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022B1 -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그 구동방법 및 경보장치를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그 구동방법 및 경보장치를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022B1
KR101053022B1 KR1020090043752A KR20090043752A KR101053022B1 KR 101053022 B1 KR101053022 B1 KR 101053022B1 KR 1020090043752 A KR1020090043752 A KR 1020090043752A KR 20090043752 A KR20090043752 A KR 20090043752A KR 101053022 B1 KR101053022 B1 KR 10105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per blade
alarm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636A (ko
Inventor
김인규
김홍남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에이디엠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에이디엠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3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022B1/ko
Priority to US12/774,382 priority patent/US8468643B2/en
Priority to CA2704438A priority patent/CA2704438C/en
Priority to JP2010113054A priority patent/JP4960477B2/ja
Priority to EP10163068.9A priority patent/EP2253520B1/en
Priority to CN201010182209.6A priority patent/CN101890919B/zh
Publication of KR2010012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2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visual indication of the result of count on counting mechanisms, e.g. by window with magnifying l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3/00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 G06M3/06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for printing or separately displaying result of c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44Wiper blades equipped with means to indicate wear or usage of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블레이드에 설치되어 와이퍼블레이드의 교체에 관련된 경보를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보장치는, 와이퍼장치의 왕복회동하는 와이퍼블레이드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와이퍼블레이드의 일회의 왕복회동을 감지하여 와이퍼블레이드의 회동수가 누적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된 계수유닛과, 하우징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회동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면 계수유닛에 의해 작동되어 경보를 표시하는 표시유닛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계수유닛과 표시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와이퍼블레이드의 와이퍼스트립의 마모에 따른 교체 시기를 와이퍼블레이드의 회동수에 따라 자동적으로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와이퍼장치, 와이퍼, 와이퍼블레이드, 와이퍼스트립, 경보

Description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그 구동방법 및 경보장치를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ALARM INDICATOR FOR USE WITH WIPER BLADE,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A WIPER BLADE WITH AN ALARM INDICATOR}
본 발명은 왕복운동하는 물체에 설치되어 물체의 소정 횟수의 왕복운동후 경보를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와이퍼장치의 와이퍼블레이드에 설치되어 와이퍼블레이드의 회동수를 계수하고 소정 회동수에서 경보를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윈드실드(windshield)의 표면을 닦아내기 위한 와이퍼장치가 통상 설치된다. 와이퍼장치는, 예컨대, 구동모터와, 와이퍼아암과, 윈드실드의 표면에 위치하는 와이퍼블레이드를 포함한다.
구동모터는 왕복회동을 발생시키도록 기능한다. 와이퍼아암은 기단부에서 구동모터의 회동축에 결합된다. 와이퍼블레이드는 와이퍼아암의 말단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와이퍼아암의 기단부에는 와이퍼아암의 말단부를 윈드실드 쪽으로 가압하는 요소가 설치된다. 따라서, 와이퍼블레이드는 와이퍼아암의 가압력 하에서 윈드실드의 표면에 밀착되고, 구동모터의 왕복 회동에 의해 윈드실드의 표 면을 슬라이드하면서 윈드실드의 표면을 닦아낸다.
와이퍼블레이드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는 고무 재질의 길다란 와이퍼스트립과, 와이퍼스트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와이퍼스트립을 고정 및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한다. 프레임 부재는 복수개의 링크를 가진 조립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소정 곡률로 휘어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링크 조립체의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와이퍼블레이드는 링크타입 와이퍼 블레이드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와이퍼블레이드는 플랫 와이퍼블레이드로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와이퍼블레이드를 도시한다. 도 1에는 링크타입 와이퍼블레이드(10)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플랫 와이퍼블레이드(20)가 도시되어 있다.
링크타입 와이퍼블레이드(10)는 메인링크(12a)와 메인링크(12a)에 분기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서브링크(12b)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재(12)와, 서브링크(12b)에 부착되어 지지되는 와이퍼스트립(11)을 구비한다. 플랫 와이퍼블레이드(20)는 하나의 프레임(22)과 프레임(22)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에 제거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와이퍼스트립(21)을 구비한다. 와이퍼블레이드(10, 20)는 메인링크(12a) 또는 프레임(22)의 중간에서 와이퍼아암(30)의 말단부(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와이퍼블레이드(10, 20)에 사용되는 와이퍼스트립(11, 21)은 윈드실드에 접촉하는 측이 역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그 첨단부(11a, 21a)를 따라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된다. 와이퍼장치의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와이퍼블레이드(10, 20)가 와이퍼아암(30)에 의해 왕복 회동하면서, 와이퍼스트립(11, 21)의 첨단부(11a, 21a)는 윈드실드의 표면과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지속적으로 마모된다. 이러한 마모는 와이퍼스트립(11, 21)의 첨단부(11a, 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마모가 상당히 진행되면, 와이퍼스트립(11, 21)의 첨단부(11a, 21a)와 윈드실드의 표면 사이에 균일한 밀착이 행해지지 않고, 들뜬 부분이 형성된다. 결국, 마모가 진행된 와이퍼스트립을 사용하게 되면, 와이퍼스트립에 의해 윈드실드의 표면이 원활하게 닦여지지 않아, 우천시나 설천시에 운전자는 선명하게 전방을 주시할 수 없게 되어, 교통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와이퍼스트립(또는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블레이드)을 적절한 시기에 신품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대응한 종래기술의 일 예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2621호는 와이퍼스트립의 첨단부 위쪽에 표시돌기가 형성된 와이퍼블레이드를 제시하고 있다. 이 문헌에 의하면, 사용자가 육안으로 와이퍼스트립의 첨단부의 마모가 표시돌기까지 진행된 것을 확인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와이퍼스트립의 마모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은 실제로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와이퍼아암을 들어올려 와이퍼스트립의 마모 정도를 확인하여야 하는데, 이는 상당한 불편함을 주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와이퍼스트립의 마모 정도를 확인하는 것을 잊는 경우, 와이퍼스트립의 마모가 계속 진행되어도 사용자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고, 와이퍼블레이드의 적절한 교체 시기를 놓치고 상당히 마모된 와이퍼스트립을 그대로 둔채로 자동차를 운행하게 되 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퍼스트립의 마모에 따른 와이퍼블레이드의 교체 시기에 관련된 경보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시점에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경보장치를 갖춘 와이퍼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는, 와이퍼장치의 왕복회동하는 와이퍼블레이드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와이퍼블레이드의 일회의 왕복회동을 감지하여 와이퍼블레이드의 회동수가 누적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된 계수유닛과; 하우징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회동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면 계수유닛에 의해 작동되어 경보를 표시하는 표시유닛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계수유닛과 표시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한다.
계수유닛은, 하우징 내에 전원에 접속되어 배치되고 와이퍼블레이드의 일회의 왕복회동시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유닛과; 신호발생유닛과 접속되고 신호의 입력시 회동수를 하나씩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유닛은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신호발생유닛은,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레이스를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도전성의 이동체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전원에 전기접속되어 있는 제1 전기접점 및 제어유닛에 전기접속되어 있는 제2 전기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체와 제1 및 제2 전기접점이 접촉하여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레이스는 와이퍼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또는 소정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신호발생유닛은 레이스를 형성하는 관상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동체는 관상체 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는 관상체의 일단부를 포함하고 제2 위치는 관상체의 타단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전기접점은 관상체의 타단부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관상체의 일단부는 자성체를 구비하거나, 이동체가 안착가능한 안착공을 구비할 수 있다.
기준치는 등간격으로 증가하는 다수개의 경보회동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유닛은 다색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유닛은 회동수가 경보회동수에 도달할 때마다 다색발광다이오드를 다색발광다이오드의 발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적어도 일회 점멸시키고 회동수가 경보회동수 중 최대치에 도달하면 다색발광다이오드의 발색 중 다른 하나의 색으로 지속적으로 점멸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유닛은 제1 단색발광다이오드와 제2 단색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유닛은 회동수가 경보회동수에 도달할 때마다 제1 단색발광다이오드를 적어도 일회 점멸시키고 회동수가 최대 경보회동수에 도달하면 제2 단색발광다이오드를 지속적으로 점멸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보장치는 계수유닛 및 전원이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은 하우징 내에서 방수물질로 덮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이며, 와이퍼블레이드를 복수의 횟수로 왕복회동시키는 단계와, 신호발생유닛에 의해 와이퍼블레이드의 왕복회동마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제어유닛에 의해 신호발생유닛으로부터의 신호가 소정 기간 내에 소정 횟수로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신호가 소정 기간 내에 소정 횟수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유닛에 의해 신호발생유닛으로부터의 후속 신호에 대응하여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이며, 신호발생유닛에 의해 제어유닛에 복수개의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제어유닛에 의해 복수개의 신호의 기간 및 간격을 기설정된 기간 및 간격과 비교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신호의 기간 및 간격이 기설정된 기간 및 간격과 일치하면 제어유닛에 의해 신호발생유닛으로부터의 후속 신호에 대응하여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는 제어유닛에 의해 복수개의 신호의 입력 횟수만큼 회동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윈드실드 표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길다란 와이퍼스트립과, 메인링크과 메인링크에 분기형태로 연결되는 복수개 의 서브링크를 구비하고, 와이퍼스트립을 지지하고 부착하기 위한 프레임부재와, 메인링크에 고정된 전술한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와이퍼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윈드실드 표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길다란 와이퍼스트립과, 소정 곡률로 휘어져 있고, 와이퍼스트립을 지지하고 부착하기 위한 하나의 길다란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되는 전술한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와이퍼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에 의하면, 와이퍼블레이드가 교체되어야할 정도로 사용되면 경보장치가 시각적인 경보를 자동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는 와이퍼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이하, 간단히 “경보장치”라 한다)가 설치된 와이퍼블레이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보장치(100)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에 결합되어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왕복 회동의 횟수를 계수하고 그 회동수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사용자에게 와이퍼스트립(211, 221) 또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교체시기가 되었음을 알리도록 기능한다. 경보장치(100)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에의 결합을 위한 하우징(110, 110')을 포함한다.
경보장치(100)가 설치되는 와이퍼블레이드로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링크타입 와이퍼블레이드가 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플랫 와이퍼블레이드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경보장치(100)는 시판 중인 모든 와이퍼블레이드에 채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링크타입 와이퍼블레이드(210)는 고무 재질의 길다란 와이퍼스트립(211)과 와이퍼스트립(211)을 지지하고 부착하기 위한 프레임부재(212)를 포함한다. 프레임부재(212)는 하나의 메인링크(212a)와 메인링크(212a)에 분기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서브링크(212b)를 구비한다. 도 3에서, 경보장치(100)는 하우징(110)에 의해 메인링크(212a)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메인링크(212a)에 예컨대 스냅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플랫 와이퍼블레이드(220)는 와이퍼스트립(221)과, 소정 곡률로 휘어져 있고 와이퍼스트립(221)을 지지하고 부착하는 하나의 길다란 플랫프레임(222)을 포함한다. 도 4에서, 경보장치(100)는 하우징(110')에 의해 플랫프레임(222)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플랫프레임(222)과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은 와이퍼스트립(221)을 플랫프레임(222)에 끼움결합하는데 필요하다. 하우징(110')은 플랫프레임(222)에 예컨대 끼움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경보장치(100)는 하우징(110, 110') 상에 노출되어 있는 표시유닛(150)을 포함한다. 표시유닛(150)은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회동수가 소정 기준체에 도달하면 경보를 표시하도록 기능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표시유닛(150)은 녹색과 적색으로 발광하는 다색발광다 이오드(151)를 포함한다. 예컨대, 경보장치(100)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회동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면 다색발광다이오드(151)를 점멸시켜, 사용자에게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교체에 대한 경보를 알린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럭도이다. 도 6은 경보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경보장치(100)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메인링크(212a) 또는 플랫프레임(222)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10, 110')과, 하우징(110, 110') 내에 배치되고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일회의 왕복회동을 감지하여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계수하는 계수유닛(120)과, 계수유닛(120)에 의해 제어되고 사용자에게 경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유닛(150)과, 계수유닛(120)과 표시유닛(15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160)을 포함한다.
계수유닛(120)은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일회의 왕복회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신호를 이용해 와이퍼블레이드의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계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수유닛(120)은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일회의 왕복회동시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유닛(130)과, 신호발생유닛(130)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계수하고 회동수가 소정 경보회동수를 초과하면 표시유닛(160)을 동작시키는 제어유닛(140)을 포함한다. 계수유닛(120)은 예컨대 인쇄회로기판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신호발생유닛(130)과 제어유닛(13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와이퍼장치는 일반적으로 우천 또는 설천 시에 작동하므로, 계수유닛(120)의 물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그 전체가 하우징(110, 110') 내에서 예컨대 우레탄과 같은 방수물질의 코팅층(111)으로 덮여 있다.(도 7 참조)
신호발생유닛(130)은 전원(160)과 제어유닛(140)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발생유닛(130)은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일회 왕복회동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신호를 제어유닛(14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로서, 신호발생유닛(130)은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회동이 전환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신호발생유닛(130)은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일방향의 회동 중에 전기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유닛(140)은 신호발생유닛(13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어유닛(140)은 회동수의 초기치가 ‘0’으로 설정된 채로 경보장치(100, 100')에 설치된다. 제어유닛(140)은 신호발생유닛(130)으로부터 신호 입력이 있을 때마다 회동수를 초기치로부터 ‘1’씩 누적적으로 증가시킨다. 일 예로서, 제어유닛(140)은 계수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부(141)와, 회동수의 초기치가 기억되어 있고 누적적으로 증가하는 회동수의 값이 기억되는 기억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유닛(140)은 증가하는 회동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면 표시유닛(150)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 기준치는 등간격으로 증가하는 다수의 경보회동수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수의 경보회동수는 100의 간격으로 증가하는 값, 예컨대 100회의 회동수, 200회의 회동수, 300회의 회동수 등으로 정의된다. 제어유닛(140)은 증가하는 회동수가 상기 경보회동수들에 도달할 때 마다 표시유닛(150)을 적어도 일회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경보회동수 중 최대치는 와이퍼스트립(211, 221)의 허용가능한 마모 한계치를 의미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최대 경보회동수는 10만회의 회동수로 정의되어 있다. 제어유닛(140)은 증가하는 회동수가 상기 최대 경보회동수에 도달하면 표시유닛(150)을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최대 경보회동수는 와이퍼장치의 사용 환경(예컨대, 기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표시유닛(150)은 제어유닛(140)에 의해 제어되어,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회동수가 상기 경보회동수에 도달할 때마다 경보를 표시하도록 작동된다. 표시유닛(150)이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회동수와 관련하여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경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운전자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사용 정도(예컨대, 그 회동수)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표시유닛(150)은 시각적인 경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유닛(150)은 다색발광다이오드(151)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다색발광다이오드(151)는 적색광 및 녹색광으로 점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회동수가 상기 경보회동수에 도달하면, 다색발광다이오드(151)는 제어유닛(140)에 의해 적어도 일회 녹색광으로 점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회동수가 상기 최대 경보회동수에 도달하면, 다색발광다이오드(151)는 제어유닛(140)에 의해 지속적으로 적색광으로 점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160)은 신호발생유닛(130), 제어유닛(140) 및 표시유닛(15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로서, 전원(160)은 소형 수은 건전지와 같이 교체 가능한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160)은 계수유닛(120)으로서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경보장치(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6과 유사한 도면으로, 신호발생유닛(130)의 다른 배향을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신호발생유닛(13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신호발생유닛(130)에 대해 더 설명한다.
신호발생유닛(130)은 와이퍼블레이드(210, 220)가 왕복회동할 때 매회 구분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발생유닛(130)은 소정 길이의 레이스(131a)와, 레이스(131a) 상에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체(예컨대, 강구(132))와, 이동체와의 접촉에 의해 상호 전기접속되는 제1 전기접점(133a) 및 제2 전기접점(133b)을 포함한다. 레이스(131a)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길이방향에 수직 또는 소정 각도로 배향된다. 상기 제1 위치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가 회동하지 않을 때 상기 이동체가 대기하고 있는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왕복회동 도중 상기 이동체와 상기 전기접점들 사이의 접촉이 실행되어 전기 신호가 발생되는 위치이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신호발생유닛(130)은 길다란 관상체(131, 131')를 포함하며, 관상체(131, 131')는 그 내부공간이 레이스(131a)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관상체(131, 131')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도 6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관상체(131, 131')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θ)만큼 기울게 배향될 수도 있다.(도 8 참조) 관상체(131, 131')는 마주하는 양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고, 이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위치로 다른 하나가 상기 제2 위치로 된다.
도 9 및 도 10에서, 관상체(131, 131')의 좌측 단부가 제1 위치이고 마주하는 우측 단부가 제2 위치인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자동차에 구비된 와이퍼블레이드(210, 220)가 회동하기 전에 정지되어 있는 위치는 “대기위치”로 참조되고,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왕복회동에서 회동이 전환되는 위치는 “전환위치”로 참조된다.
상기 이동체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관상체(131, 131')의 내부 공간(즉, 레이스(131a)) 내에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체는 강구(132)를 포함한다. 강구(132)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대기위치에서 제1 위치에 유지된다. 제2 위치에는 제1 전기접점(133a)과 제2 전기접점(133b)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제1 전기접점(133a)은 전원(160)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전기접점(133b)은 제어유닛(140)에 접속되어 있다.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일방향의 회동시 강구(132)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다른 방향의 회동시 강구(132)는 제2 위치에서 다시 제1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왕복회동시 제2 위치에서 강구(132)와 제1 및 제2 전기접점들(133a, 133b)이 서로 접촉하여 전원(160)과 신호전달유닛(130)과 제어유닛(140)이 이어지는 전기회로가 형성되므로, 전기 신호가 제어유닛(140)으로 전달된다.
상술한 신호발생유닛(130)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와이퍼블레이드(210, 220)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 강구(132)는 제1 위치에 유지된다. 이를 위해, 관상체(131, 131')는 그 일단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향된다. 즉, 도 6과 같이 신호발생유닛(130)이 배향되는 경우, 관상체(131, 131')의 일단부는 지면을 향하도록 놓인다. 또한, 도 8과 같이 신호발생유닛(130)이 배향되는 경우, 관상체(131, 131')의 일단부는 지면을 향하면서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에 예각으로 경사지게 놓인다. 따라서,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대기위치에서 강구(132)는 이동 없이 제1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와이퍼블레이드(210, 220)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면, 그 회동을 따라 관상체(131, 131')의 배향이 바뀌게 된다. 예컨대, 신호발생유닛(13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된 경우, 와이퍼블레이드(210, 220)가 둔각으로 회동하면, 관상체(131. 131')의 배향도 수직 배향에서 수평 배향을 지나 경사 배향으로 바뀌게 되고, 수평 배향에서 경사배향으로 가는 과정에서 강구(132)는 중력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 위치로 이동한 강구(132)에 의해 상기 회로가 형성되면서 신호발생유닛(130)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반대로, 와이퍼블레이드가 경사 배향에서 수평 배향을 지나 수직 배향으로 복귀하면, 제2 위치에서의 강구(132)는 중력에 의해 제1 위치로 복귀한다.
예컨대, 신호발생유닛(13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된 경우, 관상체(131, 131')가 이미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에 대하여 소정 각도(θ)로 배향되어 있으므로, 와이퍼블레이드(210, 220) 자체가 도 8에 도시된 배향에서 수직 배향 으로 회동하지 않고도 강구(132)는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경보장치(100)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회동 범위가 작은(예컨대, 90도 이내) 와이퍼장치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각도(θ)는 경보장치(100)가 채용되는 와이퍼블레이드가 사용되는 와이퍼장치의 설치 방식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이동체(예컨대, 강구(132))가 와이퍼블레이드의 대기위치에서 제1 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소정 각도(θ)가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일부 자동차의 경우, 와이퍼블레이드가 수평의 대기위치와 그 아래쪽의 수직의 전환위치 사이에서 왕복회동하도록 구성된 와이퍼 장치, 또는 와이퍼블레이드가 수직의 대기위치와 그 아래쪽의 수평의 전환위치 사이에서 왕복회동하도록 구성된 와이퍼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발생유닛(130)이 배향된 경보장치(100)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자동차가 주행하면서 과속방지턱을 지나거나 비포장로 또는 경사로를 주행할 때, 자동차에 가해지는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강구(132)가 제1 위치로부터 이탈하여 제2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신호발생유닛(130)은 와이퍼장치의 작동중이 아님에도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제어유닛(140)은 허수로 회동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또는 이동체를 제1 위치에 더욱 확실히 유지하기 위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체(131)는 제1 위치에 이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요소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요소의 일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유닛(130)은 관상체(131)의 일단부에(즉, 제1 위치 부근에) 마그넷(1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블레이드의 대기위치에서, 강구(132)는 마그넷(134)의 자기인력에 의해 제1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소의 다른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유닛(130)은 관상체(131)의 일단부 부근에 강구(132)가 끼워져 안착할 수 있는 오목한 안착공(13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마그넷(134) 또는 안착공(135)에 의해 강구(132)가 와이퍼블레이드의 대기위치에서 제1 위치에 될 수 있다. 마그넷(134)을 채용하는 경우, 마그넷(134)의 자기인력은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왕복회동 도중 강구(132)가 제1 위치에서 이탈할 수 있을 정도로 정해진다.
한편, 강구(132)를 제1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요소로서, 관상체(131, 131')의 일단부 부근의 내부에 강구(132)를 제1 위치에 멈추게 하고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스토퍼의 탄성력에 의해 강구(132)가 제1 위치에 유지되고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왕복회동 도중 강구(132)가 그 관성력에 의해 스토퍼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제1 위치에서 이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체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체는 도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관상체(131, 131')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원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유닛(150)은 두개의 단색발광다이오드(152a, 152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적색발광다이오드(152a)와 녹색발광다이오드(152b)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유닛(140) 은 회동수가 상기 경보회동수에 도달할 때 마다 녹색발광다이오드(152b)를 적어도 일회 점멸시키고, 회동수가 상기 최대 경보회동수에 도달하면 적색발광다이오드(152a)를 지속적으로 점멸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색과 녹색을 발하는 다색 또는 단색다이오드의 사용을 설명했지만, 적색과 청색 등 구분가능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유닛(150)은 액정디스플레이(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유닛(140)은 누적적으로 증가하는 회동수를 상기 경보회동수에 관계 없이 액정디스플레이(153)를 통해 숫자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표시유닛(150)이 하우징(110, 110')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유닛(150)은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위치, 예컨대 운전자를 향하는 하우징(110, 110')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장치(100)의 예시적 구동을 휴면모드와 작동모드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휴면모드에서는 경보장치(100)의 회동수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예컨대 경보장치(100)가 신품으로서 미사용 상태인 경우 또는 재활용되어 미사용 상태인 구동모드이다. 휴면모드의 경보장치(100)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와는 별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거나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휴면모드의 경보장치(100)가 장착된 와이퍼블레이드(210, 220)를 신호발생유닛(130)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각도 범위로 복수의 횟수(예컨대, 3회 내지 5회) 왕복회동시킨다. 이러한 왕복회동에 의해 신호발생유닛(130)으로부터 제어유닛(140)으로 대체로 규칙적이거나 정기적인 신호가 상기 복수의 횟수 만큼 입력된다. 제어유닛(140)은 이러한 규칙적인 복수의 횟수의 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휴면모드에서 작동모드로 전환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작동 시작을 알리도록 표시유닛(150)을 소정 횟수(예컨대, 약 5회)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어유닛(140)은 소정 시간 내에서 규칙적인 복수의 신호 입력이 있으면(예컨대, 3회 내지 5회) 휴면모드에서 작동모드로 전환되고 표시유닛(150)을 소정 횟수 작동시키도록 미리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140)은 휴면모드에서 전술한 조건의 규칙적인 복수의 신호 입력이 없으면, 휴면모드를 유지하도록 미리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퍼블레이드의 왕복회동 방식으로, 경보장치(100)의 작동 개시가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으며, 경보장치(100)는 별개의 전원스위치 없이 작동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표시유닛(150)의 작동에 의해 경보장치(100)가 작동모드로 전환된 것을 인지한 사용자는 와이퍼블레이드(210, 220)를 와이퍼아암(30)에 장착할 수 있다.
경보장치(100)가 작동모드로 된 상태에서, 제어유닛(140)은 신호발생유닛(13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즉, 와이퍼블레이드의 일회의 왕복회동시마다), 처리부(141)와 기억부(142)의 협력에 의해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계수한다.
구체적으로, 작동모드는 휴지모드, 판정모드, 계수모드 및 경보모드로 구성 될 수 있고, 이러한 모드들에 관련된 동작은 제어유닛(140)에 미리 프로그램될 수 있다. 휴지모드에서는, 제어유닛(140)은 신호발생유닛(130)으로부터의 신호 입력을 대기한다. 판정모드에서는, 제어유닛(140)이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왕복회동에 무관하게 입력될 수 있는 신호(예컨대, 자동차가 과속방지턱 또는 비포장로를 운행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신호)에 의해 오계수하지 않도록 신호발생유닛(130)으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정상 신호인지를 판정한다. 계수모드에서는, 판정모드에서의 판정에 근거해 제어유닛(140)에 신호발생유닛(13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즉, 와이퍼블레이드의 일회의 왕복회동시마다), 처리부(141)와 기억부(142)의 협력에 의해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계수한다. 경보모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수가 경보회동수에 도달할 때마다 표시유닛(150)이 적어도 일회 작동되고, 회동수가 최대경보회동수에 도달하면 표시유닛(150)이 지속적으로 작동된다.
휴지모드에서 대기중, 신호발생유닛(13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경보장치(100)는 판정모드로 이행한다. 판정모드에서, 제어유닛(140)은 신호발생유닛(130)의 소정 횟수의 신호 입력의 기간과 그 간격을 판정한다. 예컨대, 실제의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작동시 와이퍼장치에 의해 와이퍼아암은 규칙적인 주기로 왕복회동하므로, 이러한 주기적 왕복회동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들의 기간과 그 간격을 사용해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정상 작동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윈드실드를 세척액을 사용하여 닦아내기 위해 와이퍼장치를 작동시키는 경우, 와이퍼장치는 소정 횟수 규칙적으로 작동후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제어유닛(140)은 휴지모드에서 대기중 입력되는 소정 횟수의 신호 들의 기간 및 간격을 기설정된 기간 및 간격과 비교하여 와이퍼블레이드(210, 220)의 정상 작동을 판정한다. 상기 기설정된 기간 및 간격은 와이퍼블레이드가 장착되는 와이퍼장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예컨대, 30초 내에서 3회의 신호 입력). 판정모드에서 정상작동인 것으로 판정되면, 경보장치(100)는 계수모드로 이행하고, 후속하는 신호발생유닛(130)으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회동수를 하나씩 누적적으로 계수한다. 판정모드에서 계수모드로 이행할 때, 제어유닛(140)은 판정모드에서 입력된 신호들의 횟수만큼 회동수를 증가시키고 계수모드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판정모드를 통해, 와이퍼블레이드의 작동과 무관하게 신호발생유닛(130)으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신호(예컨대, 자동차가 과속방지턱 또는 비포장로를 운행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신호)에 의해 오계수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수모드에서 회동수가 상기 경보회동수에 도달하면, 경보장치(100)는 경보모드로 이행하여 제어유닛(140)이 표시유닛(150)(예컨대, 다색발광다이오드(151), 단색발광다이오드(152a, 152b))을 적어도 1회 작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보장치(100)가 정상적으로 작동중이고 정상적으로 계수를 실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유닛(150)이 다색발광다이오드(151)를 포함하는 경우, 다색발광다이오드(151)는 예컨대 녹색광으로 점멸하도록 제어유닛(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표시유닛(150)이 단색발광다이오드(152a, 152b)를 포함하는 경우, 표시유닛(150)은 예컨대 녹색발광다이오드(152b)를 작동하도록 제어유닛(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계수모드에서 회동수가 상기 최대경보회동수에 도달하면, 경보장치(100)는 경보모드로 이행하여 제어유닛(140)이 표시유닛(150)을 지속적으로 작동시킨다. 다색발광다이오드(151)의 표시유닛(150)의 경우, 다색발광다이오드(151)은 적색광으로 지속적으로 점멸하도록 제어유닛(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단색발광다이오드(152a, 152b)의 표시유닛(150)의 경우, 적색발광다이오드(152a)는 지속적으로 점멸하도록 제어유닛(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지속적 점멸의 경우, 표시유닛(150)은 예컨대 전원(160)이 완전히 소모될 때까지 작동하도록 제어유닛(140)에 의해 제어될 수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링크타입 와이퍼블레이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플랫 와이퍼블레이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보장치가 장착된 링크타입 와이퍼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장치가 장착된 플랫 와이퍼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과 유사한 도면으로 신호발생유닛의 다른 배향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9는 신호발생유닛의 일 실시예의 내부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신호발생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표시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경보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표시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경보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경보장치 110, 110' : 하우징
120 : 계수유닛 130 : 신호발생유닛
131 : 관상체 132 : 이동체
133a, 133b : 전기접점 134 : 자성체
135 : 안착공 140 : 제어유닛
141 : 처리부 142 : 기억부
150 : 표시유닛 151 : 다색발광다이오드
152a, 152b : 단색발광다이오드 160 : 전원
210, 220 : 와이퍼블레이드 211, 221 : 와이퍼스트립
212a : 메인링크 222 : 프레임

Claims (16)

  1. 삭제
  2. 와이퍼장치의 왕복회동하는 와이퍼블레이드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퍼블레이드의 일회의 왕복회동을 감지하고 상기 와이퍼블레이드의 회동수가 누적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된 계수유닛과;
    상기 하우징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동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계수유닛에 의해 작동되어 경보를 표시하는 표시유닛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계수유닛과 상기 표시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계수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전원에 접속되어 배치되고, 상기 와이퍼블레이드의 일회의 왕복회동시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유닛과;
    상기 신호발생유닛과 접속되고, 상기 신호의 입력시 상기 회동수를 하나씩 증가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표시유닛은 다색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치는 등간격으로 증가하는 다수의 경보회동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회동수가 상기 경보회동수에 도달하면 상기 다색발광다이오드를 상기 다색발광다이오드의 발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적어도 일회 점멸시키고 상기 회동수가 상기 경보회동수의 최대치에 도달하면 상기 다색발광다이오드의 발색 중 다른 하나의 색으로 지속적으로 점멸시키도록 구성되는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유닛은,
    소정 길이의 레이스를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도전성의 이동체와,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전기접점 및 상기 제어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제2 전기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와 상기 제1 및 제2 전기접점이 접촉하여 상기 신호가 발생되는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는 상기 와이퍼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향되는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는 상기 와이퍼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소정 각도로 배향되는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유닛은 상기 레이스를 형성하는 관상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관상체 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되는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관상체의 일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관상체의 타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상체는 상기 일단부에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기접점은 상기 관상체의 상기 타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관상체의 일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관상체의 타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상체는 상기 일단부에 상기 이동체가 안착하는 안착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기접점은 상기 관상체의 상기 타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9. 삭제
  10. 와이퍼장치의 왕복회동하는 와이퍼블레이드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퍼블레이드의 일회의 왕복회동을 감지하고 상기 와이퍼블레이드의 회동수가 누적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된 계수유닛과;
    상기 하우징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동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계수유닛에 의해 작동되어 경보를 표시하는 표시유닛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계수유닛과 상기 표시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계수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전원에 접속되어 배치되고, 상기 와이퍼블레이드의 일회의 왕복회동시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유닛과;
    상기 신호발생유닛과 접속되고, 상기 신호의 입력시 상기 회동수를 하나씩 증가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표시유닛은 제1 단색발광다이오드와 제2 단색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치는 등간격으로 증가하는 다수의 경보회동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회동수가 상기 경보회동수에 도달하면 상기 제1 단색발광다이오드를 적어도 일회 점멸시키고 상기 회동수가 상기 경보회동수 중 최대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2 단색발광다이오드를 지속적으로 점멸시키도록 구성되는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유닛 및 상기 전원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방수물질로 덮여 있는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12. 제2항의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이며,
    상기 와이퍼블레이드를 복수의 횟수 왕복회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신호발생유닛에 의해 상기 와이퍼블레이드의 왕복회동마다 신호를 발생 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신호발생유닛으로부터의 신호가 소정 기간 내에 소정 횟수로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가 소정 기간 내에 소정 횟수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신호발생유닛으로부터의 후속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2항의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이며,
    상기 신호발생유닛에 의해 상기 제어유닛에 복수개의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신호의 기간 및 간격을 기설정된 기간 및 간격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신호의 기간 및 간격이 상기 기설정된 기간 및 간격과 일치하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신호발생유닛으로부터의 후속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를 누적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복 수개의 신호의 입력수만큼 상기 회동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15. 자동차의 윈드실드 표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길다란 와이퍼스트립과,
    메인링크와 상기 메인링크에 분기형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브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퍼스트립을 지지하고 부착하기 위한 프레임부재와,
    상기 메인링크에 고정된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와이퍼블레이드.
  16. 자동차의 윈드실드 표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길다란 와이퍼스트립과,
    소정 곡률로 휘어져 있고, 상기 와이퍼스트립을 지지하고 부착하기 위한 하나의 길다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와이퍼블레이드.
KR1020090043752A 2009-05-19 2009-05-19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그 구동방법 및 경보장치를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 KR10105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752A KR101053022B1 (ko) 2009-05-19 2009-05-19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그 구동방법 및 경보장치를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
US12/774,382 US8468643B2 (en) 2009-05-19 2010-05-05 Warning indicator for use with wiper blades,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wiper blade with a warning indicator
CA2704438A CA2704438C (en) 2009-05-19 2010-05-13 Warning indicator for use with wiper blades,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wiper blade with a warning indicator
JP2010113054A JP4960477B2 (ja) 2009-05-19 2010-05-17 ワイパーブレード用警報装置、その作動方法及び警報装置を備えるワイパーブレード
EP10163068.9A EP2253520B1 (en) 2009-05-19 2010-05-18 Warning indicator for use with wiper blades,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wiper blade with a warning indicator
CN201010182209.6A CN101890919B (zh) 2009-05-19 2010-05-19 雨刮片的报警指示器、操作方法及带报警指示器的雨刮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752A KR101053022B1 (ko) 2009-05-19 2009-05-19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그 구동방법 및 경보장치를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636A KR20100124636A (ko) 2010-11-29
KR101053022B1 true KR101053022B1 (ko) 2011-08-01

Family

ID=4235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752A KR101053022B1 (ko) 2009-05-19 2009-05-19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그 구동방법 및 경보장치를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68643B2 (ko)
EP (1) EP2253520B1 (ko)
JP (1) JP4960477B2 (ko)
KR (1) KR101053022B1 (ko)
CN (1) CN101890919B (ko)
CA (1) CA270443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8775B2 (en) 2018-10-15 2022-05-2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per of vehicle
US11834007B2 (en) 2021-07-27 2023-12-05 Cap Corporation Indicator for wiper blade and wiper bla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JP2012120057A (ja) 2010-12-02 2012-06-2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EP2524845B1 (en) * 2011-05-20 2014-07-09 Valeo Systèmes D'Essuyage Method and device to control power consumption in a windshield wiper unit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327031B1 (ko) 2011-10-31 2013-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의 내구성 판단 장치
US9481343B2 (en) 2011-12-14 2016-11-01 Federal-Mogul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US20160207500A1 (en) * 2015-01-19 2016-07-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wiper blades
CN104816708A (zh) * 2015-05-01 2015-08-05 陈瑞昆 一种具有延时功能的汽车用雨刷器
FR3056783B1 (fr) * 2016-09-28 2020-06-12 Valeo Systemes D'essuyage Procede d'evaluation du vieillissement d'une lame d'essuyage d'un balai d'essuie-glace d'un vehicule automobile
FR3056784B1 (fr) * 2016-09-28 2018-11-16 Valeo Systemes D'essuyage Procede de determination de l'usage en balayage d'un balai d'essuie-glace, et systeme d'essuyage
FR3056785B1 (fr) * 2016-09-28 2019-08-16 Valeo Systemes D'essuyage Procede de suivi de l'evolution de l'etat d'usure d'un balai d'essuie-glace
DE102016220087A1 (de) * 2016-10-14 2018-04-19 Robert Bosch Gmbh Wischerblatt und Scheibenwischersystem
KR101895762B1 (ko) * 2017-02-13 2018-09-0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CN110901590A (zh) * 2018-09-14 2020-03-24 罗伯特·博世有限公司 雨刮器系统、控制方法及车辆
CN110136400B (zh) * 2019-03-29 2021-04-23 广州明珞汽车装备有限公司 一种电极帽更换报警方法和系统
CN110775018A (zh) * 2019-10-31 2020-02-11 安徽百宏达汽车电器有限公司 带有故障自检系统的电动雨刮器及其自检方法
US11414216B2 (en) * 2019-12-13 2022-08-16 Rosemount Aerospace Inc. Monitoring aircraft windscreen blade usage and health
CN112141045A (zh) * 2020-09-30 2020-12-29 广州东领科技有限公司 一种防腐蚀挡风玻璃自动清洁橡胶刷雨刮器
BR102022012671A2 (pt) * 2022-06-24 2024-01-09 Jefferson Cândido De Oliveira Lâmina com identificação do prazo de validade para limpador de parabris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357A (ko) * 2001-11-01 2003-05-14 주식회사 유비케어 가속도 변화 검출장치
WO2004066330A1 (en) 2003-01-17 2004-08-05 Sarbar Limited Electrical switch
KR100444019B1 (ko) 2002-11-11 2004-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시기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107645A (ko) * 2003-06-09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블레이드 교환 알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9911A (en) * 1968-01-16 1969-08-05 Inertia Switch Inc Inertia switch with magnetic shunting
DE3639831A1 (de) 1986-11-21 1988-05-26 Swf Auto Electri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hoehung der betriebssicherheit eines kraftfahrzeuges
US5612931A (en) * 1994-07-07 1997-03-18 Casio Computer Co., Ltd.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s equipped with the switch device
US5640786A (en) 1995-07-05 1997-06-24 Buyayez; Taher Monitored footwear with step counter and speedometer display
DE19614100C2 (de) 1996-04-10 2000-12-0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Ermittlung des Zustandes eines Wischerblattes
DE19620320C2 (de) 1996-05-21 2002-07-1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des Zustands eines Wischblatts eines Kraftfahrzeugs
US7161313B2 (en) * 1997-08-26 2007-01-09 Color Kinetics Incorporated Light emitting diode based products
KR100249342B1 (ko) * 1998-02-21 2000-04-01 손일호 부상방지용와이퍼
KR200202621Y1 (ko) 2000-06-29 2000-11-15 주식회사캄코 교체표시수단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US6555772B1 (en) * 2001-10-05 2003-04-29 Tien-Ming Chou Vibration switch
DE10235566A1 (de) 2002-08-03 2004-02-12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05044667A1 (de) 2005-09-19 2007-03-2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Zählen von Schritten einer Person
JP5180542B2 (ja) 2007-08-31 2013-04-10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357A (ko) * 2001-11-01 2003-05-14 주식회사 유비케어 가속도 변화 검출장치
KR100444019B1 (ko) 2002-11-11 2004-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시기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WO2004066330A1 (en) 2003-01-17 2004-08-05 Sarbar Limited Electrical switch
KR20040107645A (ko) * 2003-06-09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블레이드 교환 알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8775B2 (en) 2018-10-15 2022-05-2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per of vehicle
US11834007B2 (en) 2021-07-27 2023-12-05 Cap Corporation Indicator for wiper blade and wiper 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90919A (zh) 2010-11-24
EP2253520B1 (en) 2015-08-26
CN101890919B (zh) 2014-06-11
JP2010269784A (ja) 2010-12-02
US8468643B2 (en) 2013-06-25
CA2704438C (en) 2013-12-17
KR20100124636A (ko) 2010-11-29
EP2253520A3 (en) 2012-05-16
JP4960477B2 (ja) 2012-06-27
CA2704438A1 (en) 2010-11-19
US20100293738A1 (en) 2010-11-25
EP2253520A2 (en)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022B1 (ko)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그 구동방법 및 경보장치를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
US8505153B2 (en) Wiper with vibrating cleaning apparatus
US20110197381A1 (en) Wiper with reciprocating cleaning apparatus
KR20150037849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CN112351920A (zh) 车用清洗装置
CN112839846A (zh) 车用清洗装置、车用清洗方法及记录介质
JP2019509924A (ja) 車両の窓を清掃するための装置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749119A (en) Windshield wiper blade deicer
JP2020075537A (ja) ワイパ装置
GB2471674A (en) A wash-wipe system for a vehicle transparent member
KR101895762B1 (ko)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CN205675000U (zh) 一种车牌自动清洗系统
KR20190058902A (ko) 와이퍼 교체주기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941192B (zh) 自动化板体状态切换系统
US6598259B1 (en) Wind screen wiper apparatus
US20230386274A1 (en) Wiper blade for vehicle notifying of replacement timing
KR200202621Y1 (ko) 교체표시수단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JP2019001295A (ja) 車両用報知装置
JP2020196341A (ja) 車載センサ洗浄装置
CN217022443U (zh) 清洁系统以及自动驾驶车辆
KR200272663Y1 (ko) 자동차용 와이퍼와셔액 부족 경고장치
US1076987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wiping use of a wiper blade, and wiper system
DE60309436D1 (de) Synchronisationseinrichtung für mindestens zwei Scheibenwischer
KR19980045959U (ko) 차량용 와셔액 리저버 탱크
CN117561185A (zh) 用于确定雨刮器片的磨损状态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