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497B1 -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497B1
KR101049497B1 KR1020090039597A KR20090039597A KR101049497B1 KR 101049497 B1 KR101049497 B1 KR 101049497B1 KR 1020090039597 A KR1020090039597 A KR 1020090039597A KR 20090039597 A KR20090039597 A KR 20090039597A KR 101049497 B1 KR101049497 B1 KR 101049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ulpi
honey
powder
skin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784A (ko
Inventor
함옥련
Original Assignee
함옥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옥련 filed Critical 함옥련
Priority to KR102009003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49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밤을 2일 내지 3일 건조시킨 후 율피를 분리하는 제 1 단계, 분리된 율피를 그늘에서 5 내지 7일 간 건조시킨 후 분쇄하는 제 2 단계, 분쇄하여 얻은 율피가루 20 ~ 30 중량 %와 꿀 70 ~ 80 중량 %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제 3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저어주면서 상온에서 30일 내지 60일 동안 숙성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숙성과정을 통해 뛰어난 점성을 갖추게 되어 피부에 밀착감을 주고 영양분의 피부 흡수를 촉진시킴으로써 모공 수축, 피지조절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팩을 제조할 수 있다.
율피가루, 야생화 꿀, 숙성, 모공 수축, 피부미용, 팩

Description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BEAUTY PACK CONTAINING CASTANEA CRENATA POWDER}
본 발명은 모공 수축 및 피지조절 뿐만 아니라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있는 율피 꿀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율피가루 및 꿀을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뛰어난 점성을 갖추게 되어 피부에 밀착감을 주고 영양분의 피부 흡수를 촉진시킴으로써 모공 수축, 피지조절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율피 꿀팩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는 조직으로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 층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신체를 주위의 변화에 순응시키는 역할을 한다. 피부의 주요기능으로는 세균의 침입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온 조절, 비타민 D의 합성, 면역 작용 등이 있다.
이러한 피부의 부속기관인 피지선은 모공을 통하여 피지를 피부 최외층으로 분비하여 각질층의 수분 증발을 막아 피부에 윤기를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피지가 과다 분비되거나 피지가 모공에 쌓일 경우에는 번들거릴 뿐만 아니라, 세균감염이 쉽게 될 수 있고, 먼지와 결합하여 거무스름한 자국을 남기고 피부트러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현대인의 피부는 수질오염이나 대기 오염 등의 공해나 강한 자외선 등의 유해환경 및 스트레스 등에 노출되어 다양한 손상을 받고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생리활성이 저하되고 손상된 피부의 회복 속도도 지연되면서 모공확대, 탄력저하, 주름 형성 등 피부노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나, 현대인들의 깔끔한 외모나 깨끗한 피부를 갖고자 하는 욕구는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풍조에 의해 과거보다 더욱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발맞추어, 모공을 축소시키고, 피지를 제거하고 미백효과가 있는 화장품에 대한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피부 내부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피부 진정효과가 있는 피부미용 팩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피부미용 팩에 사용되는 화장료의 성분은 인공으로 합성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심할 경우 피부 발진이나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피부에 부작용이 적은 식물이나 한방 재료의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들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커짐에 따라 최근 각종 천연 식물이나 한방 재료를 이용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특히, 녹두, 오미자, 콩과 식물, 상황버섯, 인삼, 닥나무, 오이, 율피, 복숭아 씨, 율무 등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 이들 중 율피를 함유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공개특허 제2005-0100307호에서는 곡물과 해초류 그리고 다양한 한약재를 일정량으로 혼합하여 이를 미세하게 분쇄한 조성물에 꿀과 우유를 첨가 혼합한 한방 맛사지 팩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천연재료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안전한 면이 있으나, 율피를 비롯한 각 한약재의 함량이 0.3g밖에 되지 않아 재료의 효과를 이끌어내기에는 매우 소량이고, 원재료로 사용되는 수십 종류의 각 구성성분간의 상호 효과 또한 명확히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01913호에서는 율피추출물과 가자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피부노화 방지 및 미백 효과를 위해 율피를 사용하고 있으나, 율피를 유기용매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유기용매의 독성으로 인해 율피가루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유기용매에 추출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물에서 감압추출하는 기술을 보이는 국내 등록특허 제0760670호에서는 닥나무 껍질 및 구절초의 추출물을 준비한 후 콩가루, 녹두가루, 율무가루, 율피가루, 감초가루, 흑축가루, 당귀가루, 박하가루, 녹차가루, 들깨가루, 어성초가루, 토사자가루, 구절초가루, 동과자가루, 복숭아씨가루, 다시마가루, 현미가루, 밀가루, 우유, 오이즙 등을 혼합한 천연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독성 위험은 줄었으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재료의 종류가 너무 많아 각 구성성분간의 상호 작용 및 효과를 명확히 알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재료를 구하기도 힘들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개시된 화장료 등에는 모두 율피를 포함하고 있으나, 율피를 매우 소량으로 포함하고 있어, 율피가 갖는 피부에 대한 약리 작용이 제대로 발휘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한편, 기존의 팩제에는 팩이 얼굴에 도포되었을 때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점성을 높이고 화장품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잔탄 검(xanthan gum)이나 폴리쿼터(polyquat) 등의 증점제를 주로 첨가하고 있다. 상기 잔탄 검은 젤타입의 화장품을 만드는데 주로 쓰이며, 첨가시 퍼짐성이 좋은 질감을 만들어내지만, 쉽게 상하기 때문에 장기 보관시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첨가제를 추가로 필요로 한다. 또한 폴리쿼터의 경우는 잘 녹지 않거나 굳을 경우에 피부에 트러블 및 민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몇가지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여 경제적이고, 피부에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도포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해한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점성이 충분하여 팩으로서 효과적이고, 동시에 모공수축, 피지조절 및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새로운 팩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율피가루와 꿀 등 일상에서 구하기 쉬운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여, 율피의 효능을 최대화시키고 부작용이 없으면서 안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피부 문제점을 예방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함 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율피 꿀팩을 제조함에 있어서, 율피가루와 꿀의 최적의 배합비율을 제공하고 증점제와 같은 별도의 화학물질의 첨가없이도 숙성과정을 통해서 점성을 획득함으로써, 팩으로서 효과적이고 피부에 도포시 밀착감을 줄 수 있는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은 생밤에서 율피를 분리하는 제 1 단계, 분리된 율피를 그늘에서 습도 %에서 5 내지 7일 간 건조시킨 후 분쇄하는 제 2 단계, 분쇄하여 얻은 율피가루 20 ~ 30 중량 %와 꿀70 ~ 80 중량 %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제 3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저어주면서 숙성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계의 율피 분리는 생밤을 2일 내지 3일 건조시킨 후 겉껍질을 벗긴 다음, 면도칼로 율피를 두께 1~1.5mm가 되도록 분리시키고, 상기 제 2 단계의 율피 분쇄는 200 ~ 250 메쉬(mesh)의 크기를 가진 가루로 만들고, 상기 제 3 단계의 꿀은 야생화 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4 단계의 혼합물 숙성은 하루 1회 이상 저어주면서 상온에서 30일 내지 60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혼합물의 배합비율은 율피가루가 25 ~ 30 중량 %이고, 꿀이 70 ~ 7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상기 율피가루와 상기 꿀의 혼합비가 3 : 7인 율피 꿀팩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은 증점제와 같은 첨가제의 첨가없이도 숙성과정을 통해 점성을 획득함으로써, 얼굴에 도포한 경우 피부에 밀착감을 주고 흘러내리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율피가루와 꿀의 최적의 조성비를 제공함으로써 두 재료의 상승효과에 의해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제조방법이 간편하면서도 모공 수축 및 피지 조절과 동시에 피부노화 방지에 효과적인 피부미용 팩을 제조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율피가루와 꿀을 일정한 배율로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점성을 획득하여 흘러내리지 않는 율피 꿀 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율피 꿀 팩은 율피가루를 포함한다. 본래 밤은 맛과 영양이 뛰어나 오래전부터 식용에 이용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제사음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율피는 참나무과(Castanea crenata S. et Z., Castanea mollissima Bl., Castanea bulgaris) 또는 약밤나무(Castanea Bungeana Bl)의 과실을 싸고 있는 짙은 갈색의 속껍질로서 밤으로부터 분리한 것으로, 부(扶)라고도 한다.
율피는 밤을 이용한 가공식품 제조시 제거되던 일종의 부산물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율피가 갖는 피부 미용 효과가 알려지면서 민간에서 피부미용 팩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실제로 본초강목이나 동의보감에는 율피를 꿀에 섞어 바르 면 피부가 바짝 수축하게 되어 노인 얼굴에 생긴 주름살을 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또한, 율피는 가래를 삭혀주고, 원기회복이나 혈액순환 등의 효능도 커 한약재로도 이용되나, 강한 햇빛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보호하며 수렴효과 및 미백 작용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능은 주로 율피의 탄닌(tannin) 성분에 의한 것으로, 율피의 탄닌은 글루코스에 갈릭 산(gallic acid) 잔기가 글루코시딕 결합으로 결합된 화합물이다. 또한 율피의 탄닌에는 엘라긱 산(ellagic acid)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쿠에르세틴이나 모린 등의 기타 다른 폴리 페놀 성분 또한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율피의 탄닌 성분은 오래된 피지와 각질제거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어 노화피부나 기미피부에 이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율피 꿀팩은 꿀을 포함한다. 꿀은 주성분이 다당류와 포도당이며, 꽃가루 특유의 비타민, 단백질, 미네랄,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음과 동시에 몸속에 흡수가 잘된다. 또한 꿀은 장시간 보관하여도 부패하지 않는데 이는 꿀에 살균능력이 있기 때문이며, 자연 방부제 효과로 보존 능력이 탁월하여 피부에 사용시 살균 효과 및 피부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꿀에는 각종 비타민(B, C)류와 미네랄 등이 흡수하기 쉬운 상태로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꿀에 함유된 비오틴은 필수적 조효소로서 비타민B2, 비타민 B6, 나이아신, 비타민A와 함께 작용하여 피부의 건강을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율피 꿀팩은 율피가루와 꿀을 주재료로 포함함으로써, 모공수축, 피지조절 및 각질제거를 함과 동시에 피부감염을 예방하고 비타민, 미네 랄 등 피부에 영양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수의 한약재에 소량으로 포함되어 이용되었을 뿐이고, 상기 기술한 율피와 꿀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장료의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더우기 본 발명에서 제공하려고 하는 상기 재료를 최적의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숙성과정을 거침으로써, 팩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점성을 획득하는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이하,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 및 배합비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은 생밤에서 율피를 분리하는 제 1 단계, 분리된 율피를 그늘에서 5 내지 7일 간 건조시킨 후 분쇄하는 제 2 단계, 분쇄하여 얻은 율피가루 20 ~ 30 중량 %와 꿀 70 ~ 80 중량 %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제 3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저어주면서 숙성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생밤에서 율피를 분리하는 제 1 단계는 생밤을 건조시킨 후 율피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생밤은 2일 내지 3일 동안 17 내지 28℃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데, 이는 생밤으로부터 겉껍질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3일을 초과하여 건조하게 되면 율피의 촉촉함이 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밤은 가을에 갓 수확한 밤이 바람직하다. 밤은 보관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보관을 아무리 잘했다 하더라도 햇밤과 겨우내 보관한 밤은 맛과 영양에서 차이가 나는데, 본 발명에는 가을에 갓 수확한 밤이 보관한 밤보다 점성의 생성 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오래 보관한 밤일수록 점성의 생성이 더디고, 피부 에 도포시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의 점성을 획득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밤은 농약을 치지 않고 기른 밤이 바람직하다. 팩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기 때문에 가루를 내어서 사용시 유해한 성분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시킨 생밤의 겉껍질을 벗기고, 생밤에서 율피를 분리한다. 상기 율피를 분리하는 방법은 면도칼을 이용하여 벗겨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율피의 두께가 1 ~ 1.5mm가 되도록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도칼을 사용하면 율피를 얇게 탈피시킬 수 있어서 밤 살이 거의 붙지 않도록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시중에서 밤껍질을 벗길 때 사용하는 밤깎는 기계를 사용할 경우, 율피에 밤 살이 많이 붙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마른 밤은 탈피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물에 불려서 깍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율피에 함유된 탄닌성분이 수용성이므로 물에 녹아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밤을 불려서 율피를 분리시킨 경우 본 발명에서 원하는 점성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율피 꿀팩 제조방법의 제 2 단계로서, 상기 분리된 율피를 그늘에 널어서 5일 내지 7일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한다. 상기 건조는 가을에 습도 35 내지 60%일 때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을 날씨는 대체로 기온이 낮고 대기 중의 습도도 낮고 바람이 강하지 않아 곡식의 건조에 가장 좋은 조건을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율피를 5일 미만으로 건조시킬 경우 율피에 습기가 남아있게 되어 가루를 내어 꿀과 섞어 오래 두면 수분이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7일을 초과하여 건조시킬 경우 영양분이 파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건조된 율피는 장기간 보관 하여도 곰팡이가 슬거나 상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꿀과 혼합하여 숙성시 수분이 빠져나오지 않는다. 한편, 상기 건조과정은 5일 정도 건조된 율피를 바람이 부는 맑은 날 햇빛이 비추는 곳에서 3 ~ 4시간 바싹 한번 더 말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볕이 따갑지 않은 오전에 말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율피를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다. 상기 율피가루는 미숫가루와 같은 정도의 크기를 갖는 분말이면 되나, 200 ~ 250 메쉬(mesh)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이 너무 작으면 꿀과 혼합시 골고루 혼합이 안되고 뭉칠 수가 있으며, 상기 분말이 너무 크면 숙성된 후에도 거친 감이 있어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상기 율피가루와 더불어 본 발명의 율피 꿀팩의 다른 구성성분인 꿀은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꿀은 봄에 채취하는 아카시아 꿀보다는 가을에 채취하는 자연산 야생화 꿀과 같은 잡꿀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율피 꿀팩 제조방법의 제 3 단계는 상기 분쇄하여 얻은 율피가루 20 ~ 30 중량%와 상기 꿀 70 ~ 8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혼합물의 배합비율은 상기 율피가루 25 ~ 30 중량%와 상기 꿀 70 ~ 75 중량 %일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율피가루와 상기 꿀의 혼합비는 3 : 7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의 배합비율은 상기 율 피가루 25 중량 %와 상기 꿀 75 중량 %를 혼합할 때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율피가루가 20 중량 %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숙성시켜도 점성이 약해서 흘러내릴 수 있으며, 30 중량 %를 초과할 경우에는 얼굴에 바를 경우 퍼짐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율피가루나 꿀을 소량으로 이용하거나 많은 종류의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호 재료간 배합비율이 큰 의미를 갖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에서의 상기 율피가루와 꿀의 혼합배율은 본 발명자가 30년 이상의 반복된 실험과 시행착오를 거쳐 팩으로서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점성을 획득할 수 있는 최적의 배합비율을 찾아낸 것으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얻은 율피가루 및 꿀을 상기 혼합배율로 혼합하여 숙성시킬 경우, 다른 첨가물없이 숙성과정만으로도 본 발명에서 원하는 점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시중에 파는 율피가루를 이용할 경우에는 꿀과 혼합하여 숙성시켜도 점성이 생기지 않고 계속 묽게 존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율피 꿀팩 제조방법의 제 4 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저어주면서 숙성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물의 숙성과정은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하루 1회 이상 저어주면서 상온(17 ~ 25℃)에서 30일 내지 60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숙성'이라 함은 상기 율피가루와 꿀의 혼합물에 쫀득쫀득할 정도의 끈기가 생겨 얼굴에 발라도 흘러내리지 않게 될 정도의 점성을 갖게 되는 것을 말한다.
종래의 팩의 가장 큰 문제점은 얼굴에 바를 경우 흘러내릴 수 있다는 점이 다. 따라서, 팩을 할 경우에는 누워서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율피가루를 내어서 꿀과 섞어 숙성과정없이 팩을 만들면 얼굴에서 흘러내릴 뿐만 아니라, 밀착되지 않고 미끄러져 버린다. 즉, 꿀과 율피가루가 겉도는 현상이 일어나서 번들번들하고 꿀만을 바른 것과 별반 다를 바가 없어 율피 가루가 갖는 유효성분들이 피부에 흡수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숙성과정을 거치게 되면 율피가루의 입자와 꿀이 완전히 혼합되면서 점성이 생겨 퍼짐성이 좋고 얼굴에 잘 밀착되기 때문에, 율피와 꿀의 유효성분들이 피부에 잘 흡수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뚜껑이 있는 그릇에 넣고 상온 조건에서 그늘에 두어 숙성시킨다. 상기 그릇은 유리나 사기로 된 것이 바람직하고, 반드시 밀폐시킬 필요는 없다. 다만, 상기 숙성시키는 동안 혼합물에서 기포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자주 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기포는 두 재료의 입자간 혼합이 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데, 저어주지 않고 그대로 두면 혼합물의 분리가 일어나 혼합물이 균일하게 배합되지 않으므로 점성의 획득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저어주는 횟수는 상관이 없으나, 하루에 1회 이상 저어주어서 기포를 없애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팩의 준비는 소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대량으로 할 경우에는 배합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계의 힘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포는 보름 이상 계속하여 생길 수 있으나, 숙성과정이 진행되면서 줄어들다가 숙성이 다 되면 더이상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 혼합물은 30일 내지 60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30일 미만 으로 숙성시킬 경우에는 얼굴에 도포할 경우 흘러내리지 않고 밀착될 정도의 점성을 획득하기 어렵고, 60일을 초과하여 숙성시킬 경우에는 혼합물이 굳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숙성과정을 거친 율피가루와 꿀의 혼합물은 숙성 전과 비교할 때 색깔이 더욱 진해져서 거무스름하게 된다. 상기 숙성된 혼합물은 숙성 전에는 숟가락으로 떠서 45°로 기울였을때 흘러내리지만 숙성 후에는 쫀득쫀득하면서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의 점성을 갖게 된다. 또한, 숙성 전에는 율피가루와 꿀이 겉돌아 손으로 만졌을때 미끄러지지만 숙성 후에는 미끄러지지 않고 피부에 잘 밀착된다. 따라서, 반드시 누워서 팩을 할 필요가 없으며 얼굴에 도포하고 활동할 수 있다.
[실시예]
9월 중순 경에 농약을 치지 않고 재배한 햇밤을 수확하여 알이 꽉 들어찬 알밤을 골라서 3일간 17~25℃에 두어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생밤의 껍질을 벗긴 다음 면도칼로 율피를 두께 1mm가 되도록 분리시키고, 분리된 율피를 평균습도 40~60%의 그늘에 널어서 6일간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율피를 햇볕에 3시간 더 말린 후 방앗간에서 말린 율피를 빻아 200 메쉬의 크기를 가진 율피가루를 얻었다.
그런 다음, 율피가루 250g과 야생화 잡꿀 750g을 혼합한 후 잘 배합되도록 저어준 후 유리그릇에 넣고 뚜껑을 덮어 두었다. 이후 30일 동안 혼합물을 하루 1회 내지 3회 저어주면서 숙성시켜 점성이 있는 율피 꿀팩을 완성하였다.

Claims (4)

  1. 생밤에서 율피를 분리하는 제 1 단계;
    분리된 율피를 그늘에서 5 내지 7일 간 건조시킨 후 분쇄하는 제 2 단계;
    분쇄하여 얻은 율피가루 20 ~ 30 중량 %와 꿀 70 ~ 80 중량 %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제 3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저어주면서 숙성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율피 분리는 생밤을 2일 내지 3일 건조시킨 후 껍질을 벗긴 다음, 면도칼로 율피를 두께 1~1.5mm가 되도록 분리시키고,
    상기 제 2 단계의 율피 건조는 평균습도 40 내지 60%에서 건조시키고, 상기 율피 분쇄는 200 ~ 250 메쉬(mesh)의 크기를 가진 가루로 만들고,
    상기 제 3 단계의 꿀은 야생화 꿀이고,
    상기 제 4 단계의 혼합물 숙성은 하루 1회 이상 저어주면서 상온에서 30일 내지 60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배합비율은,
    율피가루가 25 ~ 30 중량 %이고,
    꿀이 70 ~ 7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의하여 제조된 것으로 상기 율피가루와 상기 꿀의 혼합비가 3 :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율피 꿀팩.
KR1020090039597A 2009-05-07 2009-05-07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 KR101049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97A KR101049497B1 (ko) 2009-05-07 2009-05-07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97A KR101049497B1 (ko) 2009-05-07 2009-05-07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84A KR20100120784A (ko) 2010-11-17
KR101049497B1 true KR101049497B1 (ko) 2011-07-15

Family

ID=4340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597A KR101049497B1 (ko) 2009-05-07 2009-05-07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5867B (zh) * 2012-01-16 2013-07-31 上海得高实业有限公司 鸡胚精华液冻干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106A (ko) * 2001-09-27 2003-04-08 조영구 무선단말기간에 음성에 의한 전화통화 연결 직전에상대방의 화상이미지를 제공받게 해주는 기능을 가진웹브라우저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2039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거리 센서를 이용한 스피커폰 제어장치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106A (ko) * 2001-09-27 2003-04-08 조영구 무선단말기간에 음성에 의한 전화통화 연결 직전에상대방의 화상이미지를 제공받게 해주는 기능을 가진웹브라우저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2039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거리 센서를 이용한 스피커폰 제어장치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84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58198B (zh) 一种含黑莓提取物的强抗氧化护肤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1904383B (zh) 金花茶有机茶及其制作方法
KR102006708B1 (ko)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20200065339A (ko) 황칠나무 및 새싹보리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 개선 화장품 제조방법
CN107625690A (zh) 滋润保湿油茶果润唇膏及其制备方法
KR101909423B1 (ko) 저염 된장의 제조방법
KR101346693B1 (ko) 뽕나무의 잎, 줄기, 뿌리 껍질, 열매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N106722999A (zh) 一种胶原肽制备方法、包含其的低糖胶原养颜糕点及制备方法
KR101561268B1 (ko)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N108066273A (zh) 核桃美白保湿面膜霜及其制备方法
KR101049497B1 (ko) 율피 꿀팩의 제조방법
CN107593990A (zh) 一种辣木红茶的制备方法
KR101920859B1 (ko) 엉겅퀴 꽃 발효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085165A (zh) 一种可食用美容面膜粉及制作方法
CN101336710B (zh) 一种干燥樱树叶制品及其应用
KR100796395B1 (ko) 화장품 원료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0313A (ko) 벌꿀을 용매로 하여 한방, 식물, 천연물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조제공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N1823721A (zh) 牡丹天然有机化合物系列牙膏制品组配及其制备方法
CN108210432A (zh) 含红糖和洋甘菊超微粉的磨砂膏及其制备方法
KR102072346B1 (ko) 피부 보습용 옥수수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N104382781A (zh) 一种含有发芽糙米的天然可食多功能化妆品组合物
KR101243530B1 (ko)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KR101731420B1 (ko)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9908013A (zh) 一种刺梨面膜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