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739B1 -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739B1
KR101051739B1 KR1020040113463A KR20040113463A KR101051739B1 KR 101051739 B1 KR101051739 B1 KR 101051739B1 KR 1020040113463 A KR1020040113463 A KR 1020040113463A KR 20040113463 A KR20040113463 A KR 20040113463A KR 101051739 B1 KR101051739 B1 KR 10105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ixed
roll
flow
install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4658A (ko
Inventor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4011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73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7/00Tube-rolling by rollers of which the axes are arranged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work, e.g. "axial" tube-rolling
    • B21B17/02Tube-rolling by rollers of which the axes are arranged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work, e.g. "axial" tube-rolling with mandrel, i.e. the mandrel rod contacts the rolled tube over the rod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21B39/165Guides or guide rollers for rods, bars, rounds, tubes ; Aligning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맨드릴의 인접측에 설치되고 하향요입된 설치홈과 슬리브가 굴러내릴 수 있는 경사면을 갖춘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인접측에 경사지게 배설된 배출플레이트와; 설치홈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로드를 갖는 작동실린더와; 설치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보조축이 병설된 지지축과; 실린더로드의 단부와 연결링크에 의해 연결고정되고 지지축상에 끼워고정된 유동슬리브와; 유동슬리브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 인출시 최상사점에 이르도록 설치되며 단부에는 그립롤을 가진 유동레버와; 유동슬리브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유동레버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단부에는 누름롤을 가진 가압레버와; 중심은 보조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양단에는 가압롤이 설치되고 그중 하나는 누름롤과 접촉되게 배치되며 다른 하나는 슬리브의 하단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배출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브를 맨드릴에 삽입하기 전에 슬리브의 수입상태, 훼손정도를 확인하고 불량품은 즉시에서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취외시킬 수 있음으로 슬리브 처리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의 안전성이 확보되며, 작업인원의 과소요를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DEVICE FOR SEPARATING WASTE SLEE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베이스플레이트 110....경사면
120....설치홈 140....스토퍼
150....배출플레이트 200....작동실린더
210....브라켓 220....실린더로드
310....연결링크 320....유동슬리브
330....지지축 340....보조바
350....가압레버 360....유동레버
370....배출레버 M....맨드릴
S....슬리브
본 발명은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립 코일의 내경부를 보호하기 위해 슬리브를 삽입할 때 불량슬리브를 용이하게 분별처리할 수 있도록 한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립을 코일형태로 권취하여 제품화할 때 권취되는 내경부를 보호하기 위해 슬리브(SLEEVE)가 삽입된다.
이러한 슬리브는 보통 맨드릴의 외경에 먼저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어 구동되는 맨드릴에 의해 적정 장력을 유지하면서 스트립이 그 외주면에 권취됨으로써 코일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슬리브 삽입작업시에는 슬리브의 표면수입상태 및 훼손정도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검사하여 불량품을 분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술한 슬리브 검사작업 및 불량 슬리브 취외(라인 혹은 설비 밖으로 빼내는 작업)시 별도의 작업공간에서 미리 실시하여야 하고, 검사결과 양호한 슬리브만을 권상기로 이동시켜 맨드릴에 삽입시키고 있다.
따라서, 슬리브 검사를 위해 소요되는 작업인원이 과다하게 필요함은 물론 작업중 안전재해 발생율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맨드릴의 지근거리에서 슬리브를 분별 및 삽입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량 슬리브의 취외작업까지 한꺼번에 한 설비에서 수행토록 함으로써 작업인원의 과소요를 막고 안전재해를 극소화시키며 슬리브의 삽입, 취외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맨드릴의 인접측에 설치되고 하향요입된 설치홈과 슬리브가 굴러내릴 수 있는 경사면을 갖춘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인접측에 경사지게 배설된 배출플레이트와; 설치홈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로드를 갖는 작동실린더와; 설치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보조축이 병설된 지지축과; 실린더로드의 단부와 연결링크에 의해 연결고정되고 지지축상에 끼워고정된 유동슬리브와; 유동슬리브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 인출시 최상사점에 이르도록 설치되며 단부에는 그립롤을 가진 유동레버와; 유동슬리브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유동레버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단부에는 누름롤을 가진 가압레버와; 중심은 보조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양단에는 가압롤이 설치되고 그중 하나는 누름롤과 접촉되게 배치되며 다른 하나는 슬리브의 하단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배출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슬리브(S)가 맨드릴(M)로 장입되는 설치개소에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그 중앙부에 하방향으로 요입된 설치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20)의 일측 즉, 도 1을 기준으로 도면상 우측에는 슬리브(S)가 굴러 내릴 수 있는 경사면(110)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120)을 중심으로 경사면(110)의 대향측에는 상기 경사면(110)보다 낮지만 설치홈(120)의 바닥면보다는 높은 단차면(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면(130)에 인접하여 높이차이를 갖고, 상단면이 하향경사진 배출플레이트(15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단차면(130)에는 한쌍의 스토퍼(140)가 고정되는데 상기 스토퍼(140)는 취외되는 폐슬리브를 일시 수납한 후 상기 배출플레이트(150)로 이송시키기 위한 임시 수납부재로서 상기 배출플레이트(150)의 최상단보다 약간 높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설치홈(120)의 바닥면에는 브라켓(210)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210)에는 작동실린더(200)의 하단이 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실린더(200)에는 실린더로드(220)가 연결되며, 실린더로드(220)의 상단에는 연결링크(310)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링크(310)의 타단은 유동슬리브(320)에 고정된다.
유동슬리브(320)는 지지축(330)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축(330)은 상기 베이스(100)의 설치홈(120) 내벽면으로부터 일정각도를 갖고 상향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330)의 양단에는 상기 유동슬리브(320)의 이탈을 막으 면서 슬리브(S)를 구름접촉되게 지지하는 지지롤(342)을 갖는 보조바(340)가 고정된다.
상기 보조바(340)는 대략 하방향으로 만곡진 곡선형의 부재이며, 그 단부는 상기 설치홈(120)의 상단 내벽 절삭부(122) 하측에 매립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절삭부(122)의 상측에도 별도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롤(344)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유동슬리브(3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링크(310)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방향으로 만곡진 곡면형 가압레버(350)가 고정되고, 상기 가압레버(350)의 단부에는 누름롤(35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동슬리브(3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링크(310) 및 가압레버(350)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거의 수직하게 배설되고, 호형상을 갖는 한쌍의 유동레버(360)가 고정된다.
상기 유동레버(36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벌어져 설치되며, 그 단부 사이에는 그립롤(362)이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축(330)에는 보조축(332)이 연결고정되며, 상기 보조축(332)에는 하방향으로 만곡진 호형상의 배출레버(370)의 길이 중앙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배출레버(370)의 양단에는 각각 가압롤(372)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경사면(110)에 받침대(P)에 의해 걸려 대기중인 슬리브(S)를 작업자가 공급하게 되면 슬리브(S)는 경사면(110)을 타고 굴러 내려오게 된다.
이때, 작동실린더(200)은 그 실린더로드(220)가 최대한 상승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유동레버(360)가 도 1, 2와 같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굴러 내려오던 슬리브(S)는 그립롤(362)과 두개의 지지롤(342,34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그립되게 된다.
이어, 작업자는 상기 슬리브(S)를 회전시키면서 그 표면품질을 검사하게 되고, 검사결과 양호한 상태라면 상기 슬리브(S)가 굴러 내려오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맨드릴(M)로 상기 슬리브(S)를 밀어 넣어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검사결과 표면품질이 불량하다면 이를 배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작동실린더(200)를 동작시켜 실린더로드(220)를 하향이동시킨다.
그러면, 실린더로드(220)와 연결된 연결링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와 연결고정된 유동슬리브(32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동슬리브(320)에 각각 일체로 고정된 가압레버(350) 및 유동레버(360)도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국, 상기 유동레버(360)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스토퍼(140)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보다 낮게 위치되게 되고, 동시에 가압레버(350)의 누름롤(352)은 배출레버(370)의 가압롤(372)을 누르게 되므로 이에 눌림을 받은 배출레버(370)는 보조축(33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그 다른 단부에 설치된 또다른 가압롤(372)이 슬리브(S)의 후단을 상방향으로 밀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S)는 스토퍼(140) 쪽으로 밀려 구르게 되고, 스토퍼 (140)를 지나 배출플레이트(150)로 이동되면서 배출처리되어 별도 수납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슬리브(S)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브를 맨드릴에 삽입하기 전에 슬리브의 수입상태, 훼손정도를 확인하고 불량품은 즉시에서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취외시킬 수 있음으로 슬리브 처리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의 안전성이 확보되며, 작업인원의 과소요를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맨드릴의 인접측에 설치되고 하향요입된 설치홈과 슬리브가 굴러내릴 수 있는 경사면을 갖춘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인접측에 경사지게 배설된 배출플레이트와;
    설치홈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로드를 갖는 작동실린더와;
    설치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보조축이 병설된 지지축과;
    실린더로드의 단부와 연결링크에 의해 연결고정되고 지지축상에 끼워고정된 유동슬리브와;
    유동슬리브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 인출시 최상사점에 이르도록 설치되며 단부에는 그립롤을 가진 유동레버와;
    유동슬리브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유동레버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단부에는 누름롤을 가진 가압레버와;
    중심은 보조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양단에는 가압롤이 설치되고 그중 하나는 누름롤과 접촉되게 배치되며 다른 하나는 슬리브의 하단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배출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배출플레이트 사이에는 배출되는 슬리브를 임시 지지하는 스토퍼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의 일측벽 상단은 절삭되고, 그 절삭된 면상에는 슬리브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지지롤이 매립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양단에는 상기 설치홈의 내벽면을 향해 호형상을 갖고 하향만곡진 형태의 보조바가 고정되고, 상기 보조바의 단부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지지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
KR1020040113463A 2004-12-28 2004-12-28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 KR101051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463A KR101051739B1 (ko) 2004-12-28 2004-12-28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463A KR101051739B1 (ko) 2004-12-28 2004-12-28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658A KR20060074658A (ko) 2006-07-03
KR101051739B1 true KR101051739B1 (ko) 2011-07-25

Family

ID=3716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463A KR101051739B1 (ko) 2004-12-28 2004-12-28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630B1 (ko) * 2002-08-08 2008-07-28 주식회사 포스코 극박재 용도의 스틸 슬리브의 자동검수 및 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714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강판의 권취릴 세그먼트 분해조립이 용이한 인출입장치
KR20040024220A (ko) * 2002-09-13 2004-03-20 주식회사 포스코 페이오프릴의 되감기코일 정렬용 캐칭장치
KR20040105935A (ko) * 2003-06-10 2004-12-17 주식회사 포스코 게이트형 슬리브 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714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강판의 권취릴 세그먼트 분해조립이 용이한 인출입장치
KR20040024220A (ko) * 2002-09-13 2004-03-20 주식회사 포스코 페이오프릴의 되감기코일 정렬용 캐칭장치
KR20040105935A (ko) * 2003-06-10 2004-12-17 주식회사 포스코 게이트형 슬리브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658A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135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a top film sheet from a film web
JP5615985B2 (ja) コイルから試料を取出す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229698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urchtrennen einer einen zuschnitt-stapel umgebenden banderole
KR101645947B1 (ko) 파이프 내경 용접비드 제거장치
CN207577551U (zh) 一种轴管上料机的推进装置
KR101051739B1 (ko) 폐슬리브 분별처리장치
CA2478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wrapping stretch film from a stretch wrapped palletized load
CN207580828U (zh) 一种轴管上料机的轴管分离装置
CN211668929U (zh) 一种混凝土压力试验机
JPH04505742A (ja) ワイヤー除去機
US6829822B1 (en) Pallet board removal assembly
KR200186061Y1 (ko) 철제 슬리브와 코일의 분리장치
KR20200078068A (ko) 파이프 운반장치
US1175697A (en) Apparatus for removing metal capsules from bottles.
CN109592456B (zh) 一种输送带卷绕装置及输送带的更换方法
JP3567368B2 (ja) 解梱装置
KR200168868Y1 (ko) 코일밴드 고정장치
JP3820238B2 (ja) 変圧器の解体方法及び装置
KR102378106B1 (ko) 철판소재 2매 분리 공급방법
KR100879321B1 (ko) 슬리브에 부착된 스트립 분리장치
JPS62249816A (ja) コイル用スキツド敷込みアツプエンダ−装置
KR101511722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
JPH0450970Y2 (ko)
JP3034197B2 (ja) 線状体の回収運搬装置
KR200201485Y1 (ko) 맨홀뚜껑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