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159B1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159B1
KR101053159B1 KR1020090084531A KR20090084531A KR101053159B1 KR 101053159 B1 KR101053159 B1 KR 101053159B1 KR 1020090084531 A KR1020090084531 A KR 1020090084531A KR 20090084531 A KR20090084531 A KR 20090084531A KR 101053159 B1 KR101053159 B1 KR 101053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elmet
shield
helmet body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752A (ko
Inventor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09008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159B1/ko
Priority to US12/611,995 priority patent/US8166577B2/en
Publication of KR2011002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Abstract

본체 관통구가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반모 형태의 헬멧 본체부, 상기 헬멧 본체부의 전면에서 상하로 회동하고 상기 헬멧 본체부의 내부로 수납되며, 상기 헬멧 본체부와 착탈 가능한 부착을 위해 양단에 관통구가 각각 형성된 실드 및 상기 헬멧 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 관통구와 상기 실드의 상기 관통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실드가 상기 헬멧 본체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관통 결합축이 하부면에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는 헬멧이 제공된다.
헬멧, 실드, 홀더, 오토바이 헬멧

Description

헬멧 {HELMET}
본 발명은 전면에 형성된 개방부의 개폐가 가능한 실드를 가지는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헬멧 본체부의 양 측면에 삽입 관통하여 실드를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착탈 가능한 홀더를 포함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헬멧은 오토바이 등 이륜차의 운행 시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운행자의 전방시계 확보를 위해 헬멧 본체부 전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헬멧은 개방부를 통해 운행 중 유입되는 바람, 먼지의 차단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실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통상 헬멧의 전면부에서 상하로 개폐 가능한 실드는 헬멧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실드는 외부의 충격으로 쉽게 손상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헬멧 본체부는 헬멧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실드를 체결시키기 위해 소정의 홀더를 포함하며, 이를 위해 헬멧 본체부는 양 측면에 실드 체결을 위한 관통구가 양 측면에 형성된다. 홀더는 헬멧 본체부에 형성된 양 측면의 관통구를 통 해 실드를 사이에 두고 헬멧 본체부와 체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홀더는 리벳 등의 결합수단 등이 이용되며, 헬멧의 제조 단계에서 헬멧 본체부에 고정 부착됨으로써, 헬멧 착용자가 통상의 이용 과정에서는 헬멧 본체부로부터 홀더를 착탈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또한 헬멧 본체부에 체결되어 헬멧의 외부로 노출되는 홀더의 상부면은 단순 리벳 모양 등으로 단조로운 모양이나 형태를 가지는 경우가 많아, 노출되는 경우 외관이 없거나 노출되는 외관을 디자인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아쉬움이 있었다.
한편, 헬멧은 그 내부가 외부와 통기가 잘 되지 않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특성상, 착용자가 답답함을 많이 느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풀페이스 헬멧이 아닌 반모 형태의 헬멧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실드가 헬멧의 본체부 내부로 수납되며, 헬멧 착용자가 헬멧 본체부로부터 실드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헬멧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헬멧 본체부와 착탈 가능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다양한 홍보,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는 헬멧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체 관통구가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반모 형태의 헬멧 본체부, 상기 헬멧 본체부의 전면에서 상하로 회동하고 상기 헬멧 본체부의 내부로 수납되며, 상기 헬멧 본체부와 착탈 가능한 부착을 위해 양단에 관통구가 각각 형성된 실드 및 상기 헬멧 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 관통구와 상기 실드의 상기 관통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실드가 상기 헬멧 본체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관통 결합축이 하부면에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는 헬멧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헬멧 본체부는 내부에서 상기 관통 결합축을 고정하여 상기 홀더 및 상기 실드의 임의 탈착을 방지하며, 상기 실드의 상하 회동을 가이드 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헬멧이 제공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내측과 외측이 관통되고 내측에서 상기 관통 결합축과 맞닿은 관통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관통 체결구를 통해 삽입되는 결합 부재가 상기 관통 결합축의 단부에 형성된 중공형 홈에 체결되어 상기 홀더 및 상기 실드의 임의 탈착을 방지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헬멧으로도 제공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일측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내측과 외측이 관통된 형태의 고정판 체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고정판 체결구를 통해 삽입되는 결합 부재가 상기 헬멧 본체부의 내부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판이 상기 헬멧 본체부의 내부에 고정 부착되도록 하는 것인 헬멧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판은 내측에 하나 이상의 이동 체결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실드의 상하 회동에 따라, 상기 이동 체결 돌기는 상기 실드의 양 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이동구 중 상기 이동 체결 돌기에 체결되어 있던 이동구와 체결 해제되고 상기 실드의 다른 위치에 형성된 이동구와 체결되어 상기 실드의 조정된 개폐된 위치가 임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인 헬멧이 제공될 수 도 있다.
상기 홀더는, 단부에 결합 리브가 돌출 형성된 홀더 체결축을 하부면에 더 포함하되, 상기 홀더 체결축은 상기 헬멧 본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본체 체결구를 삽입 관통하며, 상기 홀더의 잠금 회전 시 상기 결합 리브가 상기 헬멧 본체부의 결합 수용부에 위치하는 것을 통해 상기 홀더가 상기 헬멧 본체부에 체결되는 것인 헬멧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헬멧 본체부는, 상기 실드의 상방 회동 시 상기 헬멧 본체부 내부 로 수납되는 설정된 깊이까지만 상기 실드가 수납되도록 내측 상부에 고정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헬멧도 구성 가능하다.
또한 헬멧 본체부의 전면에서 상하로 회동하는 실드를 상기 헬멧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하부면에 상기 본체 관통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실드를 상기 헬멧 본체부와 체결하는 관통 결합축 및 상기 본체 체결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홀더를 상기 헬멧 본체부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하는 결합 리브를 단부에 포함하는 홀더 체결축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캐릭터, 로고 또는 도형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헬멧으로도 발명 가능하다.
또한 상기 헬멧 본체부는, 상기 홀더의 상기 관통 결합축이 삽입 관통하는 관통 체결구, 상기 홀더의 상기 홀더 체결축이 삽입 관통하는 본체 관통구 및 고정판 체결구를 삽입 관통하는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헬멧 본체부의 내부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되, 상기 실드가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서 상기 홀더의 상기 관통 결합축에 체결되어 상하로 가이드 되며 회동 하게 되는 것인 헬멧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홀더 체결축은, 상기 홀더의 잠금 회전 시 상기 결합 리브도 잠금 회전하게 되어 상기 헬멧 본체부에 상기 홀더가 체결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홀더의 잠금 해제 회전 시 상기 결합 리브도 잠금 해제 회전하게 되어 상기 헬멧 본체부로부터 상기 홀더가 체결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실드가 상기 헬멧 본체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인 헬멧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헬멧 착용자는 홀더의 잠금 회전 및 잠금 해제 회전을 통해 실드를 헬멧 본체부로부터 손쉽게 체결하거나 체결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드가 헬멧 본체부 내부로 수납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실드를 보호해 실드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모 형태로 헬멧 본체부가 형성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헬멧 본체부에 체결되어 헬멧의 외부로 노출되는 홀더의 상부면은 다양한 기업 로고, 문양, 도형, 캐릭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어, 이를 통한 홍보나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으며, 홀더 자체만의 상품화도 가능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10)의 사시도로, 실드(110)가 헬멧 본체부(100)의 전면에 위치하되, 실드(110)의 일부가 헬멧 본체부(100) 내부로 수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0)을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10)은 헬멧 본체부(100), 실드(110) 및 홀더(1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 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헬멧 본체부(100)는 내부에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고정판(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헬멧(10)은 오토바이나 경주용 자동차 등의 운행자나 탑승자가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시 머리 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가 수용될 수 있는 헬멧 본체부(100)를 가진다.
헬멧 본체부(100)는 헬멧(10)의 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은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를 구비하여 제작된다. 헬멧 본체부(100)는 운행자 등의 머리형에 꼭 맞도록 밀폐형으로 제작되는 풀페이스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풀페이스 형태의 헬멧은 밀폐된 구조(내부가 외부와 통기가 잘 되지 않음)를 가지는 특성상 착용자가 답답함을 많이 느끼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착용감 향상 및 패션 등의 기능성 부가를 이유로 풀페이스 헬멧의 상부 절반 정도로만 형성된 반모 형태의 헬멧 본체부(100)가 제공 될 수 있다. 헬멧 본체부(100)가 반모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헬멧(10)의 아래쪽 부분이 외부로 개방되게 됨에 따라 밀폐된 구조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모 형태의 헬멧 본체부(100)를 가지는 헬멧(10)의 경우, 착탈도 보다 용이하며 헬멧(10)의 착용에 따른 머리의 흐트러짐도 많이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헬멧 본체부(100)는 미려함과 머리 보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재질과 소재, 디자인으로 형성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헬멧 본체부(100)에 대해서는 도 2 를 참조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드(110)는 주행 시 전방에서 전달되는 바람이나 비, 눈에 의해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상하로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한 투명한 형태의 창이다. 실드(110)는 상방 회동 시 헬멧 본체부(100) 내부로 일부 또는 전부가 수납되며, 하방 회동 시 수납된 위치에서 빠져 나와 헬멧 본체부(10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실드(110)는 하방 회동을 통해 수납되어 있던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전부 또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며, 이를 통해 착용자가 바람 등에 의해 방해 받지 않으면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실드(110)에 대해서는 도 3 을 참조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홀더(130)는 실드(110)를 헬멧 본체부(100)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결합 부재로, 리벳 접합이나 볼트, 나사 접합, 끼워 맞춰지는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홀더(130)가 리벳 접합 등의 방식으로 헬멧 본체부(100)에 체결되는 경우, 헬멧 본체부(100)에 실드(110)를 체결할 수 있게 되며, 이하 후술할 고정판(150)과 같은 추가적인 고정 부재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홀 더(130)는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잠금 회전(도 4c 참조)에 따라 실드(110)를 헬멧 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하며, 잠금 해제 회전(도 4c 참조)에 따라 실드(110)를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체결 해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홀더(130)는 헬멧 본체부(100)와 동일한 소재와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착용자의 개성이나 디자인, 미감의 강조를 위해 헬멧 본체부(100)와 다른 소재 또는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130)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c 를 참조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판(150)은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에 체결 부착되는 고정 부재이다. 고정판(150)은 실드(110)의 상하 회동을 가이드 하며, 홀더(130)가 잠금 회전 또는 잠금 해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홀더(130)의 일부와 체결되어 실드(110) 및 홀더(130)의 임의 탈착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 부재이다(도 5a 및 도 5b 참조). 고정판(150)과 체결될 수 있는 홀더(130)의 일부는 이하 후술할 관통 결합축(131)이 될 수 있다. 고정판(150)은 헬멧 본체부(100)와 같은 소재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실드(11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판(150)이 탄성 소재로 형성될 경우, 헬멧 본체부(100)에 체결 부착된 고정판(150)의 일부만을 체결 해제한 후, 고정판(150)을 구부려 실드(110)가 드나들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드(110)는 보다 손쉽게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체결 해제될 수 있다. 다만, 고정판(150)은 후술할 실드(110) 임의 개폐 방지 기능 등을 보유하기 위해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정판(150)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는 도 5 를 참조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2 를 이용해 헬멧 본체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반모 형태를 가지는 헬멧 본체부(100)의 사시도이다.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모 형태의 헬멧 본체부(100)는 양 측면에 본체 관통구(101)를 포함하며, 본체 체결구(105), 결합 수용부(106) 및 고정 지지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 관통구(101)는 홀더(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이하 후술할 관통 결합축(131)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구로, 헬멧 본체부(100)의 양 측면에서 각각 헬멧 본체부(100)의 내,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체 관통구(101)는 관통 결합축(131)을 통해 체결되는 홀더(130)가 잠금 회전 또는 잠금 해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관통 결합축(131)의 단면 크기에 비해 넓은 단면 크기와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다만, 관통 결합축(131)이 내부로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다면, 본체 관통구(101)는 원 형태의 단면뿐 아니라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 관통구(101)는 헬멧 본체부(100)의 좌, 우측 양 측면에 각각 서로 다른 형태의 관통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체결구(105)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후술할 홀더 체결축(135)이 삽입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로, 헬멧 본체부(100)의 측면에 형성된 본체 관통구(101)를 중심으로 좌,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2 에 도시된 본체 체결구(105)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본체 관통구(101)를 중심으로 주변에 1개 가 본체 체결구(105)만이 형성되거나 3개 이상의 본체 체결구(105)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체결구(105)는 홀더 체결축(135)와 맞춤 결합될 수 있는 단면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부로 삽입되는 홀더 체결축(135)의 수용을 위해 홀더 체결축(135)의 단면 크기 보다 큰 관통구로 형성되어야 한다. 다만, 본체 체결구(105)는 홀더(130)의 잠금 회전에 따라 회전된 홀더 체결축(135)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 리브(136)의 단속이 가능한 형태의 관통구로 형성되어야 한다(도 4a 내지 도 4c 참조). 다시 말해, 본체 체결구(105)는 홀더(130)가 삽입되거나 잠금 해제 회전이 된 경우에는 결합 리브(136)가 자유롭게 헬멧 본체부(100)의 내, 외부를 드나들 수 있는 형상이나, 잠금 회전이 된 경우에는 결합 리브(136)가 자유롭게 헬멧 본체부(100)의 외부로 나올 수 없는 형태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의 제공을 위해, 본체 체결구(105)는 홀더(130)의 잠금 회전 또는 잠금 해제 회전 시, 홀더 체결축(135)이 관통 결합축(131)을 중심축으로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에 삽입 관통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에서 회전 이동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본체 체결구(105)는 홀더 체결축(135) 및 결합 리브(136)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단면을 가지는 관통구인 동시에, 잠금 회전된 경우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홀더 체결축(135)이 임의로 체결 해제되어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형성된 관통구이다. 또한 헬멧 본체부(100)는 본체 체결구(105)를 중심으로 내부 일측면에 결합 수용부(1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결합 수용부(106)는 헬멧 본체부(100) 내부의 일측면 일부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하 후술할 결합 리브(136)가 홀더(130)의 잠금 회전 시 안착되는 부위를 말한다(도 6b 및 도 6c 참조). 결합 수용부(106)는 본체 체결구(105)를 중심으로 주변에 형성되나, 본체 체결구(105)와 달리 외부로의 진출, 즉 홀더(130)의 체결 해제를 방지하는 막혀있는 내부 일측면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홀더 체결축(135)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 리브(136)가 홀더(130)의 잠금 회전 시 위치하게 되는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 일측면 공간을 지칭한다. 이를 위해 결합 수용부(106)는 본체 체결구(105)와 연결되고 연속하여 존재하되, 헬멧 본체부(100)의 다른 내부 측면 보다 낮은 설정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 수용부(106)가 반드시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 구역과 차별적인 모양과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홀더(130)의 잠금 회전 시 홀더(130)의 임의 체결 해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 리브(136)를 수용하는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 일측면 이라면 충분하다. 즉, 헬멧 본체부(100) 내부의 일측면 중 홀더(130)의 잠금 회전 시 결합 리브(136)를 수용하는 내부 일측면이 결합 수용부(106)가 될 수 있다. 결합 수용부(106)에 결합 리브(136)가 수용되는 경우, 수용된 결합 리브(136)에 의해 홀더(130)는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임의로 체결 해제가 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실드(110)도 임의로 체결 해제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헬멧 본체부(100)는 내부 구역에 고정 지지대(108)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 지지대(108)는 헬멧 본체부(100) 내부로 수납되는 실드(110)의 상방 회동 시 설정된 깊이 이상으로 실드(110)가 수납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대이다. 고정 지지대(108)는 실드(110)가 헬멧 본체부(100) 내부로 너무 깊숙 이 수납되는 것을 방지해, 일정 수준의 실드(110)가 수납에도 불구하고 계속 헬멧 본체부(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착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실드(110)의 일부를 잡고 아래로 당겨 실드(110)가 하방 회동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고정 지지대(108)가 헬멧(내부) 정면 상단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고정 지지대(108)는 실드(110)의 수납 시 발생 가능한 실드(110)와 고정 지지대(108)간의 충돌, 부딪힘 등으로 인한 충격 방지 및 이로 인한 실드(110)의 수명 단축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또는 전부가 탄력성을 가지는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 을 이용하여 실드(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실드(110)의 사시도이다.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110)는 양 측면에 형성된 실드 실드 관통구(111) 및 이동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 관통구(111)는 홀더(130)의 관통 결합축(131)이 관통할 수 있도록 실드(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이다. 실드(110)는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실드 관통구(111)를 삽입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 결합축(131)에 지지되어 헬멧 본체부(100)와 상하 회동 가능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드(110)는 홀더(130)를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체결 해제하는 경우, 관통 결합축(131)이 삽입 관통하고 있던 실드 관통구(111)로부터 관통 해제되므로, 실드(110)도 손쉽게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체결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헬멧 본체부(100)와 체결되고 체결 해제되는 홀더(130)를 이용해 실드(110)도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손쉽게 착탈 가 능하며,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색깔과 형태, 기능을 가지는 실드(110)를 착용자의 선택과 기호에 따라 헬멧 본체부(10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양 측면에 규격화된 실드 관통구(111)를 가지는 실드(110) 자체만으로 상품화가 가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실드 관통구(111)는 실드(110)의 양 측면에서 삽입 관통하게 되는 관통 결합축(131)의 단면 지름 보다 큰 단면의 지름을 가지는 원 형태의 단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실드(110)가 삽입 관통하는 관통 결합축(131)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는 형태라면, 원 형태 이외에도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으로 제공될 수 도 있다. 또한 다양한 홀더(130)의 크기나 형태, 모양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실드(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실드 관통구(111)는 각각 서로 다른 형태의 관통구로 제공될 수 도 있다.
이동구(113)는 실드(110)의 양 측면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관통구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구(113)는 실드(110)의 양 측면에 다수개가 각각 형성되며, 이하 후술할 고정판(150)의 이동 체결 돌기(153)와 체결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도 5a 참조). 따라서 이동구(113)는 이동 체결 돌기(153)에 맞춤 결합 형태로 체결되어 착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실드(110)의 위치가 상하로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드(110)의 상하 회동 시, 상하 회동 전 이동 체결 돌기(153)와 체결되어 있던 다수의 이동구(113) 중 특정한 이동구(113)와 체결이 해제되고, 다른 위치에 있는 이동구(113)가 이동 체결 돌기(153)와 체결됨에 따라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정된 실드(110)의 개폐 위치가 임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3 에서와 같이 원호 형태로 실드(110)에 배치 형성된 다수개의 이동구(1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이동 체결 돌기(153)의 형태와 간격, 모양에 대응하여 실드(110)의 상하 회동에 따라 조정된 개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c 를 이용하여 홀더(130) 및 홀더(130)와 헬멧 본체부(100)의 삽입 관통 체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는 홀더(130)의 하부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홀더(130)는 하부면은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 관통되는 관통 결합축(131) 및 홀더 체결축(135)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결합축(131)은 헬멧 본체부(100)의 외부에서 본체 관통구(101) 및 실드(110)의 실드 관통구(111)를 삽입 관통하여, 실드(110)가 헬멧 본체부(100)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결합축이다. 이를 위해 관통 결합축(131)은 헬멧 본체부(100) 및 실드(110)의 실드 관통구(111)를 삽입 관통하고,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체결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관통 결합축(131)은 리벳이나 볼트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형 홈(132)이 삽입 관통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헬멧 본체부(100)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관통 결합축(131)은 추가적인 결합 부재의 사용없이 관통 결합축(131)의 구부림 또는 용접 등을 통해 헬멧 본체부(100)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으며, 끼워지는 형태의 부재로 형성되어 헬멧 본체부(100)의 외부로부터 본체 관통구(101)에 끼워 맞추는 형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관통 결합축(131)은 이하 후술할 고정판(150)의 관통 체결구(151)와 맞춤 형태의 결합을 통해 홀더(130)가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임의 탈착 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도 있다.
관통 결합축(131)은 헬멧 본체부(100)를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 관통하며, 헬멧 본체부(100)와 헬멧 본체부(100) 내부로 삽입 관통된 단부 사이에서 체결된 실드(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바,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관통 결합축(131)은 실드 관통구(111)를 통해 체결된 실드(110)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할 수 있도록 실드 관통구(111)에 비해 작은 단면의 형태를 가져야 한다.
다만,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결합축(131)은 반드시 원형 형태의 단면을 가져야 할 필요는 없으며, 실드(110)의 실드 관통구(111)와 체결되고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단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홀더(130)는 관통 결합축(131) 이외에도 헬멧 본체부(100)와 직접 체결 또는 체결 해제를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홀더 체결축(135)을 하부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체결축(135)은 헬멧 본체부(100)의 외부에서 본체 체결구(105)를 삽입 관통하여, 홀더(130)를 헬멧 본체부(100)에 체결토록 하는 추가적인 결합축이다. 홀더 체결축(135)은 관통 결합축(131)을 중심에 두고, 헬멧 본체부(100)의 측면에 형성된 본체 체결구(105)의 개수에 따라 홀더(130)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 체결구(105)가 헬멧 본체부(100)의 한 측면에 2개 형성되어 있다면, 홀더 체결축(135)도 관통 결합축(131)과 별개로 2개가 홀더(13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홀더 체결축(135)은 관통 결합축(131)이 홀더(130)를 헬멧 본체부(100)에 고정 또는 체결시키는 직접적인 결합축이 아닐 경우, 특히 유용한 결합축이 된다. 즉, 관통 결합축(131)은 실드(110)의 임의 탈착을 방지하는 체결 수단으로써 결합축이 되고 홀더(130)의 잠금 회전 또는 잠금 해제 회전 시 중심축이 되는 반면, 홀더 체결축(135)은 홀더(130)를 헬멧 본체부(100)에 체결 또는 체결 해제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결합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홀더 체결축(135)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 리브(136)가 잠금 회전으로 결합 수용부(106)상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홀더(130)가 헬멧 본체부(100)에 체결되어 임의로 체결 해제 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홀더(130)가 보다 손쉽게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체결 해제 가능할 수 있게 되며, 실드(110)의 체결 해제도 용이하게 된다(보다 자세하게는 도 4c 및 도 6c 참조).
결합 리브(136)는 본체 체결구(105)를 통해 헬멧 본체부(100) 내부로 삽입 관통되는 홀더 체결축(135)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리브이다. 결합 리브(136)는 홀더(130)가 헬멧 본체부(100)로 삽입 관통되는 단계 또는 잠금 해제 회전이 된 경우에는 본체 체결구(105)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홀더(130)가 잠금 회전이 된 경우에는 관통 결합축(131)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홀더(130)를 따라 결합 리브(136)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결합 리브(136)는 본체 체결구(105)를 벗어나 결합 수용부(106)상에 위치하게 된다. 결합 수용부(106)는 외부로 관통된 형태의 관통구가 아닌, 헬멧 본체부(100)의 외부로의 진출이 막혀있는 헬멧 본체부(100) 내부의 일측면 공간이므로, 결합 리브(136)가 결합 수용부(106)상에 위치 하게 될 경우 홀더(130)는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임의 체결 해제 될 수 없게 된다(보다 자세하게는 도 4c 및 도 6c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체결구(105)를 통해 삽입 관통 된 홀더 체결축(135)이 잠금 회전 되는 경우, 홀더 체결축(135)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 리브(136)가 결합 수용부(106)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홀더(130)가 헬멧 본체부(100)로 삽입 관통 되거나 잠금 해제 회전이 된 경우에는 결합 리브(136)가 본체 체결구(105)로 노출되어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홀더(130)를 체결 해제하여 분리할 수 있다. 반면, 홀더(130)의 잠금 회전된 경우에는 결합 리브(136)가 결합 수용부(106)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결합 리브(13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홀더(130)를 임의로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도 4b 또는 도 4c 는 홀더(130)의 상부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b 에 도시된 홀더(130)의 상부면은, 전술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30)가 헬멧 본체부(100)와 삽입 관통하여 체결된 이후에도 헬멧(10)의 외부에 드러나게 되는 부분이다. 헬멧(10)의 완제품에 홀더(130)의 상부면이 그대로 노출되게 됨에 따라 홀더(130)의 상부면은 다양한 홍보,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홀더(130)의 상부면은 다양한 기업 로고, 문양, 도형, 캐릭터 등으로 형성되어, 이를 통한 홍보나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4b 는 홀더(130)의 상부면을 홍보 수단으로 사용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인 ‘홍진에이치제이씨’의 영문 이름인 ‘에이치제이씨’를 영문으로 상부면에 드러나도록 함으로써 기업의 제품이나 기업 자체를 홍보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홀더(130)는 헬멧 본체부(100)와 착탈 가능하며 하부면에 포함된 관통 결합축(131), 홀더 체결축(135) 및 결합 리브(136)의 규격이 통일될 경우, 다양한 디자인과 로고, 문양 등이 상부면에 형성된 홀더(130)를 착용자가 교체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홀더(130)가 하나의 상품으로 판매되는 등 홀더(130)의 상품화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4c 는 홀더(130)와 헬멧 본체부(10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30)의 관통 결합축(131)은 헬멧 본체부(100)의 본체 관통구(101)에, 홀더 체결축(135)은 본체 체결구(105)에 각각 삽입 관통된다. 본체 체결구(105)는 홀더 체결축(135)의 단부에 추가적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 리브(136)까지 수용할 수 있는 연장된 형태의 관통구로 형성된 바, 홀더(130)는 헬멧 본체부(100)로 손쉽게 삽입 관통하여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c 의 화살표 A 방향은 홀더(130)를 잠금 회전 시키는 방향을, 화살표 B 방향은 잠금 상태에 있는 홀더(130)를 다시 잠금 해제 회전 시키는 방향을 나타낸다. 잠금 회전(화살표 A)이란, 헬멧 본체부(100)에 삽입된 홀더(130)가 임의 체결 해제되지 않도록 관통 결합축(131)을 중심으로 홀더(130)를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홀더(130)의 잠금 회전에 따라 홀더(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홀더 체결축(135)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홀더 체결축(135)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 리브(136)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합 리브(136)는 홀더(130)가 헬멧 본체부(100)로 삽입 관통되는 단계에서는 본체 체결구(105) 내부에 머무르 게 되므로, 홀더(130)는 헬멧 본체부(100) 내부로 삽입 관통하는 등 자유로운 출입과 이입이 가능하다. 그러나, 홀더(130)를 잠금 회전시키는 경우 관통 결합축(131)을 중심축으로 회전하게 되는 홀더(130)를 따라 홀더 체결축(135) 및 결합 리브(136)가 회전하게 되며, 잠금 회전이 완료되는 순간에는 결합 리브(136)가 헬멧 본체부(100)의 본체 체결구(105)를 벗어나 이와 연결된 결합 수용부(106)상에 위치하게 된다. 결합 리브(136)가 결합 수용부(106)상에 위치하는 경우, 결합 리브(136)의 외부로의 진출이 막히게 되고 이에 따라 홀더(130)가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임의로 체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잠금 해제 회전(화살표 B)이란, 헬멧 본체부(100)에 삽입되어 잠금 회전을 통해 헬멧 본체부(100)에 체결된 홀더(130)를, 잠금 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즉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홀더(130)가 체결 해제 될 수 있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결합 리브(136)는 잠금 해제 회전을 통해, 결합 수용부(106)로부터 벗어나 다시 본체 체결구(105)로 회전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홀더(130)를 헬멧 본체부(100)의 외부로 당길 경우 홀더(130)가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체결 해제되어 분리된다. 또한 홀더(130)의 헬멧 본체부(100)로부터의 분리는 실드 관통구(111)를 통해 실드(110)를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하고 있던 관통 결합축(131)과도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에 따라 실드(110)도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체결 해제되고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손상된 실드(110)를 교체하거나 전면의 형상이 전혀 다른 실드(110)로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홀더(130)가 헬멧 본체부(100)로부터 잠금 회전을 통해 손쉽게 체결되고, 잠금 해제 회전을 통해 손쉽게 체결 해제될 수 있는 바, 홀더(130)의 하부면이 동일한 규격과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모양 등이 형성된 상부면을 가진 홀더(130)의 채용도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5a 및 도 5b 를 이용하여 고정판(1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 는 고정판(150) 사시도로, 도 5a 는 고정판(150)의 내측 부분을, 도 5b 는 고정판(150)의 외측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고정판(150)은 관통 체결구(151) 및 이동 체결 돌기(153)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고정판 체결구(157)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체결구(151)는,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50)의 내측에서 관통 결합축(131)과 맞닿이게 되며 고정판(150)의 외측에서 결합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된 형태의 관통구를 의미한다(도 6 참조). 고정판(150)의 내측(도 5a)이란, 헬멧 본체부(100)쪽으로 향해 있으며, 관통 결합축(131)과 맞닿아 실드(110)를 수용하게 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반면, 고정판(150)의 외측(도 5b)이란,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고정판(150)의 부분을 지칭한다.
결합 부재는 리벳이나 볼트, 나사 등이 될 수 있으며, 고정판(150)의 외측으로부터 관통 체결구(151)로 삽입되어 고정판(150)의 내측에서 관통 체결구(151)와 맞닿아 있는 관통 결합축(131)과 체결된다. 이를 위해 헬멧 본체부(100) 내부로 삽입 관통된 관통 결합축(131)의 단부에는 리벳이나 볼트, 나사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나사선을 가지는 중공형 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체결 돌기(153)는,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5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의미한다. 이동 체결 돌기(153)는 실드(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이동구(113)와 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기로, 헬멧 본체부(100)에 체결된 실드(110)가 임의로 개폐 되는 것을 방지하며, 실드(110)의 상하 회동 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이동 체결 돌기(153)는 실드(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이동구(113) 중 일부와 맞춤 결합되어, 실드(110)가 임의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용자가 실드(11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위로 밀거나 아래로 당기게 되는 경우, 실드(110)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서, 이동 체결 돌기(153)에 맞춤 결합되어 있던 종전의 이동구(113)는 맞춤 결합이 체결 해제되며, 상방 또는 하방 회동에 따라 다른 이동구(113)가 이동 체결 돌기(153)와 맞춤 결합하게 된다. 이동 체결 돌기(153)는 이때에도 새로운 이동구(113)와 맞춤 결합하여 이동구(113)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됨에 따라, 실드(110)가 착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임의로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착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실드(11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한편, 의도한 개폐 위치로 실드(110)를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동 체결 돌기(153)는 다수의 이동구(113)와 안정적인 맞춤 결합 체결하기 위해 2개 이상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1개의 이동 체결 돌기(153)로도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 체결구(157)는 고정판(150)을 헬멧 본체부(100)에 고정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로, 고정판(150)의 일측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드(110)의 상하 회동에 방해가 되는 위치에는 형성될 수 없다. 고정판 체결구(157)는,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50)의 내측과 외측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판(150)의 외측으로부터 결합 부재를 삽입하여 헬멧 본체부(100)에 체결되어 고정판(150)이 헬멧 본체부(100)에 고정 부착되도록 한다.
결합 부재는 고정판 체결구(157)를 통해 삽입 체결되어 고정판(150)을 헬멧 본체부(100)에 고정 부착하는 것으로, 리벳, 볼트 또는 나사 등 통상의 결합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c 를 이용하여 홀더(130), 헬멧 본체부(100), 실드(110) 및 고정판(15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다만, 헬멧 본체부(100), 실드(110), 홀더(130) 및 고정판(150)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여기에서는 상호 결합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 는 홀더(130), 헬멧 본체부(100), 실드(110) 및 고정판(150)의 결합 사시도로, 도 6a 는 헬멧(10)의 외부에서 도 6b 및 도 6c 는 헬멧(10)의 내부에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홀더(130)는 외부에서 내부로 결합되며, 실드(110) 및 고정판(150)은 내부에서 체결 결합된다.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30)의 상부면은 삽입 관통하여 체결된 이 후에도 헬멧(10) 외부로 노출되는 반면, 하부면은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홀더(130)의 상부면은 헬멧(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바, 이를 홍보,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면이 규격화되어 자유롭게 교체 가능하도록 제작된 홀더(130)는 그 자체로 상품화가 가능함은 앞서 살펴 보았다.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 결합축(131)은, 헬멧 본체부(100)의 측면에 형성된 본체 관통구(101)를 통해 헬멧 본체부(100) 내부로 삽입 관통될 수 있다. 삽입 관통된 관통 결합축(131)은 실드(110)의 실드 관통구(111)도 삽입 관통한 후 고정판(150)의 관통 체결구(151)와 맞닿게 된다. 고정판(15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나사, 볼트 등의 결합 부재는 관통 체결구(151)를 관통하여 홀더(130)의 관통 결합축(131)과 체결된다. 이 때 보다 원활한 체결을 위해 관통 결합축(131)의 단부에는 중공형 홈(132)이 형성되어 관통 체결구(151)를 관통한 결합 부재와 체결될 수도 있다. 관통 결합축(131)과 관통 체결구(151)간의 이러한 형태의 체결을 통해, 홀더(130)는 헬멧 본체부(100)의 외부에서 잠금 회전 또는 잠금 해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이에 대해서는 도 4c 참조), 실드(110)는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며, 헬멧 본체부(100)로 수납될 수 있도록 체결된다.
또한 홀더(130)의 하부면에 추가적으로 형성된 홀더 체결축(135)은, 헬멧 본체부(100)의 측면에 형성된 본체 체결구(105)를 통해 헬멧 본체부(100) 내부로 삽입 관통될 수 있다. 또한 홀더 체결축(135)은 홀더(130)가 헬멧 본체부(100)와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제공을 위해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로 관통된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 리브(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체결구(105)는 결합 리브(136)가 돌출 형성된 홀더 체결축(135)을 삽입 관통할 수 있는 형태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헬멧 본체부(100)의 측면에 형성된 본체 체결구(105)는 홀더 체결축(135)은 물론 함께 삽입되는 결합 리브(136)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30)는 관통 결합축(131) 및 홀더 체결축(135)이 헬멧 본체부(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 회전 또는 잠금 해제 회전이 가능하다. 홀더(130)의 잠금 회전 및 잠금 해제 회전은 관통 결합축(131)을 중심축으로 이루어지며, 잠금 회전 시(도 6c 에서 화살표 A 방향) 홀더 체결축(135)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 리브(136)가 본체 체결구(105)에서 벗어나, 본체 체결구(105) 주변에 형성된 결합 수용부(106)상에 위치하게 된다. 결합 수용부(106)는 본체 체결구(105)와 달리 헬멧 본체부(100)의 외부로 나가는 면이 막혀 있는 공간이므로, 결합 리브(136)가 결합 수용부(106)상에 위치하게 되는 잠금 회전 시 홀더(130)는 헬멧 본체부(100)와 체결되며 임의 분리 또는 체결 해제되지 않게 된다. 반면, 홀더(130)가 잠금 해제 회전되는 경우(도 6c 에서 화살표 B 방향), 다시 말해 잠금 회전되어 있던 홀더(130)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도 6c 의 상태에서 도 6b 와 같은 상태로 전환됨을 의미함) 결합 수용부(106)상의 위치에 있던 결합 리브(136)가 다시 본체 체결구(105)로 이동하게 되며, 본체 체결구(105)는 결합 리브(136)가 외부로 나갈 수 있는 열려있는 관통구이므로, 이를 통해 홀더(130)는 헬멧 본체부(100)와 분리되고 체결 해제 가능하게 된다.
실드(110)는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실드 관통구(111)를 통해 관통 결합축(131)에 의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개폐된 실드(110)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거나 착용자에 의해 조정된 실드(110)의 개폐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드(110)의 양 측면에 다수개의 이동구(113)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고정판(150)의 내측에 맞춤 결합되는 이동 체결 돌기(1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체결 돌기(153)는 실드(1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맞춤 결합되어 체결되는 이동구(113)를 달리하는 방법을 통해 실드(110)의 개폐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 체결 돌기(153)는 고정판(150)의 내측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견실한 맞춤 결합 체결을 위해 2 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판(150)은 실드(110)의 상하 회동이 방해 받지 않는 한, 일측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 고정판 체결구(157)를 가질 수 있다. 고정판 체결구(157)는 고정판(150)의 외측에서 삽입된 결합 부재가 관통하는 곳으로, 이를 관통한 결합 부재는 헬멧 본체부(100)와 체결되고, 이를 통해 고정판(150)이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에 고정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실드(110)는 헬멧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고정판(150)에 의해 양 측면이 감싸진 형태로 가이드 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헬멧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드의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홀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로, 도 4a 는 홀더의 하부면을, 도 4b 는 홀더의 상부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c 는 홀더와 헬멧 본체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고정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로, 도 5a 는 고정판의 내측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5b 는 고정판의 외측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c 는 홀더, 헬멧 본체부, 실드 및 고정판의 결합 사시도로, 도 6a 는 헬멧의 외부에서, 도 6b 및 도 6c 는 헬멧의 내부에서 홀더, 헬멧 본체부, 실드 및 고정판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10)

  1. 본체 관통구가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반모 형태의 헬멧 본체부,
    상기 헬멧 본체부의 전면에서 상하로 회동하고 상기 헬멧 본체부의 내부로 수납되며, 상기 헬멧 본체부와 착탈 가능한 부착을 위해 양단에 관통구가 각각 형성된 실드 및
    상기 헬멧 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 관통구와 상기 실드의 상기 관통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실드가 상기 헬멧 본체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관통 결합축이 하부면에 형성된 홀더
    를 포함하는 헬멧.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부는,
    내부에서 상기 관통 결합축을 고정하여 상기 홀더 및 상기 실드의 임의 탈착을 방지하며, 상기 실드의 상하 회동을 가이드 하는 고정판
    을 포함하는 헬멧.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내측과 외측이 관통되고 내측에서 상기 관통 결합축과 맞닿은 관통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관통 체결구를 통해 삽입되는 결합 부재가 상기 관통 결합축의 단부에 형성된 중공형 홈에 체결되어,
    상기 홀더 및 상기 실드의 임의 탈착을 방지하는 것인 헬멧.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일측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내측과 외측이 관통된 형태의 고정판 체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고정판 체결구를 통해 삽입되는 결합 부재가 상기 헬멧 본체부의 내부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판이 상기 헬멧 본체부의 내부에 고정 부착되도록 하는 것인 헬멧.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내측에 하나 이상의 이동 체결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실드의 상하 회동에 따라, 상기 이동 체결 돌기는 상기 실드의 양 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이동구 중 상기 이동 체결 돌기에 체결되어 있던 이동구와 체결 해제되고 상기 실드의 다른 위치에 형성된 이동구와 체결되어,
    상기 실드의 조정된 개폐된 위치가 임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인 헬멧.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단부에 결합 리브가 돌출 형성된 홀더 체결축을 하부면에 더 포함하되,
    상기 홀더 체결축은 상기 헬멧 본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본체 체결구를 삽입 관통하며,
    상기 홀더의 잠금 회전 시 상기 결합 리브가 상기 헬멧 본체부의 결합 수용부에 위치하는 것을 통해
    상기 홀더가 상기 헬멧 본체부에 체결되는 것인 헬멧.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부는,
    상기 실드의 상방 회동 시 상기 헬멧 본체부 내부로 수납되는 설정된 깊이까 지만 상기 실드가 수납되도록 내측 상부에 고정 지지대
    를 더 포함하는 헬멧.
  8. 헬멧 본체부의 전면에서 상하로 회동하는 실드를 상기 헬멧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하부면에 상기 본체 관통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실드를 상기 헬멧 본체부와 체결하는 관통 결합축 및 상기 본체 체결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홀더를 상기 헬멧 본체부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하는 결합 리브를 단부에 포함하는 홀더 체결축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캐릭터, 로고 또는 도형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헬멧.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부는,
    상기 홀더의 상기 관통 결합축이 삽입 관통하는 관통 체결구,
    상기 홀더의 상기 홀더 체결축이 삽입 관통하는 본체 관통구 및
    고정판 체결구를 삽입 관통하는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헬멧 본체부의 내부 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되,
    상기 실드가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서 상기 홀더의 상기 관통 결합축에 체결되어 상하로 가이드 되며 회동 하게 되는 것인 헬멧.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체결축은,
    상기 홀더의 잠금 회전 시 상기 결합 리브도 잠금 회전하게 되어 상기 헬멧 본체부에 상기 홀더가 체결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홀더의 잠금 해제 회전 시 상기 결합 리브도 잠금 해제 회전하게 되어 상기 헬멧 본체부로부터 상기 홀더가 체결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실드가 상기 헬멧 본체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인 헬멧.
KR1020090084531A 2009-09-08 2009-09-08 헬멧 KR101053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531A KR101053159B1 (ko) 2009-09-08 2009-09-08 헬멧
US12/611,995 US8166577B2 (en) 2009-09-08 2009-11-04 Helmet having rotatable shie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531A KR101053159B1 (ko) 2009-09-08 2009-09-08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752A KR20110026752A (ko) 2011-03-16
KR101053159B1 true KR101053159B1 (ko) 2011-08-02

Family

ID=4364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531A KR101053159B1 (ko) 2009-09-08 2009-09-08 헬멧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66577B2 (ko)
KR (1) KR101053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5715B2 (en) * 2010-12-09 2014-01-28 Cookie Composites Helmet and visor locking mechanism
EP2759219B1 (en) * 2013-01-07 2016-09-21 Strategic Sports Limited Bicycle helmet with visor
EP2853168B1 (en) * 2013-09-26 2016-09-21 Strategic Sports Limited Helmet with pivotable shield
EP3010153A1 (en) * 2014-10-13 2016-04-20 Cardo International GmbH Communication system for a helmet
CA3054444C (en) * 2017-03-13 2023-07-18 Gentex Corporation Modular shroud
US10874159B1 (en) * 2017-03-30 2020-12-29 E.D. Bullard Company Protective helmet with attachment mechanism for securing accessories
EP3459377A1 (en) * 2017-09-22 2019-03-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elding helmet
US10786032B2 (en) 2019-01-18 2020-09-29 Cookie Composites Group Pty Ltd. Skydiving helmet and visor mounting system
USD934505S1 (en) 2019-01-28 2021-10-26 Cookie Composites Group Pty Ltd. Skydiving helmet
USD939151S1 (en) * 2021-05-21 2021-12-21 Riddell, Inc. Visor for a football helmet
KR102549784B1 (ko) * 2021-09-07 2023-06-30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857B1 (ko) * 1987-10-20 1992-06-19 미찌오 아라이 헬멧(Helmet)
KR100649944B1 (ko) * 2005-12-06 2006-11-27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오토바이용 헬멧
KR100750720B1 (ko) * 2006-09-21 2007-08-2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389A (en) * 1964-03-03 biesecker
US38991A (en) * 1863-06-23 Improvement in fire-places
US3310811A (en) * 1964-04-07 1967-03-28 Jr Vincent D Iacono Helmet enclosure
US3945043A (en) * 1974-12-17 1976-03-23 Omnitech Inc. Flip-up visor assembly for helmet
IT1072641B (it) * 1976-01-30 1985-04-10 Piech Corina Casco di protezione
US4305160A (en) * 1980-02-19 1981-12-15 Bell Helmets, Inc. Detent controlled helmet shields
US5448780A (en) * 1987-03-05 1995-09-12 Gath; Ricky J. Safety helmet
US5095551A (en) * 1990-06-18 1992-03-17 Chin Chen L S Motorcycle helmet angle-adjustable wind visor mounting structure
JPH077285Y2 (ja) * 1991-02-19 1995-02-22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装置
JPH0634335Y2 (ja) * 1991-03-18 1994-09-07 昭栄化工株式会社 シールド付ヘルメット
US5333329A (en) * 1993-01-06 1994-08-02 Hong Jin Crown America Ratchet system for motorcycle helmet shield
US5368427A (en) * 1993-02-08 1994-11-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arter turn fastener
JP2668322B2 (ja) * 1993-07-19 1997-10-27 昭栄化工株式会社 乗車用ヘルメット
FR2809286B1 (fr) * 2000-05-29 2002-08-16 Gallet Sa Perfectionnement pour casque de protection
US6948813B2 (en) * 2003-01-21 2005-09-27 Dye Precision, Inc. Lens assembly parts and assemblies therefrom
US6826783B1 (en) * 2003-01-30 2004-12-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hemical/biological helmet
US6732380B1 (en) * 2003-02-27 2004-05-11 Long Huei Helmet Co. Fixing device for the windshield of a safety helmet
US7124449B2 (en) * 2004-03-30 2006-10-24 Gentex Corporation Protective helmet assembly having lightweight suspension system
DE102004048842B3 (de) * 2004-10-04 2006-04-27 Schuberth Engineering Ag Schutzhelm
KR100568946B1 (ko) * 2004-11-25 2006-04-1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US8011026B2 (en) * 2005-05-19 2011-09-06 Kee Action Sports I Llc Face mask and goggle system
JP4215797B2 (ja) * 2006-12-14 2009-01-28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ロック機構
US20090113607A1 (en) * 2007-11-02 2009-05-07 Yao-Gwo Gan Connection of goggle and mas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857B1 (ko) * 1987-10-20 1992-06-19 미찌오 아라이 헬멧(Helmet)
KR100649944B1 (ko) * 2005-12-06 2006-11-27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오토바이용 헬멧
KR100750720B1 (ko) * 2006-09-21 2007-08-2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56002A1 (en) 2011-03-10
KR20110026752A (ko) 2011-03-16
US8166577B2 (en) 201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159B1 (ko) 헬멧
EP1754637B1 (en) Seatbelt apparatus
US11103023B2 (en) Helmet strap attachment method and device
EP2915444B1 (en) Latching mechanism and helmet
EP3430929B1 (en) Type variable helmet
JPH10325012A (ja) ヘルメットおよびその脱着方法
KR101772124B1 (ko) 헬멧의 탈착식 패드 체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KR101995947B1 (ko)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US10278446B2 (en) Shield for a helmet
KR100562853B1 (ko) 헬멧의 실드 조립 장치
JP2003049316A (ja) 顔面保護板付ヘルメット
CN107933449A (zh) 车辆用绳夹
KR200441735Y1 (ko) 슬라이드식 보안경이 부착된 안전모
CN201738726U (zh) 外拉式手柄结构
KR20110102561A (ko) 다용도 헬멧
JP5101386B2 (ja) 子供乗せ装置及び二輪車
US20080022439A1 (en) Button and Headwear Using the Same
KR102001598B1 (ko) 마우스 벤트를 포함하는 헬멧
EP2526801A1 (en) Safety helmet, particularly for motorcycle and/or motor racing, with improved device for moving the sun visor
EP2684474B1 (de) Schutzhelm mit integriertem Helmüberzug
CN217106528U (zh) 一种分体可拆卸钥匙
EP4321047A1 (en) Helmet
US20160135534A1 (en) Protective helmet and opening for securing the helmet
KR102024057B1 (ko) 충격에 의한 해리가 방지되는 버클
EP3217827A1 (en) Helmet strap attachment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