장되는 곳과 개념적으로 구별되는 것이지 실제로 일반 메시지가 저장되는 곳과 전혀 다른 저장소에 저장될 필요가 없으며, 물리적으로 동일한 저장소에 저장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비밀 메시지 저장부(130)에 저장된 메시지는 사용자의 인증을 거친 경우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부(160)가 제어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인증을 거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발신자 정보 저장부(140)는 비밀 메시지인지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발신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발신자 단말기의 고유번호 등 특정발신자를 나타낼 수 있는 고유한 정보이면 무관하고, 발신자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가능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인증 수행부(150)는 비밀 메시지 저장부(130)에 저장된 메시지에 접근을 허가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 수행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비밀 메시지로의 접근이 허용되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는 단말기(100)의 소유자만이 비밀 메시지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증을 거치지 못한 사용자에게는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하지 않게 되어 단말기(100)의 소유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개인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비밀 메시지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과 관련하여서 이후 도 3, 도 4 및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6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메시지 수신부(110), 비밀 판단부(120), 비밀 메시지 저장부(130), 발신자 정보 저장부(140), 인증 수행부(150) 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비밀 판단부(120)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발신자 정보 저장 부(140)에 저장된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발신자 정보를 비밀 판단부(120)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수신부(110)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는 시점에 새롭게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하고 비밀 판단부(1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비밀 판단부(120)로부터 판단 결과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비밀 판단부(120)에서 비밀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60)는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 저장부(1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일반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 수신된 메시지가 일반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를 받은 경우 인증 수행부(150)를 제어하여 인증을 거친 사용자에게만 비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인증을 거치지 못한 사용자에게는 비밀 메시지를 출력하지 아니하고 오류메시지를 출력(도 5 참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비밀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거나 숨겨놓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의 소유자 이외의 자는 비밀 메시지 리스트를 볼 수 없으므로 비밀 메시지의 존재여부 자체를 알 수 없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가 제공되지 아니하므로 비밀 메시지를 볼 수 있는 경로가 숨겨져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개인 데이터를 보호하는데 효율적이다.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를 표시하지 아니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숨기는 방법에 대한 예는 이후 도 2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의 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를 표시하지 않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숨기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숨기는 방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다.
도 2의 (a)는 단말기(100)의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표시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도 2(a)에 나타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여야 해당 메시지를 볼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비밀 메시지 저장부(130)에 저장된 비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는 단말기(100)의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밀 메시지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가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는 것일 뿐,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키버튼을 입력한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거쳐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 대해서는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비밀 메시지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는 것은, 인증된 사용자 즉, 단말기의 소유자만 비밀 메시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를 통해 단말기(100)가 타인의 점유 하에 있더라도 타인은 비밀 메시 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없어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의 (b) 및 도 2의 (c)는 단말기(100)의 메시지 서비스 이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표시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최근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 및 게임 기능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기의 각종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도 2의 (b)는 비밀 메시지 저장부(130)에 저장된 비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엔터테인먼트 메뉴의 하위 메뉴에 구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에서 '4. 사용자 관리'의 메뉴는 비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메시지 서비스와 전혀 무관한 카테고리 내부에 비밀 메시지와 전혀 무관한 명칭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로 설정하는 경우 타인은 비밀 메시지를 열람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 내부에 '사용자 관리'라는 명칭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로 설명하였으나, 카테고리의 설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의 명칭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또한, 도 2의 (c)에서 '7. 메시지 관리'의 메뉴가 비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수신된 일반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구별되는 것으로, 도 2의 (a)의 예에서와 같이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와는 전혀 무관한 '휴대폰 관리'라는 카테고리 내에 비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7. 메시지 관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별도로 제공하고 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를 단말기(100)의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거나(도 2의 (a)) 또는 비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가 다른 카테고리 내부에 존재하거나(도 2의 (c)) 그 명칭이 일반적으로 메시지와 관련된 인터페이스 메뉴임을 직감할 수 없도록 변경(도 2의 (b))한다면 타인에게 비밀 메시지로 분류된 메시지를 공개하지 않게 되어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개인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밀 메시지 출력 신청을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들 중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통해 비밀 메시지 출력 요청을 받은 경우 표시되는 화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의 일 실시예로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한 인증 수행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미리 지정한 키버튼을 입력하거나 미리 지정된 메뉴 항목 또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표시부에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인증 수행부(120)에서 비밀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비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인증 수행부(120)에서 인증된 경우(즉, 도 3의 예에서는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비밀 메시지의 출력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제공(도 4 참조)하고, 인증하지 못한 경우에는(즉, 도 3의 예에서는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를 표시(도 5 참조)한다.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방법 이외에도 공인인증서 방식, 지문 인식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가 출력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비밀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표시부에 비밀 메시지의 종류를 구분하여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메시지로 전송된 신용카드 사용 내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리스트 및 연인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리스트를 예시하고 있으 나,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를 구분하는 방법 및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를 지칭하는 명칭은 다양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표시되는 오류메시지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비밀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표시부에 오류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을 거치지 못한 경우에는 비밀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타인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메시지를 공개하지 않을 수 있으며, 개인 데이터를 타인이 열람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 유리하여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메시지를 별도로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순서도의 각 단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구성 요소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단계 S61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62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수신된 메시지는 일반 메시지인지 비밀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비밀 메시지임을 판단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발신자 정보와 수신된 메시지의 발 신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비밀 메시지로 판단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비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비밀 판단부(120)에서 수행될 것이다.
단계 S620의 판단 결과 비밀 메시지가 아닌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 수신된 메시지는 일반 메시지로 분류되어 일반 메시지가 저장되는 수신함에 저장된다.
그러나, 단계 S620의 판단 결과 비밀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에는 일반 메시지와는 별도로 비밀 메시지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비밀 메시지와 일반 메시지를 저장하는 장소는 물리적으로는 동일한 저장소일 수 있으나, 비밀 메시지와 일반 메시지를 열람하는 방법에는 차이점이 있으므로 구별되어 저장되어야 한다.
비밀 메시지가 일반 메시지와 구별되어 저장되면 사용자의 비밀 메시지를 타인이 열람할 수 없게 되어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순서도의 각 단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구성 요소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비밀 메시지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하여 앞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비밀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710에서 사용자로부터 비밀 메시지의 출력 요청을 받는다. 비밀 메시 지의 출력을 요청 받기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의 실시예에 관해서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기(100)가 비밀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증(S720)을 거쳐야 하고, 사용자 인증(S720)은 인증 수행부(150)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단계 S720의 수행 결과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비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없다는 취지의 오류 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S730)한다. 단말기(100)의 사용자 이외의 자는 비밀 메시지를 열람할 수 없으므로 사생활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타인으로부터 개인 데이터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계 S720의 수행 결과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비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비밀 메시지를 출력(S740)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숨기는 방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가 출력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표시되는 오류메시지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메시지를 별도로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단말기가 비밀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반 메시지가 저장된 영역으로의 접근을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와 다른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제공하여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출력이 요청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 상기 인증에 성공한 경우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 상기 인증에 실패한 경우,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가 동일한지를 비교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
  8. 삭제
  9. 삭제
  10.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비밀 메시지가 저장되는 비밀 메시지 저장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밀 판단부;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비밀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 상기 비밀 메시지 저장부에 상기 비밀 메시지가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일반 메시지가 저장된 영역으로의 접근을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와 상기 저장된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요청 받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 메시지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발신자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발신자 단말기 고유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밀 메시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삭제
  15. 단말기가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일반 메시지가 저장된 영역으로의 접근을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와 다른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제공하여 비밀 메시지의 출력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출력이 요청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 상기 인증에 성공한 경우 비밀 메시지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
KR1020070090543A 2007-09-06 2007-09-06 휴대형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및 출력 방법 KR101387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543A KR101387676B1 (ko) 2007-09-06 2007-09-06 휴대형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및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543A KR101387676B1 (ko) 2007-09-06 2007-09-06 휴대형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및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584A KR20090025584A (ko) 2009-03-11
KR101387676B1 true KR101387676B1 (ko) 2014-04-21

Family

ID=4069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543A KR101387676B1 (ko) 2007-09-06 2007-09-06 휴대형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및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6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163B1 (ko) * 2005-06-29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시지 보안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163B1 (ko) * 2005-06-29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시지 보안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584A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1290B2 (en) Security for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JP4165452B2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情報管理方法
US20070155418A1 (en) Expandable functions for cellular phones
GB2381920A (en) Individual authentic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KR101053872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JP2013537758A (ja)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ロックを解除する方法及び装置
JP606832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6231115A (zh) 一种信息保护方法及终端
JP2007179343A (ja) セキュリティ機能付き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206475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602184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employing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N108171048A (zh) 密码提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79585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access to password-protected resources
US20110170689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encrypted message
KR101324385B1 (ko) 웹 기반 서비스 계정 관리 장치 및 방법
JP5536511B2 (ja) 携帯電話機を用いた本人認証のための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プログラム及び認証方法
KR20070014859A (ko) 전파식별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잠금 방법 및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8148048A (ja) 情報端末、ロック制御方法及びロック制御プログラム
CN106529319A (zh) 文件保护方法、装置及终端
Hocking et al. A distributed and cooperative user authentication framework
KR101387676B1 (ko) 휴대형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및 출력 방법
KR20060094436A (ko)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접근 제한 방법
KR100496954B1 (ko) 다중 사용자 환경 지원 핸드폰
KR20070012135A (ko) 분실시 사용자정보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사용자정보 표시방법
JP2005085154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