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709B1 - Spare Tire Removal Device - Google Patents

Spare Tire Remov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709B1
KR101047709B1 KR1020040063544A KR20040063544A KR101047709B1 KR 101047709 B1 KR101047709 B1 KR 101047709B1 KR 1020040063544 A KR1020040063544 A KR 1020040063544A KR 20040063544 A KR20040063544 A KR 20040063544A KR 101047709 B1 KR101047709 B1 KR 101047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vehicle
mounting bracket
tire mounting
pus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5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4831A (en
Inventor
임진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709B1/en
Publication of KR2006001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7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2Handling devices, mainly for heavy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어 타이어의 탈거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removing spare tires.

이 같은 본 발명은,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과 리어 플로워 패널의 사이에 푸쉬멤버와 다수 개의 코일 스프링을 장착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후방 충돌사고시 스페어 타이어 웰로부터 스페어 타이어를 이탈시키면서 스페어 타이어 장착 위치의 차체를 충분히 변형시킴은 물론, 그 변형으로부터 에너지 흡수율을 높여 연료탱크 장착 위치의 차체 변형 최소화를 통해 연료탱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페어 타이어 탈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push member and the plurality of coil springs are mounted between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and the rear floor panel, thereby leaving the spare tire from the spare tire well during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leaving the spare tire mounting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re tire removal apparatus that can sufficiently prevent deformation of the fuel tank and prevent damage to the fuel tank 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at the fuel tank mounting position by increasing the energy absorption rate from the deformation.

스페어 타이어, 브라켓, 홀더, 푸쉬멤버, 코일스프링Spare Tire, Bracket, Holder, Push Member, Coil Spring

Description

스페어 타이어 탈거 장치{Separation device of a spare tire}Separation device of a spare tire

도 1은 종래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상태도.1 is a mounting state of a conventional spare tire.

도 2는 종래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의 구조도.Figure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nventional spare tire mounting bracket.

도 3은 종래 차량의 충돌에 따른 연료탱크의 변형 상태도.3 is a deformation state of the fuel tank according to the collision of the conventional vehicl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의 장착 구조도.Figure 4 is a mounting structure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의 후방충돌시 푸쉬멤버의 작동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의 작동 상태도.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ng tire mounting bracket of the push member of the push member in the rear of the vehic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스페어 타이어의 이탈에 따른 연료탱크의 변형상태도.
Figure 6 is a modified state of the fuel tank according to the departure of the spare ti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 리어 플로워 패널 12;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1; Rear floor panel 12; Spare Tire Mounting Bracket

20; 코일 스프링 30; 푸쉬멤버20; Coil spring 30; Push Member

31; 이동멤버 32,33; 제 1,2 홀더31; Moving members 32,33; 1st and 2nd holder

34; 스프링 40; 가이드패널34; Spring 40; Guide panel

본 발명은 스페어 타이어의 탈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후방 충돌사고시 스페어 타이어 웰(spare tire well)로부터 스페어 타이어를 이탈시키면서 스페어 타이어 장착 위치의 차체를 충분히 변형시킴은 물론, 그 변형으로부터 에너지 흡수율을 높여 연료탱크 장착 위치의 차체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페어 타이어 탈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removing spare tires, and in particular, sufficiently deforming the vehicle body at the spare tire mounting position while leaving the spare tire from the spare tire well in a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as well as energy absorption rate from the deformation. A spare tire removal device is designed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tank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at the fuel tank mounting posi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워 패널(1)의 스페어 타이어 웰에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의 브라켓(2)이 용접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bracket 2 for spare tire mounting is attached to the spare tire well of the rear floor panel 1 by welding.

즉, 스페어 타이어(3)의 중심을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2)의 중심과 일치시킨 후 볼트로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2)에 끼워 스페어 타이어(3)를 차체에 고정시키도록 하였다.That is, the center of the spare tire 3 is matched with the center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2, and then the bolt is fitted to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2 with bolts to fix the spare tire 3 to the vehicle body.

그러나, 종래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차량의 후방 충돌시 스페어 타이어(3)가 스페어 타이어 웰에 끼이는 경우, 타이어 휠의 높이만큼은 거의 강체로 적용하여 타이어 휠이 변형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연료탱크 장착위치의 차체에 변형이 집중되면서 연료탱크의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spare tire 3 is caught in the spare tire well during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3, the height of the tire wheel is almost rigid, so that the tire wheel is not deformed, and thus the fuel tank mounting position is relatively high.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uel tank was damaged as the deformation concentrated on the car body.

즉, 연료탱크 장착부에 변형이 집중되는 것은 타이어 휠이 변형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스페어 타이어(3)가 연료탱크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고 강체인 타이어 휠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3) 장착 위치의 차체 변형이 감소되어 에너지 흡수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곧 흡수되지 못한 에너지가 연료탱크 장착위치의 차체를 변형시키기 때문이다.That is, the deformation is concentrated in the fuel tank mounting portion, so that the spare tire 3 is pushed in the fuel tank direction without the tire wheel being deformed, and the body deformation of the spare tire 3 mounting position is reduced by the rigid tire wheel. As a result, the energy absorption rate is lowered because energy which is not absorbed deforms the vehicle body at the fuel tank mounting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과 리어 플로워 패널의 사이에 푸쉬멤버와 다수 개의 코일 스프링을 장착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후방 충돌사고시 스페어 타이어 웰로부터 스페어 타이어를 이탈시키면서 스페어 타이어 장착 위치의 차체를 충분히 변형시킴은 물론, 그 변형으로부터 에너지 흡수율을 높여 연료탱크 장착 위치의 차체 변형 최소화를 통해 연료탱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페어 타이어 탈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sh member and a plurality of coil springs between a spare tire mounting bracket and a rear follower panel. In the event of a rear collision, the spare tire can be removed from the spare tire well while sufficiently deforming the body of the spare tire mounting position, and the energy absorption rate is increased to minimize the body deformation of the fuel tank mounting posi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fuel tank. It is to provide a spare tire removal device to ensure tha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의 장착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의 후방충돌시 푸쉬멤버의 작동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스페어 타이어의 이탈에 따른 연료탱크의 변형상태도 이다.Figure 4 is a mounting structure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operating spare tire mounting bracket of the push member in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Figure 6 is a modified state of the fuel tank according to the separation of the spare tir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워 패널(11)의 스페어 타이어 웰에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의 브라켓(12)이 장착되는 구조에 있어서,4 to 6,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bracket 12 for mounting the spare tire is mounted on the spare tire well of the rear floor panel 11,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은 차량 충돌시 유동이 가능하도록 리어 플로워 패널(11)과 4점 지지 방식에 의해 코일 스프링(20)으로 연결하고,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is connected to the rear floor panel 11 and the coil spring 20 by a four-point support method to allow flow in a vehicle crash,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11)에는 코일 스프링(20)을 압축시키면서 스페어 타 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을 구속하고 차량의 충돌시에는 차량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푸쉬멤버(30)를 형성하며,The rear floor panel 11 restrains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while compressing the coil spring 20, an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the vehicle, restrains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while moving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Form a push member 30 to release,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11)에 양끝단을 용접 시키되, 차량의 충돌시 상기 푸쉬멤버(30)가 차량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패널(40)로 구속함을 특징으로 한다.Both ends are welded to the rear follower panel 11, and when the push member 3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it is constrained by the guide panel 40 guiding its movement.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푸쉬멤버(30)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ush member 30,

차량 충돌에 따른 차체 변형이 발생시 가이드패널(40)을 따라 차량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멤버(31),Moving member 31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long the guide panel 40 when the vehicle body 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vehicle collision,

상기 이동멤버(31)의 끝단부위에 형성되어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의 전방을 구속하는 제 1 홀더(32),A first holder 32 formed at an end of the movable member 31 to restrain the front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상기 이동멤버(31)의 중간부위에 형성되어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의 후방을 구속하되, 이동멤버(31)가 차량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에는 회전이 이루어져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는 제 2 홀더(33) 및,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moving member 31 to restrain the rear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when the moving member 31 moves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is made of the rotation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A second holder 33 for releasing the restrained state,

상기 제 2 홀더(33)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력을 발휘하는 스프링(34)의 결합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pring 34 to exert an elastic support force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second holder (33).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4 to 6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을 코일스프링(20)을 이용하여 차량의 리어 플로워 패널(11)로 4점 지지방식으로 연결 하여 둔다.First,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for fixing the spare tire is connected to the rear follower panel 11 of the vehicle by the four-point support method using the coil spring 20.

이후,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을 가이드패널(40)에 의해 지지되는 푸쉬멤버(30)로 구속시켜 둔다.Thereafter,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is restrained by the push member 30 supported by the guide panel 40.

즉, 상기 푸쉬멤버(30)는 이동멤버(31), 제 1,2 홀더(32)(33), 스프링(34)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바,That is, the push member 30 is made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moving member 31,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2, 33, the spring 34,

상기 이동멤버(31)의 이동이 없을 경우, 상기 제 1,2 홀더(32)(33)는 코일스프링(20)에 의해 리어 플로워 패널(11)과 연결된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의 전후방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When there is no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31,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2 and 33 are front and rear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connected to the rear follower panel 11 by the coil spring 20. It will be able to hold firmly.

그러면, 상기 푸쉬멤버(30)의 구속력에 의해 상기의 코일스프링(20)은 압축되면서,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은 리어 플로워 패널(11)에 밀착되고, 이에따라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while the coil spring 20 is compressed by the restraining force of the push member 30,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floor panel 11, whereby the spare tire of the vehicle is firm It will be able to remain fixed.

한편, 상기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의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차량의 후방 충돌사고가 발생할 경우, 상기 충돌사고로부터 차체 백패널의 변형이 발생되는 바,On the other hand, when the rear collision accident of the vehicle in the state that the fixed fixed state of the spare tire is maintained by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as described above, bar body deformation of the back panel is generated from the collision accident,

상기 백패널의 변형으로부터 가이드패널(40)에 의해 지지된 푸쉬멤버(30)의 이동멤버(31)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The moving member 31 of the push member 30 supported by the guide panel 40 from the deformation of the back panel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그러면, 상기 이동멤버(31)의 끝단에 형성된 제 1 홀더(32)에 의한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의 전방 구속력이 해제되고, 동시에 스프링(34)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홀더(33)는 이동멤버(31)의 이동으로부터 회전하여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의 후방 구속력이 해제된다.Then, the front restraining force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by the first holder 32 formed at the end of the movable member 31 is released, and the second holder 33 supported by the spring 34 at the same time. Is rotated from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31, the rear restraint force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is released.

이때, 상기 제 1,2 홀더(32)(33)의 구속력 해제로부터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은 리어 플로워 패널(11)과 연결된 코일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At this time,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is lift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20 connected to the rear follower panel 11 from the release of the restrain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2 and 33. .

그러면,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은 스페어 타이어 웰로부터 이탈을 하게 되는 바,Then,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is separated from the spare tire well,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12)의 이탈로부터 도 6에서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 장착 위치의 차체를 충분히 변형시키면서 에너지 흡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이는 곧 연료탱크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rom the detachment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2, as shown in Figure 6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energy absorption rate while deforming the vehicle body of the spare tire mounting position, which can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fuel tank to prevent the damage Will b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과 리어 플로워 패널의 사이에 푸쉬멤버와 다수 개의 코일 스프링을 장착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후방 충돌사고시 스페어 타이어 웰로부터 스페어 타이어를 이탈시키면서 스페어 타이어 장착 위치의 차체를 충분히 변형시킴은 물론, 그 변형으로부터 에너지 흡수율을 높여 연료탱크 장착 위치의 차체 변형 최소화를 통해 연료탱크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member and the plurality of coil springs are mounted between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and the rear floor panel, thereby allowing the spare tire to be mounted while the spare tire is separated from the spare tire well during a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o sufficiently deforming the body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nergy absorption rate from the deformation, there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body of the fuel tank mounting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fuel tank from being damaged.

Claims (2)

리어 플로워 패널의 스페어 타이어 웰에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의 브라켓이 장착되는 구조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that the bracket for mounting a spare tire is attached to the spare tire well of a rear floor panel,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은 차량 충돌시 유동이 가능하도록 리어 플로워 패널과 코일 스프링으로 연결하고,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is connected to the rear floor panel and the coil spring to enable flow in a vehicle crash,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에는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을 구속하고 차량의 충돌시에는 차량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푸쉬멤버를 형성하며,The rear floor panel forms a push member that restrains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while compressing the coil spring, and moves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by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상기 리어 플로워 패널에 양끝단을 용접시키되, 차량의 충돌시 상기 푸쉬멤버가 차량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패널로 구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탈거 장치.Spare tire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ends are welded to the rear floor panel, but is restrained by a guide pane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ush member when the push member moves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멤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ush member, 차량 충돌에 따른 차체 변형이 발생시 가이드패널을 따라 차량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멤버,Moving member moved along the guide pan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body 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상기 이동멤버의 끝단부위에 형성되어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의 전방을 구속하는 제 1 홀더,A first holder formed at an end of the movable member to restrain the front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상기 이동멤버의 중간부위에 형성되어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의 후방을 구속하되, 이동멤버가 차량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에는 회전이 이루어져 스페어 타이어 장착용 브라켓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는 제 2 홀더 및,A second holder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to restrain the rear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the second holder releasing the restraint state of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when the moving member moves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 2 홀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의 결합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탈거 장치.Spare tire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pring exerting elastic support to enable the second holder to rotate.
KR1020040063544A 2004-08-12 2004-08-12 Spare Tire Removal Device KR1010477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544A KR101047709B1 (en) 2004-08-12 2004-08-12 Spare Tire Remov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544A KR101047709B1 (en) 2004-08-12 2004-08-12 Spare Tire Remov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831A KR20060014831A (en) 2006-02-16
KR101047709B1 true KR101047709B1 (en) 2011-07-08

Family

ID=3712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544A KR101047709B1 (en) 2004-08-12 2004-08-12 Spare Tire Remov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70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8041U (en) * 1990-11-21 1992-07-08
KR950006219U (en) * 1993-08-13 1995-03-20 Spare tire storage and withdrawal device
KR19980043148U (en)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Spare tire retainer of car
KR19990020943U (en) * 1997-11-28 1999-06-25 양재신 Spare tire compart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8041U (en) * 1990-11-21 1992-07-08
KR950006219U (en) * 1993-08-13 1995-03-20 Spare tire storage and withdrawal device
KR19980043148U (en)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Spare tire retainer of car
KR19990020943U (en) * 1997-11-28 1999-06-25 양재신 Spare tire compar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831A (en)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0045A1 (en) Gas tank-equipped vehicle
US5555950A (en) Bod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JP5762179B2 (en) Vehicle seat
CN201989738U (en) Collision-buffering energy absorbing device of pneumatic flexible automobile
KR101047709B1 (en) Spare Tire Removal Device
EP1593580B1 (en) Adaptive energy absorber
JP2002302013A (en) Seat belt device
JP2004063173A (en) Structure of fuel cell
JP4521403B2 (en) Automotive front structure
JP2011213251A (en) Steering wheel
CN101117110B (en) Automobile insurance device
CN103832343A (en) Restraint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JP2009292452A (en) Two-wheel vehicle transport vehicle
KR100993723B1 (en) Removable and attach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pare tire
JP4394861B2 (en) Body pitching suppression structure for motorcycles
KR100992639B1 (en) A rotation device of a spare tire
CN216269118U (en) Automobile anti-collision beam assembly
KR100535552B1 (en) A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Vehicle
JP4211367B2 (en)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device
CN104210553B (en) Front part of vehicle part-structure
CN213534628U (en) A anticollision buffer for racing frame
JP5727842B2 (en) Instrument panel structure of vehicle
CN101602381A (en) Vehicle crossbeam and vehicle
JP4528249B2 (en) Motorcycle airbag device and motorcycle equipped with the motorcycle airbag device
WO2020170578A1 (en) Onboard component sup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