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496B1 -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496B1
KR101047496B1 KR1020110045381A KR20110045381A KR101047496B1 KR 101047496 B1 KR101047496 B1 KR 101047496B1 KR 1020110045381 A KR1020110045381 A KR 1020110045381A KR 20110045381 A KR20110045381 A KR 20110045381A KR 101047496 B1 KR101047496 B1 KR 101047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installation space
handrail
mining device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홍길
채희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04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F21S11/005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with tracking means for following the position of the su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provided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light-transmission or the heat-reflection, (e.g. shields, reflectors, clea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for rotating or oscillating mirr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2013/034Daylight conveying tubular sky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된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는 베란다의 난간과 난간 사이에 설치되어 하단이 베란다의 단턱부에 안착되며, 양측에 난간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홈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공간의 인접한 양측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을 이루는 가이드홈과 힌지홀이 형성된 투명케이스; 상기 설치공간의 개구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투명덮개; 상기 슬릿홈에 양단부가 삽입연결되며, 내측에 전,후방으로 개구된 투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투과공의 인접한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힌지편들이 수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각 힌지편의 내측에 힌지공이 형성된 연결프레임 및 태양광을 실내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편과 힌지편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힌지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마련된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설치구조의 안정성 향상, 빛 반사효율 향상 및 실내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Natural lighting apparatus of balustrade for apartment house}
본 고안은 자연 채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광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설치구조의 안정성 향상, 빛의 반사효율향상 및 실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태양의 고도와 관계없이 실내공간을 충분히 채광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광이라 함은, 실내 공간에 있어서 창문 따위를 통해 태양광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알려진 채광의 방식으로는, 창문을 통해 태양광을 직접적으로 받아들이는 직접 채광방식과, 반사판을 통해 태양광을 간접적으로 받아들이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전술한 직접채광 방식을 채택할 경우에는, 조명도의 분포가 고르지 않아 글레어(glare)현상이 발생하여 조망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태양광의 입사공간이 적어 태양광을 통한 실내공간의 조명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직접채광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반사판을 이용한 간접 채광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간접 조명방식을 개량한 것으로서, 먼저 종래 반사판을 이용한 채광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채광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채광장치는 실내공간(1)과 외부(2)를 경계하는 창호(3)를 상부창호(31)와 하부 메인창호(32)로 구획하여 그 사이에는 장홀(4)을 형성하고, 상기 장홀(4)의 내측에는 내부에 장홀(4)과 연통되는 슬라이딩 공간부(51)가 형성되고 상면에 반사층(52)이 구비되어있는 광선반 본체(5)가 수평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장홀(4)과 슬라이딩 공간부(51)에는 창호(3)의 외측으로 돌출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돌출 광선반(6)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층으로 입사된 태양광은 반사되어 실내공간으로 입사됨으로써, 실내공간을 간접적으로 채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채광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채광장치는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채광장치는 본체, 광선반 및 이를 포함한 다수의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중량체이기 때문에 바람과 같은 작은 외력에도 창호시설이 추락하는 현상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채광장치는 시공 후 소정기간이 경과하면 채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채광장치는 광선반이 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시공 후 소정기간이 경과하면 그 내부에 먼지 또는 빗물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되어 축적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채광장치는 실내공간의 공간 효율성 및 실내 인테리어효과를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채광장치는 그 구성요소의 일부가 실내공간으로 돌출되어 실내공간을 침범할 뿐만 아니라, 실내공간으로 돌출된 구성요소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중량체의 채광장치를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 난간에 설치하여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을 실내공간으로 반사하는 반사판들을 투명케이스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각 반사판들을 태양의 위치에 따라 각도변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반사판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태양의 위치에 관계없이 높은 빛 반사효율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채광장치를 실외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베란다의 난간과 난간 사이에 설치되어 하단이 베란다의 단턱부에 안착되며, 양측에 난간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홈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공간의 인접한 양측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을 이루는 가이드홈과 힌지홀이 형성된 투명케이스;
상기 설치공간의 개구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투명덮개;
상기 슬릿홈에 양단부가 삽입연결되며, 내측에 전,후방으로 개구된 투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투과공의 인접한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힌지편들이 수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각 힌지편의 내측에 힌지공이 형성된 연결프레임 및
태양광을 실내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편과 힌지편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힌지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마련된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힌지편들은 하방으로 갈수록 외부로 더 돌출되며, 상기 힌지편에 설치된 반사판들은 태양광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외부로 더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체의 채광장치를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 난간에 설치하여 안정된 설치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수개의 반사판들을 투명케이스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각 반사판들을 태양의 위치에 따라 각도변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반사판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 및 태양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반사판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공간으로 빛을 반사하는 채광장치를 실외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채광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100)는 베란다(10)의 난간(20)과 난간(20) 사이에 설치되어 그 하단이 상기 베란다(10)의 단턱부에 안착되는 투명케이스(110)와, 상기 투명케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된 투명덮개(120)와, 상기 투명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130) 및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설치된 반사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투명케이스(110)는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100)의 기본틀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투명케이스(110)는 그 양측에 상기 난간(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홈(111)이 형성되고,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설치공간(113)이 마련되며, 상기 설치공간(113)의 인접한 양측에 상기 설치공간(113)과 연통을 이루는 가이드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홈(115)의 인접한 일측에 다수개의 힌지홀(1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케이스(110)는 그 내부로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투명덮개(120)는 상기 투명케이스(110)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투명덮개(120)는 판상체의 형상으로 상기 설치공간(113)의 상부에 볼트체결된다.
또한, 상기 투명덮개(120)는 상기 투명케이스의 내부로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설치공간(113)의 내부에 후술할 반사판(14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기본 틀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설치공간(113)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상체의 형상으로 그 내측에 전,후방으로 개구된 투과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투과공(131)의 인접한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힌지편(133)들이 수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각 힌지편(133)의 내측에 힌지공(1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힌지편(133)들은 하방으로 갈수록 외부로 더 돌출되며, 상기 각 힌지편(133)에 형성된 힌지공(135)들도 하방으로 갈수록 더 외측으로 위치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반사판(140)은 태양광을 통해 입사된 빛을 실내공간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반사판(140)은 상기 힌지편(133)과 힌지편(133)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힌지핀(143)이 삽입되는 삽입공(14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반사판(140)은 태양광을 통해 입사된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그 표면에 거울과 같이 빛을 반사하는 소재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는 설치구조의 안정성 향상, 빛의 반사효율향상 및 실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설치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베란다(10)의 난간(20)과 난간(20) 사이에 상기 투명케이스(110)를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투명케이스(110)에 형성된 슬릿홈(111)에 난간(20)의 단부를 삽입한 후 볼트체결하여 상기 난간(20)에 투명케이스(110)를 견고히 고정한다. 이때, 상기 투명케이스(110)는 그 하단이 베란다(10)의 단턱부에 안착된다.
이후, 상기 가이드홈(115)에 연결프레임(130)의 양단부를 삽입연결하여 상기 연결프레임(130)을 설치공간(113) 내에 설치한다.
이후, 상기 힌지편(133)과 힌지편(133) 사이에 반사판(140)을 위치시키고, 상기 힌지홀(117)을 통해 삽입관통된 힌지핀(143)을 상기 힌지편(133)에 형성된 힌지공(135)과 상기 반사판(140)에 형성된 삽입공(141)에 삽입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판(140)은 힌지핀(143)을 통해 힌지회전하여 상기 반사판(14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의 위치에 관계없이 태양광을 실내로 반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투명케이스(110)의 상부에 투명덮개(120)를 위치시킨 후, 상기 투명덮개(120)를 볼트를 이용하여 투명케이스(110)에 설치고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는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 난간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채광효율성 향상 및 실내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0 : 베란다 20 : 난간 110 : 투명케이스
111 : 슬릿홈 113 : 설치공간 115 : 가이드홈
117 : 힌지홀 120 : 투명덮개 130 : 연결프레임
131 : 투과창 133 : 힌지편 135 : 힌지공
140 : 반사판 141 : 삽입공 143 : 힌지핀

Claims (2)

  1. 베란다(10)의 난간(20)과 난간(20) 사이에 설치되어 하단이 베란다(10)의 단턱부에 안착되며, 양측에 난간(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홈(111)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설치공간(113)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공간(113)의 인접한 양측에 상기 설치공간(113)과 연통을 이루는 가이드홈(115)과 힌지홀(117)이 형성된 투명케이스(110);
    상기 설치공간(113)의 개구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케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된 투명덮개(120);
    상기 슬릿홈(111)에 양단부가 삽입연결되며, 내측에 전,후방으로 개구된 투과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투과공(131)의 인접한 양측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힌지편(133)들이 수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각 힌지편(133)의 내측에 힌지공(135)이 형성된 연결프레임(130) 및
    태양광을 실내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편(133)과 힌지편(133)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힌지핀(143)이 삽입되는 삽입공(141)이 마련된 반사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힌지편(133)들은 하방으로 갈수록 외부로 더 돌출되며, 상기 힌지편(133)에 설치된 반사판(140)들은 태양광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외부로 더 돌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
KR1020110045381A 2011-05-13 2011-05-13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 KR101047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81A KR101047496B1 (ko) 2011-05-13 2011-05-13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81A KR101047496B1 (ko) 2011-05-13 2011-05-13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496B1 true KR101047496B1 (ko) 2011-07-08

Family

ID=4492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381A KR101047496B1 (ko) 2011-05-13 2011-05-13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4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625A (ja) 1997-03-31 1998-10-20 Takeshi Uchida 採光装置
KR100876294B1 (ko) 2008-07-01 2008-12-29 한국에이.비이.엠.건설 주식회사 태양 광 조명장치의 산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625A (ja) 1997-03-31 1998-10-20 Takeshi Uchida 採光装置
KR100876294B1 (ko) 2008-07-01 2008-12-29 한국에이.비이.엠.건설 주식회사 태양 광 조명장치의 산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6131C2 (ru) Све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AU2009100562B4 (en) Blind slat
KR101400993B1 (ko) 광선반 장치
JP2019117382A (ja) 採光装置及び採光スラット
US10480736B2 (en) Daylighting system
US8027092B1 (en) Curved light shelf system for daylighting an interior space
KR101047496B1 (ko)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채광장치
CN202882727U (zh) 一种百叶片以及一种百叶窗
JP2006222011A (ja) 建築物
Beck et al. Making better use of natural light with a light-redirecting double-glazing system
JP5991455B2 (ja) 採光ブラインド
KR101591077B1 (ko) 태양광 발전 광선반
CN106285433A (zh) 百叶窗及其叶片组件
JP2002371773A (ja) ブラインド
CN102493745A (zh) 覆窗式调光器
KR101668746B1 (ko) 채광용 블라인드
CN213952740U (zh) 一种便于插拔的拼装式天窗电动天棚安置框
KR101186785B1 (ko) 차양장치
KR102014864B1 (ko) 태양광 발전 일체형 이중 창호 시스템
KR101641872B1 (ko) 건물 부착형 태양광 모듈 고정 프레임
KR101670251B1 (ko) 고정형 수직 차양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6150291B (zh) 百叶窗及其叶片组件
JP6119149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09179687U (zh) 一种窗口固定式采光遮阳装置
CN211396464U (zh) 不影响既有住宅采光的加装电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