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091B1 - 테이프 커터 - Google Patents

테이프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091B1
KR101052091B1 KR1020087031990A KR20087031990A KR101052091B1 KR 101052091 B1 KR101052091 B1 KR 101052091B1 KR 1020087031990 A KR1020087031990 A KR 1020087031990A KR 20087031990 A KR20087031990 A KR 20087031990A KR 101052091 B1 KR101052091 B1 KR 10105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lade
landing part
landing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741A (ko
Inventor
미키오 타케지
Original Assignee
미키오 타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키오 타케지 filed Critical 미키오 타케지
Publication of KR2009001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7/00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220/00 – B65H2406/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65H2407/10Safety means, e.g. for preventing injuries or illegal ope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20Severing by manually forcing against fixed edge
    • Y10T225/215With blade-edge guard
    • Y10T225/216Mov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20Severing by manually forcing against fixed edge
    • Y10T225/217Work stripped from blade by relatively movable mean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칼끝에 있어서의 손가락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면, 칼이 잘 드는 예리한 칼날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 가드 기구를 착류부의 상하 움직임에 연동시키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프 커터를 얻을 수 있다.
칼날과는 별체로 상하로 접동 가능한 테이프 착류부와 그것과 함께 오르고 내리는 평면 형태의 칼끝 가드를 칼날의 앞에 마련하고, 또 그 양쪽 사이드에 한쌍의 암 형태의 칼끝 가드를, 착류부의 상하 움직임에 연동하여 개폐하도록 마련했다. 이에 따라, 칼끝에 있어서의 손가락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한층 더 가드 암의 개폐는 자동적으로 행해지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테이프 커터와 거의 같은 조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가드 암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자석을 사용하고, 착류부 및 그 홀더는 릴 측에 당기면 기울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순조롭고 확실한 기구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커터{TAPE CUTTER}
본 발명은 테이프 커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종 다양한 탁상형 테이프 커터가 고안되고 제품화되어 있다. 인상적인 예만으로도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지만, 대체로 하기의 3타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우선, 릴을 본체로부터 제외하지 않아도 측면으로부터 테이프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테이프를, 회전축이 눕혀지도록 장전하고, 착류부(着留部)의 앞에서 테이프를 90°회전시키는 것 등으로 보여지는, 테이프의 장착 방법이나 릴의 지지 방법으로 많이 연구했다. 또, 테이프 커터의 바닥에 회전판을 마련하고 360°요(ヨ) 회전할 수 있는 것이나, 펜을 세우는 기능을 부가한 것이나, 테이프 절단 후에 테이프의 선단을 뛰어 거기를 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여지는 부가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 인부(刃部)가 회전하여 수납 가능하게 한 것이나 커버를 마련한 것으로 보여지는 칼끝에 있어서의 안전성에 배려한 것이다.
칼끝에 있어서의 안전성에 배려하면서, 칼날을 일반적인 거인상(鋸刃狀)은 아니고 직선 칼날을 장착한 테이프 커터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이엘엠(ELM) 주식회사의 T30로 보여지는, 회전 가능한 볼장의 칼끝 가드를 한쌍, 칼날의 상부 양쪽 사이드에 마련하고, 테이프는 이 가드 볼의 사이를 V자로 구부리면서 지날 수 있지만, 손가락은 통과할 수 없게 한 제품이나, 주식회사 라이온 사무기의 ST51로 보여지는, 칼날의 앞에 칼날에 인접하여 접동(摺動)하는 플레이트를, 미사용시에 칼끝을 숨기도록 마련하고, 테이프 절단 전의 테이프를 눌러 내리면서 앞으로 당기는 힘을 전후에 요동 가능하도록 마련한 테이프 착류부에서 받아 이용하고, 그 플레이트를 내려가게 한 제품이 있다. 그렇지만, 어느 쪽의 제품에 대해도 사용감에 약간의 문제가 있는 것처럼 생각된다. 또, 엄밀하게 말하면, 어느 쪽의 제품도 손가락으로 칼끝에 접촉할 수 있었다.
특허 문헌: 특개평 1-231763
특허 문헌: 특개평 1-308359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테이프의 잘 자름을 향상시키려면, 보다 예리한 칼날을 설치하면 좋지만, 예리한 칼날을 달기 위해서는, 칼끝에 있어서의 손가락의 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즉, 손가락과 칼끝의 접촉을 막을 수 있으면, 어떠한 예리한 칼날도 달 수 있다.
본 발명은 손가락과 칼끝의 접촉을, 상하로 접동할 수 있도록 마련한 착류부 및 가드 플레이트와, 그 착류부의 상하 움직으로 연동(連動)하여 개폐하는 한쌍의 가드 암에 의해 방지하는 것으로, 예리한 칼날을 설치할 수 있고, 보다 안전하고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프 커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의 테이프 커터는,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을 취한다.
칼날과는 별체의 테이프 착류부를 상하로 접동(摺動)할 수 있도록 마련하고, 그 착류부가 올랐을 때에는 열고, 내렸을 때에는 닫아 칼끝을 덮어 가리도록 연동하는, 한쌍의 암 형태의 칼끝 가드, 즉 가드 암을 착류부의 양쪽 사이드에 마련한다.
안전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착류부와 함께 오르고 내리는 평면 형태의 칼끝 가드, 즉 가드 플레이트를 칼날의 앞에 마련한다.
테이프가 착류부로부터 박리한 후, 끌어 올려진 착류부가 자체 무게로 하강하여 가드 암이 닫혀 버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 착류부에 자석을 달고, 이 자석이 착류부와 함께 상승했을 때, 철제의 칼날의 하단에 그 자력에 의해 흡착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가드 암이 열린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테이프가 착류부로부터 당겨 벗겨질 때의 테이프의 장력으로, 착류부 및 그 홀더가 릴 측에 당기면 기울 수 있도록 한다. 또, 테이프 박리 후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한다.
이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기 수단에 의한 작용을 기술한다.
사용자가 착류부로부터 테이프를 힘주어 벗기려고 할 때, 테이프 부착면에서의 박리 저항에 의해 전해지는 힘이 착류부를 끌어올리고, 테이프를 자르려고 할 때에는 테이프가 이 착류부를 눌러 내리게 된다. 이러한 힘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가드 암의 개폐는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착류부가 끌어 올려지고 가드 암이 열린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자석을 사용하면, 그 밖에 생각되는 스프링이나 수지의 탄성과 마찰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중력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착류부의 인상(引上) 동작 중의 저항이 적고, 게다가 자석이 칼날의 하단에 가까워지면 자력이 착류부의 상승을 돕도록 작용한다.
착류부를 순조롭게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착류부의 접동(摺動) 방향이 수직이라면 릴의 베어링 위치는 테이프의 선단보다 약간 높은 편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감겨진 테이프가 무박리 상태로 테이프 선단이 더듬는 원호의 궤적의 안쪽에, 착류부 천장면의 상하 이동의 궤적을 넣기 위해서지만, 외관의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서 제약이 된다. 그러나, 테이프의 인상 개시시, 착류부가 릴 측으로 기울면, 착류부와 릴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고, 테이프는 착류부와 릴의 사이에의 글자로 접히고, 착류부의 접동 방향과 테이프 선단이 끌리는 방향이 가까워지므로, 릴의 베어링 위치를 낮게 설계해도, 순조롭게 착류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
테이프를 착류부로부터 당겨 벗기고, 가드 암이 열린 상태에 있어서는, 가드 플레이트와 착류부가 전후로부터 칼끝을 숨기고, 테이프 절단시 및 절단 후는 가드 암이 닫혀서 위로부터 칼끝을 덮어 가린다.
만약 가드 암이 열렸을 때에, 손가락끝으로 착류부를 눌러서 인하를 의도적으로 칼끝에 접하려고 해도, 착류부가 내리면 가드 암이 닫히고 가드 암이 손가락끝을 사이에 둔 시점에서 그 움직임은 멈춘다. 연동하는 착류부는 그 이상 내리지 않기 때문에 칼끝에 접촉할 수 없다.
테이프 절단시, 가드 플레이트는 다 내려서 그의 상단은 인선(刃線)보다 약간 낮은 위치가 된다. 절단 후, 의도적으로 칼끝에 접하려고 하면, 손가락끝으로 가드 암을 열게 되고, 가드 암이 열리면, 그 만큼 가드 플레이트가 상승하므로, 역시 칼끝에는 접촉할 수 없다.
도1은 가드 암이 닫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2는 가드 암이 열린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3은 측면도이다.
도4는 후(後) 홀더와 착류부와 가드 암의 부품 조도(組圖)(가드 암 닫힘)이다.
도5는 후홀더와 착류부와 가드 암의 부품 조도(가드 암 열림)이다.
도6은 칼날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품도이다.
도7은 가드 플레이트를 착류부에 단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도이다.
도8은 홀더 핀(14)를 통과하는 A-A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9는 연동 핀(15)를 통과하는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10은 중앙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 테이프 2 릴
3 가드 암 4 착류부
5 가드 플레이트 6 칼날
7 자석 8 후(後) 홀더
9 전(前) 홀더 10 샤프트
11 코일 스프링 12 본체
13 본체 저판 14 홀더 핀
15 연동 핀 16 나사
17 노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도1은 가드 암이 닫은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2는 착류부가 끌어 올려지고 가드 암이 열린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3은 가드 암이 닫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부품의 구성으로서는, 전홀더(9)와 후홀더(8)의 사이에 이 기구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이 짜넣어진다. 칼날(6)은 전홀더에 나사를 두고 고정된다. 후홀더에는 2개의 홀더 핀(14)를 세워 이 핀을 중심으로 좌우 가드 암(3)이 회전한다. 좌우 가드 암은 서로 면대칭, 거울상의 형상이다.
착류부(4)도 좌우 대칭형이며, 이 착류부는 칼날(6)과 후홀더(8)의 사이에 상하로 접동하므로, 후홀더로부터 돌기한 홀더 핀(14)를 피하기 위한 긴 구멍을 2개소 열고, 그 내부 가까이에 좌우 가드 암(3)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핀(15)를 2 개 세운다.
가드 암(3)의 기초부에는, 후홀더로부터 돌기한 홀더 핀(14)를 받는 구멍과 착류부로부터 돌기한 연동 핀(15)를 받는 긴 구멍이 있고, 고정측의 홀더 핀(14)를 중심으로 이동측의 착류부의 연동 핀(15)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즉, 착류부의 상하 움직임에 연동하여 가드 암은 좌우 동시에 개폐한다. 도4, 도5는 각각 가드 암이 닫은 상태와 연 상태에서의, 홀더 핀(14)와 연동 핀(15)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 외부에 노출하고 있는 암부는 동작시에 착류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부 후방이 도려 파내어져 있다.
전홀더(9)와, 전홀더에 고정된 칼날(6)의 사이에 위치하는 코(コ)형의 가드 플레이트(5)는 착류부와는 별체로 만들고, 그것의 좌우에 마련한 돌기와 착류부측의 노치(17)으로 서로 끼울 수 있고, 착류부와 일체가 되어 모두 오르고 내린다. 도6은 가드 암이 열렸을 때의 칼날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7은 가드 플레이트가 착류부에 짜여진 상태이다. 추가로, 칼날(6)은 직선 칼날이다.
자석(7)은 상승했을 때에 칼날(6)의 하단에 자력으로 흡착하도록 착류부 하방(下方)에 고정한다. 도8은 착류부가 내리고 있는 상태이고, 도9는 착류부가 상승하여 자석이 칼날에 흡착한 상태이다.
후홀더(8)은 하부의 구멍을 관통하는 샤프트(10)을 개입시켜 테이프 커터 본체에 장착되고 이 샤프트를 축으로 전후에 요동한다. 후홀더의 후부는 본체 저판(13)에 설치한 코일 스프링(11)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도10은 그것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 기구에 있어서의 사용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테이프를 착류부로부터 당겨 벗기려고 할 때, 테이프의 장력에 의해 착류부가 릴 측에 끌려 전후 홀더가 뒤로 기운다. 그 다음, 테이프 부착면의 박리 저항에 의해 전해지는 힘으로 착류부가 끌어 올려져 거기에 연동하여 가드 암이 열려 진다. 이 움직임은, 착류부 하방에 고정된 자석이 칼날의 하단에 흡착한 시점에서 멈추고, 그 후 테이프는 착류부로부터 박리한다.
필요한 길이의 테이프가 나타나고, 그 다음, 그 테이프가 착류부에 꽉 눌릴 때까지, 가드 암은 열려 있을 필요가 있지만, 이 상태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유지된다. 릴 측에 기울어 있던 전후 홀더는 테이프가 착류부로부터 박리한 직후, 코일 스프링에 의해 되밀어 내지고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고 있다.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테이프를 착류부에 꽉 누르면, 그 힘에 의해 착류부가 눌러 내릴 수 있고, 그 움직임에 연동하는 가드 암은, 내리는 테이 프를 뒤쫓듯이 닫혀 진다.
또, 테이프의 교환시 등 테이프가 착류부로부터 벗겨지고 있는 상태로 가드 암이 닫혀 있을 때에도, 손가락끝으로 이것을 간단하게 열 수 있다. 가드 암이 열리면 착류부가 상승하고, 자석이 그 상태를 유지한다.
가드 암, 가드 플레이트 및 착류부가 칼날 위와 전후로부터 칼끝을 숨기므로, 의도적으로도 칼끝에 접촉할 수 없게 되고, 칼끝에 있어서의 고도의 손가락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인선(刃線)이 직선인 칼날 등의 칼이 잘 드는 예리한 칼날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직선 칼날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의 장점은 단면이 (톱날처럼) 깔쭉깔쭉하게 안 되기 때문에, 붙인 테이프를 뗄 때에, 비스듬하게 찢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벗기기 쉬운 점, 외형에 아름다운 점 등을 들 수 있다.
가드 암의 개폐는 사용자가 그것을 의식하지 않아도, 착류부로부터 테이프를 떼어 벗길 때의 힘과, 테이프를 착류부에 꽉 누르는 힘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자동적으로 행해지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테이프 커터와 거의 같은 조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착류부가 릴 측에 기울 수 있는 것에 따라, 릴 베어링 위치를 낮게 설계해도 착류부는 순조롭게 상승하므로, 보다 자유롭게 외관의 디자인을 할 수 있다. 또, 가드 암이 열린 상태의 유지에 자석을 사용하는 것도, 보다 순조롭고 확실한 기구의 동작을 도우므로, 사용시의 상황이나 사용자에 따라서 다른 테이프의 끌어올리는 방법의 차이에도 넓게 대응할 수 있고, 착류부의 인상 완료전에 테이프가 착류부로부터 박리해 버리는 인상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킹 테이프 등의 점착력이 약한 테이프의 사용에도 대응할 수 있다.

Claims (4)

  1. 칼날과는 별도로 테이프 착류부가 상하로 접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착류부가 상승하는 경우 개방되고, 하강하는 경우 폐쇄되어 칼끝을 덮어 가리도록 연동하는 한 쌍의 암 형태의 칼끝 가드가 상기 착류부의 양쪽에 결합된 테이프 커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커터는, 상기 착류부와 함께 상승 및 하강하며 상기 칼날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평면 형태인 칼끝 가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
  3. 삭제
  4. 삭제
KR1020087031990A 2006-10-11 2006-10-11 테이프 커터 KR101052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0301 WO2008044291A1 (fr) 2006-10-11 2006-10-11 Coupe-rub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741A KR20090016741A (ko) 2009-02-17
KR101052091B1 true KR101052091B1 (ko) 2011-07-27

Family

ID=3928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990A KR101052091B1 (ko) 2006-10-11 2006-10-11 테이프 커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3033B2 (ko)
KR (1) KR101052091B1 (ko)
CN (1) CN101500920B (ko)
DE (1) DE112006004022B4 (ko)
HK (1) HK1134477A1 (ko)
WO (1) WO2008044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9769B1 (it) * 2010-05-04 2013-05-03 Flii Mazzucchelli S N C Erogatore di nastro con dispositivo di taglio in sicurezza
DE202015003287U1 (de) 2015-05-05 2015-06-11 Ernst Ullrich Schultz Schneidevorrichtung für Klebefil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199B1 (ko) * 2006-04-19 2007-07-24 김택원 테이프 커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637A (en) * 1901-12-02 1903-11-17 Friedrich Soennecken Paper-cutting device.
US833470A (en) * 1906-04-20 1906-10-16 Gen Man Of The Court Hugo Lazy Arthur Henckel Von Donnersmarch Beutlieu Paper-cutting machine.
US2107487A (en) * 1936-11-16 1938-02-08 Machate Fred Tape dispenser
US2290223A (en) * 1940-12-19 1942-07-21 Cleef Bros Van Tape cutter
US2663369A (en) * 1949-07-12 1953-12-22 Derby Sealers Inc Tape dispensing mechanism with blade guard
JPS5838446B2 (ja) 1974-06-03 1983-08-23 レ−ベンユ−テイリテイ カブシキガイシヤ フホウワポリエステルケイヒカリコウカセイジユシセイケイブツノ セイゾウホウホウ
JPS50154391U (ko) * 1974-06-06 1975-12-22
US3991923A (en) * 1975-03-04 1976-11-16 Kenji Nishikawa Adhesive tape holder means
JPH01231763A (ja) 1988-03-09 1989-09-18 Hiroshi Kiyohara ロールテープ保持器
JPH01308359A (ja) 1988-06-02 1989-12-13 Hiroshi Kiyohara テープカッター
JPH0234564A (ja) 1988-07-26 1990-02-05 Eagle Ind Co Ltd 高純度炭化ケイ素からなる表面を有する炭化ケイ素資材料の製造法
JPH0234564U (ko) * 1988-08-27 1990-03-06
JPH0497763A (ja) 1990-08-15 1992-03-3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
JPH0497763U (ko) * 1991-01-16 1992-08-24
US5938580A (en) * 1994-04-15 1999-08-17 Ranpak Corp. Cushioning conversion machine with restricted access to a cutting assembly
JPH11208974A (ja) 1998-01-26 1999-08-03 Ryosuke Yoshimitsu 粘着テープホルダ
JP2005075560A (ja) * 2003-09-01 2005-03-24 Ktf:Kk 粘着テープカッタ
JP2006289550A (ja) * 2005-04-11 2006-10-26 Senju Yagyu テープ切断具及びテープ保持具
JP3915075B2 (ja) 2005-04-13 2007-05-16 幹雄 竹治 テープカッター
DE102006040227A1 (de) * 2006-08-28 2008-03-06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mit farbkippender Motivschich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199B1 (ko) * 2006-04-19 2007-07-24 김택원 테이프 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6004022T5 (de) 2009-07-30
DE112006004022B4 (de) 2011-09-08
US20090277942A1 (en) 2009-11-12
US8523033B2 (en) 2013-09-03
KR20090016741A (ko) 2009-02-17
CN101500920A (zh) 2009-08-05
CN101500920B (zh) 2011-02-02
HK1134477A1 (en) 2010-04-30
WO2008044291A1 (fr)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5588B2 (en) Automatically retracting safety carton cutter
JP2002193497A (ja) 給紙装置及びその給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1683610A1 (en) Paper cutter
EP1232841A2 (en) Cutter cassette and cut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9982524B (zh) 箱体及止挡装置
KR100309122B1 (ko) 절단기
KR101052091B1 (ko) 테이프 커터
US6896025B2 (en) Adhesive tape adhering device
US7441580B2 (en) Magnetic adhesive tape holder
US10245215B2 (en) Pill cutting and storage device
US7040208B2 (en) Cutter cassette and cutting device
JP3915075B2 (ja) テープカッター
JPS6392569A (ja) テ−プカツタ
EP1520663A1 (en) Paper cutter
US9550382B2 (en) Tape cartridge and tape printing device
US8276768B1 (en) Magnetic knife guard device
KR101924398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커터칼
JP2008229077A (ja) カッターナイフ
JP7029047B2 (ja) 裁断機
JP3165879B2 (ja) チューブまたはラベルテープ用プリンタのカット装置
CN215922783U (zh) 一种开箱器
JP3134817U (ja) ロールペーパー引出し装置
KR20130012499A (ko) 커팅 장치
JP2001087569A (ja) 幅切り具付きカッターナイフ
JP2024005402A (ja) カ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