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295B1 - 휴지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휴지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295B1
KR101049295B1 KR1020100068095A KR20100068095A KR101049295B1 KR 101049295 B1 KR101049295 B1 KR 101049295B1 KR 1020100068095 A KR1020100068095 A KR 1020100068095A KR 20100068095 A KR20100068095 A KR 20100068095A KR 101049295 B1 KR101049295 B1 KR 10104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ase
rotatably connected
guide
win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영
Original Assignee
안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영 filed Critical 안동영
Priority to KR102010006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06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 A47K10/3625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지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구동레버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내부의 휴지가 일정길이씩 인출된 후 커팅됨에 따라 휴지의 인출이 손쉽게 이루어짐은 물론 휴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휴지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케이스부 측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휴지가 감겨져 있는 휴지풀림롤러,
상기 휴지풀림롤러와 수평상태로 위치되어 있고 단부가 케이스부 측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휴지감김롤러,
상기 휴지감김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당김롤러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하는 래크기어,
일단부가 상기 래크기어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지배출장치 {TISSUE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에 권취된 두루마리 화장지를 일정길이씩 배출 시킬 수 있는 휴지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화장실 등에 비치되어 있는 휴지배출장치는 롤 형태의 휴지가 별도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지단부를 잡아당기면 내부의 휴지가 풀어지면서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대로 휴지가 인출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과다하게 잡아당겨서 휴지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지의 인출 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휴지를 잡아 잘라내야 하기 때문에 끈어진부위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밖에 없으므로 타 사용자의 사용 시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82787호 『휴지배출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이 기술은 기어형태의 레버를 아래로 내리면 배출구상에 위치한 감김롤러가 회전되면서 휴지 단부를 잡아당겨 외부로 인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휴지가 항시 회전롤러의 회전길이만큼, 즉 일정길이씩만 인출되므로 휴지의 낭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하지만 레버의 기어치와 감김롤러의 기어치가 항시 치합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레버가 탄성력에 의해 다시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케이스에 충돌되거나, 복귀가 끝나는 순간 휴지배출 장치 전체에 진동이 발생되므로 소음 및 휴지배출장치의 파손우려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휴지배출장치는 기본적으로 휴지를 최초 설치할 때 감김롤러가 휴지 단부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휴지단부가 감김롤러와 가이드롤러 사이에 끼워져 있어야 하는데, 종래기술은 휴지를 케이스 내부에 설치할 때 작업자가 직접 휴지단부를 감김롤러와 가이드롤러 사이에 끼워 넣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은 위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휴지의 인출길이를 일정화 시켜 휴지의 낭비를 방지하고 인출과 동시에 휴지가 자동으로 끈어지도록 하여 위생성을 높일 수 있는 휴지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레버복귀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없앨 수 있는 휴지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의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휴지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하 간격을 두고 상호 수평 상태로 형성된 제1직선레일과 제2직선레일 및 상기 제1, 2직선레일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제1, 2방향전환레일을 갖는 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휴지가 감겨 있는 휴지풀림롤러,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휴지감김롤러, 상기 휴지감김롤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2직선레일 및 상기 제1, 2방향전환레일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래크기어, 상기 래크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 전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를 개폐하며, 상기 고정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한정하는 개폐케이스, 그리고 상기 고정케이스 내부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직선레일 및 상기 제1, 2방향전환레일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휴지풀림롤러와 상기 휴지감김롤러는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휴지감김롤러의 롤러축에 연결되어 있는 래칫휠, 상기 래칫휠에 결합되어 상기 래칫휠이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편, 일단부가 상기 래칫휠의 편심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연결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휴지배출구를 갖는 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휴지가 감겨 있는 휴지풀림롤러, 상기 휴지풀림롤러와 수평 상태로 위치하고 있고 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휴지감김롤러, 상기 휴지감김롤러와 수평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가이드롤러,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동판, 상기 회동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판과 함께 회동되고 회동과정에서 상기 휴지풀림롤러로부터 풀려진 휴지를 상기 휴지감김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 사이로 밀어넣는 삽입편을 포함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상기 휴지감김롤러 둘레 상에 설치되고 측면이 상기 휴지감김롤러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커팅날, 일단부가 상기 커팅날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지감김롤러 둘레면 상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팅날은 상기 설치홈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레버의 전후 작동에 의해 휴지가 일정길이씩 배출되므로 휴지의 낭비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휴지인출 후 구동레버의 위치복귀 과정에서 휴지감김롤러와 분리된 상태로 개별 복귀되므로 복귀과정 중 레버와 케이스 등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지설치과정에서 휴지삽입부가 휴지를 휴지감김롤러와 가이드롤러 사이로 밀어 넣음에 따라 휴지설치과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지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휴지 인출과정에서 휴지의 커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위생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반대쪽 방향의 분해사시도
도3은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4 및 도5는 제1지지판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및 사시도
도6은 제2지지판 및 자동복귀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7은 회전구동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전체 측단면도
도8은 회전구동부의 확대도
도9는 개폐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10은 휴지삽입부에 의해 휴지단부가 휴지감김롤러와 가이드롤러 사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11은 도10의 확대도
도12는 구동레버와 래크기어가 뒤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13은 휴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14는 자동복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15는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의 적용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휴지배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부(100)와 휴지풀림롤러(210), 휴지감김롤러(240), 휴지커팅부(300), 자동복귀부(400), 회전구동부(500) 및 휴지삽입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부(100)는 휴지롤의 외부노출을 차단하는 역할 및 타 구성요소들의 설치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고정케이스(110)와 개폐케이스(120) 및 지지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고정케이스(110)는 벽면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전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면에는 벽면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미도시)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힌지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케이스(120)는 케이스부(100)의 개폐문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케이스(110)와 대칭구조, 즉 후면이 개방된 박스구조로 이루어지고 전면 하부에는 휴지배출구(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폐케이스(120)는 고정케이스(110) 전면에 대칭상태로 위치되고 하단이 힌지부(112)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됨에 따라 개폐케이스(120)는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고정케이스 내부를 개폐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개폐케이스(120)가 고정케이스(110) 전면에 결합됨에 따라 사방이 차단된 박스형태가 되고 내부에는 개폐케이스(120) 및 고정케이스(110)의 내부공간이 통합된 하나의 설치공간(101)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케이스(120) 및 고정케이스(110)와 더불어 케이스부(100)를 구성하는 지지대(130)는 후술하는 회전구동부(500)와 각 롤러들이 실질적으로 설치되는 부분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제1지지판(130A)과 제2지지판(130B)으로 구성된다.
제1지지판(130A)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판재형태로 상단에는 후술하는 휴지풀림롤러(210)의 설치를 위한 제1설치공(131)이 형성되고 중간지점에는 장력롤러(220) 설치를 위한 레일 형태의 가이드공(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공(132) 아래에는 후술하는 가이드롤러(230)의 설치를 위한 제2설치공(133)이 형성되고 제2설치공(133) 아래에는 휴지감김롤러(240)의 설치를 위한 제3설치공(134)이 형성된다.
또한 제3설치공(134) 아래쪽에는 배출롤러(250)의 설치를 위한 제4설치공(1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3설치공(134)과 제2설치공(133) 사이에는 후술하는 구동레버(530)의 전후이동 경로 역할을 하는 슬라이드레일(136)이 형성된다.
슬라이드레일(136)은 가이드공(132)과 수평상태의 제1, 2직선레일(136a)(136b)이 상하 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제1, 2직선레일(136a)(136b)의 각 뒤쪽 단부는 제1방향전환레일(136c)로 연결되며 제1, 2직선레일(136a)(136b)의 각 앞쪽 단부는 제2방향전환레일로(136d)로 연결되어 마치 전체적으로 무한궤도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라이드레일(136) 사방에는 설치케이스(137)가 둘러싼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드레일(136)이 설치케이스(137) 내부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 5]와 같이 제1지지판(130A)에는 후술하는 휴지커팅부(300)의 이동경로 역할을 하는 가이드레일(138)이 제3설치공(134)사방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판(130A)과 함께 지지대(130)를 구성하는 제2지지판(130B)은 [도 1] 및 [도 6]과 같이 기본적으로 제1지지판(130A)과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지지판(130A)과 마주보는 형태로 고정케이스(110)의 반대쪽 내벽면 상에 위치된다.
제2지지판(130B)에도 역시 제1내지 제4설치공(131)(133)(134)(135)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외측면 중 가이드공(132)과 제1설치공(131) 사이에는 고정돌기(139)들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130)에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휴지의 설치 및 휴지의 배출유도 역할을 하는 각종 롤러들이 설치된다.
먼저 제1, 2지지판(130A)(130B)의 제1설치공(131)에는 휴지 설치를 위한 휴지풀림롤러(210)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휴지풀림롤러(210)에는 휴지(P)가 롤 형태로 감겨진다.
그리고 각 가이드공(132)에는 휴지 인출과정에서 휴지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롤러(220)의 양단부가 끼워지며 장력롤러(220)는 가이드공(132) 내에서 전후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장력롤러(220)의 일측에는 별도의 스프링(222)이 연결됨에 따라, 장력롤러(220)가 전진할 때 스프링(222)이 인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각 제2설치공(133)에는 휴지 단부를 후술하는 휴지감김롤러(240) 쪽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롤러(230)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또한 제3설치공(134)에는 휴지를 감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휴지감김롤러(240)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휴지감김롤러(240)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홈(242)이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 둘레에는 후술하는 휴지삽입부(600)가 삽입될 삽입홈(244)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러한 휴지감김롤러(240)의 직경을 가이드롤러(230) 직경보다 크게 형성시키되, 휴지감김롤러(240)와 가이드롤러(230) 사이에는 휴지가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4설치공(135)에는 휴지의 최종배출 경로를 유도하기 위한 배출롤러(250)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이때 배출롤러(250)와 휴지감김롤러(240) 사이에도 휴지가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렇게 설치된 휴지감김롤러(240)에는 가이드커버(260)가 설치된다.
가이드커버(260)는 휴지가 휴지감김롤러(240)에 감겨진 후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반원통형상이고 휴지감김롤러(240)의 상부와 후측 및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커버(260)의 내경은 휴지감김롤러(240)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호 간 사이에 휴지의 이동로(270)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130)에는 휴지커팅부(300)가 더 설치된다.
휴지커팅부(300)는 외부로 배출된 휴지를 잘라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커팅날(310)과 가이드링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팅날(310)은 실질적인 휴지커팅기능을 하는 것으로, 휴지감김롤러(240)와 비슷한 길이의 판재형태이고 전단부에 톱날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휴지감김롤러(240)의 설치홈(242) 내에 안착 설치된다.
이때 커팅날(310)의 양단에 형성된 회동축(미도시)이 휴지감김롤러(240)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된다.
그리고 가이드링크(320)는 커팅날(310)을 상하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휴지감김롤러(240)의 일측 단부 외부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커팅날(310)의 회동축에 연결된다.
또한 가이드링크(320)의 타 단부에는 회전롤러(330)가 설치되고 회전롤러(330)는 제1지지판(130A)의 가이드레일(138)에 끼워진다.
따라서 휴지커팅부(300)는 휴지감김롤러(240)의 회전과정에서 회전롤러(330)가 가이드레일(138)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링크(320)의 각도변화에 의해 커팅날(310)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구체적인 작동구조는 후술하는 작용설명과정에서 언급한다.
이러한 제2지지판(130B)에는 자동복귀부(400)도 설치된다.
자동복귀부(400)는 휴지의 배출 후 휴지감김롤러(240)를 반대로 회전시켜 휴지커팅부(300)가 배출 전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처럼 다시 레칫휠(410)과 걸림편(420), 연결링크(430) 및 탄성부재(440)를 포함한다.
먼저 레칫휠(410)은 즉 원판의 테두리 중 일부구간에 레칫기어(41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지지판(130B)외측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중심부가 휴지감김롤러(240)의 회전축(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리고 걸림편(420)은 막대형태로 일단부가 제2지지판(130B)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래칫휠(410)의 래칫기어(412)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레칫휠(410)과 걸림편(420)간 결합에 의해 휴지감김롤러(240)는 휴지 배출과정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연결링크(430)는 역시 단순 막대형태로 일단부가 레칫휠(41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부에는 탄성부재(440)가 연결된다.
탄성부재(440)는 회전된 레칫휠(410)을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연결링크(43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지지판(130B)의 고정돌기(139) 에 연결된다.
참고로 탄성부재(440)는 스프링 외에 탄성을 갖는 와이어 등으로도 변형 적용될 수 있으며, 연결링크(430)를 구비하지 않고 탄성부재가 직접 레칫휠(410)에 연결되는 구조로도 제작할 수 있다.
이렇게 자동복귀부(400)가 구비된 지지대(130)에는 회전구동부(500)가 더 설치된다.
회전구동부(500)는 휴지배출 시 휴지감김롤러(240)의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피니언기어(510)와 래크기어(520), 구동레버(530)를 포함한다.
먼저 피니언기어(510)는 후술하는 구동레버(530)에 의한 구동력을 휴지감김롤러(240)에 최종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반 평기어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지지판(130A) 외측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중심부가 휴지감김롤러(240)의 회전축(242)에 연결된다.
그리고 래크기어(520)는 구동레버(530)에 의한 구동력을 피니언기어(5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막대형태의 래크몸체(522) 하단에 기어치(524)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전면에는 구동레버(530)와의 결합을 위한 제1돌출편(525)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슬라이드레일(136)과의 결합을 위한 제2돌출편(526)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래크기어(520)는 설치케이스(137) 내부에 삽입되어 제2돌출편(526)이 제1직선레일(136a)과 제2방향전환레일(136d)간 경계지점에 위치됨과 동시에 기어치(524)가 피니언기어(510)에 맞물린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래크기어(520)의 상하 폭은 래크기어(520)가 제1직선레일(136a)에서 제2직선레일(136b)로 이동하였을 때 기어치(524)가 피니언기어(510)와 분리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구동레버(530)는 회전구동부(500)의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직육면체 형태의 구동블록(532) 일측에 막대형태의 손잡이(534)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레버(530)는 구동블록(532)에 형성된 결합공(532a)에 래크기어(520)의 제1돌출편(525)이 삽입됨에 따라 래크기어(520)와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레버(530)를 뒤쪽으로 밀면 래크기어(520)가 함께 직선 이동하면서 피니언기어(510)를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휴지감김롤러(240)가 최종 회전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설치케이스(137)에는 별도의 커버(540)가 설치되어 회전구동부(500)가 제1지지판(130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참고로 위 설명에서는 각 롤러(210)(220)(230)(240)(250)들과 자동복귀부(400) 및 회전구동부(500)가 지지대(130)를 통해 고정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지지대(130)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 롤러(210)(220)(230)(240) (250) 양단부를 고정케이스(110) 양측벽에 직접 설치하고 자동복귀부(400)와 회전구동부(500)도 고정케이스(110) 양측벽 내부 또는 외부 상에 설치하는 구조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즉 지지대(130)는 얼마든지 생략될 수 있는 구성요소 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는 휴지삽입부(600)가 더 설치된다.
휴지삽입부(600)는 휴지를 최초 설치 하는 과정에서 휴지단부가 휴지감김롤러(240)와 가이드롤러(230) 사이로 삽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과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회동판(610)에 삽입편(62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동판(610) 은 단순판재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단 하부에는 힌지축(612) 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휴지감김롤러(240) 앞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측의 힌지축(612)이 제1, 2지지판(130A)(130B)의 내측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삽입편(620)은 회동판(610)의 내측면, 즉 휴지감김롤러(240)를 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삽입편(620)중 휴지감김롤러(240)를 향하는 단부에는 곡면부(622)가 형성되며 곡면부의 상단은 휴지감김롤러(240)와 가이드롤러(230) 사이 지점에 위치된다.
이때 곡면부(622)는 곡률과 휴지감김롤러(240)의 삽입홈(244) 내경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편(620)은 회동판(610)의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244)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된다.
따라서 휴지삽입부(600) 전체가 힌지축(612)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고 회동과정에서 각 삽입편(620)이 휴지감김롤러(240)의 각 삽입홈(244) 내에 끼워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9]처럼 개폐케이스(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롤 형태의 휴지(P)를 휴지풀림롤러(210)에 설치한 후 휴지의 단부를 아래로 끌어내린 뒤 장력롤러(220) 하부와 가이드롤러(230) 상단에 걸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휴지단부가 가이드롤러(230)로부터 단순히 아래로 늘어져 있는 상태이고 휴지삽입부(600)도 개폐케이스(120) 쪽으로 젖혀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개폐케이스(120)를 고정케이스(110)와 결합시키기 위해 회동시키면 휴지삽입부(600)도 함께 회동되어 각 삽입편(620)이 휴지감김롤러(240)의 각 삽입홈(244)에 끼워진다.
이 과정에서 삽입편(620)이 휴지단부(P)를 밀어 냄에 따라 휴지단부(P)가 휴지감김롤러(240)와 가이드롤러(230) 사이 간극에 삽입된다.
즉 휴지 설치과정에서 작업자가 직접 휴지단부를 감김롤러와 가이드롤러 사이에 끼워넣어야 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단순히 개폐케이스(120)를 닫는 과정에서 휴지단부의 삽입이 함께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있다.
이렇게 휴지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도 7], [도 8]처럼 사용자가 구동레버(530)의 손잡이(534)를 뒤쪽으로 밀면 구동블록(532)에 결합된 래크기어(520)가 [도 12]와 같이 제1직선레일(136a)을 따라 뒤쪽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래크기어(520)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기어(510)가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휴지감김롤러(240)가 함께 회전된다.
이렇게 휴지감김롤러(240)가 회전됨에 따라 [도 13]과 같이 휴지감김롤러(240)와 가이드롤러(230) 사이에 끼워져 있는 휴지 단부(P)가 당겨지면서 휴지감김롤러(240)와 가이드커버(260) 사이 공간을 따라 이동된 뒤 휴지감김롤러(240)와 배출롤러(250) 사이 간극으로 인출된 후 개폐커버(120)의 휴지배출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휴지가 당겨지는 과정에서 장력롤러(220)는 앞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스프링(222)의 탄성력에 의해 반대쪽으로 되돌아 가려는 힘이 작용됨에 따라 휴지(P)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휴지가 휴지감김롤러(240)의 회전반경만큼만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휴지감김롤러(24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도 14]와 같이 래칫휠(410)도 함께 회전되고 래칫휠(410)이 회전되면서 연결링크(430)에 의해 탄성부재(440)가 아래로 당겨진다.
그리고 휴지감김롤러(24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도 13]과 같이 휴지커팅부(300)의 회전롤러(330)가 제1지지판(130A)의 가이드레일(138)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이와 연결된 가이드링크(320)가 회동되고, 이로 인해 커팅날(310)의 회동되어 톱날부분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져 휴지를 커팅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레버(530)를 계속 밀면 [도 15]와 같이 래크기어(520)가 제1직선레일(136a)을 따라 계속 이동하다가 제2돌출편(526)이 제1방향전환레일(136c)로 진입함과 동시에 제1방향전환레일(136c)을 따라 위쪽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따라서 래크기어(520)를 비롯한 구동레버(530)도 함께 위쪽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래크기어(520)와 피니언기어(510)가 분리된다.
이렇게 래크기어(520)와 피니언기어(510)가 분리되어 회전이 자유로워지면 래칫휠(410)이 탄성부재(440)의 탄성력에 의해 반대로 회전됨에 따라 휴지감김롤러(240)도 함께 반대로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래칫휠(410)이 최초 상태가 될 때까지 역회전되면 래칫기어(520)가 걸림편(420)에 걸림에 따라 래칫휠(410)을 비롯해 휴지감김롤러(240)가 더 이상 역회전 되지 않게 된다.
즉 휴지감김롤러(240)는 구동레버(530)를 누르기 전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때 래크기어(520)와 피니언기어(510)가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구동레버(530)는 눌려진 상태가 유지되고 휴지감김롤러(240)만 개별적으로 역회전 된다.
따라서 휴지감김롤러(240)와 구동레버(530)가 함께 복귀될 경우 발생되는 구동레버(530)와 타 구성요소 간의 충돌 및 충돌에 의한 파손이 방지된다.
이렇게 래크기어(520)와 피니언기어(510)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동레버(530)를 앞쪽으로 당기면 래크기어(520)는 제2직선레일(136b)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2방향전환레일(136d)을 지나면서 아래쪽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따라서 구동레버(530)전체와 래크기어(520)도 아래쪽으로 이동되면서 래크기어(520)가 피니언기어(510)에 치합된다.
즉 휴지감김롤러(240)와 회전구동부(500)를 비롯한 전체 구성이 휴지인출 전 상태로 복귀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휴지 설치과정에서 휴지삽입부(600)에 의해 휴지단부가 휴지감김롤러(240)와 가이드롤러(230)에 쉽게 삽입되도록 하여 휴지 작업이 편리해지도록 함은 물론, 휴지 인출 후 구동레버(530)가 휴지감김롤러(240) 와는 별도로 개별 복귀되기 때문에 구동레버(530)와 타 구성요소 간 불필요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참고적으로 휴지삽입부(600)와 회전구동부(500)는 위의 설명처럼 함께 병행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둘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한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고정케이스
112 : 힌지부 120 : 개폐케이스
122 : 휴지배출구 101 : 설치공간
130 : 지지대 130A : 제1지지판
130B : 제2지지판 131 : 제1설치공
132 : 가이드공 133 : 제2설치공
134 : 제3설치공 135 : 제4설치공
136 : 슬라이드레일 136a : 제1직선레일
136b : 제2직선레일 136c : 제1방향전환레일
136d : 제2방향전환레일 137 : 설치케이스
138 : 가이드레일 139 : 고정돌기
210 : 휴지풀림롤러 220 : 장력롤러
222 : 스프링 230 : 가이드롤러
240 : 휴지감김롤러 242 : 설치홈
244 : 삽입홈 250 : 배출롤러
260 : 가이드커버 270 : 이동로
300 : 휴지커팅부 310 : 커팅날
320 : 가이드링크 330 : 회전롤러
400 : 자동복귀부 410 : 레칫휠
412 : 레칫기어 420 : 걸림편
430 : 연결링크 440 : 탄성부재
500 : 회전구동부 510 : 피니언 기어
520 : 래크기어 522 : 래크몸체
524 : 기어치 525 : 제1돌출편
526 : 제2돌출편 530 : 구동레버
532 : 구동블록 532a : 결합공
534 : 손잡이 540 : 커버
600 : 휴지삽입부 610 : 회동판
612 : 힌지축 620 : 삽입편
622 : 곡면부 P : 휴지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휴지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하 간격을 두고 상호 수평 상태로 형성된 제1직선레일과 제2직선레일 및 상기 제1, 2직선레일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제1, 2방향전환레일을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휴지가 감겨 있는 휴지풀림롤러,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휴지감김롤러,
    상기 휴지감김롤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2직선레일 및 상기 제1, 2방향전환레일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래크기어,
    상기 래크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레버
    를 포함하는 휴지배출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케이스부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 전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를 개폐하며, 상기 고정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한정하는 개폐케이스, 그리고
    상기 고정케이스 내부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직선레일 및 상기 제1, 2방향전환레일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휴지풀림롤러와 상기 휴지감김롤러는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는
    휴지배출장치.
  3. 삭제
  4. 제2항에서,
    상기 휴지감김롤러의 롤러축에 연결되어 있는 래칫휠,
    상기 래칫휠에 결합되어 상기 래칫휠이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편,
    일단부가 상기 래칫휠의 편심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휴지배출장치.
  5.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휴지배출구를 갖는 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휴지가 감겨 있는 휴지풀림롤러,
    상기 휴지풀림롤러와 수평 상태로 위치하고 있고 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휴지감김롤러,
    상기 휴지감김롤러와 수평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가이드롤러,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동판,
    상기 회동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판과 함께 회동되고 회동과정에서 상기 휴지풀림롤러로부터 풀려진 휴지를 상기 휴지감김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 사이로 밀어넣는 삽입편
    을 포함하는 휴지배출장치.

  6. 삭제
  7. 제5항에서,
    상기 케이스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상기 휴지감김롤러 둘레 상에 설치되고 측면이 상기 휴지감김롤러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커팅날,
    일단부가 상기 커팅날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링크를 포함하는
    휴지배출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휴지감김롤러 둘레면 상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팅날은 상기 설치홈 내부에 위치되는
    휴지배출장치.
KR1020100068095A 2010-07-14 2010-07-14 휴지배출장치 KR10104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95A KR101049295B1 (ko) 2010-07-14 2010-07-14 휴지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95A KR101049295B1 (ko) 2010-07-14 2010-07-14 휴지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295B1 true KR101049295B1 (ko) 2011-07-13

Family

ID=4492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095A KR101049295B1 (ko) 2010-07-14 2010-07-14 휴지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084B1 (ko) * 2015-02-02 2015-07-30 주식회사 여울제지 휴지배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3824B1 (en) * 1997-12-01 2002-04-02 Maurice Granger Paper-wipe dispensing machine
KR200382787Y1 (ko) * 2005-02-05 2005-04-22 김석열 화장지(휴지) 배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3824B1 (en) * 1997-12-01 2002-04-02 Maurice Granger Paper-wipe dispensing machine
KR200382787Y1 (ko) * 2005-02-05 2005-04-22 김석열 화장지(휴지) 배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084B1 (ko) * 2015-02-02 2015-07-30 주식회사 여울제지 휴지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9638B2 (en) Dispenser
US62240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paper toweling from a roll of paper toweling
US4383657A (en) Dispenser for products in sheet form
JP2005525833A (ja) 装填が容易なディスペンサ
US20120255413A1 (en) Transfer mechanism for sheet material dispenser
US6994408B1 (en) Hands-free product roll dispenser
JPH11503634A (ja) タオルディスペンサにおける平らなストリップ材料の装填
CA2641027C (en) Articulated nip in a dispenser apparatus
MX2011005154A (es) Despachador.
KR101049295B1 (ko) 휴지배출장치
EP2701999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paper toweling from a roll
US6959635B2 (en) Easy loading dispenser and cutting mechanism therefor
KR101540084B1 (ko) 휴지배출장치
JP2021013659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ホルダー
CN113490444B (zh) 卷式产品进给系统
US6848349B2 (en) Method of cutting a material from a rolled product
KR100630326B1 (ko) 접착테이프용 홀더
US3265454A (en) Towel cabinet
JPH0737590Y2 (ja) シートペーパー自動供給便座
CN114568319B (zh) 收集动物排泄物的装置
JP2007327273A (ja) 引戸の任意位置停止装置
EP0272357B1 (en) Towel dispenser
JPH0344049Y2 (ko)
JP2002046882A (ja) 給紙機構
JP2523400Y2 (ja) プリンタの用紙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