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404B1 -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404B1
KR101049404B1 KR1020100138095A KR20100138095A KR101049404B1 KR 101049404 B1 KR101049404 B1 KR 101049404B1 KR 1020100138095 A KR1020100138095 A KR 1020100138095A KR 20100138095 A KR20100138095 A KR 20100138095A KR 101049404 B1 KR101049404 B1 KR 101049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itting hole
hole
fixtur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주
박순남
Original Assignee
박순남
문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남, 문영주 filed Critical 박순남
Priority to KR102010013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와 레일을 연결하는 고정구를 레일의 표면에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구비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갖는 가드레일을 제작할 수 있고, 레일의 보강으로 외부충격 발생시 레일의 파손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입설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레일(15)의 배면 일측에 레일(15)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레일보강판(20)과, 상기 레일보강판(20)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끼움공(22)과, 상기 끼움공(22)에 일측이 끼워져 결속된 채 타측이 상기 지주(10)에 고정되는 고정구(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드레일{A GUARD RAIL}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와 레일을 연결하는 고정구를 레일의 표면에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구비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갖는 가드레일을 제작할 수 있고, 레일의 보강으로 외부충격 발생시 레일의 파손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가드레일은 도로의 양쪽 외측 또는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되어 도로의 차량 주행폭을 구획하면서 차량이 도로의 외측으로 벗어날 경우 노변의 위험으로부터 승객 및 차량을 보호하고 그 방향을 완만하게 유도시켜 뒤따르는 후속사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차량 탑승자 및 차량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욱이 이 같은 상기 가드레일은 대형차량 과 소형차량이 각기 충돌되는 경우 구조적 강성을 지님은 물론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충격흡수능력을 동시에 요구하게 된다. 즉, 상기 가드레일은 설계시에 충돌차량의 선정, 충돌속도, 탑승자의 안전도를 요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가드레일은 여러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로 사정에 따라 가드레일의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가드레일은 상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도로의 여건상(예; 언덕길, 내리막길, 굴국된길 등 ) 특히 곡선도로일 경우에는 가드레일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나 그렇지 않을 경우 차량이 가드레일에 충돌과 동시에 가드레일을 타고 넘어가 큰 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로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된 상태에서 일정기간이 경과하여 파손이 되거나 다른 수도공사, 전력공사 등을 하고 난 후에는 도로를 개보수해야 된다. 이와 같이 도로의 노면을 개보수 할 때면 노면을 아스콘으로 덧씌우게 되고 이에 의해 노면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가드레일은 높이조절이 불가능하여 노면이 높아짐에 따라 레일의 높이는 낮아지게 되어 도로교통법에 맞는 높이를 유지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가드레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이로 인해 종래의 것을 철거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 아니라 자원과 예산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여 가드레일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기술이 다수 개발되어 출원 또는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은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레일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완전 해체하여야 함으로써 높이조절작업시에는 상당한 무게를 갖는 레일을 수평으로 들고 있어야 하는 관계로 필수적으로 중장비를 이용하여 작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작업에 따른 인건비 및 작업비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레일에는 지주에 연결하는 고정구의 관통을 위해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을 통해 고정구를 끼워넣은 후 지주에 고정하는 방식임에 따라 가드레일의 설치 후 눈 또는 비 등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부위에 녹 등의 부식 발생으로 미려하지 못한 외관과 함께 충격완화효과 기능이 저하되는 등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식 발생으로 교체시 인건비 및 제품구입 등 비용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레일은 레일과 지주와의 사이부분을 보강하는 데에만 집중하였을 뿐 레일 자체를 보강하지 못함으로써 외부충격 발생시 레일이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인명피해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보강판의 형성으로 인해 지주와 레일을 연결하는 고정구를 레일의 표면에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구비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아울러 부식방지 등 수명연장으로 유지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레일보강판의 형성으로 레일을 보강함으로써 외부충격 발생시 레일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구를 지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채 끼움공을 통해 그 위치를 바꿔줌으로써 손쉽게 간편하게 레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에 형성되는 고정공을 다수개 형성하여 가드레일 설치시 설치지역에 따라 레일의 기본적인 높이를 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특히 노면의 높이 변화시 고정공을 통해 레일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끼움공을 통해서도 레일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레일의 높이조절폭이 넓어져 한번 설치 후 노면의 높이가 변화하더라도 교체없이 장기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드레일은 지면에 입설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배면 일측에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끼움공이 형성된 레일보강판과, 상기 끼움공에 일측이 끼워져 결속된 채 타측이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은, 상기 레일보강판의 상측에 수평으로 절개된 제1끼움공과, 상기 제1끼움공의 하측에 이격되어 수평으로 절개된 제2끼움공과, 상기 제1끼움공과 제2끼움공을 서로 연결하여 연통시키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안내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수직안내공의 폭(w)은 상기 고정구의 일측 머리부의 길이(l)보다 그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안내공을 통해 상기 고정구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구는 일측 머리부가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결속되고 타측 나선부가 상기 지주를 관통하여 너트로 결합되는 고정볼트이고, 상기 지주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고정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레일의 기본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구를 레일의 표면에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녹 등의 부식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수명연장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충격 발생시 레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레일의 높이를 현장여건이나 노면상황에 맞춰 조절할 수 있어 한번 설치 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을 보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일의 배면에 결합된 레일보강판 및 고정구를 보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의 이동에 따른 고정구의 이동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끼움공을 통한 레일의 높이조절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구의 탈부착이 가능한 끼움공의 다른 형태를 보인 분리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드레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지면에 입설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에 고정구(30)로 결합되는 레일(15)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15)의 배면에 레일(15)을 보강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구(30)를 구비하기 위해 형성된 레일보강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일단이 매설된 채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레일(15)의 높이 조절시 레일(15)을 최대로 높였을 때보다 더 높은 곳에 타단이 위치하도록 통상적으로 기존에 설치된 지주(1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가드레일은 상기 레일보강판(20)이 상기 레일(15)의 배면에 레일(15)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져 레일(15)을 보강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레일보강판(20)에는 상기 고정구(30)가 구비되어 상기 지주(10)와 결합됨에 따라 가능하면 상기 레일보강판(20)의 설치시 상기 레일(15)의 굴곡된 면 중에서 상기 지주(10)와 근접되는 부위에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레일(15)은 상기 레일보강판(20)에 의해 보강되어 짐으로써 차량의 접촉사고 등 외부충격 발생시 레일(1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함께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30)는 상기 레일보강판(20)에 끼워진 채 구비되어 지주(10)와 결합됨에 따라 도 1과 같이 레일(15)의 표면에는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레일(15)의 고정시 상기 고정구(30)를 레일의 표면에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구비하게 됨으로써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고, 또한 고정구(30)가 끼워지는 구멍의 주연부에 녹 등의 발생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레일(15)의 수명을 연장시켜 유지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보강판(20)의 표면에는 상기 고정구(30)를 구비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끼움공(22)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30)가 상기 끼움공(22)을 통해 일측이 끼워져 결속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지주(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10)와 레일(15)을 결합하여 가드레일을 형성하는데 있어, 레일보강판(20)을 구비하여 레일(15)을 보강하면서 지주(10)와 레일(15)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구(30)의 결속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간단한 설치가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일(15)은 노면의 상태나 설치위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고정구(30)가 끼움공(22)상에서 이동되어져 높이가 조절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끼움공(22)은 상기 레일보강판(20)의 상측에 수평으로 절개된 제1끼움공(23)과, 상기 제1끼움공(23)의 하측에 이격되어 수평으로 절개된 제2끼움공(24)과, 상기 제1끼움공(23)과 제2끼움공(24)을 서로 연결하여 연통시키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안내공(25)으로 구성되어 진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제1끼움공(23)과 제2끼움공(24)만을 형성하였으나, 상기 제2끼움공(24)의 하측에 이격되게 또 다른 제3끼움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끼움공(23)와 제2끼움공(24)은 상기 고정구(30)가 끼워진 채 고정구(30)의 위치가 변동되면서 상기 레일(15)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 그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상기 고정구(30)가 수직안내공(25)으로 인입되지 않은 채 고정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면 충분하다.
상기 수직안내공(25)은 상기 제1끼움공(23)과 제2끼움공(24)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레일(15)의 높이조절시 고정구(30)가 이동되어지는 이동로이며, 상기 제1끼움공(23)과 제2끼움공(24)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에 형성하거나 중앙부에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레일(15)의 높이조절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최초 고정구(30)는 제1끼움공(23)에 위치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레일(15)의 높이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레일(15)과 인접된 다른 레일(15)을 고정하는 볼트를 해체한 상태에서 지주(10)에 고정된 고정구(30)의 고정력만을 해제한 후, 고정구(30)가 걸쳐진 상태로 레일(15)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구(30)가 'A'의 위치로 도달되게 한 다음 레일(15)을 들어올려 'B'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이 상태로 레일(15)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C'위치로 오게 한 후 해제된 상태의 고정구(30)를 다시 결속시켜 레일(15)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30)는 일측이 상기 끼움공(22)에 끼워지게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지주(10)에 고정되는 모든 형태의 클램프이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일측 머리부가 상기 끼움공(22)에 끼워져 결속되고 타측 나선부가 상기 지주(10)를 관통하여 너트(35)로 결합되는 고정볼트로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지주(10)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고정공(12)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레일(15)의 기본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드레일은 설치 후 노면의 높이에 따라 손쉽게 레일(15)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나, 최초 가드레일의 설치시나 또는 끼움공(22)을 통해 레일(15)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로 레일(15)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공(12)이 다수개 형성되어 지는 것이다.
최초 가드레일 설치시에는 가파른 경사지역이나 오르막길 등 지역에 따라 레일(15)의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고정공(12)의 여러 구멍 중에 하나에 고정볼트로 고정하여 설치하게 된다.
즉, 지역에 따라 상기 고정공(12)을 통해 상기 레일(15)의 기본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고, 이 상태에서 레일의 높이 조절시 상기 끼움공(22)를 통해 손쉽게 레일(15)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끼움공(22)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수직안내공(25)의 폭(w)은 상기 고정구(30)의 일측 머리부의 길이(l)보다 그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안내공(25)을 통해 상기 고정구(30)의 일측 머리부를 인입 또는 인출시킴으로서 상기 고정구(30)를 레이보강판에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안내공(25)의 폭을 넓게 한 경우에는 상기 레일보강판(20)을 레일(15)에 형성하는 경우 고정구(30)를 끼워넣은 상태로 형성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으며, 간단하게 수직안내공(25)을 통해 끼워넣을 수 있어 고정구(30)가 필요한 위치의 끼움공(22)에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최초 레일보강판(20)의 형성시 불필요하게 고정구(30)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위치에 사용할 수 있어 가드레일의 설치시 현장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대응하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보강판(20)의 형성으로 인해 레일(15)을 보강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응하여 레일(15)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레일보강판(20)에 고정구(30)를 구비함으로써 레일(15)의 표면에 고정구(30)를 노출시키지 않게 되어 미려한 외관을 갖는 가드레일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일(15)의 표면에 고정구(30)가 관통되는 구멍을 불필요하게 형성시키지 않아도 됨으로써 구멍에 녹 등의 발생을 없앨 수 있어 수명연장과 함께 유지보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고정구(30)를 지주(10)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채 그 위치만을 바꿔주면서 레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노면 변화 등 현장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지주 12: 고정공
15: 레일 20: 레일보강판
22: 끼움공 23: 제1끼움공
24: 제2끼움공 25: 수직안내공
30: 고정구 35: 너트
w: 폭 l: 길이

Claims (4)

  1. 지면에 입설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레일(15)과, 상기 레일(15)의 배면 일측에 레일(15)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끼움공(22)이 형성된 레일보강판(20)과, 상기 끼움공(22)에 일측이 끼워져 결속된 채 타측이 상기 지주(10)에 고정되는 고정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22)은, 상기 레일보강판(20)의 상측에 수평으로 절개된 제1끼움공(23)과, 상기 제1끼움공(23)의 하측에 이격되어 수평으로 절개된 제2끼움공(24)과, 상기 제1끼움공(23)과 제2끼움공(24)을 서로 연결하여 연통시키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안내공(2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안내공(25)의 폭(w)은 상기 고정구(30)의 일측 머리부의 길이(l)보다 그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안내공(25)을 통해 상기 고정구(3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30)는 일측 머리부가 상기 끼움공(22)에 끼워져 결속되고 타측 나선부가 상기 지주(10)를 관통하여 너트(35)로 결합되는 고정볼트이고,
    상기 지주(10)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고정공(12)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레일(15)의 기본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KR1020100138095A 2010-12-29 2010-12-29 가드레일 KR101049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095A KR101049404B1 (ko) 2010-12-29 2010-12-29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095A KR101049404B1 (ko) 2010-12-29 2010-12-29 가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404B1 true KR101049404B1 (ko) 2011-07-14

Family

ID=4492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095A KR101049404B1 (ko) 2010-12-29 2010-12-29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572B1 (ko) 2017-09-27 2018-01-29 (주)건교산업 방호벽 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734U (ko) * 1998-12-03 1999-03-25 허삼도 가드레일의 완충 브라켓
KR200208248Y1 (ko) * 2000-05-30 2000-12-15 한이환 Frp 특수 가드레일
KR100973486B1 (ko) 2007-11-16 2010-09-02 이상진 소형동물 차단재가 구비된 가드레일을 이용한 로드킬방지용 가드펜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734U (ko) * 1998-12-03 1999-03-25 허삼도 가드레일의 완충 브라켓
KR200208248Y1 (ko) * 2000-05-30 2000-12-15 한이환 Frp 특수 가드레일
KR100973486B1 (ko) 2007-11-16 2010-09-02 이상진 소형동물 차단재가 구비된 가드레일을 이용한 로드킬방지용 가드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572B1 (ko) 2017-09-27 2018-01-29 (주)건교산업 방호벽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865B1 (ko)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KR101851953B1 (ko)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KR101036416B1 (ko) 가드레일의 지지구조
KR101737470B1 (ko) 비탈면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수평지지력 보강ㆍ제어시스템 및 비탈면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수평지지력 보강ㆍ제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 설치공법
KR101283689B1 (ko) 교통안전시설물의 지주보강구조
KR101280023B1 (ko) 가드레일
KR101049404B1 (ko) 가드레일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1626255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KR101944728B1 (ko) 로드킬 방지 및 방초기능을 가진 지주 보강장치의 시공방법
KR101835859B1 (ko) 다이크용 가드레일 지주 보강구조
KR200453404Y1 (ko) 충격흡수 및 가드레일판이 상승되는 가드레일
EP1381737B1 (de) Terminal für seitlich an verkehrswegen angeordnete rückhaltesysteme aus stahlprofilen
KR101109111B1 (ko)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KR101718139B1 (ko)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KR200449769Y1 (ko) 가드레일용 고정 브라켓 설치구조
KR101073874B1 (ko) 가로보의 설치구조
KR100467087B1 (ko) 건축단지용 낙석방지시설
KR100920524B1 (ko) 복개도로용 복개장치
JP6733933B2 (ja) 橋梁地覆への車両乗り上げ抑制構造
KR200422429Y1 (ko) 충격흡수용 낙석방지책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217832B1 (ko) 직, 간접 고정방식의 개방형 차량 방호 울타리
JP6994235B2 (ja) 雪崩予防柵及びそ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