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893B1 -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893B1
KR101052893B1 KR1020110030186A KR20110030186A KR101052893B1 KR 101052893 B1 KR101052893 B1 KR 101052893B1 KR 1020110030186 A KR1020110030186 A KR 1020110030186A KR 20110030186 A KR20110030186 A KR 20110030186A KR 101052893 B1 KR101052893 B1 KR 10105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pressure
leak
air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열
박정희
Original Assignee
박정희
최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희, 최동열 filed Critical 박정희
Priority to KR1020110030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893B1/ko
Priority to PCT/KR2012/002434 priority patent/WO201213424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5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means for testing or calib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8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mechanical, e.g. for tub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그의 내시경 누수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내시경에 장착 분리되는 소형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내시경 세정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내시경에 장착되어, 내시경의 관로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가압하고,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등을 이용하여 내시경 관로의 압력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내시경의 누수 발생 여부를 판별한다. 이를 위해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내시경의 누수 발생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표시부 및 알람부를 구비하여 검사 결과를 외부로 알려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속하고 용이하게 내시경 누수 검사가 가능하므로, 내시경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검사 방법{ENDOSCOPE LEAKAG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약액 또는 가스 등이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관로가 제공되는 내시경의 관로 손상 여부에 따른 누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체내를 검사, 수술하거나 또는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장기들 예를 들어, 기관지, 식도, 위, 심장 및 대장 등에 대하여 장기 내부에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이러한 내시경에는 CCD 센서 등의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장기를 관찰한다. 예컨대, 내시경에는 체내에 삽입되는 일단에 스코프 유닛이 제공된다. 스코프 유닛에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CCD 카메라, CCD 카메라의 움직임을 구동하는 앵글(angle)부 및, 피사체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등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 내시경은 약액 또는 가스 등을 주입하는 다수의 관로가 제공된다. 또 내시경에는 소형 카메라의 움직임을 제어하거나 빛을 조사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들이 삽입되는 관로가 제공된다.
이러한 내시경은 시술 전에 관로들의 손상 여부를 검사하는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는 관로의 어느 부분이 손상되어 스코프 유닛이 관로로 공급되는 약액 또는 가스에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내시경의 고장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내시경 전체를 폐기해야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어 시술 전에 반드시 누수 검사가 요구된다.
따라서 일선 병원에서는 일반적으로 내시경을 시술에 사용하기 전에 내시경을 세척하는 내시경 세척기를 이용하여 내시경 누수 검사를 실시하고, 이상이 없으면, 내시경을 시술에 사용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할 종래의 내시경 누수 검사장치 및 방법은 검사시간이 매우 길고 누수의 위치를 감지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고도의 숙련된 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에 검사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종래의 내시경 누수검사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내시경 시스템(2)은 내시경(20)과, 주변 장치(10)로 구성된다. 이 내시경 시스템(2)은 예를 들어, 일본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사에 의해 특허 출원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97522호(공개일 2007년 10월 4일)에 개시된 것이다.
즉, 내시경(20)은 삽입부(30)와, 조작부(40) 및 커넥터부(70)를 포함한다. 주변 장치(10)는 송기 송수 장치(12)와, 광원 장치(14) 및 신호 처리 장치(16)를 포함한다. 또 주변 장치(10)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키입력부, 모니터 등이 더 구비된다.
삽입부(30)는 체강 내에 삽입되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삽입부(30)는 경질의 선단 경질부(32)와, 만곡 조작되는 만곡부(34) 및, 길게 연장되는 가요성 관부(36)를 선단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선단 경질부(32)의 선단측에는 체강 내의 환부에 송기 송수를 행하는 동시에, 환부를 처치하는 처치구를 돌출시키는 선단 개구(22)와, 관찰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촬상 유닛(24, 26)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촬상 유닛(24, 26)은 CCD 센서 등과 같은 소형 카메라로 제공된다. 한편, 선단 경질부(32)의 내부에는 촬상 유닛(24, 2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절환 회로부(28)가 수용된다. 이 절환 회로부(28)는 촬상 유닛(24, 26) 중 어느 하나와 내시경(20)의 전기 커넥터(56)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절환한다.
삽입부(30)의 후단측에는 조작부(40)가 연결된다. 조작부(40)는 삽입부(30)와 연결되는 일측에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시퀀스(42)를 갖는다. 파지부 시퀀스(42)에는 내시경 처치구(미도시됨)를 삽입하기 위한 처치구 삽입구(44)가 구비된다. 처치구 삽입구(44)는 내부에 형성된 제1 채널(46)과 접속되고, 제1 채널(46)은 파지부 시퀀스(42) 및 삽입부(20)를 삽입 관통되어 선단 경질부(32)의 선단 개구(22)에 접속된다. 그리고 처치구 삽입구(44)로부터 내시경 처치구를 삽입하여, 제1 채널(46)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선단 개구(22)로부터 내시경 처치구가 돌출된다.
파지부 시퀀스(42)의 타측에는 조작부 시퀀스(50)가 일체로 연결된다. 조작부 시퀀스(50)의 측면에는 만곡부(34)를 만곡 조작하기 위한 상하 만곡 손잡이(52) 및 좌우 만곡 손잡이(54)가 공축에 피봇 지지된다. 이들 상하 만곡 손잡이(52) 및 좌우 만곡 손잡이(54)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만곡부(34)를 4 방향으로 만곡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부 시퀀스(50)에는 선단 경질부(32)의 선단 개구(22)로부터의 송기 송수를 조작하기 위한 송기 송수 스위치(56)와, 선단 경질부(32)의 절환 회로부(28)를 작동시키기 위한 절환 스위치(58)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조작부(40)로부터 유니버설 케이블(60)이 연장 돌출되고, 유니버설 케이블(60)의 단부에는 커넥터부(70)가 배치된다.
커넥터부(70)에는 주변 장치(10)의 송기 송수 장치(12)에 접속되는 송기 송수 연결 포트(72)가 배치된다. 송기 송수 연결 포트(72)의 내측에는 제2 채널(48)이 접속되고, 제2 채널(48)은 유니버설 케이블(60) 및 조작부(40)에 삽입 관통되어, 파지부 시퀀스(42) 내에서 제1 채널(46)에 합류된다. 그리고 송기 송수 스위치(56)를 조작함으로써, 송기 송수 장치(12)로부터 송기 송수 연결 포트(72), 제2 및 제1 채널(48, 46) 및 선단 개구(22)를 통해 환부에의 송기 송수가 이루어진다.
또 커넥터부(70)에는 광원 장치(14)에 접속되는 광원 커넥터(74)가 배치된다. 광원 커넥터(74)의 내측 단부에는 라이트 가이드(미도시됨)가 접속되고, 이 라이트 가이드는 유니버설 케이블(60), 조작부(40) 및 삽입부(30)를 삽입 관통되어, 선단 경질부(32)의 조명 렌즈(미도시됨)에 접속된다. 또한, 광원 장치(14)는 조작부(40)의 절환 스위치(58)를 조작함으로써, 통상 광 관찰용의 통상 광과 형광 관찰용의 여기 광을 선택적으로 생성한다. 그리고 광원 장치(14)로부터 광원 커넥터(74), 라이트 가이드 및 조명 렌즈를 통해 환부에 통상 광 혹은 여기 광이 조사된다.
또한, 커넥터부(49)에는 선단 경질부(32)의 절환 회로부(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76)가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76)는 스코프 케이블(78)을 통해 영상 등의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16)에 접속된다.
이러한 내시경(20)은 내시경 세척기를 이용하여 누수 검사를 실시하며, 내시경 누수 검사에 관한 기술은 이미 다양하게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등록공보 제10-0964769호(공고일 : 2010년 06월 21일)의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 및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에 의한 누수 검지 방법'은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를 이용하여 내시경 세정 및 소독 시, 누수 상태를 함께 검사한다. 그러나 이 경우, 내시경이 세정조에서 침지된 상태에서 누수를 검사하므로, 내시경의 정확한 누수 위치를 발견하기가 어렵고, 누수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길다. 뿐 만 아니라, 현재 상용화된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가 고가이고, 간호사 등이 상주하여 직접 동작시켜서 검사하기 때문에 구매비, 인건비 등 비용 측면에서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 누수검사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비용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그의 내시경 누수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시경 누수 부분을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그의 내시경 누수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내시경에 장착되어 내시경 누수 검사를 실시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빠르고 용이하게 내시경 누수 검사를 처리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일단이 내시경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에 밀폐되게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연결 튜브 및; 상기 연결 튜브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 튜브를 통해 상기 관로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관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며, 상기 관로의 압력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내시경의 누수를 검사하는 테스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테스터는; 상기 테스터로 직류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관로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와; 상기 에어 공급부로부터 일정 압력의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관로로부터 에어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테스터를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누수 검사를 실시하도록 입력하는 모드 선택 버튼과; 상기 모드 선택 버튼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기 관로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관로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에어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관로의 압력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내시경의 누수를 판별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내시경에 누수가 발생되는 것이 판별되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서 누수 발생 상태와 상기 압력 변화에 따른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스터는; 상기 직류 전원 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정전압을 공급하도록 하는 정전압 회로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잔량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 레벨 검출 회로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일정 압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받는 모터 구동 회로와; 상기 모터 구동 회로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일정 크기의 회전수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회전수에 대응하여 일정 압력의 에어를 상기 연결 튜브로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서 개폐하는 밸브 구동 회로 및; 상기 테스터의 누수 검사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밸브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관로에 가압된 에어를 배출하도록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스터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내시경의 누수 검사 결과를 외부로 알리는 알람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시경의 관로로 공급되는 상기 일정 압력에 대응되는 최대 압력값과,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이 허용 범위 내의 오차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편차값을 설정, 저장하고, 상기 측정된 압력값을 상기 최대 압력값과 비교하여 상기 내시경의 누수 발생 여부를 판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내시경에 장착되는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를 이용한 내시경 누수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누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방법은, 내시경에 상기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내시경의 내부 관로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관로에 상기 일정 압력이 유지되도록 안정화하는 단계와; 상기 안정화된 후, 일정 시간 동안에 상기 관로의 압력값을 복수 회 측정하여 평균 압력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 압력값과 설정된 압력값을 비교하여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편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편차가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관로로 상기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관로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관로에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었음을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시경을 물이 수용된 처리조에 넣는 단계와; 상기 내시경의 관로로 에어를 다시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가압된 압력을 유지하여 상기 내시경의 누수 부분을 확인하는 단계와; 누수 부분이 확인되면, 상기 관로로 가압을 중지하는 단계 및; 상기 내시경의 관로에 가압된 에어를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편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알리는 단계는; 상기 자동 모드 또는 상기 수동 모드에서 상기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표시부 및 알람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관로의 누수 상태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내시경에 장착 분리되어 내시경의 누수를 검사함으로써, 내시경을 이용한 시술 전 또는 시술 후에 즉시 누수 검사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내시경의 누수 상태를 예컨대, 세정액, 린스액, 물 등의 약액을 사용하여 내시경을 세정 및 소독하기 전에 검사함으로써, 내시경을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누수 발생 시에 내시경의 수리 등에 따른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누수 검사 시간이 비교적 짧고,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검사 가능하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내시경 누수 검사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구매 가능하고, 작업자가 상주하지 않고서도 누수 검사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수동 모드를 통해 내시경의 누수 발생 시, 누수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뿐 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내시경 검사 결과, 내시경이 누수 발생 상태이면, 내시경 제조업체 등에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므로, 신속히 후속 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내시경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장착된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연결 어댑터와 연결 튜브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력 센서 및 그 신호 처리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표시부의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검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드에 의한 누수 검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모드에 의한 누수 검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내시경 누수 검사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검사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장착된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연결 어댑터와 연결 튜브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내시경(20)은 삽입부(30)와, 조작부(40)와, 유니버설 케이블(60) 및, 커넥터부(70)를 포함한다. 삽입부(30)의 선단에는 CCD 센서 등의 소형 카메라가 포함된 스코프 유닛(32)이 구비된다. 이러한 내시경(2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대체로 유사한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내시경(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내시경(20)은 예를 들어,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사, 후지논 사, 펜탁스 사 등과 같이 다양한 제조사 및 모델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는 내시경의 관로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하여 누수 발생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내시경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는 내시경 누수 검사를 위한 휴대용 장치로, 내시경(20)의 커넥터부(70)에 장착되거나 분리된다. 즉,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는 내시경(20)의 누수 검사를 위하여 커넥터부(70)에 장착된다. 이러한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는 내시경(20) 내부에 형성된 관로(미도시됨)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고, 이를 통해 내시경(20) 내부의 압력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내시경 누수를 검사 및 판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는 내시경(20)에 장착, 분리 가능하고 소형으로 제공되므로, 휴대 및 검사가 용이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내시경(20)의 누수 검사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는 내시경(20)과 연결되는 연결 어댑터(160)와, 연결 어댑터(160)에 결합되는 연결 튜브(150) 및, 연결 튜브(150)와 결합되어 내시경(20)의 관로에서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테스터(100a)를 포함한다.
연결 어댑터(160)는 내시경(20)의 커넥터부(70)에 삽입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한 금속 어댑터(162)와 방수캡(164)을 포함한다. 즉, 연결 어댑터(16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금속 어댑터(162)와, 금속 어댑터(162)의 개방된 일면의 반대 측면에 삽입, 장착되는 방수캡(164)을 포함한다. 금속 어댑터(162)의 측면에는 연결 튜브(150)가 삽입, 장착되는 연결구(166)가 제공된다. 금속 어댑터(162)는 내시경(20)의 커넥터부(70) 일측 즉, 송기 송수 연결 포트(72)에 삽입, 회전하여 고정된다. 이 때, 금속 어댑터(162)는 송기 송수 연결 포트(72)에 밀폐 결합된다.
연결 튜브(150)는 연결 금속 부재(152)를 통해 금속 어댑터(162)의 연결구(166)에 삽입, 회전되어 고정된다. 이 때에도 금속 어댑터(162)의 연결구(166)와 연결 금속 부재(152)는 밀폐 결합된다. 연결 튜브(150)는 예컨대, 플렉시블 재질로 구비되고, 일단이 연결 금속 부재(152)에 장착되며, 타단이 테스터(100a)에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 튜브(150)는 연결 어댑터(160)를 통해 내시경(20)과 테스터(100a)를 연결한다.
그리고 테스터(100a)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크기의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일면에 제공되는 표시부(104)와, 전원 스위치(106) 및, 복수 개의 모드 선택 버튼들(105)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모드 선택 버튼들(105)은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도록 2 개가 제공된다. 물론 모드 선택 버튼(105)은 테스터(100a)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드 선택 버튼(105)을 하나로 구비하고, 이를 온, 오프시킴에 따라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겠다.
또 테스터(100a)의 하우징(101) 일측에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는 전원 잭(또는 소켓)(109)과, 연결 튜브(150)를 연결하는 연결 포트(107)가 구비된다. 연결 포트(107)는 연결 튜브(150)가 삽입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력 센서 및 그 신호 처리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그리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표시부의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테스터(100a)는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2)와,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10)와, 테스터(100a)의 내시경(20) 누수 검사 및 동작 상태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104)와, 내시경(20)의 관로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120)와, 내시경(20)의 관로에서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140)와,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미도시됨)와 연결되어, 컨트롤러(102)의 내부에 제공되는 메모리(103)에 저장되는 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입하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90) 및, 테스터(100a)의 동작 상태, 검사 결과 등에 따라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108)를 포함한다. 또 테스터(100a)는 전원 스위치(106)와, 복수 개의 모드 선택 버튼들(105)을 포함한다.
또 테스터(100a)는 일정 압력의 크기를 가변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1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압력 조절부(180)는 예를 들어, 다수의 업다운 버튼들로 구비되어, 테스터(100a)의 가압 및 측정 압력의 레벨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테스터(100a)는 내시경(20)의 관로로 가압하거나 압력 센서(140)에 의해 측정하는 압력값을 최대 약 300mmHg 정도의 압력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내시경에 적합하도록 가압 및 측정 압력값의 범위를 압력 조절부(180)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관지 시술용 내시경의 경우에는 테스터(100a)의 압력값을 최대 약 250mmHg 정도로 조절 가능하다.
컨트롤러(10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으로 구비된다. 컨트롤러(102)는 내부에 기입, 독출 가능한 메모리(103)를 구비하고, 메모리(103)에 테스터(100a)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컨트롤러(102)는 메모리(103)에 내시경의 관로로 공급되는 에어의 최대 압력값이 설정, 저장된다. 또 컨트롤러(102)는 압력 센서(140)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이 허용 범위 내의 오차인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허용 범위의 오차값을 설정, 저장한다.
또 컨트롤러(102)의 제어 프로그램에는 테스터(100a)의 내시경 누수 검사 모드의 처리 방법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내시경 누수 검사 모드에는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로 구비되고, 모드 선택 버튼(105)에 의해 하나의 내시경 누수 검사 모드가 선택되면, 컨트롤러(102)는 이에 응답해서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내시경의 누수 상태를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 방법은 다음의 도 7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 공급부(110)는 교류 전원을 받아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부(112)와, 테스터(100a) 내부에 구비되어, 직류 전원부(112)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4)와, 직류 전원부(112)와 배터리(114)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받아서 정전압으로 공급하는 정전압 회로(116) 및, 배터리(114) 전원의 잔량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 레벨 검출 회로(118)를 포함한다. 직류 전원부(110)는 예를 들어, 전원 플러그를 갖는 전원 어댑터로 제공되어, 이 전원 플러그를 테스터(100a)의 하우징(101)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 잭(109)에 삽입되는 형태를 갖거나, 테스터(100a) 내부에 구비되어 교류 전원을 받아서 직류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배터리 레벨 검출 회로(118)는 배터리(114)의 전원의 잔량이 로우 레벨으로 검출되면, 검출 결과를 컨트롤러(102)로 제공한다.
에어 공급부(120)는 내시경(20)의 관로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모터 구동 회로(122)와 모터(124) 및 펌프(126)를 포함한다. 모터(124)와 펌프(126)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모터 구동 회로(122)는 컨트롤러(102)의 제어를 받아서 모터(124)를 구동한다. 모터(124)는 일정 압력(예를 들어, 약 300mmHg)에 대응하여 펌프(126)를 동작시킨다. 펌프(126)는 연결 튜브(160)와 연결 어댑터(170)를 통해 내시경(20)의 관로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한다.
또 에어 공급부(120)는 내시경(20)의 관로로부터 가압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하여 밸브 구동 회로(130) 및 솔레노이드 밸브(132)를 포함한다. 밸브 구동 회로(130)는 컨트롤러(102)의 제어를 받아서 솔레노이드 밸브(132)를 개폐시킨다. 솔레노이드 밸브(132)는 연결 튜브(160)에 연결된다. 밸브 구동 회로(130)는 테스터(100a)에서 누수 검사가 완료되면, 솔레노이드 밸브(132)를 개방시켜서 내시경(20)의 관로에 공급된 에어를 배출한다. 또 밸브 구동 회로(132)는 일정 압력의 에어가 관로에 공급된 후, 자동 모드에서 반복 검사를 위해 누수 검사 시간 동안에 주기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132)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압력 센서(140)는 내시경(20)의 관로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압력을 측정한다. 물론 압력 센서(140)는 내시경(20)의 관로로 가압된 에어의 유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예를 들어, 유량(flow) 센서 등으로 대체 가능하다.
이 실시예의 압력 센서(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측정 압력의 레벨이 가변 조절된다. 즉, 압력 센서(140)의 신호 처리 회로는 복수 개의 저항(R1 ~ R6)들과, 하나의 트랜지스터(Q1) 및, 하나의 캐패시터(C1)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저항(R1, R2)은 컨트롤러(102)로부터 압력 센서(140)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받아서 트랜지스터(Q1)를 턴온(turn on) 시킨다. 트랜지스터(Q1)가 턴온 되면, 캐패시터(C1)에 일정 전압을 저장하고, 이를 압력 센서(140)의 입력 단자(VDD)로 공급한다. 따라서 압력 센서(140)는 컨트롤러(102)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관로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때, 압력 센서(140)의 출력 단자(OUT)에는 제 3 내지 제 6 저항(R3 ~ R6)들로 이루어지는 브릿지 저항 회로가 연결된다. 즉, 제 3 및 제 4 저항(R3, R4), 제 5 및 제 6 저항(R5, R6) 각각이 직렬로 연결되고, 제 3 및 제 4 저항(R3, R4)과, 제 5 및 제 6 저항(R5, R6)들이 출력 단자(OUT)와 접지(groud) 사이에서 상호 병렬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 3 저항(R3)은 가변 저항으로 구비되고, 컨트롤러(102)에 의해 저항값을 가변 조절하여 압력 센서(140)의 측정 범위 오차를 조절한다. 또 제 5 및 제 6 저항(R5, R6) 사이의 접점에도 컨트롤러(102)가 연결되고, 압력 센서(140)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에 대응되는 신호를 컨트롤러(102)로 출력한다.
이러한 압력 센서(140)는 제 3 내지 제 6 저항(R3 ~ R6)들의 저항비를 조절함으로써, 내시경(20)의 종류에 따라 그 측정 범위의 오차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40)는 예를 들어, 약 300 mmHg 크기의 압력을 측정한다. 그러나 압력 센서(140)의 측정 범위가 약 ±3 ~ 5 mmHg의 오차를 갖는 경우, 컨트롤러(102)에 의해 제 3 저항(R3)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압력 센서(140)의 측정 범위 오차를 보정한다.
표시부(104)는 액정 표시(LCD) 장치로 구비되고,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한다. 또 표시부(104)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들을 더 구비하고, 이를 통해 테스터(100a)의 동작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0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모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표시 정보(104a)와, 수동 모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표시 정보(104b)와, 배터리 잔량 상태를 나타내는 제 3 표시 정보(104c)와, 검사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제 4 표시 정보(104d)와, 누수 검사 동작 시, 가압된 압력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제 5 표시 정보(104e)와, 내시경(20)의 관로로 가압 또는 관로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나타내는 제 6 표시 정보(104f)와, 검사 결과, 누수가 없는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제 7 표시 정보(104g) 및, 검사 결과, 누수가 발생된 누수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제 8 표시 정보(104h) 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104a)는 모드 선택 버튼(105)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되어 내시경 누수 검사 모드가 자동 모드로 진행됨을 나타내고, 제 2 표시 정보(104b)는 수동 모드로 진행됨을 나타낸다. 이 때, 제 2 표시 정보(104b)는 수동 모드 버튼(105)을 1 회 누르면, 가압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여 사용자가 누수 부분을 찾을 수 있도록 표시되며, 수동 모드 버튼(105)을 다시 1 회 누르게 되면, 가압된 압력이 방출됨을 나타낸다.
제 4 표시 정보(104d)는 누수 검사 중인 상태를 주기적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표시한다. 또 제 4 표시 정보(104d)에는 누수 검사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오류 정보를 더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오류 정보에는 압력값이 허용 가능한 최대값이 도달되지 않거나, 예정 시간보다 빠르게 최대 압력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매우 큰 값의 압력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등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 제 6 표시 정보(104f)는 가압 또는 측정된 압력값 예컨대, mmHg 단위의 압력값을 표시한다. 이 압력의 크기는 스코프의 종류나 내시경의 모델 등 제품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 7 표시 정보(104g)에는 누수 검사 완료 후, 누수가 없을 경우 또는 아주 미세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 8 표시 정보(104h)는 누수 검사 완료 후,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었을 경우를 나타낸다.
또 표시부(104)는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됨)들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 상태, 오류 발생 상태, 검사 진행 중인 상태 및, 배터리 로우 레벨 상태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알람부(108)는 누수 검사가 완료됨에 따라 내시경(20)의 정상 상태 또는 누수 발생 상태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알람부(108)는 검사 결과, 내시경(20)이 정상 상태로 판별되면, 경고음을 1 회 출력하고, 내시경(20)이 누수 발생 상태이면, 경고음을 3 회 출력한다. 또 알람부(108)는 배터리 잔량 상태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도 다른 형태의 경고음을 출력한다.
또 테스터(100a)는 릴리프 밸브(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릴리프 밸브(170)는 예컨대, 연결 튜브(150)와 펌프(126) 사이에 구비된다. 릴리프 밸브(170)는 오류가 발생되어 펌프(126)로부터 가압되는 압력값이 최대 허용 압력값 이상의 에어가 내시경(20)의 관로로 공급되면, 자동으로 개방되어 에어를 배출함으로써, 테스터(100a) 및 내시경(20)을 보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는 내시경(20)에 장착되어 내시경의 관로에 누수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 가능하다. 즉,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는 자동 모드를 이용하여 누수 검사를 진행하여 내시경(20)의 누수 발생 여부를 파악하고, 누수 발생 시,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가 장착된 내시경(20)을 물이 수용된 처리조(미도시됨)에 넣고, 수동 모드를 이용하여 내시경(20)의 관로로 에어를 가압함으로써, 내시경(20)의 누수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사의 내시경(20)에 장착하여 내시경 누수 검사를 실시하였다. 즉, 내시경(20)의 커넥터부(70)에 장착되는 연결 어댑터(160)를 이용하여 연결 튜브(150)와 테스터(100a)를 장착한다. 그러나 다른 제조사 예를 들어, 후지논 사, 펜탁스 사의 내시경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는 연결 어댑터 없이 연결 튜브(150)와 테스터(100a)를 내시경의 관로에 직접 장착하여 내시경 누수 검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검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200에서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를 내시경(20)의 송기 송수 연결 포트(72)에 장착한다. 이 때,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는 연결 어댑터(160)에 의해 송기 송수 연결 포트(72)에 밀폐, 고정된다.
단계 S210에서 전원 스위치(106)를 온(on) 시켜서 테스터(100a)로 전원을 공급하고, 단계 S220에서 복수 개의 모드 선택 스위치들(105) 중 어느 하나를 눌러서 내시경 누수 검사 모드를 선택한다. 이 실시예에서 내시경 누수 검사 모드는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로 구비된다.
단계 S230에서 선택된 누수 검사 모드에 대응하여 내시경의 누수 발생 여부를 검사한다. 즉, 일정 시간 동안 내시경(20)의 관로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한다. 이는 컨트롤러(102)에 의해 모터 구동 회로(122)를 제어하여, 모터(124) 및 펌프(126)를 구동한다. 이 때, 일정 압력은 내시경(20)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약 300mmHg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단계 S240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압력 센서(140)를 이용하여 내시경(20)의 관로에서 압력값을 측정하여 압력 변화를 감지한다.
단계 S250에서 측정 결과, 압력이 저하되는지를 판별하고, 압력이 저하되면, 이 수순은 단계 S260으로 진행하여 표시부(104)에 누수 발생 상태를 표시하고, 알람부(108)로 누수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 판별 결과, 압력 저하가 발생되지 않으면, 이 수순은 단계 S270으로 진행하여 내시경(20)이 누수 발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상 상태를 표시부(104)에 표시하고, 알람부(108)로 정상 상태를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단계 S280에서 검사가 완료되면, 솔레노이드 밸브(132)를 개방시켜서 가압된 에어를 배출한다. 이 후,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를 내시경(20)으로부터 분리하여, 정상 상태의 내시경(20)을 세정 및 소독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드에 의한 누수 검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도 7의 단계 S220에서 누수 검사 모드가 자동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처리되는 수순이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300에서 컨트롤러(102)에 설정된 압력까지 내시경(20)의 관로로 에어를 가압한다. 단계 S310에서 관로 내부가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압력에 도달 및 유지하도록 안정화한다. 단계 S320에서 안정화가 이루어지면, 압력 센서(140)를 통해 주기적으로 내시경(20) 관로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 압력값을 산출한다. 단계 S340에서 평균 압력값에 대한 편차를 산출한다.
단계 S350에서 산출된 편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의 값인지를 판별한다. 이는 컨트롤러(102)에 설정, 저장된 편차와 비교하여 판별한다. 판별 결과, 산출된 편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의 값이면, 이 수순은 단계 S360으로 진행하여 표시부(104) 및 알람부(108)를 통해 정상 상태를 알리고, 산출된 편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의 값이 아니면, 단계 S370으로 진행하여, 표시부(104) 및 알람부(108)를 통해 내시경(20)에 누수 발생 상태를 알린다.
이러한 자동 모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모드 버튼을 누르면, 구간 t1 동안에 컨트롤러(102)에 설정, 저장된 최대 압력값까지 압력이 상승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구간 t1은 약 5 초 정도가 소요된다.
이어서 최대 압력에서 구간 t2 동안에 안정화 시간을 갖는다. 이 때, 압력 센서(140)는 단위 시간으로 압력을 주기적으로 복수 회 측정하고, 컨트롤러(102)로 전송한다. 따라서 컨트롤러(102)는 구간 t2에서 복수 회 측정된 압력값들의 평균 압력값을 산출하고, 그 평균 압력값을 내시경(20)의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기준값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안정화 시간(t2)은 약 8 여초 정도가 소요되며, 단위 시간은 1/20 초로 설정된다.
그리고 구간 t3 동안 매초 간격으로 압력 변화를 판별한다. 이 구간(t3) 동안에 표시부(104)에는 검사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제 4 표시 정보(104d)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 4 표시 정보(104d)는 'leakage testing...' 등과 같은 텍스트가 표시된다. 이 때, 제 4 표시 정보(104d)는 검사 진행 동안에 점멸된다. 이 실시예에서 구간 t3는 약 15 여초가 소요되며, 구간 t3가 경과되면, 판별 결과에 따라 표시부(104)에 제 7 또는 제 8 표시 정보(104g 또는 104h)를 표시한다.
이러한 자동 모드에 의한 내시경 누수 검사 방법은 가압, 안정화, 검사 및 판별 시간이 약 30 ~ 40 초 정도 소요되므로, 신속하게 내시경(20)의 누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 모드에서는 내시경(20)의 누수 발생 여부만을 검사하므로, 시술 전후에 언제든지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를 장착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누수 발생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모드에 의한 누수 검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도 7의 단계 S220에서 누수 검사 모드가 수동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처리되는 수순이다. 이 경우, 누수 발생 상태가 확인되면, 수동 모드에 의해 누수 부분을 작업자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처리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400에서 컨트롤러(102)에 설정된 압력까지 내시경(20)의 관로로 에어를 가압한다. 단계 S410에서 압력 센서(140)를 통해 내시경(20) 관로의 압력을 측정하고, 단계 S420에서 내시경(20)의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한다. 즉, 내시경(20)의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면, 단계 S430에서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내시경(20)을 세정액, 린스액 또는 물 등이 수용된 처리조(미도시됨)에 넣고, 단계 S440에서 수동 모드 버튼을 다시 눌러서 내시경(20)의 관로로 에어를 가압한다. 이 때, 내시경(20)의 관로로 에어를 가압하는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약 5 ~ 10 여 초 정도)을 대기한다.
단계 S450에서 가압된 압력을 유지하여 내시경(20)의 누수 부분을 확인한다. 이는 누수 부분에서 에어가 배출되고, 이로 인해 누수 부분에서 기포가 발생되므로, 내시경(20)의 누수 부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누수 부분이 확인되면, 단계 S460에서 수동 모드 버튼을 다시 눌러서 가압을 중지하고, 이어서 단계 S470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32)를 개방시켜서 내시경(20)의 관로에 가압된 에어를 배출한다. 이 후, 제조업체 등으로 누수 부분이 발생된 내시경(20)을 수리 요청함으로써, 내시경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100a : 테스터
102 : 컨트롤러 104 : 표시부
105 : 전원 스위치 106 : 모드 선택 버튼
110 : 전원 공급부 120 : 에어 공급부
132 : 솔레노이드 밸브 140 : 압력 센서
150 : 연결 튜브 160 : 연결 어댑터

Claims (9)

  1.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내시경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에 밀폐되게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연결 튜브 및;
    상기 연결 튜브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 튜브를 통해 상기 관로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관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며, 상기 관로의 압력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내시경의 누수를 검사하는 테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테스터는;
    상기 테스터로 직류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관로로 상기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와;
    상기 에어 공급부로부터 상기 일정 압력의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관로로부터 에어의 압력 변화 또는 유량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테스터를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누수 검사를 실시하도록 입력하는 모드 선택 버튼과;
    상기 모드 선택 버튼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기 관로로 상기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관로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에어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관로의 압력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내시경의 누수를 판별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내시경에 누수가 발생되는 것이 판별되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서 누수 발생 상태와 상기 압력 변화에 따른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와;
    상기 직류 전원 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정전압을 공급하도록 하는 정전압 회로 및;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잔량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 레벨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일정 압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받는 모터 구동 회로와;
    상기 모터 구동 회로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일정 크기의 회전수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회전수에 대응하여 상기 일정 압력의 에어를 상기 연결 튜브로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서 개폐하는 밸브 구동 회로 및;
    상기 테스터의 누수 검사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밸브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관로에 가압된 에어를 배출하도록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터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내시경의 누수 검사 결과를 외부로 알리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시경의 상기 관로로 공급되는 상기 일정 압력에 대응되는 최대 압력값과,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이 허용 범위 내의 오차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편차값을 설정, 저장하고, 상기 측정된 압력값을 상기 최대 압력값과 비교하여 상기 내시경의 누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6.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를 이용한 내시경 누수 검사 방법에 있어서:
    내시경에 상기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내시경의 내부 관로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관로에 상기 일정 압력이 유지되도록 안정화하는 단계와;
    상기 안정화된 후, 일정 시간 동안에 상기 관로의 압력값을 복수 회 측정하여 평균 압력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 압력값과 설정된 압력값을 비교하여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편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편차가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관로로 상기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관로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관로에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었음을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시경을 물이 수용된 처리조에 넣는 단계와;
    상기 내시경의 상기 관로로 에어를 다시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가압된 압력을 유지하여 상기 내시경의 누수 부분을 확인하는 단계와;
    누수 부분이 확인되면, 상기 관로로 가압을 중지하는 단계 및;
    상기 내시경의 상기 관로에 가압된 에어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내시경 누수 검사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편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내시경 누수 검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알리는 단계는;
    상기 자동 모드 또는 상기 수동 모드에서 상기 관로에 누수가 발생되면, 상기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표시부 및 알람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관로의 누수 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의 내시경 누수 검사 방법.
KR1020110030186A 2011-04-01 2011-04-01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검사 방법 KR101052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86A KR101052893B1 (ko) 2011-04-01 2011-04-01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검사 방법
PCT/KR2012/002434 WO2012134247A2 (ko) 2011-04-01 2012-03-31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86A KR101052893B1 (ko) 2011-04-01 2011-04-01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검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893B1 true KR101052893B1 (ko) 2011-07-29

Family

ID=4492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186A KR101052893B1 (ko) 2011-04-01 2011-04-01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2893B1 (ko)
WO (1) WO201213424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562B1 (ko) * 2014-04-07 2014-10-31 주식회사 다이아벨 자동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그의 검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0998B (en) * 2012-03-19 2019-01-16 Ulc Robo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Integrity Testing
WO2016042760A1 (ja) * 2014-09-18 2016-03-24 株式会社タカシン 流体経路検査装置及び流体経路検査方法
CN110799079B (zh) * 2017-05-12 2022-04-05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和泄漏测试的通知方法
TR201716388A2 (tr) * 2017-10-24 2019-02-21 Sayar Muammer Elektronik kaçak test cihazı.
CN114216652B (zh) * 2022-02-23 2022-05-17 南京市计量监督检测院 便携性医用内窥镜测试系统和测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279B1 (ko) * 2003-09-12 2008-06-17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리크 테스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442A (ja) * 1996-04-22 1997-11-04 Shimadzu Corp 内視鏡装置
JP3732379B2 (ja) * 2000-03-06 2006-01-05 株式会社ムトウテクノス 内視鏡の防水部分における漏洩検出方法とその装置。
JP3820168B2 (ja) * 2002-03-15 2006-09-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リークテス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279B1 (ko) * 2003-09-12 2008-06-17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리크 테스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562B1 (ko) * 2014-04-07 2014-10-31 주식회사 다이아벨 자동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그의 검사 방법
WO2015156505A1 (ko) * 2014-04-07 2015-10-15 주식회사 다이아벨 자동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그의 검사 방법
JP2017511745A (ja) * 2014-04-07 2017-04-27 ダイアベ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自動内視鏡漏水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4247A2 (ko) 2012-10-04
WO2012134247A3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562B1 (ko) 자동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그의 검사 방법
KR101052893B1 (ko) 내시경 누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검사 방법
KR100964769B1 (ko)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 및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에 의한 누수 검지 방법
US200602529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doscope integrity testing
US200602529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doscope integrity testing
EP2772220B1 (en) Leakage detection in a medical device
JP2013085715A (ja) 内視鏡の湿度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内視鏡装置
US20140241942A1 (en) Intracavity Ultrasound Probe Disinfectant System
JP2011244937A (ja) 内視鏡システム
JP5132285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5379446B2 (ja) 漏水検知用コネクタ、漏水検知装置、および洗浄装置
JP4961262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3899159B2 (ja) 内視鏡システム
US6491625B1 (en) Endoscop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6006568A (ja) 内視鏡洗浄消毒システム、内視鏡、及び内視鏡洗浄消毒装置
EP3162278B1 (en) Endoscope reprocessor
JP2009165609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6415887B2 (ja) 内視鏡用リークテスタおよび内視鏡リプロセス装置
JP2009066290A (ja) 内視鏡、内視鏡洗浄システム及び内視鏡洗浄機性能検査機
JPH06319698A (ja) 内視鏡用洗浄消毒装置
JP5148253B2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及びこの内視鏡洗滌消毒装置の接続検知方法
KR101214226B1 (ko) 내시경 리키지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리키지 테스트 방법
JP2009072437A (ja) 内視鏡の漏水検知方法
JP2015019747A (ja) 内視鏡のリークテスト方法及びリークテスト装置
JP2007159990A (ja) オートクレーブ滅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