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101B1 - 관광 레져용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광 레져용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101B1
KR101050101B1 KR1020080135227A KR20080135227A KR101050101B1 KR 101050101 B1 KR101050101 B1 KR 101050101B1 KR 1020080135227 A KR1020080135227 A KR 1020080135227A KR 20080135227 A KR20080135227 A KR 20080135227A KR 101050101 B1 KR101050101 B1 KR 101050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rt
driving
run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7312A (ko
Inventor
황무영
Original Assignee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1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02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04Flat fish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보전지구, 풍치지구, 습지, 굴곡이 심한 산간지대, 천연 동. 식물 자원보호지, 공원, 유원지 등과 같은 지역을 화석연료를 연소하면서 동작하는 내연기관과 같은 공해유발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주변 지역의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손쉽게 관람과 체험가능하게 하는 관광레져용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주변 경관지역을 관람하는 동시에 레일카트를 인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전진하게 되어 단순한 관람의 범위를 벗어나 적절한 레져 스포츠활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종래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폐(廢) 철도 레일위을 운행하는 인력에 의한 레일카트 운행 장치는 반드시 철도 레일이 있는 지역에 한정되어있다. 이러한 레일 설치 지역에 한정되므로 제아무리 좋은 자연환경을 주변에 갖고 있다 하여도 관람자가 걸어서 혹은 내연기관에 의한 자동차 혹은 전기 구동에 의한 소형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접근하게 되면서 이들 교통수단이 지나가는 도로가 자동차의 휘일에 의하여 압박받게 되어 필연적으로 환경을 파손하게 된다. 특히 이들 시설외에 직접 차량이 접근 가능하게 하는 경우 도로 설치로 인한 자연 파괴가 심화되므로 접근 자체를 통제하게 되어 충분한 관람도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철도 레일이 없는 지역이라 하여도, 간단한 레일트랙부(50)로 구성되는 주행레일부, 주행레일부를 주행하는 레일카트의 전진 과 후진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 이용이 완료된 레일카트를 보관하는 레일카트보관부, 콘트롤부로 구성되는 무동력 관람 레일카트 운행시스템을 설치하여 관광이 용이하게 하였다.
이러한 운영 시스템은 운행하는 레일카트 자체가 사람의 힘을 운영동력으로 이용하므로 자연에 대한 피해가 전무하며, 고장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주행레일부도 자동차와 같은 다른 교통수단이 교행하는 지역외에는 간단한 지주와 고정용 홀더의 설치만으로 설치가능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설치가능한 동시에 운영비용 역시 최소화하게 되었다. 특히 지주부에 의하여 주행레일 자체가 지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므로 관람하는 사람에 의한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 주변 환경에 대한 파괴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하여 자연보호론자의 개발 금지론과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개발론자간의 적절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적인 주행 레일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Description

관광 레져용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 {Cart driving system }
본 발명은 절대적인 보호가 필요한 천연 자원이 서식하는 자연 보호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미개척지, 차량과 같은 통행수단의 주행이 불가능한 습지 등과 같은 지역에 설치하여 각종 자연서식하는 동 식물의 생태계를 파괴하지않고 관람 가능하게 하는 관광 레져용 레일카트 운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경관이 수려한 지역을 레일카트를 이용하여 주행하면서 주변경치를 관상하는 동시에 자신의 체력에 의하여 진행하므로서 레져 스포츠 기구로도 동시에 활용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자의 종래 특허 제7026217호에서 사용하던 레일이 갖는 단점을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중공형 레일을 사용한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석탄, 시멘트, 목재 등의 운반용으로 주산지에 설치된 철도레일은 최근 채산성의 문제로 대부분 폐쇄되어진 채 방치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지역은 주로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산간지역이 대부분이므로 이 철도 레일 위를 사람의 인력을 이용하여 주행 가능한 레일카트를 개발하여 주변을 관광지로 개발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실용신안등록제 368841호(기차레일을 이용한 레일카트), 371751호(풍력을 이용한 레일카트)를 개발하여 현재 강원도 정선지역 등지에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레일카트는 기존에 버려진 폐 철도 레일을 이용하면서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사람이 직접 운행하므로 새로운 관광 명소로 이용이 되고, 이러한 이용의 증진은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레일카트는 반드시 기차레일이 설치되어있는 지역에서만 운행이 가능하며, 설사 운행이 가능하다 하여도 거의 대부분이 단선(單線)으로 운행이 되므로 레일카트 이용자가 많은 경우 상당한 시간을 대기하여야만 이용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단선구조이므로 사용이 끝난 레일카트를 다시 회수하여 출발위치로 복귀하는 시간만큼 대기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문제로 되는 것은 단선의 경우 레일카트가 운행되고 나면 사용한 레일레일카트를 다시 출발점으로 되돌리는 별도의 작업요원과 이 레일카트를 견인하기 위한 다른 장치들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단점으로 수익성도 일정하게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로는 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은 전혀 주행이 불가능하여 레일카트의 이용이 원천적으로 이용 불가능한 것이다.
즉, 경관이 수려한 호수주변, 해변가, 수목원, 레저 타운, 생태 공원 등과 같이 가능한 한 자연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변 경관을 육안으로 직접 체험하고 싶은 인원이 증가하지만 습지, 계곡, 호수 등을 직접 걸어서 혹은 배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방법 외에는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습지, 계곡, 호수 등의 내부까지 사람이 접근가능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로나 보도를 설치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자연을 파괴하게 된다. 도로가 개설되는 경우 관람객이 소유한 차를 몰고 접근하거나 보도로 접근시 도로개설에 의한 주변 환경이 파괴가 심각하므로 개발 자체가 거부되어 오고 있는 것이다. 최근 광릉수목원 지대의 경우에는 이러한 대단위 관람 인파의 접근과 차량으로 각종 천연 수목자원이나 조류들이 멸종하게 되면서 차량이 접근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있으며, 하루에 관람가능한 인원도 제한하고 있다.
산지의 경우에도 대규모 인원이 몰려드는 유명산의 경우 휴식년(休息年) 제도를 도입하여 사람의 접근 자체를 차단하는 불가피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아무리 인도를 일부 지역으로 제한한다 하여도 계절별로 대량의 인원이 입산하는 경우 인도가 사람의 발에 의하여 넓혀지고 파괴되는 것이 불가피하며, 그 결과 점차 인도가 확대되고 주변 식물군락이 소멸되어 가는 것이다. 결국 사람의 접근 자체를 막는 방법이 최선의 자연보호 대책일 수 밖에 없어 휴식년제 도입이 이용되어오고 있다. 그리고 천연 습지, 보호림 등은 처음 부터 사람이 접근을 차단하여 자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관람인원의 차단은 자연 보호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는 반면, 이곳의 경제적 궁핍은 피할 길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자연보호구역에 대한 접근을 근본적 으로 차단하기 보다는 직접 체험하게 하는 체험학습장이 필요하다. 이러한 체험에 의한 자연파괴의 해악을 피부로 느끼게 하는 장소가 갈수록 더욱 필요하고 있으나 적절한 대안이 제시되지못하고 있다. 그 결과 자연 보호와 개발이 서로 양립될 수 없어 개발론자와 보호론자의 끝없는 대립만 가속되어 오고 있다.
상기한 단점들을 개선하고 환경론자와 개발론자의 사이에서 각 지자체의 세원확보, 관광자원활성화 등의 목적을 동시에 이룰 수 있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 제7026217호를 개발하여 폐철도 부지의 관광자원화, 사람의 접근 어려운 지역에 대한 접근 용이성확보, 절대 자연보호 지역의 육안에의한 관광 체험, 오지와 습지나 늪지에 대한 생태학적 체험 등의 다양한 행사와 관광지화가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이 점점 확대 되면서 주행부가 곡선화 입체화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레일의 주행성능에 대한 새로운 추가적 보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자연 보호가 절실한 지역에 대하여 관람 인원이 대량으로 접근가능하면서도 자연생태계의 피해가 거의 없는 관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이라도 간단한 지지부와 레일트랙의 설치 그리고 트랙 위를 주행하는 레일카트의 개발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관광명소들에 손쉽게 접근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특히 주행레일의 구조를 중앙부가 좁고 상하부의 폭이 다르게 구성하여주며, 주행레일을 별도의 스테이바에 의하여 고정하도록 하여, 경량화를 이루는 동시에 설치가 용이하게 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동시에 주행레일이 동하절기의 열팽창변형에 의한 손상을 막고, 다년간 사용하여도 변형과 마모가 적은 새로운 주행레일을 채용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단순 사각형 레일이 갖는 단점을 개선하고자 레일에 적절한 절곡구조를 갖도록 하여 열변형성이나 충격, 인장 강도를 증가하도록 하였다. 특히 드라이빙부는 레일카트의 휘일이 끈임없이 접촉하고 마모와 충격이 받는 곳으로 이곳을 보강하고, 또한 하부의 베이스부도 상부에서 오는 힘을 적절히 분산하도록 하였다.
또한 주행레일을 받아주는 스테이바아도 새롭게 개선하고, 이들을 고정하는 방식도 개선하여 험지나 높낮이 변화가 심한 곳에서도 현장에서 손쉽게 수평을 맞추어 설치가능하게 한 새로운 형태의 스테이바아와 지주를 개발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주행 레일 시스템은 기존에 기차가 운행하던 레일에 맞추어 운행하던 레일카트를 레일의 설치 여부에 관계없이 이용가능하게 하였다. 그결과 자연경관이 수려하면서도 사람의 접근이 어려웠던 지역에 대하여 각종 내연기관을 이용한 접근이 아닌 사람에 의한 힘으로 접근하여 관람이 가능하게 하므로서 자연 보호구역에 대한 사람의 접근이 용이하면서도 그 지역에 대한 사람이 보행접근이 기본적으로 차단하여 자연이 보호되면서도 사람에 대한 자연 관람이 가능하게 하는 이중적 효과를 거두게 되었다.
본 발명은 설치 작업도 기존의 철도 레일이나 도로 설치와 달리 현장의 초지나 자연환경을 최대한 그대로 존치한 채 지주부의 설치만으로 지면과 접촉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설치로 원천적으로 사람과 하부 지면의 접촉을 차단하여 천연 자원이 훼손될 여지가 전혀 없도록 한 것으로 자연 보호와 자연을 이용한 관광자원화라는 양측면을 동시에 만족하여 지자체의 세수확보와 자연 보호 라는 양면을 동시에 만족하게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아무런 동력원(예, 전기, 휘발유)의 공급이 없이도 운행가능한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오지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며, 운행중에도 별도의 운행에 따른 복잡한 운영의 어려움이 없게 되었다.
본 발명은 간단한 인력과 같은 무공해 동력을 이용한 주행이라는 점에서 레일트랙간의 사소한 변형이나 왜곡이 있어도 주행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므로 레일트랙간의 연결도 경사지게 체결하여 약간의 왜곡이나 변형이 있어도 주행에 문제가 없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특히 주행레일을 구성하는 레일트랙이 내부가 중공의 구조이므로 경량화가 가능하다. 중공구조이면서 경량화의 단점으로 지적된 강도 저하를 상하부에 드라이빙부와 베이스부를 별도로 구성하여 굴곡지게 구성하므로 강도를 강화하에 충격이나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게 되었다. 특히 드라이빙부의 휘일과의 접촉 모서리부분을 굴곡부(20r)의 형성으로 휘일과 접하는 가장 충격이 심한 부분에 대한 내구성을 보다 강화하여 주었다. 또한 드라이빙부의 중앙부(c)에서 부터 굴곡부까지 레일카트의 휘일경사와 거의 유사한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여, 이곳을 접한 휘일의 접촉면적을 굴곡부에서부터 중앙부까지 균등한 접촉을 이루게 하였다. 이러한 휘일의 표면과 드라이빙부의 균일 접촉은 주행중 레일카트의 안정적 주행을 보장하고 탈선과 같은 사고의 방지가 가능하며, 주행감을 크게 개선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의 설치시 이미 클렘핑볼트를 레일트랙의 상면에 설치하여 주어 현장에 공급이 되므로, 설치 작업자는 실측이 필요없이 현장에서 이 클렘핑볼트의 사이에 주행레일을 배치하고 클램핑과 너트의 조립작업만으로 주행레일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또한 운행중 파손이 발생한다하여도 죠인트블록만 해체하고 해당 레일트랙만을 교체하면 모든 보수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관이 탁월하거나 각종 기념물 혹은 학습관람용 자료가 전시된 공간, 직접적인 사람의 접근이 제한된 천연 자원이 서식하는 자연 보호지, 사람이 접근이 어려운 미개척지, 일반적인 차량이나 기타 교통수단의 주행이 불가능한 습지 등과 같은 지역에 도로개설, 레일설치와 같은 막대한 공사비가 소비되지 않으면서도 각종 천연 자원, 동식물, 학습용 자료 등을 관람 가능하게 하는 관광과 레져를 겸비한 레일카트 주행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4각강관이 아닌 상하부의 폭과 구조를 달리한 새로운 형태의 중공구조의 주행레일의 제공과 주행레일을 고정하는 스테이바 그리고 이 스테이바를 지면에 고정하는 지주구조에 의하여 필요한 장소의 지리적 특이함에 구애받지 않고 레일카트를 설치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등록인 특허제 7026217호에 도시한 도 1에 도시한 구조의 레일트랙이 지면에 직접 설치되거나 혹은 지상과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는 일반주행부(100), 주행레일의 일정위치에서 주행레일위를 진행하는 레일카트의 방향이 전환가능하게하는 방향전환부(200), 차량과 같은 중량물이 지나는 도로 등과 교행하는 도로교차부(300), 하천이나 호수 등의 수변부를 진행하는 수변 횡단부(400) 그리고 레일카트 보관소(600)로 구성된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레일부와 그 고정 구조를 개선한 새로운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선등록 특허 026217호(이하 선등록특허라 함)의 전체 구성을 도 1에 도시하며, 도 2는 선등록특허의 실제 설치상태의 단면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주행레일중의 단일 레일트랙의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발명의 주행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주행레일의 레일트랙들이 서로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과 같이 레일카트가 주행가능하도록 하는 주행부, 주행부를 주행하는 레일카트의 방향전환을 위한 방향전환부, 주행부와 도로 하천등과 교행하는 도로교차부 혹은 수변횡단부와 레일카트를 보관하는 레일카트보관소로 구성되는 레일카트운행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부의 주행레일이 내부는 중공부(30)이면서 중앙에 오목부(13)를 형성하고, 오목부의 상측으로 드라이빙부(20)를 그리고 그 하측으로 베이스부(25)를 형성하여 레일트랙을 구성하며,
상기한 레일트랙과 레일트랙간은 죠인트블록(40)의 중공부삽입후 고정구(41)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도록 하여 레일카트 운행가능한 주행부를 구성하며,
상기한 주행부는 지면과 이격되어져 있는 스테이바(7a)와 수직교차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주행부에 사용되는 레일트랙이란 도 3에 도시하듯이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구조이다. 이러한 중공구조는 제작이 용이한 대신에 종래 선등록특허와 같이 4가봉상구조로 작성시 부분적 변형이나 열수축팽창시 취약성을 일부 드러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듯이 중앙부를 오목하게 하고 그 상하부를 폭이 다르게 구성하고, 각 각의 첨예부는 굴곡부를 구성하여 두께가 얇은 중공구조이면 서도 열수축팽창변화와 각종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켜 주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레일트랙의 드라이빙부(20)와 베이스부(25)는 베이스부의 하측 폭(25w)이 드라이빙부(20)의 상측폭(20w)보다 크게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상부의 드라이빙부는 레일카트가 직접 접하여 주행하는 기능을 하므로 가능한한 레일카트의 휘일(W)와 접하는 면을 적게하여 주행시 저항을 적게하고자 하는 것이다. 반면에 하부의 베이스부는 위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가능한 넓게 확장하여 하부로 전달되는 하중분산을 최적화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중공구조이면서도 수톤에 이르는 레일카트의 주행시 각종 운행 충격을 흡수제거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렇게 구성된 레일트랙은 고정 방식에 있어 도 3과 4에 도시하듯이 지주부의 지주(1)가 지중(2)에 고정되는 하부의 일부에 침하방지판(3)을 설치하며, 상단부(4)는 홀더(5)에 의하여 레일트랙과 연결한다.
지주부는 도시하듯이 지중과 거리가 짧은 경우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길게 구성하기도 하며 그 길이는 제한을 받을 필요는 없다. 그리고 침하방지판도 지중의 구조가 침하가 심한 습지나 사질토양 등인 경우 침하방지판의 크기도 크게 하거나 혹은 침하방지판을 다중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주행부의 레일트랙은 스테이바(stay bar=침목)(7a)의 양단부에 형성된 관통공(7b)에 지주부의 상단이 관통하도록한 다음, 측단부(7c)에서 고정구(8)와 너트(9)에 의하여 임의로 승하강 가능토록 고정한다. 이러한 특징은 설치되는 현지 상황에 맞추어 주행레일을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스테이바는 항시 수평을 유지하면서 하부의 지면이 높거나 낮음에 따라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여 주는 것이다. 또 한편으로 주행레일을 설치하고 나서 일정한 세월이 흐르게 되면서 지면이 승하강하거나 레일에 일부 변형이 발생하여 스테이바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에도 측단부에 설치된 고정구만 풀고 재조정하면 높낮이가 얼마든지 조절이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보수가 극히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특징으로 레일트랙과 레일트랙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있어서 레일트랙의 오목부 양측면에 고정공을 형성하되, 레일트랙 양측의 고정공(32)들을 원형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이 고정공에 대응하여 레일트랙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죠인트블록(40)은 도 6에 도시하듯이 일측은 일반적 원형으로 타측은 타원형으로 레일트랙의 고정공들과 대응되는 관통공(43)을 구성하여 준다. 따라서 레일트랙의 체결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금속재 레일트랙이 동하절기 온도차이가 수십도에 이르게 되면서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 팽창의 변화를 흡수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레일트랙의 드라이빙부(20)의 양측단에 굴곡부(20r)가 형성한다. 드라이빙부의 중앙부(c)에서부터 굴곡부까지 레일카트의 휘일경사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여준다. 이러한 굴곡부는 특히 드라이빙부만에 한정하지 않고 각각의 첨예부에는 모두 굴곡부를 주어 강도를 강화한다. 특히 드라이빙부는 레일레일카트의 휘일(W)과 직접 접하면서 레일카트의 하중과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는 곳이므로 이렇게 보강하여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레일트랙의 베이스부의 하측면에 보강돌기 부(25c)를 형성하여 주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베이스부가 상부에서 가해지는 모든 충격을 스테이바에 전달하면서 상부의 드라이빙부를 지지하여 주는 곳이므로, 직접 힘이 가해지면서 저면에 왜곡이 발생할 염려가 있으므로 이렇게 하여 그 왜곡을 흡수하도록 한다. 또한 스테이바에 설치시 스테이바와의 접촉면적을 축소하여 평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작업성이 좋게 한다.
본 발명에서 스테이바(7a)는 상면(7s)에 베이스부의 하측 폭(25w)을 포괄가능한 넓이로 클램핑볼트(7g)들을 고정하며, 내부는 중공구조를 갖도록 구성한다.
스테이바는 본 발명에서 설치되는 주행레일의 고정이 되는 곳으로 설치의 용이와 보수의 용이를 동시에 가능하기 위하여 이렇게 클램핑볼트(7g)들을 미리 고정하여 주었다. 그리고 이 클램핑볼트의 상측으로 ㄱ 자형의 클램핑(7h)와 너트(7j)에 의하여 고정하게 되면 클램핑이 레일트랙의 하측 베이스부상측을 조여주게 되어 주행레일을 구성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이 클램핑볼트의 설치된 그대로 클램피h볼트의 설치 위치를 따라 레일트랙을 안치하고 조립하면 레일 설치에 대한 기술이 전무한 초보자라 하여도 손쉽게 주행레일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종래 주행레일 시스템이 호수주변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종래 레일트랙 설치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레일트랙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지면에 직접 설치하는 평탄형 레일트랙의 단면도,
도 5 는 지면이 굴곡이 심한 경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도로 교차부에서 경량형 도로 교차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laims (7)

  1. 레일카트가 주행가능하도록 하는 주행부, 주행부를 주행하는 레일카트의 방향전환을 위한 방향전환부, 일반주행부와 도로 하천등과 교행하는 도로교차부 혹은 수변횡단부와 레일카트를 보관하는 레일카트보관소로 구성되는 관광 레져용 레일레일카트운행 시스템에 있어서,
    레일트랙의 드라이빙부(20)와 베이스부(25)는 베이스부의 하측 폭(25w)이 드라이빙부(20)의 상측폭(20w)보다 크게 구성하고,
    이 레일트랙의 드라이빙부(20)의 양측단에 굴곡부(20r)를 형성하는 동시에 베이스부의 하측면에 보강돌기부(25c)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레져용 레일카트운행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135227A 2008-12-29 2008-12-29 관광 레져용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 KR101050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227A KR101050101B1 (ko) 2008-12-29 2008-12-29 관광 레져용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227A KR101050101B1 (ko) 2008-12-29 2008-12-29 관광 레져용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312A KR20100077312A (ko) 2010-07-08
KR101050101B1 true KR101050101B1 (ko) 2011-07-19

Family

ID=4263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227A KR101050101B1 (ko) 2008-12-29 2008-12-29 관광 레져용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1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605A (ja) 1998-10-26 2000-05-09 Koei Sangyo Kk 丸パイプの補助レール連結装置
JP2001140201A (ja) * 1999-11-16 2001-05-22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用レールおよび鉄道用軌道
KR100702617B1 (ko) * 2006-05-22 2007-04-04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관광 레져용 카트 운행 시스템 및 레일트랙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605A (ja) 1998-10-26 2000-05-09 Koei Sangyo Kk 丸パイプの補助レール連結装置
JP2001140201A (ja) * 1999-11-16 2001-05-22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用レールおよび鉄道用軌道
KR100702617B1 (ko) * 2006-05-22 2007-04-04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관광 레져용 카트 운행 시스템 및 레일트랙 보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312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617B1 (ko) 관광 레져용 카트 운행 시스템 및 레일트랙 보수방법
US6571717B2 (en) Y-shaped support structure for elevated rail-vehicle guideway
KR101050101B1 (ko) 관광 레져용 레일카트 운행 시스템
DE4021834A1 (de) Fahrwegkonfigurationen fuer magnetschwebebahnen
CN1439558A (zh) 叠式道路和叠式有轨电车以及列车防脱轨装置
CN203588579U (zh) 一种简支梁桥教学仿真结构体
CN102330509A (zh) 一种具有道路和商住功能的长城式建筑
CN101469572A (zh) 城市与小区规划
RU2136802C1 (ru) Кольцевая магистраль мегаполиса и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кольцевой магистрали мегаполиса
Hellenthal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Chicago Riverwalk
DE102020003154A1 (de) Überbauung Verkehrswege zum Gewinnen bebaubarer Flächen
Burr et al.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metallic bridges
Yeung et al. Cycle Track Networks Enhancing Social, Economic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Hong Kong
Wilson Pittsburgh's Bridges
RU2007128754A (ru) Транспортный комплекс города, мегаполиса
Montens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of using UHPC for metro viaducts
KIAROSTAMI et al. Parco Maggiore di Piacenza. Development of the northern sector of Piacenza by reconnecting the city with nature
Yuyama The tobu kyuryo line (popular name: linimo) a magnetic levitation system
KR20100105814A (ko) 하천, 도로 및 철도상공 여유공간을 이용한 터널형 빌딩복합구조 및 케이블카 정거장 시스템
CN202194432U (zh) 一种具有道路和商住功能的长城式建筑
Shao et al. Cost-Effective Rehabilitation Of Kao-Ping Bridge Across The Kao-Ping River
RU100086U1 (ru) Гоночная трасса для авто- и мотогонок
US912478A (en) Surface street or road railway for automobiles and other vehicles.
JP3021387U (ja) 跨線橋又は架道橋の中央高架部
Penic Urban Regeneration of Dockland: Borneo Sporenburg, Amsterd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